KR102178410B1 -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 Google Patents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410B1
KR102178410B1 KR1020190046008A KR20190046008A KR102178410B1 KR 102178410 B1 KR102178410 B1 KR 102178410B1 KR 1020190046008 A KR1020190046008 A KR 1020190046008A KR 20190046008 A KR20190046008 A KR 20190046008A KR 102178410 B1 KR102178410 B1 KR 102178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ring body
user
billiard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801A (ko
Inventor
왕중산
Original Assignee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4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63D15/10Apparatus for holding or handing-up cues, e.g. racks
    • A63D15/105Guides for the cue during strike, e.g. cue rests, bridge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당구 브릿지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시간이 경과되어도 올바른 당구 브릿지 기본자세를 유지 및 큐 스트로크를 보조할 수 있어 당구 초보자의 자세교육과 자기연습에 긍정적 효과를 낼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쉽게 빠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제각각인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와의 호환성 및 착용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땀 등의 이물질로부터의 세척이 용이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Ring for billiard bridge 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당구 브릿지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시간이 경과되어도 올바른 당구 브릿지 기본자세를 유지 및 큐 스트로크를 보조할 수 있어 당구 초보자의 자세교육과 자기연습에 긍정적 효과를 낼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쉽게 빠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제각각인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와의 호환성 및 착용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땀 등의 이물질로부터의 세척이 용이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탈거할 수 있는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에 관한 것이다.
당구는 역사적으로 오래 되어 BC 400년경에 그리스에서 옥외 스포츠로서 당 구의 원형(原型)이 실시되었다고 한다.
현대식 당구의 기원은 영국 기원설과 프랑스 기원설이 있다. 14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고안되었다고 하며, 처음에는 크리켓을 닮은 옥외 스포츠였던 것이 실내경기로 개량되어 유럽 각지에서 발달하였다는 것이 일치된 정설(定說)로 되어 있다.
근대 당구는 기구의 발명개량에 따라 발전하고 신장하였다.
그 시초는 영국 사람 잭커에 의한 초크와 프랑스 사람 맹고에 의한 탭(큐 팁:큐 끝에 붙이는 가죽)의 발명으로 당구발달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실제로 19세기 초엽부터 급속히 세계 각국에서 당구가 퍼지고 발전한 뒤에는 이 초크와 탭의 보급에 의한 기술면에서의 진보가 크게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당구를 처음 배울 때는 브리지의 모양이 익숙하지 않아서 당구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여성과 아동들은 손가락이 짧고, 힘이 약하기 때문에 성인 남자들에 비해 당구를 배우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당구가 성인 남성들만의 스포츠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당구는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스포츠임에도 브리지의 어려움 때문에 여성은 소외되고 남성들의 단순한 오락물로 그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당구인의 경기를 위한 당구 보조 브릿지가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고 착탈이 간단하면서도 브릿지를 올바른 형태로 만들기 위한 빌리어드용 브리지 형성용 보조구가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62291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62291호의 경우, 중지에 장착되는 중지 장착부에서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 손잡이부를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로 파지한 상태로 브리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엄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기에 시간이 경과될 수록 엄지가 점차 하강하면서 흐트러짐에 따라 잘못된 브리지 자세를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62291호에서는 상기 중지 장착부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손잡이부를 나사결합시켜 중지의 굵기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의 진입 또는 후퇴시켜 상기 중지 장착부의 실질적인 내경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손잡이부의 진입 또는 후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를 번거롭게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상기 손잡이부가 피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어 착용감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6229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당구 브릿지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시간이 경과되어도 올바른 당구 브릿지 기본자세를 유지 및 큐 스트로크를 보조할 수 있어 당구 초보자의 자세교육과 자기연습에 긍정적 효과를 낼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쉽게 빠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제각각인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와의 호환성 및 착용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땀 등의 이물질로부터의 세척이 용이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탈거할 수 있는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지에 끼워져 고정되는 링 몸체와; 상기 링 몸체의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엄지가 안착되는 엄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엄지안착부의 상부면은 상기 링 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엄지안착부의 상부면에는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형성되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엄지안착부의 일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링 몸체의 타측부에 세로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링 몸체의 타측부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링 몸체 및 상기 엄지안착부는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중지에 끼워져 고정되는 링 몸체의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엄지안착부에 엄지를 안착하여 사용자가 당구 브릿지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시간이 경과되어도 엄지가 하강하면서 미끄러지거나 흔들지지 않으면서 흐트러짐 없이 안정적이고 견고한 올바른 당구 브릿지 기본자세를 유지 및 큐 스트로크를 보조할 수 있어 당구 초보자의 자세교육과 자기연습에 긍정적 효과를 낼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상기 링 몸체의 내경이 변형되면서 손가락을 가볍게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링 몸체가 손가락에서 쉽게 빠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제각각인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와의 호환성 및 착용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아울러, 땀 등의 이물질로부터의 세척이 용이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상기 링 몸체를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링 몸체의 상부면이 엄지안착부의 상부면 보다 높게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링 몸체의 상부면과 엄지안착부의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링 몸체가 사용자의 중지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 내지 7은 엄지안착부에 엄지가 안착된 상태로 당구 브릿지를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엄지안착부의 상부면에 경사면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링 몸체의 타측부에 세로방향의 슬릿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링 몸체의 타측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링 몸체(10)와 엄지안착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링 몸체(10)는 당구 브릿지 자세를 형성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중지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링 몸체의 상부면이 엄지안착부의 상부면 보다 높게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링 몸체의 상부면과 엄지안착부의 상부면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엄지안착부(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링 몸체(10)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링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엄지 안착부(2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엄지가 안착된다.
도 4는 링 몸체가 사용자의 중지에 끼움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구 브릿지 자세를 형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당구 브릿지를 형성하기 위한 손을 기준으로 상기 엄지안착부(20)가 검지를 향한 상태로 중지의 첫번째 마디와 두번째 마디 사이의 중지 부위에 상기 링 몸체(10)를 끼움고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7은 엄지안착부에 엄지가 안착된 상태로 당구 브릿지를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당구 테이블에 손을 넓게 펴놓은 후 손가락을 달걀크기의 공간이 생기도록 오므리면서 중지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바닥 방향으로 끌어들여 세울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엄지를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에 올려놓은 후 엄지와 검지 사이에 큐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지를 엄지에 붙여 당구 브릿지 기본자세를 완성할 수 있다.
당구 브릿지를 형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된 엄지는 상기 엄지안착부(20)를 상기 엄지안착부(20)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링 몸체(10)의 일측부위가 사용자의 엄지 부위에 밀착될 수 있어 상기 링 몸체(10)와 중지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중지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기 링 몸체(10)의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기 엄지안착부(20)에 엄지를 안착하여 사용자가 당구 브릿지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시간이 경과되어도 엄지가 하강하면서 미끄러지거나 흔들지지 않으면서 흐트러짐 없이 안정적이고 견고한 올바른 당구 브릿지 기본자세를 유지 및 큐 스트로크를 보조할 수 있어 당구 초보자의 자세교육과 자기연습에 긍정적 효과를 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링 몸체(10)의 상부면(U2)은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U1)보다 높게 수평형성될 수 있겠으나, 이 경우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U1)과 상기 링 몸체(10)의 상부면(U2) 사이에 형성되는 '┗'형상 등의 상기 단차홈(11)으로 인해 엄지를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U1)에 안착하는 과정 중에 걸림현상이 발생되어 착용감이 저하될 우려가 다분함으로, 바람직하게는 걸림현상없이 사용자가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U1)에 엄지를 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U1)과 상기 링 몸체(10)의 상부면(U2)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이 상기 링 몸체(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링 몸체(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8은 엄지안착부의 상부면에 경사면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U1)에 안착된 엄지가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일측외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U1) 일측에는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 타측에서 상부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α)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201)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엄지안착부(20)의 하부방향에 사용자의 엄지가 위치한 경우, 상기 엄지안착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엄지가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일측면을 타고 원활하게 상승하여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 도 3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일측면(L)은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기 엄지안착부(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엄지안착부(2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9는 링 몸체의 타측부에 세로방향의 슬릿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링 몸체(10) 및 상기 엄지안착부(2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일예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상기 링 몸체(10)의 내경이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상기 링 몸체(10)를 착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링 몸체(10) 및 상기 엄지안착부(20)는 100% 비알러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링 몸체(10)의 타측부에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 즉, 상기 링 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링 몸체의 타측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는, 다른예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상기 링 몸체(10)의 내경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링 몸체(10)의 상부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가볍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링 몸체(10)의 타측부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홈(1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상기 링 몸체(10)의 내경이 변형되면서 손가락을 가볍게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링 몸체(10)가 손가락에서 쉽게 빠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제각각인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와의 호환성 및 착용감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아울러, 땀 등의 이물질로부터의 세척이 용이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상기 링 몸체(10)를 탈거할 수 있게 된다.
10; 링 몸체, 20; 엄지안착부.

Claims (7)

  1. 당구 브릿지 자세를 형성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중지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부에 하측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되는 링 몸체와;
    상기 링 몸체의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엄지가 안착되고, 상부면이 상기 링 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 및 상부면에 안착된 엄지가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구비되며, 엄지가 일측면을 타고 원활하게 상승하여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일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형성되는 엄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2. 당구 브릿지 자세를 형성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중지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부에 세로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는 링 몸체와;
    상기 링 몸체의 상부에 일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엄지가 안착되고, 상부면이 상기 링 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 및 상부면에 안착된 엄지가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구비되며, 엄지가 일측면을 타고 원활하게 상승하여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일측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형성되는 엄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몸체 및 상기 엄지안착부는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46008A 2019-04-19 2019-04-19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KR10217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08A KR102178410B1 (ko) 2019-04-19 2019-04-19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08A KR102178410B1 (ko) 2019-04-19 2019-04-19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01A KR20200122801A (ko) 2020-10-28
KR102178410B1 true KR102178410B1 (ko) 2020-11-13

Family

ID=7301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08A KR102178410B1 (ko) 2019-04-19 2019-04-19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8952A (ja) * 1997-04-25 2003-04-04 Jido Kakikata Kenkyusho:Kk 持ち方矯正被把持棒および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補助具
JP2010162291A (ja) * 2009-01-19 2010-07-29 Kimiaki Ebe ビリヤード用ブリッジ形成用補助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8952A (ja) * 1997-04-25 2003-04-04 Jido Kakikata Kenkyusho:Kk 持ち方矯正被把持棒および被把持棒の持ち方矯正補助具
JP2010162291A (ja) * 2009-01-19 2010-07-29 Kimiaki Ebe ビリヤード用ブリッジ形成用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01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9421A1 (en) Billiard Bridge Training Glove
US20110190056A1 (en) Motion-Sensing Controller,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KR102178410B1 (ko) 당구 브릿지 형성용 링
CN112912149B (zh) 带有可调节把手的手持式球杆引导件
US20080235842A1 (en) Training mitten and glove and methods therefor
US5704842A (en) Cue stick with guide rib
US3851876A (en) Training aid-guide device for pool cue
US9802111B2 (en) Stroker's a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DE2610872A1 (de) Asymmetrischer tischtennisschlaeger
JP6910694B1 (ja) 箸および箸用の補助具
US2753186A (en) Tennis racket handles
KR20010099201A (ko) 당구용 브리지
IT201900001701A1 (it) Strumento educativo per l'apprendimento del gioco del tennis
CN106110609A (zh) 拍柄、拍柄套、球拍与仿球拍的训练器
DE202007004665U1 (de) Streicher-Set: Vorrichtung zur Gewährung der korrekten Tonerzeugung bei Lernenden von Streichinstrumenten
US2765174A (en) Golfer's grip guide
CN101005882A (zh) 一种用于离心高尔夫挥杆的高尔夫球杆
CN205516292U (zh) 一种掌式乒乓拍
JP3628684B2 (ja) 被把持棒の持ち方練習具
US20080039220A1 (en) Bowling ball with handle
US20080039221A1 (en) Bowling ball with handle
KR20220090852A (ko) 당구용 큐대의 팁 구조
US11167192B2 (en) Golf swing training tool
US858666A (en) Game apparatus.
JP3215249U (ja) ビリヤード用キューのエクステ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