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444B1 -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444B1
KR102177444B1 KR1020180124808A KR20180124808A KR102177444B1 KR 102177444 B1 KR102177444 B1 KR 102177444B1 KR 1020180124808 A KR1020180124808 A KR 1020180124808A KR 20180124808 A KR20180124808 A KR 20180124808A KR 102177444 B1 KR102177444 B1 KR 10217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lecture
user device
learning service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4283A (en
Inventor
신종우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444B1/en
Publication of KR2020004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는, 지정된 실습과목의 실습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작 또는 활용하는 입체(3D)물의 촬영 이미지에 발급한 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코드정보와 실습수업에서 이루어진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학생들의 사용자장치로부터 (기)발급한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코드정보와 일치하는 강의내용을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the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ee-dimensional (3D) object produced or utilized by students in a practice class of a designated practice subject. )When the issued cod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water, the stored code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instructor's lecture contents and stored, and the code information issued from the student's user device is received. ,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lecture content matching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Description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학생들이 실습수업 시간에 제작하는 제작물이나 실습수업에서 활용하는 모형물 등과 관련해 부여하는 QR 코드를 통해 학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learning is possible through a QR code that is given in relation to a product produced by students during a practice class or a model used in a practice class. It relates to 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easily achieved and a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통상적으로 대학교 등의 실기 수업에 있어서 짧게는 당일 수업시간 내부터 길게는 한학기 동안 학습목표를 통해 소정의 포트폴리오의 구성(예: 작품 또는 제품 등)에 따라 제작하거나 또는 매시간별로 실습과정에서 특정 부분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한 과목들이 있다. 예를 들어 건축공학과의 경우 소정 기간동안 일정한 작품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매수업마다 조금씩 해당 포트폴리오에 따른 일부분을 제작하거나 물리치료학과의 경우에는 해당 매시간별로 각 근육별로 인체 모형도를 가지고 각각의 특징, 형태 등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게 된다.In general, in practical classes at universities, etc., it is produc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a predetermined portfolio (e.g., works or products) through the learning objectives for a short semester from within the class of the day to a long semester, or every hour in a specific part of the practice process. There are subjects, including courses in Korean educ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f the purpose is to create a certain work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part according to the portfolio is produced for each class, or i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each muscle has a human body model diagram for each hour, and each feature, Classes on form, etc. will be conducted.

그런데, 이러한 실기 수업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수들의 강의를 청취하면서 동시에 포트폴리오 제작 내지 실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필기는 쉽지 않은 경우가 다반사이며, 이러한 경우 복습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practical class, since most students listen to the lectures of professors and simultaneously produce portfolios or practice, it is often difficult to take general notes, and in this case, review itself may be difficul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09795호(2014.06.13.)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09795 (2014.06.1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5239호(2015.11.09.)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5-0125239 (2015.11.0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학생들이 실습수업 시간에 제작하는 제작물이나 실습수업에서 활용하는 모형물 등과 관련해 부여하는 QR 코드를 통해 학습이 간편하게 이루지도록 하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a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to facilitate learning through a QR code that is given in relation to a product produced by students during a practice class or a model used in a practice class. It has its purpose in provi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는, 지정된 실습과목의 실습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작 또는 활용하는 입체(3D)물의 촬영 이미지에 발급한 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코드정보와 상기 실습수업에서 이루어진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학생들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발급한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코드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강의내용을 상기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code information issued to a photographed image of a three-dimensional (3D) object produced or used by students in a practice class of a designated practice subject, and the stored code information and A storage unit that matches and stores the contents of lectures of instructors made in the practice class, and when the issued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of the students, the lecture content matching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devi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지정한 출력장치가 있으면 상기 지정한 출력장치로 상기 강의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If there is an output device designated by the user device,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to the designated output device.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입체물의 일부 또는 전부의 모양을 본뜬 모형물에 대한 모형물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 또는 상기 교수자의 요청에 따라 3D 프린터로 상기 저장한 모형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further stores model object information on a model object imitating a part or all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stored model object information to a 3D printer at the request of the student or the instructor.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습과목과 관련한 복수의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순서 또는 학생이 지정한 순서정보를 근거로 상기 강의내용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o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actice subject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may sequentially provide the lecture contents based on an order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or order information designated by a stud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물의 일부 또는 전부에 부착되는 QR 코드를 인식한 코드정보를 근거로 상기 강의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based on code information recognizing a QR code attached to a part or all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저장부가, 지정된 실습과목의 실습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작 또는 활용하는 입체물의 촬영 이미지에 발급한 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코드정보와 상기 실습수업에서 이루어진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학생들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발급한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코드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강의내용을 상기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driving method of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ing method of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including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storage unit includes a training class for a designated practice subject. Storing code information issued to a photographed imag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produced or used by students at, matching and storing the stored code inform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lecture made in the practice class, and storing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student's user device. And when the issued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providing, by the control unit, the lecture content consistent with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지정한 출력장치가 있으면 상기 지정한 출력장치로 상기 강의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tep, if there is an output device designated by the user device, the content of the lecture may be provided to the designated output device.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물의 일부 또는 전부의 모양을 본뜬 모형물에 대한 모형물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학생 또는 상기 교수자의 요청에 따라 3D 프린터로 상기 저장한 모형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ing step further stores model object information on the model object imitating the shape of some or all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he providing step includes the stored model object information with a 3D printer at the request of the student or the instructor.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실습과목과 관련한 복수의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순서 또는 학생이 지정한 순서정보를 근거로 상기 강의내용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may include sequentially providing the lecture contents based on an order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or order information designated by a student when a plurality of co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actice subject is received.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물의 일부 또는 전부에 부착되는 QR 코드를 인식한 코드정보를 근거로 상기 강의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tep, the contents of the lecture may be provided based on code information recognizing a QR code attached to a part or all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생들은 가령 실습수업에서 필기 등에 대한 부담없이 교수의 강의를 들으면서 작품 제작이나 모형도 등을 활용한 실습수업에 열중할 수 있게 되므로 실습수업의 학습효율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udents can concentrate on the practice class using work production or model drawings while listening to the professor's lecture without the burden of writing, for example, in the practice class, so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practice class can be increased. There will be.

또한, 실습수업에서 있었던 강의와 관련해 학습이 필요할 때 자유롭게 강의를 재학습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제작된 작품에 부여된 가령 QR 코드 등을 통해 관련 과정에 바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학습이 매우 편리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re-learn the lecture when it is necessary to learn related to the lecture in the practical class, and it will be very convenient because you can directly access the related course through the QR code given to the produced work.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습시간에 이루어진 포트폴리오 구성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포트폴리오 구성에 따른 완성 단계의 작품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학습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의 학습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portfolio structure made during practice time;
3 is a diagram showing a work in the completion stage according to the portfolio composi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learning service device of FIG. 1;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learning service device of FIG. 1, and
6 is a flowchart showing a learn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습시간에 이루어진 포트폴리오 구성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포트폴리오 구성에 따른 완성 단계의 작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portfolio structure made during practice time,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work in completion stage according to the portfolio composi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시스템(90)은 프린터(100), 사용자장치(110), 통신망(120) 및 학습서비스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learning service system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printer 100, the user device 110,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do.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프린터(10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학습서비스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printer 100 are omitted,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constitute a network device (for example, : It means something that can be integrated and configured in (exchange device, etc.), and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먼저, 프린터(100)는 2D 또는 3D 프린터를 포함한다. 프린터(100)는 실습수업이 이루어지는 학습공간에 설치될 수 있지만, 교수자의 연구실이나 학과 사무실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프린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서비스장치(130)에서 발급 또는 발행하는 코드, 더 정확하게는 QR 코드를 출력물의 형태로 출력한다. 여기서, QR 코드는 실습수업의 매 실습시간에 대한 수업일자, 수업시간, 강의자료나 강의동영상과 같이 강의와 관련한 강의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가령 교수자가 수업 전에 학습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해당 강의정보를 입력해 넣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습시간이 완료되는 시점에 해당 QR 코드의 출력을 요청함으로써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QR 코드는 해당 강의내용에 바로 접근하기 위한 URL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the printer 100 includes a 2D or 3D printer. The printer 100 may be installed in a learning space in which a training class is held, but includes a devic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installed in a professor's lab or department office. The printer 100 outputs a code issued or issued by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more precisely, a QR code in the form of a print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QR code includes lectu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ecture, such as the class date, class time, lecture material or lecture video for each practical time of the practice class. For example, the instructor may access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before class and input the corresponding lecture information. And, the output may be made by requesting the output of the QR code at the time when the practice time is completed. Of course, the QR code may further include URL information to directly acces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프린터(100)는 가령 교수자의 요청에 따라 동일한 코드정보를 갖는 QR 코드를 복수개 출력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실습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수별로 동일한 QR 코드가 발급되는 것이다. 물론 팀 단위로 실습수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는 팀의 수대로 발급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 발급된 QR 코드는 학생들이 실습시간에 제작한 작품, 더 정확하게는 제작물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작품은 가령 완성품을 의미하므로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따라 매 실습시간마다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포트폴리오의 구성은 작품을 완성하기 위한 매 실습시간의 제작 계획이 될 것이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따라 작품의 제작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완성품인 작품과 구별하기 위하여 포트폴리오의 각 구성에 따른 제작은 제작물이라 지칭될 수 있다.The printer 100 may output a plurality of QR codes having the same code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instructor, for example. More precisely, the same QR code is issued for each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actice class. Of course, the issuance will be ma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ams, which is the case where the training class is held in teams. Each of the QR codes issued in this way can be attached to the work produced by the students during the practice time, more precisely, to a part of the work. Since a work means a finished product, for example, it can be produced at every practical time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portfolio. In other words, the composition of the portfolio will be the production plan for each practice time to complete the work.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oduction of works is perform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portfolio.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a finished product, production according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portfolio may be referred to as a product.

도 2는 실습수업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구성에서 첫번째 단계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공학과의 경우 학생들은 건축을 위한 스케치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건축물 작품을 완성하기 위한 단계를 시작할 수 있다. 도 3은 특정 학생에 의해 완성된 작품이라 가정해 보자. 도 2의 과정이 특정 수업시간에 이루어진 경우라면 학생들은 해당 작품 일부 즉 제작물에 제1 QR 코드(200)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따라 여러 단계를 진행한 후 도 3과 같이 작품이 완성된 후에도 다시 제N QR 코드(300)를 부착할 수 있다.2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tep in the composition of a portfolio for training class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tudents can perform sketches for architecture and start the steps to complete architectural works based on them. Assume that Fig. 3 is a work completed by a specific student. If the process of FIG. 2 is performed during a specific class time, students may attach the first QR code 200 to a part of the work, that is, a production.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various step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portfolio, the Nth QR code 300 may be attached again even after the work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3.

이와 같이, 프린터(100)는 학생들이 실습시간에 제작하는 작품의 일부에 대해 코드를 부착할 수 있도록 코드를 출력물의 형태로 출력한다. 스티커의 형태로 인쇄지에 QR 코드가 인쇄되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0)는 3D 프린터를 포함한다. 가령 치기공학과의 경우 사람의 이(빨)에 대한 견본품이 필요할 때 학생이나 교수자는 사용자장치(110) 등을 통해 학습서비스장치(130)에 요청하면, 학습서비스장치(130)는 견본품과 관련하여 기저장된 모형물 정보를 프린터(100)에 제공하여 입체물을 출력시킨다. 학생들은 이와 같이 출력된 입체물을 활용하여 실습수업에 참여하게 된다.In this way, the printer 100 outputs the code in the form of a printout so that the students can attach the code to a part of the work produced during the practice time. A QR code may be printed and printed on a printing paper in the form of a sticker. Of course, the prin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prin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dental engineering, when a sample product for human teeth (tooth) is required, a student or a professor requests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through the user device 110, and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Pre-stored model objec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inter 100 to output a three-dimensional object. Students will participate in the practice class us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s printed in this way.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QR 코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바코드도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RFID와 같이 다양한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태그(tag)를 활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far, the QR code has been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any number of barcodes can be used.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use tags by assigning various tag information such as RFID, i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장치(110)는 학생이나 교수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장치, 랩탑컴퓨터 등 다양한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실습수업은 앞서 언급한 대로 건축공학과에서와 같이 작품의 제작에만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물리치료학과의 경우에는 인체 모형물을 이용하여 실습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작품의 제작이 아니라 인체 모형물 등을 이용하여 실습이 이루어지는 경우 학생들은 실습에 집중하기 위하여 해당 인체 모형물의 일부(예: 머리 등)를 자신의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후, 해당 이미지에 QR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이의 경우, 매 실습시간에 부여되는 QR 코드는 프린터(100)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서비스장치(130)에서 실습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스마트폰으로 부여될 수 있다.The user device 110 includes various terminal devices such as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laptop computers held by students or instructors. As mentioned earlier, the practice class will not be limited to the production of works as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hands-on classes can be conducted using human body models. In this case, when the practice is performed using a human body model rather than the production of a work, students take a picture of a part of the human body model (eg, head, etc.) with their smartphone camera to focus on the practice, and then use a QR code on the image. You can give it a code. In this case, the QR code given to each practice time is not provided to the printer 100, but may be given to the smartphon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e class in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예컨대, 학생들은 사용자장치(11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학습서비스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여 위의 인체 모형물의 일부에 대한 촬영된 이미지를 불러내어 화면에 표시한 후, QR 코드 부여를 요청하면 학습서비스장치(130)에서 해당 동작을 인식하여 QR 코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학습서비스장치(130)는 QR 코드의 발급을 요청하는 프린터(100)와 사용자장치(110)의 장치식별정보를 통해 장치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학생들의 사용자장치(110)로 QR 코드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QR 코드는 촬영 이미지의 지정된 영역에 오버랩되거나 학생이 요청하는 영역에 오버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QR 코드가 오버랩되어 저장된 이미지는, 가령 학습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해당 이미지를 불러내기함으로써 해당 QR 코드가 자동으로 인식되어 원하는 강의내용을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students run an application on the user device 110 to access a service provided by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call out a photographed image of a part of the human body model above, display it on the screen, and then give a QR code. When requested,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recognizes the operation and provides a QR code. That is,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can recognize the type of the device through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inter 100 and the user device 110 requesting the issuance of the QR code. You can give it code. The QR code may overlap a designated area of the captured image or overlap an area requested by the student. In this way, the QR code is overlapped and stored, for example, by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accessing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and then calling the image, the corresponding QR code may be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the desired lecture content may be received.

또한, 교수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장치(110)를 강의를 녹화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가 사용하는 사용자장치(110)는 카메라, 마이크로폰(즉,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학습공간 내에서 칠판에 판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모습이 녹화되어 학습서비스장치(130)에 제공될 수 있고, 파워포인트(PPT) 자료와 같은 전자강의노트 등의 다양한 강의자료는 사전에 학습서비스장치(130)에 제공되어 저장된 후 교수자가 불러내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rofessor, the user device 110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a lecture. Accordingly, the user device 110 used by the instructor may include a camera, a microphone (ie, a microphone), and the like. Of course, when writing is made on the blackboard in the learning space, the picture may be recorded and provided to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and various lecture materials such as electronic lecture notes such as power point (PPT) data are provided in advance. After being provided to the device 130 and stored, the instructor may call it and use it for class.

이러한 수업 혹은 강의내용의 녹화는 실습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미디어장비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Since the recording of the contents of the class or lecture may be performed through multimedia equipment installed in the practice spa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또한 사용자장치(110)는 실습시간에 부여된 QR 코드를 통해 학습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간편하게 실습시간에 이루어진 강의내용을 복습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장치(110)는 스마트폰의 경우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에 따른 강의내용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고, 혹은 미러링 동작을 수행하여 주변 컴퓨터나 스마트TV 등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장치(110)는 강의내용을 수신할 컴퓨터나 스마트 TV와 같은 장치를 지정하여 바로 강의내용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강의내용을 수신하여 재생하는지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device 110 may access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through the QR code assigned to the training time to conveniently review the contents of the lecture made during the practice time. Of course, in the process of objection, the user device 110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QR code in the case of a smartphone and receive the corresponding lecture contents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or perform a mirroring operation to display a screen such as a nearby computer or a smart TV. You can also have it appear on. Of course, the user device 110 may designate a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smart TV to receive the lecture contents so that the lecture contents are immediately provided.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receiving and playing the lecture contents I will not limit it.

나아가 사용자장치(110)는 시험 등을 준비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QR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때 순서를 지정함으로써 복습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장치(110)를 통해 사용자가 복수개의 QR 코드를 제공하면 학습서비스장치(130)는 QR 코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순서대로 강의물을 제공할 수 있지만, 디폴트 방식으로 하여 실습과목의 단원 순서에 기반하여 강의물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지정한 순서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기반으로 강의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장치(110)는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강의물을 제공받아 화면에 재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는 목록을 제공받아 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를 활용하여 강의물을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Furthermore, the user device 110 provid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QR codes in order to prepare for a test, etc., and at this time, by designating an order, the efficiency of review may be increased. In other words, when a user provides a plurality of QR codes through the user device 110,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may provide lectures in the order in which information on the QR code is received, but the practice subjects are based on the default method. Not only can the lecture materials be provided based on the order of the units of the user, but if there is an order specified by the user, the user device 110 receives the lecture materials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nd displays them on the screen. You will be able to regenerate it. In this process,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list and use it in a manner similar to the above to receive lectures.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 통신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all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bro networks. It is meant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as an access network for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for example, a cloud computing network or a 5G communication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switching center of a telephone station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to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a communication company to process data or BTS Data can be processed by accessing various repeaters such as (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and e-NodeB.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프린터(100)나 사용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프린터(100)나 사용자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학습서비스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an access point (AP).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that is frequently installed in a building. Here, the femto or pico base st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how many printers 100 or user equipment 110 can be connected to the maximum number of small base stations. Of cours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printer 100 or the user device 110.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short-ran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RF (Radio Frequency)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IrDA), UHF (Ultra High Frequency) and VHF (Very High Frequency), and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I can.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can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deliver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he access point may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학습서비스장치(130)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학생들이 실습수업에서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따라 순서대로 제작하는 제작물(혹은 작품의 일부), 또 학생들이 실습수업에서 활용하는 인체 모형물과 같은 입체물의 일부에 부여되는 QR 코드를 근거로 그에 매칭되어 있는 교수자의 강의내용 즉 강의물을 제공하게 된다. 강의내용은 강의자료(예: 강의노트)와 강의동영상을 멀티미디어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실습시 교수자의 강의를 제대로 청취하지 못하거나 필기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경우 해당 실습수업에 대한 복습이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provides a learning service using three-dimensional objects. In other words, it is matched based on the QR code given to the product (or part of the work) that students produce in ord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portfolio in the practical class, and the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uch as a human body model that students use in the practice clas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that is, the lecture material of the instructor will be provided. Lecture content will be able to provide lecture materials (eg lecture notes) and lecture videos in the form of multimedia. Accordingly, when students fail to properly listen to the instructor's lecture or take notes during practice, it will be possible to review the training class.

좀더 살펴보면, 학습서비스장치(130)는 특정 실습과목에 대하여 교수자로부터 강의노트와 같은 강의자료를 기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실습수업의 특정 실습시간이 시작되어 교수자가 수업을 진행하게 되면, 촬영장치와 같은 사용자장치(110)는 강의의 전반을 촬영하여 동영상의 형태로 학습서비스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그 전에 교수자는 해당 실습수업의 매실습시간과 관련한 실습일자, 실습시간, 강의자료 등에 대한 다양한 강의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학기가 최초 시작할 때 교수자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강의요목 등에 의해 취득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문서를 학습서비스장치(130)에 로딩한 후 강의정보 생성을 요청하면 해당 문서의 텍스트를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실습과목의 카테고리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more detail,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may pre-store lecture data such as lecture notes from an instructor for a specific practice subject. And, when a specific practice time of the training class starts and the instructor proceeds with the class, the user device 110 such as a photographing device may photograph the entire lecture and provide it to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in the form of a video. . Of course, before that, the instructor can pre-store various lecture information on the practical date, practical hours, and lecture data related to each practical time of the corresponding training class. Of course, it may be possible to acquire any number of courses, such as the syllabus provided by the instructor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fter loading a document into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and requesting to generate lecture information, the text of the document is recognized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obtained. Based on this information, a category of practical subjects could be organized.

강의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물론 그 전에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특정 작품에 대한 모형물을 3D로 출력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장치(110)를 통해 학습서비스장치(130)로 해당 모형물의 출력을 요청함으로써 프린터(100)를 통해 출력물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3D 출력물은 학생들의 실습수업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령 인체 모형물의 일부인 경우에는 이에 부착되는 QR 코드를 통해 복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관련해서는 이후에 좀더 다루겠지만 인체 모형물의 경우 별도의 출력물이 아니라 카메라 촬영을 통해 얻은 이미지에 부여되는 QR 코드를 통해 복습을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When the lecture is completed, of course, before that, if the instructor needs to provide the students by outputting a model for a specific work in 3D, the corresponding model is used by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through the user device 110. By requesting the output, the outpu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rinter 100. These 3D printouts can be used not only for students' practice classes, but also, in the case of a part of a human body model, a review can be made through a QR code attached thereto. Of course, this will be discussed in more detail later, but in the case of a human body model, a review may be performed through a QR code given to an image obtained through camera photographing rather than a separate output. 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form. I won't.

한편, 건축공학과와 같이 작품의 일부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매 실습시간마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제작한 작업물에 QR 코드를 부착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령 교수자는 학습서비스장치(130)로 실습과목과 실습시간과 관련해 기저장한 정보를 기반으로 QR 코드를 생성하여 프린터(100)로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린터(100)는 발급수만큼 QR 코드를 발급하게 된다. QR 코드는 스티커 형태의 인쇄지에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자신들의 작업물에 제1 내지 제N 번째 이루어진 실습시간과 관련한 QR 코드를 각각 부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work on a part of the work is completed, such as in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tudents attach QR codes to the work they have produced at every practical time. To this end, for example, the instructor may request that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generate a QR code based 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relation to the training subject and the training time and provide it to the printer 100, and accordingly, the printer 100 is issued. As many QR codes are issued. The QR code could be printed on a sticker-type print paper. Accordingly, students attach QR codes related to the 1st to Nth practice hours to their work.

이후, 실습수업이 완료된 시점에서 학생들은 가령 시험 등을 준비하기 위해 해당 실습시간의 강의를 복습하고자 할 때, 학생들은 자신이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장치(110)를 통해 작품에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를 인식시켜 인식된 QR 코드정보를 학습서비스장치(130)로 제공함으로써 특정 실습시간의 강의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가령, 학생들은 바탕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클릭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QR 코드를 인식시켜 강의 내용을 복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practice class is completed, when the students want to review the lecture of the practice time to prepare for an exam, for example, the students are attached to the work through a user device 110 such as a smartphone that they possess. By recognizing the QR code and providing the recognized QR code information to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it is possible to receive lecture contents for a specific practice time. For example, students may be able to review the contents of a lecture by recognizing a QR code by accessing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xecuting an application by clicking an icon displayed on the desktop.

이의 과정에서 가령 학생들이 복수의 실습시간에 대한 강의내용을 수강하고자 하는 경우, 순서대로 QR 코드를 촬영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그 촬영된 QR 코드에 순서를 지정하여 제공하는 경우, 학습서비스장치(130)는 해당 순서를 근거로 강의내용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학생들이 전 과정에 대한 강의내용을 수강하려 할 때, 이와 관련해 별도로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를 촬영하여 제공하는 경우 이를 통해서도 복습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the process of objection, for example, when students want to take lectures for a plurality of practice hours, when QR codes are photographed and provided in order, or when the photographed QR codes are provided by specifying the order,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Can provide lecture contents sequentially based on the corresponding order. Of course, when students want to take a lecture for the entire course, if a QR code that is attached separately is photographed an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is, it is possible to review as many times as possible. I will not limit it.

학습서비스장치(130)는 DB(130a)를 포함한다. DB(130a)에는 특정 실습과목과 관련하여 매 실습시간에 발급된 QR 코드에 대한 코드정보가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그 분류된 코드정보에 매칭되어 매 실습시간의 강의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 물론 강의내용은 강의자료로서 강의노트와 강의동영상 등이 결합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장치(110)에서 촬영되어 제공된 또는 인식되어 제공된 코드정보를 기반으로 강의내용을 검색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해준다. 물론 이외에도 DB(130a)는 매 실습시간에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모형물에 대한 모형물 정보도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Learning service device 130 includes a DB (130a). In the DB 130a, code information for QR codes issued at each practice time related to a specific practice subject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nd the contents of lectures for each practice hour may be stored by matching the classified code information. have. Of course, the content of the lecture can be a multimedia form in which lecture notes and lecture videos are combined as lecture data. Accordingly,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searches for the contents of a lecture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provided by being photographed and provided by the user device 110 or recognized and provided, and provides it to the students.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DB (130a) will be able to store model information about the model to be provided to students in every practice time.

상기의 구성 결과, 학생들은 실습시간마다 필기를 해야하는 등의 부담을 덜 수 있게 됨으로써 실습에 집중할 수 있어 학습의 효율은 증대될 것이다.As a result of the above configuration, students can concentrate on the practice by reducing the burden of taking notes every practice time, and thus the efficiency of learning will increase.

도 4는 도 1의 학습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learning service apparatus of FIG.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및 학습서비스처리부(4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ure 4,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00 and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where "part or all To include" is the same as the previous meaning.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도 1의 프린터(100) 및 사용자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한다. 프린터(100)와의 통신에 따라 가령 인체 모형물 등의 특정 부위에 대한 모형물의 출력 요청을 수신하거나 QR 코드의 발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기 발급된 QR 코드에 대한 인식된 코드정보를 수신하거나 촬영된 QR 코드 이미지를 수신하여 학습서비스처리부(410)에 제공할 수 있다. 가령,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도 1의 사용자장치(110)에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에 의해 인식된 코드정보를 수신할 것이고, 인식모듈이 없는 경우에는 QR 코드 이미지를 수신하여 학습서비스처리부(410)에 제공하면 학습서비스처리부(410)는 QR 코드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00 communicates with the printer 100 and the user device 110 of FIG. 1.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with the printer 100, a request for printing a model object for a specific part such as a human body model may be received or a request for issuing a QR code may be receiv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00 may receiv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or a previously issued QR code or receive a photographed QR code image and provide it to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For example, if the user device 110 of FIG. 1 includes a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a QR cod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00 will receiv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it, and if there is no recognition module, the QR code When the image is received and provided to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may perform a QR code recognition operation.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는 기발급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사용자장치(110)로부터 강의내용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학습서비스처리부(410)의 제어하에 해당 강의내용을 학생들이 소지하는 사용자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00 is a user device in which students possess the contents of the lecture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when there is a request for lecture contents from the user device 110 based on the previously issued QR code. It could be provided as (110).

학습서비스처리부(410)는 가령 인체 모형물 등의 특정 부위에 대한 모형물 출력, QR 코드 생성 및 발급, 강의내용 저장, 관리 및 제공, 나아가 QR 코드의 지정 순서에 따른 강의내용 처리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강의내용 저장은 교수자가 제공한 실습과목의 실습시간에 대한 강의정보를 근거로 매 실습시간에 제공되는 동영상 등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습시간에 대한 강의정보는 실습공간에서 QR 코드의 발급을 요청한 경우 강의정보에 따라 QR 코드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QR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performs various operations such as outputting a model for a specific part such as a human body model, generating and issuing a QR code, storing, manag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and further processing the contents of a lecture according to the order of specifying the QR code. can do. Storing lecture contents may mean matching and storing a video, etc. provided at each practical time based on lecture information about the practical time of the practical subject provided by the instructor. For lecture information on training hours, when a QR code is requested in the training space, a QR code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lecture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QR code can be issued.

또한, 학습서비스처리부(4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 QR 코드 이미지나 인식된 QR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순서대로 기저장된 강의내용을 제공하거나, 만약 수신된 QR 코드 이미지나 QR 코드정보에 순서를 지정한 순서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기저장된 강의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습서비스처리부(410)는 DB(130a)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가령, 학습서비스처리부(410)는 DB(130a)에서 실습시간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 QR 코드를 생성하여 실습공간의 프린터(100)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when a QR code image or recognized QR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00, provides pre-stored lecture contents in the order received, or if the received QR code image or QR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If there is order information in which the order is specified in the code information, pre-stored lecture contents can be provided based on this. To this end,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DB 130a. For example,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00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training time from the DB 130a, generate a QR code, and provide it to the printer 100 in the training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처리부(410)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 동작과 학습서비스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위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서비스처리부(410)는 CPU와 메모리를 하드웨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 등에 의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도 4는 그 하나의 예로서 소프트웨어적으로만 구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both a control operation and a learning service operation through one program. Alternatively,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in hardwa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since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re possible. However, FIG. 4 shows that it is configured only in software as an example.

도 5는 도 1의 학습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learning service device of FIG.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학습서비스실행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a learning service device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a control unit 510, a learning service execution unit 520, and a storage unit 530. Includes some or all.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나 저장부(5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학습서비스장치(130')가 구성되거나 학습서비스실행부(5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5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학습서비스장치(130')가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or the storage unit 530 are omitted to configure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or the learning service execution unit 520 and Some of the same components are integrated into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510 to mean that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 can be configured, and it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components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도 5의 학습서비스장치(130')는 도 4의 학습서비스장치(130)와 비교해 볼 때, 도 4의 학습서비스처리부(410)가 도 5에서와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510), 학습서비스실행부(520) 및 저장부(530)로 분리된다는 데에 차이가 있다.As compared with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of FIG. 4,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of FIG. 5 is a controller 510 and a learning service in hardware as shown in FIG. There is a difference in being separated into an execution unit 520 and a storage unit 530.

상기의 구성에 따라, 제어부(510)는 학습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학습서비스실행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가령, 제어부(510)는 QR 코드의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DB(130a)로부터 저장부(530)에 저장해 놓은 실습시간 관련 강의정보를 불러내어 학습서비스실행부(520)에 제공하여 QR 코드 생성 및 발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발급된 QR 코드는 시리얼 데이터의 형태가 될 것이고, 그러한 시리얼 데이터는 실습공간에 비치되는 프린터(100)에 제공되어 인쇄물에 출력됨으로써 입체적으로 구현될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510)는 발급된 QR 코드가 프린터(100)로 제공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510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the learning service execution unit 520, and the storage unit 530 constituting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For example,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ssuance of a QR code, the control unit 510 retrieves the lectu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ining tim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30 from the DB 130a and provides it to the learning service execution unit 520 to generate the QR code. And issuance can be made. Of course, the QR code issued here will be in the form of serial data, and such serial data will be three-dimensionally implemented by being provided to the printer 100 provided in the practice space and outputting it on a printout.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51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so that the issued QR code is provided to the printer 100.

또한 학습서비스실행부(520)는 도 4의 학습서비스처리부에서 이루어진 제어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린터(100)에 의해 출력 가능한 모형물에 대한 모형물 정보의 저장 및 관리, QR 코드 생성 및 발급, 강의내용 저장 및 제공, 나아가 QR 코드의 지정 순서에 따른 강의내용 처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service execution unit 520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except for the control function performed in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of FIG. 4.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storing and managing model information for model objects that can be output by the printer 100, generating and issuing QR codes, storing and providing lecture contents, and further processing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specifying the QR code. have. In this regard, since it has been sufficiently explained above, it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상기한 내용들을 제외한 기타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학습서비스실행부(520) 및 저장부(53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1의 학습서비스장치(130) 및 도 4의 통신 인터페이스부(400) 및 학습서비스처리부(410)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Except for the above,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the control unit 510, the learning service execution unit 520, and the storage unit 530 can be found in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of FIG. 1 and the communication of FIG. Since the contents of the interface unit 400 and the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410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tents will be substitut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제어부(5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CPU는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는 비트정보의 연산처리에 관여할 것이고, 명령어해석부는 기계어 해석을 담당할 것이다. 다시 말해, 비트정보를 해석하여 어떠한 동작을 수행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레지스트리는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510 of FIG. 5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Here, the CPU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in charge of a control function, an operation unit (ALU), an instruction analysis unit, a registry, and the like. The operation unit will be involved in the operation processing of bi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ion analysis unit will be responsible for machine language analysis. In other words, it analyzes the bit information to determine what operation to perform. The registry can be involved in the temporary storage of data.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학습서비스장치(130')의 초기 구동시 학습서비스실행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딩하여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처리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PU can rapidly increase the data processing speed by loading and stor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learning service execution unit 520 into the memory when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is initially driven, and then executing it. Will b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learn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서비스장치(130)는 실습수업의 매 실습시간에 학생들이 제작하는 작품의 일부 또는 학생들이 활용하는 입체(3D)물의 일부와 관련한 이미지에 각각 부여하는 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각 코드정보에 매칭시켜 매 실습시간에 이루어진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각각 저장한다(S600). 여기서, 강의내용은 PPT와 같은 전자적 강의노트와 녹화된 동영상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형태의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 1,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 of a work produced by students or a stereoscopic (3D) student used during each practice time of the practice class. Code information to be assigned to an image related to a part of water is stored, and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lecture made in each practice time are stored by matching the stored code information (S600). Here, the lecture content may include multimedia data in which electronic lecture notes such as PPT and recorded video are combined.

가령, 실습수업이 4번의 실습시간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할 때, 학생들의 작업물은 4개가 될 것이고, 이는 결합되어 완성품인 하나의 작품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실습수업에 관련된 실습과목은 전체 단원이 4개의 QR 코드에 의해 규정될 것이고, 각 QR 코드에 해당 실습시간의 강의내용이 매칭 저장됨으로써 이를 통해 실습과목에 대한 컨텐츠가 완성될 것이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ractice class consists of 4 practice hours, the number of students' work will be 4, which will be combined to form a single work. Therefore, for the practical subjects related to the practice class, the entire unit will be defined by four QR codes, and the contents of the practice subject will be completed by matching and storing the lectur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practice time in each QR code.

이어 학습서비스장치(130)는 학생들의 사용자장치(110)로부터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코드정보를 근거로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사용자장치(110)로 제공하며, 사용자장치(110)로부터 복수개의 코드정보가 수신될 때는 사용자장치(110)에서의 지정 순서를 기반으로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S610).Then, when the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110 of the students,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provides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lecture to the user device 110 based on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When two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lecture contents of the instructor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based on the order specified in the user device 110 (S610).

가령, 학습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가 지정한 순서가 있는 경우 해당 지정 순서에 따라 강의내용을 처리할 것이고, 만약 지정한 순서가 없다면 코드정보가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 그에 매칭되는 강의내용을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학습서비스장치(130)는 수신된 코드정보와 관련한 목록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음 그 목록에서 선택된 강의내용을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For example, if there is an order designated by the user,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will process the lecture contents according to the designated order, and if there is no designated order,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may process the lecture contents matching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have. Of course, in the process of this, the learning service device 130 may provide li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n provid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selected from the list, s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type. Wo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that performs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more hardware by selectively combining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or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프린터 110: 사용자장치
120: 통신망 130, 130': 학습서비스장치
200, 300: QR 코드 400, 500: 통신 인터페이스부
410: 학습서비스처리부 510: 제어부
520: 학습서비스실행부 530: 저장부
100: printer 110: user device
120: communication network 130, 130': learning service device
200, 300: QR code 400, 5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10: learning service processing unit 510: control unit
520: learning service execution unit 530: storage unit

Claims (6)

지정된 실습과목의 실습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작 또는 활용하는 입체(3D)물의 촬영 이미지에 발급한 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코드정보와 상기 실습수업에서 이루어진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학생들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발급한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코드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강의내용을 상기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불러내어 화면에 표시한 후 코드정보의 발급을 요청하면 상기 요청에 따라 코드정보를 발급하여 상기 매칭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사용자장치를 통해 상기 촬영 이미지 중 학생이 요청하는 영역에 상기 코드정보를 오버랩하여 저장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불러내기할 때 상기 코드정보가 자동으로 인식되어 인식 결과에 따른 상기 강의내용을 제공하고,
상기 실습과목과 관련한 복수의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실습과목의 단원 순서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학생이 지정한 순서정보를 근거로 상기 강의내용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입체물의 일부 또는 전부의 모양을 본뜬 모형물에 대한 모형물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생 또는 상기 교수자의 요청에 따라 3D 프린터로 상기 저장한 모형물 정보를 제공하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Stores the code information issued to the photographed image of 3D objects produced or used by students in the practice class of the designated practice subject, and stores the stored code information by matching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lecture made in the practice class. part; And
When the issued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of the students,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lecture content matching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Including,
The control unit,
When the user device calls out the photographed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and requests issuance of code information, the code information is issued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fter the matching,
Overlapping and storing the code information in a region requested by a stud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through the user device,
The control unit,
When calling out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user device, the cod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recognized to provide the lec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When a plurality of co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actice subject is received, the lecture contents are sequentially provided based on the unit order of the practice subject or the order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student in the user device,
The storage unit,
Further storing model object information for a model object imitating the shape of some or all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he control unit,
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that provides the stored model object information with a 3D printer at the request of the student or the instr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지정한 출력장치가 있으면 상기 지정한 출력장치로 상기 강의내용을 제공하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f there is an output device designated by the user device, 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that provides the lecture contents to the designated outpu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물의 일부 또는 전부에 부착되는 QR 코드를 인식한 코드정보를 근거로 상기 강의내용을 제공하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that provides the lecture contents based on code information recognizing a QR code attached to a part or all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저장부가, 지정된 실습과목의 실습수업에서 학생들이 제작 또는 활용하는 입체물의 촬영 이미지에 발급한 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코드정보와 상기 실습수업에서 이루어진 교수자의 강의내용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학생들의 사용자장치로부터 상기 발급한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코드정보와 일치하는 상기 강의내용을 상기 사용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물의 일부 또는 전부의 모양을 본뜬 모형물에 대한 모형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불러내어 화면에 표시한 후 코드정보의 발급을 요청하면 상기 요청에 따라 코드정보를 발급하여 상기 매칭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장치를 통해 상기 촬영 이미지 중 학생이 요청하는 영역에 상기 코드정보를 오버랩하여 저장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촬영 이미지를 불러내기할 때 상기 코드정보가 자동으로 인식되어 인식 결과에 따른 상기 강의내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습과목과 관련한 복수의 코드정보가 수신되면 실습과목의 단원 순서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사용자장치에서 학생이 지정한 순서정보를 근거로 상기 강의내용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생 또는 상기 교수자의 요청에 따라 3D 프린터로 상기 저장한 모형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물을 이용한 학습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A method of driving a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including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The storage unit stores the code information issued to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produced or used by students in the practice class of the designated practice subject, and stores the stored code information by matching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s lecture made in the practice class. step; And
When the issued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device of the students, providing, by the controller, the contents of the lecture matching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The storing step,
Including the step of storing model object information about the model object imitating the shape of some or all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he providing step,
Calling out the photographed image from the user device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issuing co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storing it in the storage unit after matching;
Overlapping and storing the code information in an area requested by a student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through the user device;
Providing the lec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code information when the user device calls out the captured image;
If a plurality of co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actice subject is received, sequentially providing the lecture contents based on the unit order of the practice subject or based on the order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student in the user device; And
Providing the stored model information by a 3D printer at the request of the student or the instructor;
Driving method of a learning service device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including.
KR1020180124808A 2018-10-19 2018-10-19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77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808A KR102177444B1 (en) 2018-10-19 2018-10-19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808A KR102177444B1 (en) 2018-10-19 2018-10-19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83A KR20200044283A (en) 2020-04-29
KR102177444B1 true KR102177444B1 (en) 2020-11-11

Family

ID=7046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808A KR102177444B1 (en) 2018-10-19 2018-10-19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444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918A (en) * 2011-01-06 2012-07-16 (주)비상교과서 Learning services providing method and system
KR101409795B1 (en) 2013-03-19 2014-06-24 신종우 Learning system basesd on QR code and method thereof
KR20150125239A (en)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빔케어교육연구소 Study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ing QR-code and Method and Printed Teaching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83A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1914A1 (en) Online teaching system and method
WO2019019403A1 (en) Interactive situational teaching system for use in k12 stage
CN110247943A (en) It is long-range to reconcile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KR101670157B1 (en) Support Method And Server Of 3-Dimension Printer
CN104598638A (en) Test question answering method based on internet question library and two-dimensional codes
KR102282784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robl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3279550A (en) Scanning data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device based on real object
KR10217744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by Using Tridimensional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82245B1 (en) Apparatus for Learning Service having Multi-view Method
Mishra et al. Multimodal Biometric Attendance System
KR102095323B1 (en) Apparatus for Inducing Learning
KR102442783B1 (en) Apparatus for Learning Service based on Mo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0134351B (en) Print job assignment method and system
CN103729819A (en) Two-dimension-code-based teaching quality gra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210072615U (en) Immersive training system and wearable equipment
JP6324284B2 (en) Group learning system
KR102105886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ecture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8632370B (en) Task push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129262A (en) Apparatus for Learning Service Having Query by Moving Pictur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3487921B (en) Operation tu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chool class-after-class service
JP6455224B2 (en) Discussion support program, discussion support method, and discussion support apparatus
KR102105889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KR102065746B1 (en) Online learning service providing video-recorded feedback and correction guidance via automated worklist-driven system incorporating application distributing jobs
KR10247462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Account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06137B1 (en) Mission accomplishment type learning service system with quick mode for training creation based on snapshot using camera in sma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