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956B1 -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956B1
KR102176956B1 KR1020180170702A KR20180170702A KR102176956B1 KR 102176956 B1 KR102176956 B1 KR 102176956B1 KR 1020180170702 A KR1020180170702 A KR 1020180170702A KR 20180170702 A KR20180170702 A KR 20180170702A KR 102176956 B1 KR102176956 B1 KR 10217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s
pair
main line
lin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826A (ko
Inventor
한권석
석윤진
Original Assignee
한권석
석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권석, 석윤진 filed Critical 한권석
Priority to KR102018017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9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0Braiding or lacing machines for making tubular braids by circulating strand supplies around braiding centre at equal distances
    • D04C3/46Braiding or lacing machines for making tubular braids by circulating strand supplies around braiding centre at equal distances with thread carriers supported on ro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8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줄의 제작과정에서 원줄 인출시 인출 정지를 최소화 하면서 슬리브를 압착 함으로써, 원줄의 제조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RAW ROPE}
본 발명은 원줄에 슬리브를 압착하는 순간에 원줄의 운반을 정지함으로써, 원줄을 이용한 주낙 제작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줄낚기는 1개의 낚시를 드리워서 한 마리씩을 차례로 낚아 올리는 어구/어법인데 비하여 주낙은 여러 개의 낚시를 거의 동시에 드리워서 낚아 올리는 어구/어법이다.
따라서 1마리의 고기를 낚아 올리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이 외줄낚기보다 훨씬 짧아 어획성능이 높다.
주낙을 위한 어구의 기본 구조는 한 가닥의 기다란 줄(원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짓줄을 달고, 가짓줄 끝에 낚시와 미끼를 단 것이다.
이때, 가짓줄을 달기 위해, 일측에는 원줄이 관통하고 다른 일측에는 가짓줄을 달 수 있도록 하는 도레가 사용된다. 도레는 핀도레, 팔자도레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레는 원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위치해야만 가짓줄 간에 엉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각 도레의 양단에는 원줄에 관통되는 슬리브가 위치할 수 있고, 슬리브는 일정 간격으로 원줄에 압착된 형태로 고정되어 도레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낚시채비는 조류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수중에서 불규칙하게 유동하거나 침강성이 불량하며 수중 여나 바닥에 밑 걸림이 자주 발생하는 등, 채비의 손상 및 소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998-0055883호
본 발명은 원줄의 운반시 인출 정지를 최소화 하면서 슬리브를 압착 함으로써, 원줄의 제조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는 복수의 슬리브, 상기 복수의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도레, 및 상기 복수의 슬리브와 상기 도레를 관통하는 원줄을 일정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회전 운동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인출되는 원줄을 일정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원줄의 움직임과 별개로 상기 복수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상기 복수의 슬리브 중에서 상기 원줄의 운반 방향에서 가장 끝 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리브를 1차 가압하고, 상기 1차 가압된 상태의 상기 한 쌍의 슬리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원줄의 운반이 일시 정지될 때 상기 이송시킨 한 쌍의 슬리브를 2차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슬리브가 상기 원줄에 압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착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슬리브를 일정 개수로 구분하여 운반시키기 위해 배치된 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롤러부와 연동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롤러부는, 상기 원줄과 상기 원줄에 압착된 상기 한 쌍의 슬리브를 상기 인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인출하되, 상기 복수의 슬리브 중에서 상기 한 쌍의 슬리브에 인접한 다른 한 쌍의 슬리브가 상기 원줄에 2차 가압될 때까지 정지되지 않고 인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원줄에 압착된 상기 한 쌍의 슬리브가 인출되기 시작한 직후부터 상기 다른 한 쌍의 슬리브가 2차 가입되기 직전의 시간 중에서 특정 시각에서 복수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원줄 인출시 미리 지정된 강도의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압착 금형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줄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집게와, 상기 원줄을 중심으로 상기 상집게에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하집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줄의 운반 궤도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상집게와 상기 하집게가 상기 원줄의 일부를 쉬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줄의 제작과정에서 원줄 인출시 인출 정지를 최소화 하면서 슬리브를 압착 함으로써, 원줄의 제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와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는 컨베이어, 스토퍼, 한 쌍의 압착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컨베이어는 복수의 슬리브, 상기 복수의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도레, 및 상기 복수의 슬리브와 상기 도레를 관통하는 원줄을 일정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상기 인출되는 원줄의 움직임과 별개로 상기 복수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압착 금형은 상기 복수의 슬리브 중에서 상기 원줄의 운반 방향에서 가장 끝 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리브를 1차 가압하고, 상기 1차 가압된 상태의 상기 한 쌍의 슬리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원줄의 운반이 일시 정지될 때 상기 이송시킨 한 쌍의 슬리브를 2차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슬리브가 상기 원줄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의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는 동기되어 회전 운동하는 제1 롤러부(110)와 제2 롤러부(160)를 포함하는 롤러부, 롤러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인출되는 원줄을 일정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컨베이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120)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부에 의해서 인출되는 원줄은, 복수의 슬리브, 상기 복수의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도레를 관통하는 형태로 준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돌기부재(130)는 복수의 슬리브를 일정 개수로 구분하여 운반시키기 위해 컨베이어(1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가 1회전함에 따라 돌기부재(130)가 운반시키는 슬리브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돌기부재(130)는 롤러부와 연동하여 구동된다고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돌기부재(130)를 감지하기 위해 컨베이어(120)의 일측에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는 컨베이어(120)에 의해 운반되는 원줄의 움직임과 별개로 복수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는 복수의 슬리브 중에서 원줄의 운반 방향에서 가장 끝 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리브를 1차 가압하고, 상기 1차 가압된 상태의 상기 한 쌍의 슬리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원줄의 운반이 일시 정지될 때 상기 이송시킨 한 쌍의 슬리브를 2차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슬리브가 상기 원줄에 압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착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140은 컨베이어가 끝나는 부분으로서 돌기부재를 센싱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140 이후 운반되는 원줄은 스토퍼와 압착 금형 등에 의해, 슬리브가 압착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도면부호 150의 영역에 설치된 장치들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2에서는 도면부호 150에 해당하는 장치들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2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와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원줄(204)이 컨베이어(205)에 의해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인출된다. 원줄(204)은 복수의 슬리브와 복수의 슬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도레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슬리브(201)와 제2 슬리브(203)는 복수의 슬리브에 포함되는 한 쌍의 슬리브로서, 제1 슬리브(201)와 제2 슬리브(203) 사이에는 도레(202)가 위치할 수 있다.
도레(202)는 가짓줄이 연결되는 일측면과, 원줄이 관통되는 일측면을 갖는 구조이다. 도레(202)에 의해 가짓줄이 원줄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전후좌우, 회전 등의 움직임을 갖는다. 도레(202)의 움직임은 제1 슬리브(201)와 제2 슬리브(203)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슬리브(201)와 제2 슬리브(203)는 일정 간격을 두고 원줄(204)에 압착되어 고정되어야 하고, 이렇게 만들어 지는 일정 간격 내에서 도레(202)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도레(202)는 인접한 도레와 간섭되는 경우 가짓줄이 엉키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슬리브가 압착된 후 일정 거리, 예를 들면 3.5m 정도의 거리 간격으로 다른 한 쌍의 슬리브가 압착되어 도레 간 간격을 줄 수 있다.
컨베이어(205)가 이동함에 따라 원줄(204)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원줄의 이동에 따라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리브(210)가 가장먼저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슬리브(210)는 스토퍼(206)에 의해 움직임이 멈추고, 원줄(204)만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인출될 수 있다.
원줄(204)과 복수의 슬리브, 도레가 원활히 인출될 수 있도록, 하집게(201)가 하강하여 충분한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원줄(204)이 일정 길이만큼 인출되는 경우, 한 쌍의 압착 금형(207, 208)은 원위치에 대기하면서 한 쌍의 슬리브를 가압할 준비를 한다.
상집게(209) 역시 슬리브의 가압을 준비하여 원위치로 대기할 수 있다.
도 3의 과정에서는, 원줄이 인출되는 상태에서 제1 압착 금형(301)과 제2 압착 금형(302)이 한 쌍의 슬리브(304)에 1차 가압을 한다. 1차 가압은 슬리브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서, 원줄이 인출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하집게(303) 역시 하강하여 원줄의 위치가 원래 인출 궤도에서 약간 이격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4의 과정에서는, 1차 가압된 상태에서 제1 압착 금형(401)과 제2 압착 금형(402)이 서로 일정 거리가 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압착 금형(401)이 첫 번째 슬리브를 1차 가압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압착 금형(402)이 두 번째 슬리브를 1차 가압한 상태에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금형1단 이송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도면부호 404에서와 같이 한 쌍의 슬리브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리브 중에서 첫 번째 슬리브와 두 번째 슬리브의 간격은 3cm~4cm 사이의 거리로써, 도레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한다.
금형1단 이송의 과정에서도 하집게(403)는 하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의 과정에서, 금형이송이 완료되면 제1 압착 금형(501)과 제2 압착 금형(502)은 상집게(504)와 하집게(503)로부터의 압력을 한 쌍의 슬리브에 전달할 준비를 하고, 원줄의 운반을 일시 정지한다.
도 6의 과정(610)에서는 한 쌍의 슬리브는 2차 가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줄의 운반이 잠시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제1 압착 금형과 제2 압착 금형은 압착프레스 하강을 통해 상집게와 하집게로부터의 압력을 전달 받고, 2차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원줄이 정지된 상태에서 스토퍼도 함께 하강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리브는 2차 가압을 통해 압착된 후 원줄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리브가 2차 가압을 통해 압착되면, 원줄은 컨베이어의 구동에 따라 다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하강된 스토퍼는 한쌍의 슬리브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슬리브가 모두 통과하면 스토퍼는 다시 상승하여 슬리브들이 스토퍼를 넘지 못하도록 기준선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7의 과정(710)에서는 2차 가압을 완료한 압착 프레스가 가압을 멈추고 다시 릴리스하여 원줄이 인출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이에 상집게와 하집게는 압착된 슬리브가 이동하여 일정 거리를 지날 때까지 슬리브가 압착된 슬리브를 따라가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8의 과정에서, 슬리브를 압착했던 한 쌍의 압착 금형(802, 803)이 상승하여 압착된 한 쌍의 슬리브를 릴리즈할 수 있다. 또한, 하집게에 고정된 부재(801)는 금형1단 이송 시 오른쪽으로 이동한 거리를 다시 왼쪽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로써, 스토퍼(80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9는 압착된 한 쌍의 슬리브가 스토퍼(904)를 충분히 벗어난 경우, 스토퍼(904)가 상승하여 슬리브가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도 한 쌍의 압착 금형(902, 903)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압착된 한 쌍의 슬리브를 릴리즈할 수 있다.
하집게에 고정된 부재(901)는 왼쪽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멈추는 스토퍼(904)와는 별개로, 원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속 인출될 수 있다.
도 10의 과정에서, 상집게(1001)와 하집게는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하고 있던 슬리브를 릴리즈하여 슬리브가 원줄의 운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릴리즈된 슬리브들은 원줄의 운반 방향으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승된 스토퍼에 의해 멈출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집게와 하집게가 릴리즈한 슬리브는 원줄의 운반과 함께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인출되면서 상승된 스토퍼에 의해서 멈추게 된다.
도 12의 과정에서, 원줄이 일정 길이만큼 인출되면 한 쌍의 압착 금형(1201, 1202)이 1차 가압을 위해 하강될 수 있다. 또한, 1, 2차 가압되는 슬리브를 제외한 나머지 슬리브들의 인출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집게와 하집게가 오른쪽에서부터 3번째 슬리브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는 도 3 내지 도 11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의 슬리브들을 원줄에 압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는 원줄의 운반시 인출 정지를 최소화 하면서 슬리브를 압착 함으로써, 원줄의 제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방법은 슬리브, 도레, 및 원줄을 일정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컨베이어의 회전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1301).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방법은 복수의 슬리브, 상기 복수의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도레, 및 상기 복수의 슬리브와 상기 도레를 관통하는 원줄을 일정방향으로 인출하도록 컨베이어의 회전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방법은 인출되는 원줄의 움직임과 별개로 복수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도록 스토퍼를 제어할 수 있다(단계 1302).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방법은 복수의 슬리브 중에서 상기 원줄의 운반 방향에서 가장 끝 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리브를 1차 가압할 수 있다(단계 1303).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방법은 1차 가압된 상태의 한 쌍의 슬리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송시킨 후 원줄의 운반이 일시 정지될 때 이송시킨 한 쌍의 슬리브를 2차 가압할 수 있다(단계 1304).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방법은 한 쌍의 슬리브가 원줄에 압착되도록 한 쌍의 압착 금형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1305).
결국, 일실시예에 따른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원줄의 운반시 인출 정지를 최소화 하면서 슬리브를 압착 함으로써, 원줄의 제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1 롤러부
120: 컨베이어
130: 돌기부재
140: 센싱부분
150: 성형부분
160: 제2 롤러부

Claims (8)

  1. 복수의 슬리브, 상기 복수의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도레, 및 상기 복수의 슬리브와 상기 도레를 관통하는 원줄을 일정방향으로 인출하도록 회전 운동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인출되는 원줄을 일정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원줄의 움직임과 별개로 상기 복수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및
    상기 복수의 슬리브 중에서 상기 원줄의 운반 방향에서 가장 끝 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슬리브를 1차 가압하고, 상기 1차 가압된 상태의 상기 한 쌍의 슬리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원줄의 운반이 일시 정지될 때 상기 이송시킨 한 쌍의 슬리브를 2차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슬리브가 상기 원줄에 압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착 금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슬리브를 일정 개수로 구분하여 운반시키기 위해 배치된 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롤러부와 연동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원줄과 상기 원줄에 압착된 상기 한 쌍의 슬리브를 상기 인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인출하되, 상기 복수의 슬리브 중에서 상기 한 쌍의 슬리브에 인접한 다른 한 쌍의 슬리브가 상기 원줄에 2차 가압될 때까지 정지되지 않고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원줄에 압착된 상기 한 쌍의 슬리브가 인출되기 시작한 직후부터 상기 다른 한 쌍의 슬리브가 2차 가입되기 직전의 시간 중에서 특정 시각에서 복수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압착 금형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줄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집게와, 상기 원줄을 중심으로 상기 상집게에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하집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줄의 운반 궤도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상집게와 상기 하집게가 상기 원줄의 일부를 쉬프트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80170702A 2018-12-27 2018-12-27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KR10217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02A KR102176956B1 (ko) 2018-12-27 2018-12-27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02A KR102176956B1 (ko) 2018-12-27 2018-12-27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26A KR20200080826A (ko) 2020-07-07
KR102176956B1 true KR102176956B1 (ko) 2020-11-10

Family

ID=7160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02A KR102176956B1 (ko) 2018-12-27 2018-12-27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49B1 (ko) * 2020-11-26 2022-12-0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낙용 클립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50B1 (ko) 2013-12-26 2015-06-09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주낙용 침강형 낚싯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낙용 침강형 낚싯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53551A (en) * 1981-04-10 1983-09-13 Curtis E. La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iting long-line fishing gear
KR200195413Y1 (ko) 1998-06-17 2000-09-01 황정용 낙지 주낙용 낚시
KR100745181B1 (ko) * 2006-06-12 2007-08-01 한효성 낚시 도구 제조장치
KR20110039675A (ko) * 2009-10-12 2011-04-20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주낙용 낚싯줄 성형장치 및 낚싯줄
KR101753375B1 (ko) * 2015-07-15 2017-07-04 김윤혁 낚시채비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채비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낚시채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50B1 (ko) 2013-12-26 2015-06-09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주낙용 침강형 낚싯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낙용 침강형 낚싯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26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31043C3 (de) Palettenentladevorrichtung
DE112009000250B4 (de) Hebevorrichtung
EP2777052B1 (de) Fördereinrichtung für leitungen
EP2573012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einzeln von in ein automatisiertes Lager einzulagernden Stückgütern
KR102176956B1 (ko) 주낙용 원줄 제조 장치
CN103420176B (zh) 增强型下料举升翻转机构
DE2037911C3 (de) Vorrichtung zum Stapeln von Zuschnitten für Wellpappschachteln od.dgl
CN206358916U (zh) 一种板材传送落料装置
KR20220098148A (ko) 해저에 가늘고 긴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조립체
EP1993175A2 (de) Kabelbearbeitungseinrichtung
DE102017111371B4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n Vlieswickler
CN104853602B (zh) 将肉禽装入板条箱的装载设备
CN105495633B (zh) 一种开心果开口机
DE4411936A1 (de) Vorrichtung zum Auflagern und Führen eines zu bearbeitenden Bandmaterials im Schlaufenbereich
EP1052888A3 (en) Arranging and supplying apparatus
KR101753375B1 (ko) 낚시채비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채비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낚시채비
US1939796A (en) Duct rodding apparatus
DE10059491A1 (de) Vakuumzuführer für eine Bilderzeugungsvorrichtung
CN1325184C (zh) 用于传输或穿入带材头部的装置
DE202047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Gefaessen in Packbehaelter
UA45395C2 (uk) Автоматичний пристрій волочіння та потокова технологічна лінія волочіння
AT411990B (de) Leersackvereinzelung
EP2159175A1 (de) Übergabevorrichtung
US1871885A (en) Tier mechanism for haypresses
CN207386432U (zh) 多点铆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