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924B1 -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924B1
KR102176924B1 KR1020200077438A KR20200077438A KR102176924B1 KR 102176924 B1 KR102176924 B1 KR 102176924B1 KR 1020200077438 A KR1020200077438 A KR 1020200077438A KR 20200077438 A KR20200077438 A KR 20200077438A KR 102176924 B1 KR102176924 B1 KR 102176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에스물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에스물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에스물류
Priority to KR102020007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924B1/ko
Priority to PCT/KR2020/017687 priority patent/WO2021261685A1/ko
Priority to JP2021523642A priority patent/JP728063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01C21/32Structuring or format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K9/183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중고 자동차의 차대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대번호 정보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중고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 DB에 상기 중고 자동차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DB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위치정보항목에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차량의 고유한 차대번호와 차량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매칭함으로써 차량을 등록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sed Vehicle Logistics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중고 자동차의 물류를 관리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장은 크게 신차 시장과 중고차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차량 생산량과 수요의 증가에 따라 중고차 시장의 규모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중고차는 출고된 후에 일정 기간 동안 운행한 차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중고차를 매매하는 경우, 개인간 직거래 보다는 중고차 매매상사나 딜러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에 대한 관심 및 활용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편승하여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중고차를 매매하는 웹사이트들이 속속 개설되고 있다.
한편, 중고차 수출의 경우에는 국내딜러, 수출 딜러, 수입 딜러 등 다수의 거래자를 통해서 중개가 이루어지며, 수출 차량 선정, 선편 스케줄 확정, 컨테이너 적입, 최종 적재지 보세구역 반입 후 수출 신고, 선적 완료 후 수출 이행 신고 등 복잡한 절차를 거치게 된다.
그런데, 중고차의 특성상 보관이나 관리 등이 어렵고, 복잡한 수출 공정 절차를 거치는 동안 각각의 차량이 어떠한 수출 작업 공정에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기도 어렵고 도난 등에도 쉽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차량의 고유한 차대번호를 인식하고 차대번호에 바코드를 할당하여 차량을 등록함으로써 이후의 중고차 물류 작업 공정을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바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차량의 작업 공정을 기록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작업공정 이력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중고 자동차의 차대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대번호 정보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중고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 DB에 상기 중고 자동차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DB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위치정보항목에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중고 자동차의 작업공정 이력정보를 상기 차량 DB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에 관한 현재의 작업공정 유형을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DB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작업공정 이력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고 자동차의 상기 작업공정유형은 입고, 입고 취소, 반출, 출고, 출고 취소, 선적, 및 선적 취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수출 작업 공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대번호의 입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차대번호의 영상촬영 및 인식을 통해 입력되고; 인식된 번호에 대응하는 제조국, 제조사, 차종, 및 차량의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차대번호의 촬영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차량과 차대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상기 차대번호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바코드 정보가 기 할당된 정보이거나 미발행된 정보인 경우 상기 할당단계가 미실행되도록 하여 중복 할당이나 부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을 미리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바코드 정보가 입력되거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차대번호 중 적어도 일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차량 DB에서 입력에 대응하는 중고 자동차에 관한 차량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정보의 수정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의 위치정보 확인이 입력된 경우, 상기 차량 DB에서 상기 중고 자동차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원하는 차량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중고 자동차의 차대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대번호에 할당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중고 자동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 DB에 상기 중고 자동차를 등록하는 과정; 및 상기 바코드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DB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위치정보항목에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대번호의 입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차대번호의 영상촬영 및 인식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인식된 번호에 대응하는 제조국, 제조사, 차종, 및 차량의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차대번호의 촬영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의 차대번호 중 적어도 일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차량 DB에서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고 자동차에 관한 차량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고 자동차 중 하나의 위치정보 확인이 입력된 경우, 상기 차량 DB에서 상기 중고 자동차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지도상에 표시하여 과정을 더 처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차량의 고유한 차대번호와 차량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고 매칭함으로써 차량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가 차량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할 때마다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차량 위치를 지도상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작업 공정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차량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로 작업 공정을 기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각의 차량의 작업공정이력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실예에 따른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제공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고차 수출을 위한 물류 관리 서비스 과정 중에서 차량 등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고차 수출을 위한 물류 관리 서비스 과정에서 작업 공정을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차대번호 인식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바코드 할당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차량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작업공정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자동차 위치 추적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실예에 따른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제공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기(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와 통신하여 서비스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용 앱과 PC용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서버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서버는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10)는 파일 배포 서버에서 제공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파일 배포 서버는 서비스 서버(20)에 포함된 서버일 수도 있으나, 제3자의 서버로서 서비스 서버(20)와 연계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데이터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20)는 물류 관리 대상인 중고 자동차에 관한 차량 DB를 저장하며, 차량DB를 저장하는 별도의 DB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비스 서버(2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각각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서버(20)는 중고 자동차의 물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중고 자동차의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중고 자동차의 매매 정보 및 물류 정보를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가 중고차 수출을 위한 물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고차 수출을 위한 물류 관리 서비스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이 과정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수출을 위한 물류 관리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일 배포 서버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특정 사이트나 특정인으로부터 전송받아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용 앱을 설치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고차 수출을 위한 물류 관리 서비스 과정 중에서 차량 등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회원가입 및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S10). 서비스 서버(20)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사용자들의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다(S11).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불특정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미리 사용자 ID를 발급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ID로 가입하게 하거나, 가입 후에 후인증 통해 가입처리를 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20)와의 연결을 위한 설정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설정 메뉴로 진입하여 서비스 서버(20)(또는 DB 서버)의 접속환경 예컨대, IP 주소, DB 명칭, 포트 번호 등을 입력하여 접속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접속환경에 관한 데이터는 서비스 구현을 위해 설정된 데이터로서,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된다.
도 4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메인메뉴는 6가지로서, 자동차 등록(CAR REGISTRATION), 작업공정 스캔입력(SCAN WORK), 위치 관리(MANAGEMENT), 자동차 위치 추적(SEARCH CAR POSITION), 자동차 정보 확인(CAR INFORMATION), 무료 정보 보기(Free Information)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등록(CAR REGISTRATION) 항목은 관리 대상인 중고 자동차를 최초 등록하는 메뉴로서, 차대번호(차량 식별 정보) 및 바코드 인식을 통해 차량을 서비스 서버(20)의 차량DB에 등록할 수 있다.
작업공정 스캔입력(SCAN WORK) 항목은 선택 작업 공정을 바코드 스캐닝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이를 통해 차량 DB에 해당 차량의 작업 공정이 기록된다.
위치 관리(MANAGEMENT) 항목은 중고 자동차의 위치를 업데이트 하는 메뉴로서,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현재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로서 차량 DB에 저장된다.
자동차 위치 추적(SEARCH CAR POSITION) 항목은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메뉴로서,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현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차 정보 확인(CAR INFORMATION) 항목은 차량 DB에 등록된 중고 자동차의 정보를 조회 또는 수정할 수 있는 메뉴로서, 해당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차량의 모든 정보를 확인하는 한편, 차량 DB에 기록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무료 정보 보기(Free Information) 항목은 차량DB에 등록된 자동차의 정보를 볼 수 있는 메뉴로서, 로그인하지 않고 앱 사용자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이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차량 등록 과정을 설명한다. 차량 등록 메뉴는 사용자가 자동차에 인쇄한 바코드를 현장에서 차량 차대번호에 일대 일로 할당(Assign)하여 차량DB에 저장하는 과정으로서 가장 사용이 빈번한 메뉴항목이다.
사용자가 자동차 등록(CAR REGISTRATION)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차량의 차대번호의 인식공정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 쪽이나 차도어 또는 의자 밑에 새겨져 있는 차량의 차대번호(즉, 차량 식별 정보)를 영상 인식하도록 한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의 촬영 화면의 일정 영역에 차대번호가 촬영되도록 가이드하고, 사용자는 이 가이드 영역에 차대번호가 들어오도록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MOCR(Mobile Optical Character Reader)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에서 문자 즉, 차대번호를 인식한다.
차대번호는 차량에 고유한 식별정보로서, 차량 제조 시 엔진 쪽이나 차도어 또는 의자 밑에 새겨진다. 차대번호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 의해 표준화되어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차대번호의 형식은 국제규격(ISO 지정 표기) 혹은 국제 제작자 식별부호(World Manufacturer Identification) 규격에 따른다. 매매절차에 걸쳐 차주의 변경에 따라 변경 가능한 차량번호와는 달리 차대번호는 자동차 생산 당시 부여되는 지정 고유번호로써 차량 엔진룸 또는 차량 내부 등 다양한 위치에 각인되어 폐차 시까지 변경되지 않는다. 차대번호 17자리 형식의 알파벳 문자와 아라비아 숫자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차대번호에는 제작국가, 제조사, 차량구분, 차종, 세부차종, 차체형상, 안전장치, 배기량, 확인란, 제조년도, 생산공장, 생산일련번호가 지정된 코드와 숫자로 일련번호 형식으로 표기되어 있다. 차대번호의 첫째 자리는 제조국가, 둘째 자리는 제조사, 셋째 자리는 차량구분(예, 승용, 승합, 화물, 특장, 트레일러), 넷째 자리는 차종(예, 경차, 중소형차, 소형차, 준중형차, 중형차, 준대형차, 대형차), 다섯째 자리는 세부차종(예, 카고, 덤프, 믹서, 기본사양, 고급사양, 최고급사양), 여섯째 자리는 차체형상(예, 리무진, 도어수, 쿠페, 웨건, 픽업), 일곱째 자리는 안전장치(예, 장치없음, 수동안전띠, 자동안전띠, 에어백), 여덟째 자리는 배기량(예, 1800cc, 2000cc, 2500cc 등), 아홉째 자리는 확인란(HHD, RHD, 미국), 열째 자리는 제조년도, 열한 번째 자리는 생산공장, 열두 번째 자리~열일곱 번째 자리는 생산번호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인식한 차대번호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고(S12), 서비스 서버(20)는 차대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정보 예컨대, 제조국, 차종, 및 차량 특성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3).
도 5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차대번호 인식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A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차대번호 촬영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차대번호가 인식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B 영역에 인식된 차대번호(CAR ID NUMBER)를 표시하고, C 영역에 인식된 차대번호가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제조국, 차종, 및 차량 특성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인식한 차대번호 및 수신한 차량정보에 관한 화면을 각각 생성하여 B 영역과 C 영역에 촬영 영상인 A 영역 위에 투명도가 조절된 상태로 오버레이 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차대번호 인식을 통해 해당 차량의 제조국가가 일본이고, 세부차종이 덤프이고, 차체형상이 리무진임을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차량 정보를 보면서 자신이 등록하고 있는 차량이 맞는지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차대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20)와의 연동을 통해 차량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자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추출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차대번호의 음각이 심하거나 녹 또는 때가 많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식률이 떨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육안으로 차대번호를 재확인하여 잘못 인식된 부분을 화면에서 터치하여 소프트 키보드로 수정할 수 있다. 차대번호 형식에 맞게 인식되거나 수정이 이뤄진 경우 'NEXT STEP' 버튼이 활성화되고 이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다음 단계는 바코드 할당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한다(S15).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바코드 스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전술한 문자 인식 프로그램이 바코드 스캔에 사용될 수도 있다. 바코드는 각 차량의 물류 공정을 관리하기 위한 식별정보로서, 발급된 바코드 정보는 서비스 서버(20)의 차량DB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서비스 서버(20)에서 발급한 바코드는 차량에 미리 부착된 후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인식되어 차대번호에 할당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스캔 및 할당 후 부착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수신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바코드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바코드 할당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D 영역은 바코드 스캔 화면 영역이고, E 영역에는 인식된 바코드 정보가 표시된다.
서비스 서버(20)는 차량DB에서 대응하는 바코드 정보를 확인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해당 바코드 정보가 이미 다른 차량에 할당되었거나, 서비스 서버(20)에서 발급된 바코드가 아닌 경우, 서비스 서버(20)는 유효하지 않는 정보임을 사용자 단말기(10)에 통지하고,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F 영역에 표시되는 할당 버튼(ASSIGN)이 비활성화된다. 바코드 인식이 잘못된 경우에는 바코드를 다시 스캔 할 수 있으며, 잘못된 바코드인 경우 오류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서버(20)에서 미리 발급한 바코드임이 차량DB에서 확인되면 확인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0)는 바코드 할당 버튼(ASSIGN BARCODE)을 활성화한다. 사용자는 도 6의 바코드 할당 버튼을 선택하면(S18), 서비스 서버(20)는 수신한 차대번호에 바코드를 할당하여 차량DB에 저장한다(S19).
다음 단계는 차량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는 차량 정보 입력 화면에서 차량의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20). 도 7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차량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차량 정보 입력 화면은 차량의 브랜드(Brand), 모델명(Model), 색상(Color), 트레이더(trader), 화주(Shipper), 포워더(forwarder), 바이어(buyer), 수화주(Consignee), 배출 항구(Discharging Port), 위치, 면장(Expert Permit), 항차(Shipment), 스페어 타이어 유무, 내비게이션 유무, 오디오 시스템 유무 등을 입력 및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각 입력항목의 우측에 위치한 세모버튼(G)을 클릭하여 원하는 항목을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다. 각 항목들은 서로 연동되며, 사용자가 맨 첫 줄에서 브랜드를 'Hyundai'를 선택한 경우, 아래 모델명에서 세모버튼을 선택하면 'Hyundai'에 대응하는 모델만 리스트로 표기되어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으며, 모델명을 선택한 후 아래 색상란의 세모버튼을 누르면 대응하는 모델 컬러만 표기되고, 제조년도도 해당 모델과 색상에 대응하는 년도만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사용자가 도 7의 차량 정보 입력 화면에서 차량의 각종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보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되고 서비스 서버(20)는 차량DB에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이로써 차량 등록 과정이 완료된다.
차량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20)의 차량DB에 해당 차량의 정보가 저장되고, 해당 차량에 관한 각종 차량 물류 공정 정보를 입력 및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차량 등록 과정은 차량을 처음 인수받거나 인계 받은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고유한 차대번호를 이용하여 차량을 식별하는 한편, 물류 관리를 위한 바코드를 별도로 부여하고 바코드 스캔을 통해 차대번호와 바코드를 1:1로 매칭하여 차량 등록을 수행하며, 등록된 차량에 대해 차량 정보, 수출 관련 정보, 물류 정보, 작업 공정 등의 정보를 손쉽게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도 4의 메인화면에서 사용자가 위치 관리(Management)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예, 위도 및 경도)를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한다(S22).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정보로 저장 및 업데이트한다(S23). 본 발명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된 바코드와 차대번호를 할당하여 차량DB에 등록한 후에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함으로써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의 메인화면에서 위치 관리(Management)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쉽게 현재 위치를 기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위치 관리(Management) 버튼을 클릭하면, 바코드 스캔 모드가 실행되고 원하는 차량의 바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차량의 바코드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차량 등록 과정이나 작업 공정 중에 위치 관리(Management) 버튼을 클릭하면 대응하는 차량의 바코드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위치 관리(Management) 버튼을 클릭하지 않고도 차량의 바코드를 스캔 할 때마다 해당 바코드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고차 수출을 위한 물류 관리 서비스 과정에서 작업 공정을 입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로그인할 수 있고(S30), 서비스 서버(20)는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다(S31). 사용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에서 작업 공정 스캔입력(SCAN WORK) 항목을 선택하면 도 8과 같은 현재의 작업공정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8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작업공정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 공정유형은 입고(Enter), 입고 취소(Cancel Enter), 반출(Take Out), 출고(Release), 출고 취소(Cancel Release), 선적(Shipping), 및 선적 취소(Cancel Shipping)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도 8의 (a) 화면에서 원하는 'WORK TYPE'를 선택하여 공정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업공정을 선택하고 도 8의 (b)와 같이 해당 작업공정대상인 차량의 바코드를 스캔하면 설정된 작업공정(Work Type)이 입력되어 서비스 서버(20)로 전송된다(S32). 서비스 서버(20)는 차량의 바코드 정보와 작업 공정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DB에 저장한다(S35). 그리고, 대응하는 차량의 작업공정이력을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36). 사용자 단말기(10)를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작업공정이력을 화면에 표시한다(S37). 도 8의 (b)에서 화면 밑의 공정창(ListView)에서는 공정히스토리가 최신 공정입력 대별로 표시된다. 공정작업 유형과 날짜 시간 등이 순차적으로 교시된다. 사용자는 공정 이력정보에서 잘못된 공정정보를 'DELETE'로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 4의 메인화면으로 돌아가서 위치관리(Management)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한다(S22).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정보로 저장 및 업데이트한다(S23).
이를 통해, 추후 관리자는 해당 작업 공정이 어떤 장소에서 이루어졌는지 확인 가능하다.
도 9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자동차 위치 추적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도 4의 메인화면에서 자동차 위치 추적(SEARCH CAR POSITION) 항목을 선택하면, 차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차대번호 입력하면 대응하는 차량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차대번호 입력창에 38번을 입력하면, 입력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20)는 38번이 포함된 차대번호를 갖는 차량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수신한 차량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화면 아래에 표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원하는 차량의 차대번호를 선택하고 'Tracking'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대응하는 차대번호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20)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도 9의 (b)와 같이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한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차량의 현재 위치가 'Car is here'와 도형으로 표기되고, 차량들이 보관되어 있는 지역이 site 1(sector 1/sector 2)로 표기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차량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 내지 7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PC에 설치되는 사용자 웹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GUI 화면이 도 3 내지 9와는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PC의 특성상 입력이 편리하고 디스플레이가 크므로 복잡한 데이터도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앱 화면보다는 좀 더 복잡한 GUI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차량정보 입력화면에서 트레이더(trader), 화주(Shipper), 포워더(forwarder), 바이어(buyer), 수화주(Consignee) 등의 정보는 코드나 이름 필터 기능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종 조건에 있는 다수의 차량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검색하여 표시 및 출력하거나 통계 등의 자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고유한 차대번호를 이용하여 차량을 식별하는 한편, 물류 관리를 위한 바코드를 별도로 부여하고 바코드 스캔을 통해 차대번호와 바코드를 1:1로 매칭하여 차량 등록을 수행하며, 등록된 차량에 대해 차량 정보, 수출 관려 정보, 물류 정보, 작업 공정 등의 정보를 손쉽게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20: 서비스 서버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중고 자동차에 새겨져 있는 차대번호를 영상촬영하여 상기 차대번호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한 상기 차대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중고 자동차의 제조국, 제조사, 차종, 및 차량의 특성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추출하여 상기 차대번호의 촬영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상기 차대번호 정보에 일대일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중고 자동차의 상기 차대번호, 상기 차대번호에 대응하는 추출한 차량정보, 상기 바코드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중고 자동차의 정보를 차량 DB에 저장하여 상기 중고자동차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DB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위치정보항목에,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중고 자동차의 현재의 위치정보로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중고 자동차의 작업공정 이력정보를 상기 차량 DB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에 관한 현재의 작업공정 유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DB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작업공정 이력정보에 수신된 상기 현재의 작업공정 유형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고 자동차의 상기 작업공정유형은 입고, 입고 취소, 반출, 출고, 출고 취소, 선적, 및 선적 취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상기 차대번호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바코드 정보가 기 할당된 정보이거나 미발행된 정보인 경우 상기 할당단계가 미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바코드 정보가 입력되거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차대번호 중 적어도 일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차량 DB에서 입력에 대응하는 중고 자동차에 관한 차량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정보의 수정요청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의 위치정보 확인이 입력된 경우, 상기 차량 DB에서 상기 중고 자동차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7.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중고 자동차의 차대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상기 차대번호 정보에 일대일로 할당하는 과정;
    상기 중고 자동차의 상기 차대번호, 상기 차대번호에 대응하는 추출한 차량정보, 상기 바코드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중고 자동차의 정보를 차량 DB에 저장하여 상기 중고자동차를 등록하는 과정; 및
    상기 바코드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DB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위치정보항목에 수신한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차대번호의 입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차대번호의 영상촬영 및 인식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인식된 번호에 대응하는 제조국, 제조사, 차종, 및 차량의 특성 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차대번호의 촬영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중고 자동차의 작업공정 이력정보를 상기 차량 DB에서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에 관한 현재의 작업공정 유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DB의 상기 중고 자동차의 작업공정 이력정보에 수신된 상기 현재의 작업공정 유형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중고 자동차의 차대번호 중 적어도 일부가 입력된 경우, 상기 차량 DB에서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고 자동차에 관한 차량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고 자동차 중 하나의 위치정보 확인이 입력된 경우, 상기 차량 DB에서 상기 중고 자동차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지도상에 표시하여 과정을 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077438A 2020-06-24 2020-06-24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76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38A KR102176924B1 (ko) 2020-06-24 2020-06-24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CT/KR2020/017687 WO2021261685A1 (ko) 2020-06-24 2020-12-04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1523642A JP7280639B2 (ja) 2020-06-24 2020-12-04 中古車の物流管理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38A KR102176924B1 (ko) 2020-06-24 2020-06-24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924B1 true KR102176924B1 (ko) 2020-11-11

Family

ID=7345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438A KR102176924B1 (ko) 2020-06-24 2020-06-24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80639B2 (ko)
KR (1) KR102176924B1 (ko)
WO (1) WO20212616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85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브이에스물류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01271B1 (ko) * 2022-07-28 2023-02-17 에스케이렌터카 주식회사 차량 재고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42B1 (ko) * 2012-11-14 2014-10-30 최현주 딜러 간 중고차 매매정보 공유 시스템
KR101616504B1 (ko) * 2014-03-11 2016-04-29 김지훈 중고 휴대폰의 유통 정보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740A (ja) * 2001-01-19 2002-08-02 Purantekku:Kk カーライフリサーチシステム
KR101055121B1 (ko) * 2010-05-14 2011-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관리 시스템
JP6306990B2 (ja) * 2014-09-16 2018-04-04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位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5673B1 (ko) * 2015-03-10 2016-08-04 주식회사 오토매니지먼트컴퍼니 중고차 시세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60043936A (ko) * 2016-03-07 2016-04-22 김선황 차량정보 검색 시스템
KR102176924B1 (ko) * 2020-06-24 2020-11-11 주식회사 브이에스물류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42B1 (ko) * 2012-11-14 2014-10-30 최현주 딜러 간 중고차 매매정보 공유 시스템
KR101616504B1 (ko) * 2014-03-11 2016-04-29 김지훈 중고 휴대폰의 유통 정보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85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브이에스물류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01271B1 (ko) * 2022-07-28 2023-02-17 에스케이렌터카 주식회사 차량 재고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80639B2 (ja) 2023-05-24
WO2021261685A1 (ko) 2021-12-30
JP2022549743A (ja)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1136A1 (en) Predictive analytics for transport services
US1051012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accident detection based on intelligent micro devices
US20220101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pediting purchase of vehicular insurance
KR102176924B1 (ko) 중고 자동차 물류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989324B2 (en) Data privacy and security in vehicles
US6557752B1 (en) Smart card for recording identification, and operational, service and maintenance transactions
US20150039365A1 (en) Digital vehicle tag and method of integration in vehicle allocation system
US1163654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okenized icons to provide insurance policy quotes
US1126369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remotely captured images
US20100308975A1 (en) Rfid receiving process for use with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s
US20140156138A1 (en) Courtesy car management system
CN105631262A (zh) 用于认证汽车使用者的合法性的方法、汽车和计算机程序
CN111512334A (zh) 重型设备中介装置及方法,以及使用上述装置及方法的系统
US20130317875A1 (en) Investigation reporting system with freelancer input option
CN109934543A (zh) 车险的自助理赔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20140365335A1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AU2017101920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ttributes of motor vehicles
US200803010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transactions management
CN108382397A (zh) 车辆控制方法及装置
US11934557B1 (en) Data privacy and security in vehicles
EP3991066B1 (en) A method for managing data and storing them in blockchain
KR20190057954A (ko)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US200901502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items subject to liens
US114233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ledger-based floorplanning
KR102469794B1 (ko) 폐차장 관리 솔루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