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720B1 -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720B1
KR102176720B1 KR1020200062284A KR20200062284A KR102176720B1 KR 102176720 B1 KR102176720 B1 KR 102176720B1 KR 1020200062284 A KR1020200062284 A KR 1020200062284A KR 20200062284 A KR20200062284 A KR 20200062284A KR 102176720 B1 KR102176720 B1 KR 102176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mounting
mounting member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335A (ko
Inventor
김송현
정성수
고대성
오준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7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clips or resilient members, e.g. hoo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을 섀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되는 장착부재 및 섀시에 마련되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PRINTED CIRCUIT BOARD MOUNING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 텔레비전(television), 모니터 장치뿐만 아니라 각종 휴대용 단말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장치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품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품들은 각종 패널 내지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품들을 결합시킬 경우, 나사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공구가 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나사 체결을 위한 시간이 요구되므로 제조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쇄회로기판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인쇄회로기판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는, 복수의 기판안착부가 마련된 섀시;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되며, 설치 홀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에 마련되는 장착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장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장착부재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설치홀에 삽입될 수 있는 리드를 포함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기판안착부 각각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며, 상기 기판안착부 각각과 연결되는 넥과, 상기 넥에 연결되고 상기 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고,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장착부에 결합 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헤드의 하부 및 상기 넥의 둘레에 위치하며,
상기 섀시, 상기 장착부,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은,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과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과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재를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섀시 사이에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ence) 접지를 발생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장착부의 상기 헤드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넥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2 관통홀과, 상기 제1 가이드홀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헤드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장착부재의 지지부 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가압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되는 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상기 장착부의 헤드의 하단에 대응되는상기 장착부재의 상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면 상기 헤드가 상기 장착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호 형상의 정상에 마련되는 스토퍼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장착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설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설치홀에 삽입될 수 있는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상기 호 형상의 정상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는, 복수의 기판안착부가 마련된 섀시;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에 마련되는 장착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장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기판안착부 각각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며, 상기 기판안착부 각각과 연결되는 넥과, 상기 넥에 연결되고 상기 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스토퍼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되는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섀시에 조립함으로써, 기존에 인쇄회로기판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나사(screw)의 사용을 지양할 수 있고, 나사사용으로 인해 초래되었던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 증가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나사(screw) 대신 슬라이딩 이동 결합하는 장착부재를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두께를 나사산의 길이만큼 확보할 필요가 없어 슬림한 디자인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장착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탈거 또는 교체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후면 커버와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1 및 도 32는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섀시의 두 종류의 장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내지 곡면 상태와 평면 상태가 가변 가능한 가변형(bendable 또는 flexible) 디스플레이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후면 커버와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평판 형상의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면 테두리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는 섀시(chassis)(40)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및 도광판(light guide plate)과 같은 광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엣지(edge)형 백라이트 유닛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 및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로 향하게 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시트부재와 같은 광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재는 광학적 성질을 가지는 광학시트 및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도록 마련되는 QD(Quantum dot)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섀시(40)는 제1 섀시(미도시) 및 제1 섀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섀시(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섀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1 섀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前面)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섀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섀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前面) 중 일부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섀시(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섀시(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섀시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前面)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2 섀시(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섀시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2 섀시(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섀시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면 중 일부 및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2 섀시(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섀시 및 제2 섀시(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섀시 및 제2 섀시(4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후면 커버(30)는 제2 섀시(40)와 마주하도록 제2 섀시(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커버(30)는 제2 섀시(4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2 섀시(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커버(30)는 제2 섀시(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50)은 섀시(40)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50)은 전원기판, 신호처리기판 및 구동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기판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신호처리기판에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기 위한 회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원기판, 신호처리기판 및 구동기판 등은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상호 병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인쇄회로기판(50)이 섀시(40)에 장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섀시(40)는 인쇄회로기판(5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40)와 기판안착부(6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50)이 섀시(40)에 접지(grounding)될 수 있다. 기판안착부(60)는 섀시(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섀시(40)와 별도로 형성되어 섀시(40)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될 수 있다. 통전 가능하게 접합하는 방법은 용접 또는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기판안착부(60)는 섀시(4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기판안착부(60)의 정상부는 평판형인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곡면인 섀시와 곡면인 인쇄회로기판 등이 사용되는 경우, 기판안착부의 정상부 역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이 섀시(40)로부터 돌출된 기판안착부(60)에 안착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50)과 섀시(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인쇄회로기판(50)에 설치된 회로소자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은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섀시(40)에 장착되게 되는데, 인쇄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6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에는 인쇄회로기판(50)의 안착 위치 또는 슬라이딩 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161)가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은 인쇄회로기판(50)에 마련되는 가이드홈(141)에 가이드돌기(161)가 수용되도록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되고, 가이드돌기(161)가 장공 형태인 가이드홈(141)을 따라 이동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홈(141)은 인쇄회로기판(50)의 두 군데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50)이 사각 평판인 경우 인접한 두 코너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접하지 않은 대각 방향의 두 코너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슬라이딩 이동하면 인쇄회로기판(50)에 마련된 장착부재(10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이 섀시(4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재(100)는 인쇄회로기판(50)에 고정되고, 기판안착부(6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장착부(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돌출 형성된 기판안착부(60)의 내부에는 빈 공간(cavity)이 형성 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기판안착부(60)에 형성되는 장착부(120)는 기판안착부(60)의 경사면(62)에 마련되는 삽입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0)의 삽입홀(121)에 삽입되는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는 장착부(120)의 내부, 즉 기판안착부(60)의 내부의 빈 공간에 수용되어 기판안착부(60)의 내측의 일면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50)은 장착부재(1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설치홀(143)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부재(100)는 인쇄회로기판(5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101)와 지지부(101)로부터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50)의 설치홀(143)에 삽입될 수 있는 리드(lead)(10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100)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고, 인쇄회로기판(50)과 통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부(101) 및 리드(10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회로기판(50)에 도전성 재료에 의해 접합된다.
인쇄회로기판(50)은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44)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부재(100)는 지지부(101)가 인쇄회로기판(50)의 일면에 지지되고, 지지부(101)로부터 연장되는 결합부(110)가 인쇄회로기판(5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인쇄회로기판(50)에 마련된 관통홀(144)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는, 지지부(10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111)과, 제1 부분(111)으로부터 연장되어 장착부(120)의 삽입홀(121)에 삽입되는 제2 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의 제2 부분(112)은 삽입홀(12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이드섹션(113)과 삽입홀(121)에 삽입되었을 때 장착부(120)의 내측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섹션(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섹션(114)은 결합부(110)의 제2 부분(112)이 제1 부분(111)으로부터 지지부(101)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가이드섹션(113)은 제2 부분(112)이 가압섹션(114)의 단부로부터 지지부(1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의 가이드섹션(113)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50)의 변형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60)에 밀착되게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결합부(110)가 삽입홀(1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장착부(120)에 마련되는 삽입홀(121)에 의해 섀시(40)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의 제1 부분(111)은 삽입홀(121)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섹션(11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는 장착부(120)의 삽입홀(121)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결합부(110)가 삽입홀(121)에 삽입되면 결합부(110)의 제1 부분(111)의 차단섹션(115)이 삽입홀(121)을 차단할 수 있다.
가이드섹션(113)의 단부에는 모따기(1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110)가 삽입홀(121)의 너비에 대응하게 형성되어도 가이드섹션(113)에 의해 결합부(110)가 삽입홀(1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5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가 장착부(120)의 삽입홀(121)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인쇄회로기판(50)은 섀시(40)에 장착된다. 인쇄회로기판(50)이 섀시(40)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면 임의로 섀시(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판안착부(60)에는 스토퍼(stopper)(162)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62)는 가이드돌기(161)와 같이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50)은 스토퍼수용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수용홈(142)은 가이드홈(141)과 달리 스토퍼(162)가 스토퍼수용홈(142) 내에서 이동할 수 없도록 마련된다.
스토퍼(162)와 가이드돌기(161)는 동일한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이드홈(141)과 스토퍼수용홈(142)은 한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161)가 인쇄회로기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가이드홈(14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가이드홈(141)의 일측에 스토퍼(162)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착부(120)도 스토퍼(162) 및/또는 가이드돌기(161)와 동일한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 등의 전자제품에서 인쇄회로기판(50)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섀시(40)에 장착되는 경우, 중력을 고려하여 인쇄회로기판(50)이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는 다양한 두께의 재료로 형성되는 섀시(40) 또는 기판안착부(60)와 다양한 두께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50)에 장착부재(100)를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장착부(120)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장착부재(100)와 장착부(120)에 설계 변경이 가해지지 않은 기본형을 도시한다.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가 장착부(120)의 삽입홀(121)에 삽입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착부재(100)의 지지부(101)와 결합부(110) 최소 간격(A), 즉 지지부(101)와 가압섹션(114) 상단의 간격(A)이 장착부(120)가 마련된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의 두께(B)와 인쇄회로기판(50)의 두께(C)의 합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장착부재(100)가 장착부(120)에 결합되었을 때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는 탄성 변형하고, 복원력에 의해 가압섹션(114)이 장착부(120)의 내측 일면을 가압하여 장착부재(100)의 체결력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부재(100) 장착부(120)의 접촉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과 섀시(40) 사이에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ence) 접지가 가능하다.
도 8은 기판안착부(60)의 두께(D)가 도 7에 도시된 기판안착부(60)의 두께(B)보다 얇은 재료로 형성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장착부재(100)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장착부(120)에 설계 변경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다.
장착부재(100)의 지지부(101)와 결합부(110)의 최소 간격(A)과, 인쇄회로기판(50)의 두께(C)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착부재(100) 및 인쇄회로기판(50)과 동일하므로, 도 8에 도시된 장착부재(100)와 장착부(120) 사이에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체결력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기판안착부(60)의 얇아진 두께(E)만큼의 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착부(120)는 장착부재(100)의 가압섹션(114)이 가압하는 장착부(120) 내측의 일면에 장착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두께형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착부(120)가 마련되는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에는 기판안착부(60) 내측으로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의 얇아진 두께(E)만큼 돌출된 두께형성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20)에 마련되는 두께형성부(122)는 인쇄회로기판(50)의 두께가 얇아진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인쇄회로기판(50)이 도 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50)의 두께(C)보다 얇은 재료로 형성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장착부재(100)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장착부(120)에 설계 변경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다.
장착부재(100)의 지지부(101)와 결합부(110)의 최소 간격(A)과, 장착부(120)의 정상면(61)의 두께(B)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장착부재(100) 및 인쇄회로기판(50)과 동일하므로, 도 9에 도시된 장착부재(100)와 장착부(120) 사이에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체결력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50)의 얇아진 두께(C-G=F)만큼의 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장착부(120)는 장착부재(100)의 가압섹션(114)이 가압하는 장착부(120) 내측의 일면에 장착부(1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두께형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는 다양한 두께의 재료로 형성되는 섀시(40) 또는 기판안착부(60)와 다양한 두께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50)에 장착부재(100)를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장착부재(100)와 인쇄회로기판(50)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부재(100)의 지지부(101)가 2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재(100)의 지지부(101)는, 제1 지지부(103)와, 제1 지지부(103)로부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지지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50)의 두께(H)는 도 11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50)의 두께(I)에 비하여 얇게 형성될 수 있고, 장착부재(100)의 지지부(101) 중 인쇄회로기판(50)이 얇아진 두께(I-H=J)에 대응하는 높이(J)만큼 돌출된 제2 지지부(104)가 인쇄회로기판(50)에 지지됨으로써, 얇아진 두께(J)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50)은 도 10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50)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되므로, 장착부재(100)의 지지부(101) 중 돌출된 제2 지지부(104)는 인쇄회로기판(50)에 형성된 지지부수용홈(145)에 수용되고, 장착부재(100)는 제2 지지부(104)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부재(100)가 제1 지지부(103) 및 제2 지지부(104)를 포함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50)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장착부재(100)의 결합부(110)와 인쇄회로기판(50)의 최소 간격(K)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50)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과 결합부(110)가 지지되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L)이 일정하면, 장착부재(100)와 장착부(120) 사이에 동일한 체결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섀시(40)에는 인쇄회로기판(50)이 스냅 버튼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장착부재(200)가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은 장착부재(200)가 결합할 수 있는 관통홀(241)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부재(200)는 섀시(40)에 접합되는 지지부(201)와, 지지부(201)로부터 연장되고 인쇄회로기판(50)의 관통홀(241)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200)의 지지부(201)는, 섀시(40)에 접합되는 저면(202)과, 저면(202)으로부터 측면(203)에 의해 소정 거리 이격되고 인쇄회로기판(50)이 안착되는 상면(204)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201)의 저면(202)은 인쇄회로기판(50)과 통전 가능하게 접합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는 지지부(201)의 상면(204)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1) 및 제2 결합부(212)는 관통홀(241)의 너비(M)에 대응되도록 서로 이격되고, 지지부(201)의 상면(204)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연장된 제1 부분(213)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211) 및 제2 결합부(212)는 서로의 거리가 관통홀(241)의 너비(M)보다 넓어지도록 제1 부분(213)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부분(2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211) 및 제2 결합부(212)는 서로의 거리가 관통홀(241)의 너비보다 좁아지도록 제2 부분(214)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부분(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11)의 제3 부분(215)과 제2 결합부(212)의 제3 부분(215)의 단부 사이의 간격(N)은 제2 부분(214)이 연장된 수평거리(P)의 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50)의 관통홀(241)에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를 결합할 때, 결합부(210)의 탄성변형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의 관통홀(241)에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가 삽입되면, 지지부(201)의 상면, 결합부(210)의 제1 부분(213) 및 제2 부분(214)에 의해 장착부재(200)가 인쇄회로기판(50)의 관통홀(241)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50)을 섀시(40)로부터 탈거할 때에는 장착부재(200)의 제3 부분(215)을 제1 결합부(211)와 제2 결합부(212)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부(210)의 탄성변형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섀시(40)는 인쇄회로기판(5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안착부(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판안착부(60)와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0)은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섀시(40)에 장착되게 되는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기판안착부(60)에는 가이드돌기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기판안착부(60)로부터 돌출 형성된 장착부(320)가 가이드돌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슬라이딩 이동하면 인쇄회로기판(50)에 마련된 장착부재(30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이 섀시(4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재(300)는 인쇄회로기판(50)에 고정되고, 기판안착부(6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장착부(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안착부(60)에 마련된 장착부(320)는,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과 연결되는 넥(neck)(321)과, 넥(321)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고 넥(321)에 연결되는 헤드(head)(322)를 포함할 수 있다. 넥(32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헤드(322)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320)는 기판안착부(60)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거나, 기판안착부(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50)은 장착부재(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설치홀(343)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부재(300)는 인쇄회로기판(5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301)와 지지부(301)로부터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50)의 설치홀(343)에 삽입될 수 있는 리드(lead)(30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300)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고, 인쇄회로기판(50)과 통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부(301) 및 리드(30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회로기판(50)에 도전성 재료에 의해 접합된다.
인쇄회로기판(50)은, 장착부(320)의 헤드(322)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홀(344)과, 제1 관통홀(344)로부터 연장되고 장착부(320)의 넥(321)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홀(345)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300)는, 인쇄회로기판(50)의 제1 관통홀(344)에 대응하는 제2 관통홀(304)과, 인쇄회로기판(50)의 제1 가이드홀(345)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홀(3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홀(304)은 장착부재(300)의 지지부(301) 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가이드홀(305)은 장착부재(300)의 가압부(310)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가압부(310)는 지지부(301)로부터 연장되고, 인쇄회로기판(50)이 장착되면 헤드(322)를 가압하는 장착부(320)의 헤드(322)를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310)는 제2 관통홀(304)로부터 제2 가이드홀(305)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슬라이딩 이동하면 장착부재(300)의 가압부(310)가 장착부(320)의 헤드(322)에 의해 탄성 변형되므로, 가압부(310)의 단부가 장착부(320)의 헤드(322)의 저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섀시(40)는 인쇄회로기판(5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안착부(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판안착부(60)와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다.
인쇄회로기판(50)은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장착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섀시(40)에 장착되게 되는데, 인쇄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60)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에는 인쇄회로기판(50)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461)가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은 가이드돌기(461)를 수용하는 가이드홈(441)과, 장착부재(400)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44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이 사각 평판인 경우 각 코너에 가이드홈(441)이 마련될 수 있고, 각 코너를 형성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제1 결합홈(443) 및 제2 결합홈(444)이 형성될 수 있다.
섀시(40)는 인쇄회로기판(50)의 코너부분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장착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설치부(462)를 포함할 수 있고, 설치부(462)는 장착부재(400)가 외력 없이 해제 위치에서 장착 위치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 스토퍼(46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400)는 인쇄회로기판(50)의 결합홈(4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410)와 인쇄회로기판(50)을 섀시(4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400)는 탄성이 있는 선형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410)는 제1 결합홈(443)과 제2 결합홈(444)에 각각 결합할 수 있는 제1 결합부(411)와 제2 결합부(412)를 포함할 수 있고, 가압부(413)는 제1 결합부(411)와 제2 결합부(412) 사이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50)의 코너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11)와 제2 결합부(412) 사이의 간격은 인쇄회로기판(50)의 제1 결합홈(443)과 제2 결합홈(444)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어, 장착부재(400)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결합부(410)가 결합홈(442)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가압부(413)는 결합부(410)가 결합홈(442)에 체결되기 전에 먼저 인쇄회로기판(50)에 접촉하고, 결합부(410)가 결합홈(442)에 고정되면서 인쇄회로기판을 가압할 수 있다.
도 25을 참조하면, 장착부재(400)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의 가압부(413)와 결합부(410) 사이의 각도(Q)가 탄성 변형에 의해 해제 위치에서의 각도(R)가 보다 크기 때문에, 가압부(413)는 인쇄회로기판(5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섀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과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섀시(40)는 인쇄회로기판(50)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안착부(6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판안착부(60)와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0)은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섀시(40)에 장착되게 되는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26 내지 도 32에 도시된 기판안착부(60)에는 가이드돌기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기판안착부(60)로부터 돌출 형성된 장착부(520)가 가이드돌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슬라이딩 이동하면 인쇄회로기판(50)에 마련된 장착부재(50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이 섀시(4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재(500)는 인쇄회로기판(50)에 고정되고, 기판안착부(6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장착부(5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안착부(60)에 마련된 장착부(520)는, 기판안착부(60)의 정상면(61)과 연결되는 넥(neck)(521)과, 넥(521)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고 넥(521)에 연결되는 헤드(head)(522)를 포함할 수 있다. 넥(521)은 폭이 좁은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헤드(522)는 넥(521)에 비하여 폭이 넓은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520)는 기판안착부(60)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거나, 기판안착부(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50)은 장착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설치홀(543)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부재(500)는 인쇄회로기판(5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501)와 지지부(501)로부터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50)의 설치홀(543)에 삽입될 수 있는 리드(lead)(50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500)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고, 인쇄회로기판(50)과 통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부(501) 및 리드(50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쇄회로기판(50)에 도전성 재료에 의해 접합된다.
인쇄회로기판(50)은, 장착부(520)의 헤드(522)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홀(544)과, 제1 관통홀(544)로부터 연장되고 장착부(520)의 넥(521)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홀(545)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500)는, 인쇄회로기판(50)의 제1 관통홀(544)에 대응하는 제2 관통홀(504)과, 인쇄회로기판(50)의 제1 가이드홀(545)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홀(5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홀(504)은 장착부재(500)의 지지부(501) 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가이드홀(505)은 장착부재(500)의 가압부(510)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에 있어서, 장착부재와 장착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1 및 도 32는 도 26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섀시의 두 종류의 장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가압부(510)는 지지부(501)로부터 연장되고, 인쇄회로기판(50)이 장착되면 헤드(522)를 가압하는 장착부(520)의 헤드(522)를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510)는 인쇄회로기판(50)으로부터 돌출되는 호 형상(511)을 포함하고, 제2 가이드홀(505)은 제2 관통홀(504)로부터 호 형상(511)의 정상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이 기판안착부(60)에 안착된 후 슬라이딩 이동하면 장착부(520)의 헤드(522)가 가압부(510)의 호 형상(511)을 가압하여 가압부(510)가 탄성 변형되므로, 가압부(510)의 단부가 인쇄회로기판(50)을 가압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5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섀시(40)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면 임의로 섀시(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부(520)는 스토퍼(stopper)(5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523)는 헤드(522)로부터 인쇄회로기판(5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장착부재(500)는 스토퍼수용홈(50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수용홈(506)은 장착부재(500)의 제2 가이드홀(505)이 끝나는 가압부(510)의 호 형상(511)의 정상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520)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520)에 스토퍼(52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착부(520)에만 스토퍼(523)가 마련되면, 인쇄회로기판(50)을 섀시(40)로부터 탈거할 때 하나의 장착부(520)의 가압부(510)만 가압하여 스토퍼(523)를 스토퍼수용홈(506)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50)을 섀시(40)로부터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구조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20: 전면 커버 30: 후면 커버
40: 섀시 50: 인쇄회로기판
60: 기판안착부 61: 정상면
62: 경사면 100: 장착부재
101: 지지부 102: 리드
103: 제1 지지부 104: 제2 지지부
110: 결합부 111: 제1 부분
112: 제2 부분 113: 가이드섹션
114: 가압섹션 115: 차단섹션
116: 모따기 120: 장착부
121: 삽입홀 122: 두께형성부
141: 가이드홈 142: 스토퍼수용홈
143: 설치홀 144: 관통홀
145: 지지부수용홈 161: 가이드돌기
162: 스토퍼 200: 장착부재
201: 지지부 202: 저면
203: 측면 204: 상면
210: 결합부 211: 제1 결합부
213: 제2 결합부 213: 제1 부분
214: 제2 부분 215: 제3 부분
241: 관통홀 300: 장착부재
301: 지지부 302: 리드
304; 제2 관통홀 305: 제2 가이드홀
310: 가압부 320: 장착부
321: 넥 322: 헤드
343: 설치홀 344: 제1 관통홀
345: 제1 가이드홀 400: 장착부재
410: 결합부 411: 제1 결합부
412: 제2 결합부 413: 가압부
441: 가이드홈 442: 결합홈
443: 제1 결합홈 444: 제2 결합홈
461: 가이드돌기 462: 설치부
463: 스토퍼 500: 장착부재
501: 지지부 502: 리드
504: 제2 관통홀 505: 제2 가이드홀
506: 스토퍼수용홈 510: 가압부
511: 호 형상 520: 장착부
521: 넥 522: 헤드
523 스토퍼 543: 설치홀

Claims (13)

  1. 복수의 기판안착부가 마련된 섀시;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되며, 설치 홀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에 마련되는 장착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장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장착부재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설치홀에 삽입될 수 있는 리드를 포함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기판안착부 각각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며,
    상기 기판안착부 각각과 연결되는 넥과, 상기 넥에 연결되고 상기 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고,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장착부에 결합 시,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헤드의 하부 및 상기 넥의 둘레에 위치하며,
    상기 섀시, 상기 장착부,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은,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과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과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재를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섀시 사이에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ence) 접지를 발생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장착부의 상기 헤드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의 상기 넥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2 관통홀과, 상기 제1 가이드홀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헤드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장착부재의 지지부 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가압부 측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되는 호 형상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상기 장착부의 헤드의 하단에 대응되는상기 장착부재의 상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면 상기 헤드가 상기 장착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의 가압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가압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호 형상의 정상에 마련되는 스토퍼수용홈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장착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설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설치홀에 삽입될 수 있는 리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리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과 일체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홀은 상기 제2 관통홀로부터 상기 호 형상의 정상까지 연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13. 복수의 기판안착부가 마련된 섀시;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에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복수의 기판안착부 각각에 마련되는 장착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장착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기판안착부 각각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며,
    상기 기판안착부 각각과 연결되는 넥과, 상기 넥에 연결되고 상기 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스토퍼수용홈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KR1020200062284A 2020-05-25 2020-05-25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6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84A KR102176720B1 (ko) 2020-05-25 2020-05-25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84A KR102176720B1 (ko) 2020-05-25 2020-05-25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975A Division KR102116932B1 (ko) 2015-12-04 2015-12-04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335A KR20200060335A (ko) 2020-05-29
KR102176720B1 true KR102176720B1 (ko) 2020-11-10

Family

ID=7091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284A KR102176720B1 (ko) 2020-05-25 2020-05-25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6238A (ko) * 2023-01-20 2024-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4662A1 (en) 2004-11-30 2006-06-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unt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9502A (en) * 1999-04-28 2000-11-01 Aea Technology Plc Modular Corona discharge reactor
KR100433108B1 (ko) * 2001-08-10 2004-05-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회로기판 설치구조
KR20080005732A (ko) * 2006-07-10 2008-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섀시 베이스와 보스의 결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4662A1 (en) 2004-11-30 2006-06-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unting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335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932B1 (ko)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7648370B2 (en) Display apparatus
KR101001405B1 (ko) 액정표시장치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US9323087B2 (en)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KR100559802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 기기
EP2651202B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EP2423733A1 (en) Light providing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CN106842694B (zh) 背光单元及包括其的显示装置
EP3176631B1 (en) Display apparatus
US10095264B2 (en) Sound syste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KR20150131453A (ko) 표시장치
KR102176720B1 (ko) 인쇄회로기판 장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051335B1 (en) Display apparatus
CN114846913B (zh) 用于电子设备的pcb组件
JP2003228295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281756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7257902B (zh) 显示模块以及具有该显示模块的显示设备
KR20080075341A (ko) 평판표시모듈용 케이스 및 평판표시장치.
JP2013125210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9098385A (ja) 液晶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