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493B1 - Stack type oil cooler - Google Patents

Stack type oil coo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493B1
KR102176493B1 KR1020140026641A KR20140026641A KR102176493B1 KR 102176493 B1 KR102176493 B1 KR 102176493B1 KR 1020140026641 A KR1020140026641 A KR 1020140026641A KR 20140026641 A KR20140026641 A KR 20140026641A KR 102176493 B1 KR102176493 B1 KR 102176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utlet
hole
support plate
tub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4818A (en
Inventor
이홍열
박정상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4002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493B1/en
Publication of KR2015010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5Air cooling or ventilation; Heat exchangers; Thermal in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2003/006Liquid cooling the liquid being 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부와, 플랜지부와, 지지플레이트와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부재는, 유입홀과 유출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부플레이트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는, 각각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와, 제1유출구 및 제2유출구 주변을 따라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여 조립 시 서로 맞닿아 용융 접합되는 내압보강부를 구비하는 적층형 오일쿨러를 제공한다.
따라서 내압이 가장 취약한 양측 라운드변에 내압보강부를 구비하여 내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 및 제품의 중량 및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portion, a flange portion, a support plate and an end cap, wherein the tube member includes an upper plate having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penetrating through both sid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respectively. , A second inlet and a second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the upper plate includes a lower plate that is melt-bonded with the upper plate to form a flow path by being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each formed along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an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nd are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have a pressure-resistant reinforcing part that is melt-bonded to contact each other during assembly. to provide.
Therefore, it is economical becau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the weight and unit cost of the product by improving the pressure resistance by providing the pressure-resistant reinforcing parts on both round sides of the weakest internal pressure.

Description

적층형 오일쿨러 {Stack type oil cooler}Stack type oil cooler

본 발명은 적층형 오일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오일쿨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ed oil coo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cked oil cooler capable of improving not only the pressure resistance, but also the assembling property.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종 오일은 해당 부품 간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윤활기능은 물론, 마모나 마멸을 방지하는 등의 기능을 도모한다. 가령, 변속기에 사용되는 오일은 변속기의 토크 컨버터 내에 동력을 전달하고, 기어 또는 베어링 등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며, 각종 유압기구 즉, 밸브, 클러치 등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변속기의 접동부를 냉각시키고, 이때의 오일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하측에 연결되는 오일 팬으로부터 펌프에 의해 각종 밸브기구 및 유압부품으로 공급된다. In general, various oils in automobiles promote functions such as lubricating function to smooth the operation between corresponding parts, as well as preventing wear or abrasion. For example, the oil used in the transmission transmits power in the torque converter of the transmission, facilitates rotation of gears or bearings, etc., and cools the sliding part of the transmission while smoothing the operation of various hydraulic mechanisms, such as valves and clutches. At this time, the oil is supplied to various valve mechanisms and hydraulic parts by a pump from an oil pan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mission case.

한편, 이러한 자동차의 각종 오일은 부품 상호 간의 윤활작용과 함께 과열 등을 방지하기도 하는데, 성능유지를 위하여 오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과열된 오일을 냉각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오일 쿨러(Oil cooler)를 설치하여 고온의 오일을 냉각시키고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various oils of automobiles also prevent overheating as well as lubricating between parts. It is important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oil constant to maintain performance, and in order to cool the overheated oil, conventionally The oil cooler of is installed to cool the hot oil.

이에, 상기한 오일쿨러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68100호의 단위부재 및 그 단위부재를 이용한 자동차 변속기의 오일 쿨러가 개시된 바 있으며, 상기한 오일 쿨러는 오일이 유동하고 다수의 채널이 형성된 압출튜브와, 압출튜브의 양 끝단에 조립되는 캡과, 상기 압출튜브와 캡의 조립체 복수개를 서로 적층 조립하여 일체화 시키는 헤더와, 압출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아웃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Accordingly, as an example of the technology for the oil cooler described above, the unit member of Korean Patent No. 10-1068100 and the oil cooler of an automobile transmission using the unit member have been disclosed, and the oil cooler allows oil to flow and a plurality of channels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extruded tube formed, a cap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extruded tube, a header that laminates and assembles a plurality of assemblies of the extruded tube and the cap, and an outpin disposed between the extruded tube.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적층형 오일쿨러(70)는, 적층 배열된 복수개의 튜브(10)의 내부에 방열성능을 높이기 위한 이너핀(20)이 삽입되며, 이때의 상기 이너핀(20)은 튜브(10) 내부의 끝단까지 모두 채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적층형 오일쿨러(70)는 내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연통홀(11)의 주변까지 아웃핀(30)을 구비하며, 최하단에는 구조적인 취약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긴 플레이트 형상의 엔드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1, 52는 각각 유입플랜지와 유출플랜지를 나타내며, 60은 탑플레이트를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in the conventional stacked oil cooler 70, an inner pin 20 for increasing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a plurality of tubes 10 that are stacked and arranged. The inner pin 20 has a structure in which all the inner ends of the tube 10 are filled. In addition, the stacked oil cooler 70 is provided with an out pin 30 to the periphery of the communication hole 11 to reinforce the pressure resistance, and at the lowermost end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tube 10 to reinforce structural weakness. It is provided with an end plate 40 in the shape of an elongated plate. Here, reference numerals 51 and 52 denote an inlet flange and an outlet flange, respectively, and 60 denotes a top plate.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적층형 오일쿨러(70)는, 이너핀(20)이 튜브(10)의 끝단까지 채워져서, 양측 단부에 홀을 관통형성하고, 또한 튜브(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형상으로 컷팅 하는 등 일련의 가공과정에서 이너핀(20)의 찌그러짐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tacked oil cooler 70, the inner pin 20 is filled to the ends of the tube 10, and holes are formed through both ends, and further round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ube 10 There is a problem that deformation such as crushing of the inner pin 20 occurs during 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such as cutting into a shape.

또한, 종래의 적층형 오일쿨러(70)는, 얇은 두께의 이너핀(20)과 아웃핀(30)으로는 내압이 가장 취약한 양측 단부의 내압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최하단부의 엔드플레이트(40) 또한 보강이 불필요한 곳까지 보강하도록 긴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중량 및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tacked oil cooler 70,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the internal pressure at both ends of the inner pins 20 and the out pins 30, which have the weakest internal pressure, as well as the end plate 40 at the lowermost end. )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and unit cost were increased by making a long plate to reinforce to places where reinforcement is unnecessary.

본 발명은, 이너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과 결합하는 최하단의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 주변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엔드캡의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한 오조립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엔드캡의 오조립을 방지하면서, 튜브부재와 지지플레이트가 서로 끼움 조립되도록 조립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고,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적층형 오일쿨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inner pin, can improve the pressure resistance, as well as improve the assembly properties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conomics of the product, and the end cap and the end cap The lowermost plate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formed around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lower plate, and a fitting protrus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end cap and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 assembly preventing means is provided to prevent misassembly of the end cap, and an assembly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tube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are fitted together, so tha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can be easily set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aminated type oil cooler with a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오일쿨러는 일측에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 복수개가 서로 적층 배열되는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재의 유입홀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 상기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유입플랜지와, 상기 튜브부재의 유출홀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부터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플랜지를 포함하는 플랜지부와, 적층 배열된 상기 튜브부재들과 상기 튜브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부를 지지하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튜브부에서 최하단의 상기 튜브부재의 하측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열교환매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부재는 외측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유체의 난류유동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엠보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 단부가 상기 엠보부에 접촉 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를 따라 형성되어 상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를 따라 형성되어 하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출구 주변에 상기 튜브부재의 외측 라운드변을 따라 호형상으로 하향 절곡 형성된 제1내압보강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튜브부재의 외측 라운드변을 따라 호형상으로 상향 절곡 형성된 제2내압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제2내압보강부를 서로 맞닿아 용융 접합하여 구성한 내압보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평단면형상이 상기 유입홀을 중심으로 반원형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입홀 측에 결합하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평단면형상이 상기 유출홀을 중심으로 반원형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출홀 측에 결합하는 제2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과 결합하는 최하단의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 주변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엔드캡의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한 오조립방지수단을 구비하면서, 상기 튜브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서로 끼움 조립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립부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조립부는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 주변에 형성되면서 상기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조립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조립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홈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cked oil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nto one side, an outlet hol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nto the other side is formed,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s formed inside the tube member A plurality of tube portions are stacked and arranged with each other, an inlet flange coup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hole of the tube member to supply the heat exchange medium to the tube member, and the tube member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hole of the tube member A flange portion including an outlet flang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out, and the tube members stacked and arranged between the tube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to support the tube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through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to flow the heat exchange medium, and an end that is coupled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t the lower end of the tube member at the bottom of the tube portion to prevent the heat exchange medium from flowing out Including a cap, wherein the tube member is formed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to form a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to induce turbulent flow of fluid, and the support plate has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in contact with the embossed portion and the position thereof is fixed An upper plate having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penetrating through both sides to correspond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nd second inlet and second outlets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respectively. And a lower plate formed and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to be melt-bonded with the upper plate to form the flow path, wherein the upper plate is formed along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A second fitting portion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lower plate formed along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nd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A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having a fitting part and formed bent downward in an arc shape along an outer round side of the tube member around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y And a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formed to be bent upward in an arc shape along an outer round side of the tub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in the tube, and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and the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fit each other. And a pressure-resistant reinforcing part formed by contacting and melting bonding, and the support plate includes a portion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a semicircular shape around the inlet hole, and a first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inlet hole side of the tube member; The cross-sectional shape includes a semicircular portion around the outlet hole, and includes a second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outlet hole side of the tube member, and the end cap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end coupled to the end cap The plate is misassemble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around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lower plate, and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end cap and is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While having a preventing means, the tube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further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assembly portions that are fitted together, wherein the assembly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of the tube member so that the assembly protrusion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ssembly groove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narrow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an assembly protrusion that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groove of the support plate and is fitted into the assembly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오일쿨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e stacked oil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부분에 내압보강부를 통하여 내압을 보강함으로써 제품 전체의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essure resistance of the entire product by reinforcing the internal pressure through the pressure-resistant reinforcing portion in the portion where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n and out.

둘째, 튜브부재 사이에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여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econd, it is possible to improve pressure resistance by providing a support plate between the tube members.

셋째, 최하단의 엔드캡의 구조를 긴플레이트가 아닌 유입홀과 유출홀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캡구조로 형성하여, 제품의 중량 및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Third, the structure of the end cap at the bottom is formed in a pair of cap structures to block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rather than a long plate, so that the weight and cos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넷째, 오조립방지수단과 조립부를 통하여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엔드캡의 오조립을 방지하면서, 지지플레이트의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고,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urth, while preventing misassembly of the end cap that may occur during assembly through the erroneous assembly prevention means and the assembly uni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can be easily set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duct reliability. I can make it.

다섯째, 가공 시 이너핀의 변형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fth,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inner pin during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도 1은 종래의 적층형 오일쿨러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층형 오일쿨러에서 유출구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오일쿨러에서 유입구측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적층형 오일쿨러의 플랜지부와 지지플레이트와 튜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도 4의 상부플레이트와 내압보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지지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지지플레이트를 조립부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고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최하측의 하부플레이트와 엔드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엔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엔드캡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방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엔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엔드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acked oil cool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let side of the stacked oil cooler of FIG. 1.
3 is a front view of an inlet side of a stacked oil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nge portion, a support plate, and a tube portion of the stacked oil cooler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plate and the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of FIG. 4.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plate of FIG. 4.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of FIG. 4.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of FIG. 4 using an assembly por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most plate and the end cap of FIG. 4 are couple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d cap of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rroneous assembly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erroneous assembly of the end cap of FIG. 8.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d cap of FIG. 12.
1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nd cap of FIG. 1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오일쿨러(700)는, 차량용 라디에이터 탱크(Radiator tank;미도시)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열교환매체로서 변속기(Transmission)를 구동하는 미션오일이 엔진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각되도록 하며, 튜브부(100)와, 플랜지부(200)와, 지지플레이트(300)와, 엔드캡(400)을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3 to 5, a stacked oil coole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radiator tank (not shown) for a vehicle, and transmits a transmission as a heat exchange medium. The driving mission oil is cool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engine coolant, and includes a tube part 100, a flange part 200, a support plate 300, and an end cap 400.

한편, 상기 적층형 오일쿨러(700)는, 상기 튜브부(100)의 내부에 이너핀(미도시)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부(100)는 엔진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체의 난류유동을 유도하고, 내부로 유동하는 상기 열교환매체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는 엠보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acked oil cooler 700 has an inner fi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tube part 100, and the tube part 100 contains fluid so as to improve heat exchange with engine coolant. It is possible to form an embossed portion 150 capable of inducing turbulent flow and cooling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herein.

여기서, 상기한 이너핀과 엠보부(1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공지의 적층형 오일쿨러와는 대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형 오일쿨러(700)는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부분과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부분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중 유입부분에 대해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He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ner pin and the embossed portion 150 will be omitted since it corresponds to a known configuration, and hereinafter, a configuration largely different from a known stacked oil cooler will be focused on. In addition, since the in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n and the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out of the stacked oil cooler 700 have the same shape, only the double inlet por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튜브부(100)는, 내부에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131)가 형성되며, 일측에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유입된 상기 열교환매체는 상기 튜브부(100)를 따라 수평한 방향으로 분배되어 유동하고, 상기 유출홀을 통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유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the tube part 100, a flow path 131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s formed,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s formed on one side, and an outlet hol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nto the other side is formed. Thus,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inlet hole is distribu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tube part 100 and flows, and flows out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outlet hole.

상세하게, 상기 튜브부(100)는, 복수개의 튜브부재(130)가 서로 적층 배열되어 있다. 상기 튜브부재(130)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며, 프레스로 판재를 성형하여 형성되며, 테두리부가 브레이징을 통하여 용융 접합되는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In detail, in the tube part 100, a plurality of tube members 130 are stacked and arranged with each other. The tube member 130 has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by molding a plate material by pressing, and includes an upper plate 110 and a lower plate 120 to which an edge portion is melt-bonded through brazing. .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1유입구(111)와 제1유출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6, the upper plate 110 has a first inlet 111 and a first outlet (not shown) formed therethrough at both sid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respectively.

상기 하부플레이트(120)는, 상기 제1유입구(111)와 상기 제1유출구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121; 도 5참조)와 제2유출구(미도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131)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상호 용융 접합된다.The lower plate 120 has a second inlet 121 (see FIG. 5) and a second outlet (not shown) form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111 and the first outlet, respectively, and the upper portion It is disposed under the plate 110 and is melt-bonded to the upper plate 110 so that the flow path 131 is formed.

상기 튜브부재(130)는, 열교환매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외측 라운드변을 따라 내압보강부(140)가 형성되어, 내압으로 특히 취약한 유입홀과 유출홀 주변의 내압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tube member 130 has a pressure-resistance reinforcing part 140 formed along the outer round sid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n and out, so that the pressure-resistant stiffness around the inlet hole and outlet hole, which is particularly weak due to internal pressure, can be improved. Has been.

상기 내압보강부(1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내압보강부(14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여 조립 후 서로 맞닿아 브레이징 용융 접합된다. 또한, 상기 내압보강부(140)는, 내압이 특히 취약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상기 제1유입구(111) 및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제2유입구(121) 및 상기 제1유출구 주변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어 내압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Looking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reinforcing portion 140, the pressure reinforcing portion 140 is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then abuts against each other after assembling to be melt-bonded by brazing. . In addition, the pressure-resistant reinforcing part 140 includes the first inlet 111 and the first outlet of the upper plate 110, which has a particularly weak inner pressure, and the second inlet 121 of the lower plate 120, and It is formed to be spac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outlet to effectively reinforce internal pressure.

상세하게, 상기 내압보강부(14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제1내압보강부(14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 형성되며 조립 시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맞닿아 브레이징 시 용융 접합되는 제2내압보강부(142;도 10참조)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140 includes a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141 formed o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141 formed on the lower plate 120 and when assembled. And a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142 (see FIG. 10)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melt-bonded during brazing.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상기 제1유입구(111)와 상기 제1유출구 각각의 주변에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141 is formed by being bent downward around each of the first inlet 111 and the first outlet of the upper plate 110.

상기 제2내압보강부(142)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서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조립 시 상측면이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접촉한다.The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142 is bent up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141 on the lower plate 120,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is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when assembled. Contact with (141).

한편,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상기 제2내압보강부(142)는, 각각 엠보(Embo)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버링가공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상기한 내압보강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가공 공정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ortion 142 are respectively formed through embo processing. However, this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processing processes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pressure reinforcing part 140 can be formed not only through the burring process described above as an embodiment.

또한, 상기 제1내압보강부(141)와 상기 제2내압보강부(14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상기 제1유입구(111) 및 상기 제2유입구(12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제2유입구(121) 및 상기 제1유출구 주변 외측을 따라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131) 내측으로 삽입되는 이너핀과의 간섭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호형상 외에 지그재그형상 등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그 길이 또한 이너핀과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ortion 141 and the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ortion 142 may include the first inlet 111 and the second inlet 121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It is preferabl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inlet 121 of 120 and the inner pin inserted into the passage 131 by being formed in an arc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outlet. However,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s long as it can achieve the purpose of improving internal pressure such as zigzag shape in addition to arc shape, of course, various shapes can be applied, and the length can also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interference with the inner pin. Of course you can.

또한, 상기 내압보강부(140)는, 상기 튜브부재(130)의 내압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홀과 유출되는 유출홀 모두에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유입홀과 유출홀 중 특히 내압에 취약한 유입홀 주변에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140 serves to improv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ube member 130, and may be formed in both the inflow hole through which oil flows and the outflow hole as described above. As a matter of course,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may be formed only around the inlet hole which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internal pressure.

상기 플랜지부(2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100)로 열교환매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며, 유입플랜지와, 유출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플랜지는, 최상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튜브부(100)에서 최상측 튜브부재(130)의 제1유입구(111)에 연통되게 결합하고 유입구(201;도 4참조)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부(100)로 상기 열교환매체를 공급한다.The flange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300 to inflow and outflow a heat exchange medium into the tube portion 100, and includes an inlet flange and an outlet flange. The inlet flange is coup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inlet 111 of the uppermost tube member 130 from the support plate 300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and the tube portion 100, and the inlet port 201 (see FIG. 4) Is formed to supply the heat exchange medium to the tube part 100.

상기 유출플랜지는, 상기 유입플랜지와 동일한 구조로서 최상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튜브부(100)에서 최상측 튜브부재(130)의 제1유출홀에 연통되게 결합하고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부(100)로부터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플랜지와 상기 유출플랜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outlet flang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inlet flange, and is coup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outlet hole of the uppermost tube member 130 from the support plate 300 located at the top and the tube portion 100, and an outlet is formed. So that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out of the tube part 100. He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let flange and the outlet flange corresponds to a known configuration, and thus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튜브부재(130)의 상기 유입홀 측과 유출홀 측 각각에 별개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복수개로 적층 배열 된 상기 튜브부재(130)들과 상기 튜브부(100)와 상기 플랜지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부(100)를 지지하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301)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평단면 형상이 상기 튜브부재(130)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튜브부재(130)들 사이의 간격 등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upport plate 300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inlet hole side and the outlet hole side of the tube member 130. In detail, the support plate 300 is provided between the tube members 130 and the tube portion 100 and the flange portion 200 arranged in a plurality of stacks to support the tube portion 100, and , A through hole 30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to allow the heat exchange medium to flow. Here, the support plate 3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at sectional surface of the tube member 130, 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ube members 130. .

나아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평단면형상이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을 중심으로 반원형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튜브부재(130)와의 접촉면적 증대로 인한 보강면적을 늘림으로써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late 300 includes a portion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a semicircular shape around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resistan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reinforcing area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tube member 130.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대하여 양측에 별개로 구비되기 때문에, 조립 후 흔들림 없이 각각의 위치가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upport plate 300 is separat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s described above, each position needs to be fixed without shaking after assembly. Accordingly, a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300 is required, and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제1실시예로 상기 적층형 오일쿨러(7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관통홀에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가 끼움 결합되게 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tacked oil cooler 700 allows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to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late 300 so that the support plate 300 is The position can be fixed.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상기 제1유입구(111)와 상기 제1유출구를 따라 상향 절곡되어 상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관통홀(301)에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부(112;도 5참조)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120)는, 상기 제2유입구(121)와 상기 제2유출구를 따라 하향 절곡되어 하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관통홀(301)에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122)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상기 제1끼움부(112)와 상기 제2끼움부(122)를 통하여 상기 튜브부재(130)들과의 결속력을 확고하게 보장받을 수 있다. To this end, the upper plate 110 is bent upward along the first inlet 111 and the first outlet to be fitted to the through hole 301 of the support plate 300 coupled to the upper side. A fitting part 112 (see FIG. 5) is provided, and the lower plate 120 is bent downward along the second inlet 121 and the second outlet, and the support plate 3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It has a second fitting portion 122 that is fitted to the through hole 301.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 300 may be securely secured with a binding force between the tube members 130 through the first fitting portion 112 and the second fitting portion 122.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엠보부(150)에 접촉 지지되도록 그 길이를 길게 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와 상기 튜브부재(130)에 특별한 가공 없이도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as a secon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300 can be fixed by extending its length so that one end thereof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mbossed portion 150 so that there is no shaking. .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300 can be fixed without any special processing to the support plate 300 and the tube member 130.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로는, 상기 튜브부재(1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0)가 서로 끼움 조립되도록 조립부(500)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in a third embodiment, an assembly part 500 is formed so that the tube member 130 and the support plate 300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300 is fixed. I can make it.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립부(500)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부재(130)의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 주변에 형성된 조립홈(51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서 상기 조립홈(5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홈(510)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돌기(520)를 포함하여, 상기 조립홈(510)과 상기 조립돌기(520)를 통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의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고,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one or more assembly portions 500 may be formed, an assembly groove 510 formed around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of the tube member 130, and the support plate Including an assembly protrusion 520 that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groove 510 at 300 and is fitted into the assembly groove 510, the assembly groove 510 and the assembly protrusion 520 Through this,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300 can be easily set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한편, 상기 조립홈(510)은, 상기 조립돌기(52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조립돌기(520)가 보다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ssembly groove 510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ssembly protrusion 520 is inserted, so that the assembly protrusion 520 can be more easily assembled, thereby improving assembly performance. .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엔드캡(400)은, 상기 튜브부재(130)에서 최하단의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하측 상기 제2유입홀(121)과 상기 제2유출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2유입홀(121)과 상기 제2유출홀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열교환매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10 and 11, the end cap 400 is in the second inlet hole 121 and the second outlet hole below the lower plate 120 of the tube member 130, respectively. Combined to close the second inlet hole 121 and the second outlet hole, it serves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um.

상기 엔드캡(40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제2유입홀(121)에 끼움결합되도록 상향 돌출된 삽입부(410)가 형성되어 조립 후 상기 제2유입홀(121)에 접함 브레이징 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410)는 유입되는 열교환매체에 대한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The end cap 4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410 protruding upward so as to be fitted into the second inlet hole 121 of the lower plate 120, and contacts the second inlet hole 121 after assembly. do. On the other hand, the insertion part 41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improv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eat exchange medium to be introduced, and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엔드캡(400a)과, 상기 하부플레이트(120a)는 오조립방지수단(600)을 더 구비하여, 조립 시 상기 엔드캡(400a)의 조립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12 and 13, the end cap 400a and the lower plate 120a further include an erroneous assembly preventing means 600, so tha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end cap 400a can be set during assembly. have.

상기 오조립방지수단(60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a)의 상기 제2유입구(121)와 상기 제2유출구 주변에 형성된 끼움홈(610)과, 상기 엔드캡(400a)의 상기 끼움홈(6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61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620)로 이루어져, 상기 엔드캡(400a)의 오조립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610)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를 갖는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10a는 상기 엔드캡(400a)에 형성된 삽입부를 나타낸다.The misassembly preventing means 600 includes a fitting groove 610 formed around the second inlet 121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lower plate 120a, and the fitting groove of the end cap 400a. Consisting of a fitting protrusion 620 that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610 and is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610, it prevents misassembly of the end cap 400a. Here, the fitting groove 6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having a certain depth as shown in the drawing, but this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shape may be applied as an example. Here, reference numeral 410a denotes a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end cap 400a.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엔드캡(400b)은, 일측 단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의 엠보부(150)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여 조립 후 흔들림 없이 그 위치가 고정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4 as another embodiment, the end cap 400b is such that one e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embossed portion 150 of the lower plate 120 so that the position thereof is fixed without shaking after assembly. I ca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튜브부 110,110a... 상부플레이트
111... 제1유입구 120,120a... 하부플레이트
121... 제2유입구 130... 튜브부재
140... 내압보강부 141... 제1내압보강부
142... 제2내압보강부 200... 플랜지부
300,300a,300b... 지지플레이트 400,400a,400b... 엔드캡
500... 조립부 510... 조립홈
520... 조립돌기 600... 오조립방지수단
610... 끼움홈 620... 끼움돌기
700... 적층형 오일쿨러
100...tube part 110,110a...top plate
111... 1st inlet 120,120a... Lower plate
121... 2nd inlet 130... Tube member
140... internal pressure reinforcement part 141...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ement part
142... 2nd internal pressure reinforcement part 200... Flange part
300,300a,300b...Support plate 400,400a,400b...End cap
500... assembly part 510... assembly groove
520... Assembly protrusion 600... Means to prevent incorrect assembly
610... fitting groove 620... fitting protrusion
700... stacked oil cooler

Claims (12)

일측에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재 복수개가 서로 적층 배열되는 튜브부;
상기 튜브부재의 유입홀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 상기 열교환매체를 공급하는 유입플랜지와, 상기 튜브부재의 유출홀에 연통되게 결합하여 상기 튜브부재로부터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출되는 유출플랜지를 포함하는 플랜지부;
적층 배열된 상기 튜브부재들과 상기 튜브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부를 지지하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튜브부에서 최하단의 상기 튜브부재의 하측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열교환매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튜브부재는,
외측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유체의 난류유동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엠보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일측 단부가 상기 엠보부에 접촉 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양측에 제1유입구와 제1유출구가 관통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에 대응되는 양측에 제2유입구와 제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호 용융 접합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출구를 따라 형성되어 상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를 따라 형성되어 하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출구 주변에 상기 튜브부재의 외측 라운드변을 따라 호형상으로 하향 절곡 형성된 제1내압보강부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튜브부재의 외측 라운드변을 따라 호형상으로 상향 절곡 형성된 제2내압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압보강부와 제2내압보강부를 서로 맞닿아 용융 접합하여 구성한 내압보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평단면형상이 상기 유입홀을 중심으로 반원형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입홀 측에 결합하는 제1지지플레이트와, 평단면형상이 상기 유출홀을 중심으로 반원형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출홀 측에 결합하는 제2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과 결합하는 최하단의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 주변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엔드캡의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한 오조립방지수단을 구비하면서,
상기 튜브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서로 끼움 조립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립부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조립부는 상기 튜브부재의 상기 유입홀과 상기 유출홀 주변에 형성되면서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조립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조립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홈에 끼움 결합하는 조립돌기인 적층형 오일쿨러.
A tube part in which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nto one side is formed, an outlet hol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nto the other sid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tube members having flow paths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are formed in a stacked arrangement ;
An inlet flange coupled to the inlet hole of the tube member to supply the heat exchange medium to the tube member, and an outlet flange coupled to the outlet hole of the tube member to allow the heat exchange medium to flow out from the tube member. A flange portion;
A plurality of stacked-arranged tube members are provided between the tube part and the flange part to support the tube part, and through holes are form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to flow the heat exchange medium. Support plate; And
And an end cap coupled to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on the lower side of the tube member at the bottom of the tube portion to prevent the heat exchange medium from flowing out,
The tube member,
A plurality of embossed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re formed to induce turbulent flow of the fluid, and the support plate has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in contact with the embossed portion and the position thereof is fixed, respectively, in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An upper plate having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penetrating through both sides so as to correspond, and a second inlet and a second outlet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hat is melt-bonded with the upper plate so that the flow path is formed,
The upper plate has a first fitting portion formed along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plate includes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It is formed along the outlet and has a second fitting portion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lower side,
A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formed bent downward in an arc shape along an outer round side of the tube member around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of the upper plat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in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formed by bending upward in an arc shape along an outer round side of the tube member at a position, and having an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configured by melt-bonding the first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and the second internal pressure reinforcing part,
The support plate,
A first support plate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a semicircular portion around the inlet hole, and a first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inlet hole side of the tube member, and a flat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a semicircular portion around the outlet hole, , And a second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outlet hole side of the tube member,
The end cap and the lower plate at the lowermost end coupled to the end cap are provided in a fitting groove formed around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of the lower plate,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end cap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preventing mis-assembly having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The tube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further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assembly portions that are fitted together, wherein the assembly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inlet hole and the outlet hole of the tube member and narrow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ssembly projection is inserted. An assembly groove formed in a tapered shape,
A stacked oil cooler that is an assembly protrus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groove of the support plate and fitted into the assembly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26641A 2014-03-06 2014-03-06 Stack type oil cooler KR102176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41A KR102176493B1 (en) 2014-03-06 2014-03-06 Stack type oil coo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41A KR102176493B1 (en) 2014-03-06 2014-03-06 Stack type oil coo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18A KR20150104818A (en) 2015-09-16
KR102176493B1 true KR102176493B1 (en) 2020-11-09

Family

ID=5424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641A KR102176493B1 (en) 2014-03-06 2014-03-06 Stack type oil coo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4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169B1 (en) * 2019-08-21 2024-02-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Stacked plate type heat exchan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0639A1 (en) * 2005-06-21 2007-01-04 Calsonic Kansei Corporation Oil cool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213A (en) * 2001-12-19 2003-06-25 주식회사 엘티에스 Oil coo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0639A1 (en) * 2005-06-21 2007-01-04 Calsonic Kansei Corporation Oil coo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18A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8048B2 (en) Oil cooler
JP5749356B2 (en) Plate heat exchanger
EP3298339B1 (e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tank
JP4996284B2 (en) Pipe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JP6154122B2 (en) Multi-plate stacked heat exchanger
KR102176493B1 (en) Stack type oil cooler
EP2815198B1 (en) Plate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strength in port area
JP4857074B2 (en) Plate type heat exchanger
CN110617120B (en) Oil cooler
EP2690389B1 (en) Heat exchanger
JP6408855B2 (en) Heat exchanger
JP2015102279A (en) Oil cooler
KR101062407B1 (en) Multi-layer Oil Heat Exchanger
KR20170121756A (en) Cooling water waste heat recovering heat exchang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11571B2 (en) Heat exchanger
KR101970968B1 (en) Stack type oil cooler
KR100600561B1 (en) Water-Cooled Oil Cooler for Cooling of Automobile Engine Oil
KR101707046B1 (en) Oil cooler
JP7323976B2 (en) Flange structure and heat exchanger with same structure
KR102088344B1 (en) Stack type oil cooler
JP2008304133A (en) Heat exchanger
KR102567473B1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multiple fluids
US20150267971A1 (en) Heat exchanger
JP2017187059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8076984A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