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306B1 -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306B1
KR102176306B1 KR1020190173857A KR20190173857A KR102176306B1 KR 102176306 B1 KR102176306 B1 KR 102176306B1 KR 1020190173857 A KR1020190173857 A KR 1020190173857A KR 20190173857 A KR20190173857 A KR 20190173857A KR 102176306 B1 KR102176306 B1 KR 10217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eight
delete delete
partiti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세열
Original Assignee
(주)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덕 filed Critical (주)혜덕
Priority to KR102019017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5Glazing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10Writing surfac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6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with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8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containing a fluorine comp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04B2002/7492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used in partition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조절과 이동설치가 용이한 유리칸막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표시된 문자 등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칸막이부재의 프레임 폭을 최소화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유리칸막이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칸막이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하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측 지지부재는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부 전후측면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결합홈의 입구부분 전후측 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의 전후측면에 밀착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지지바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전후단이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판재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재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유리칸막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유리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칸막이는 칸막이본체부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되고,
배면에 빛투과성과 다른 빛투과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보조산란부재를 배치하되;
상기 보조산란부재는 표면에는 흰색 안료가 도포되어 격자 형태의 오목부 또는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폭은 0.5 mm 내지 1 mm 범위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3 mm 내지 0.7 mm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불규칙적인 요철들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는 평균 입경 8㎛ 내지 12㎛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BLACKBOARD PARTITION WITH IMPROVED VISIBILITY}
본 발명은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조절과 이동설치가 용이한 유리칸막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표시된 문자 등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칸막이부재의 프레임 폭을 최소화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칸막이은 실내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는 인테리어 기구이다.
상기 유리칸막이은 설치되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일렬로 연결 설치되거나,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연결 설치되어 공간을 원하는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종래의 유리칸막이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써 프레임을 만들고, 프레임 내부 공간을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재로 채운 후, 그 양 측면에 합판 또는 철판을 결합한 상태에서 표면을 직물 또는 도색으로 마감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유리칸막이 칸막이들을, 배치 공간에 설치되는 설치 프레임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유리칸막이 설치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유리칸막이은 사무실과 같은 업무 공간에서 회의실 등을 별도로 구획하기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회의실과 같은 업무 공간의 경우 기록을 위한 칠판이 필요한데, 유리칸막이은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구로서, 칠판과 같은 무거운 기구를 고정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유리칸막이 자체를 칠판으로 활용하거나, 종래 일반적인 유리칸막이와 칠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유리칸막이를 함께 구성하여 공간을 구획하는 것은 여러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런데, 잉크를 이용하는 필기용 마커(Marker)로써 필기할 수 있는 칠판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그 표면이 매끄러워 잉크로써 필기가 가능하면서도 이를 깨끗이 지울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통상 업무를 위한 사무실 또는 회의실의 경우, 이를 이용하고자 할때 조명장치들을 켜서 밝은 환경이 되도록 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상기 조명장치들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칠판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명장치들로부터의 광이 칠판의 표면으로부터 강하게 반사되는 경우에는, 광반사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필기 내용이 보이지 않거나 퍼져 보이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칠판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난반사 시켜 한쪽 방향으로 집중 반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필기 내용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칠판으로 이용되는 유리칸막이 칸막이를 설치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면서도, 결합 설치를 위한 구성이 가급적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최대한의 필기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143582호(2012. 04. 30.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545203호(2015. 08. 11.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194264호(2012. 10. 18.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613085호(2016. 04. 11.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유리칸막이의 높이조절과 이동설치가 용이한 유리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유리칸막이를 칠판으로 이용가능하면서도 유리칸막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필기된 사항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한 유리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칠판으로 이용되는 유리칸막이 칸막이에서 설치를 위한 구성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한 유리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설치 시공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단순하도록 구성되어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한 유리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실크 스크린 프랜팅 식각 방식을 이용하여 유리의 표면을 가공하여 유리 표면의 균질성과 눈부심 방지효과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유리칸막이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칸막이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하측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측 지지부재는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부 전후측면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바와, 상기 결합홈의 입구부분 전후측 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의 전후측면에 밀착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지지바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전후단이 상기 걸림턱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판재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재의 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유리칸막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유리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칸막이는 칸막이본체부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되고,
배면에 빛투과성과 다른 빛투과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보조산란부재를 배치하되;
상기 보조산란부재는 표면에는 흰색 안료가 도포되어 격자 형태의 오목부 또는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폭은 0.5 mm 내지 1 mm 범위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3 mm 내지 0.7 mm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불규칙적인 요철들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는 평균 입경 8㎛ 내지 12㎛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a) 3 ~ 7 중량%의 용매, 제1 부식제로서 8 ~ 15 중량%의 불화암모늄(Ammonium Fluoride, NH4F), 제2 부식제로서 2 ~ 4 중량%의 불산(Hydro Fluoric Acid, HF), 제3 부식제로서 4 ~ 8 중량%의 염산(Hydro Chloric Acid, HCl)과 씨드제로서 2 ~ 5 중량%의 형석(Fluorite, CaF2)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혼합물에 점착제로 2 ~ 8 중량%의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3H8O3) 또는 CMM 나트륨(Carboxy methyl Cellulose)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혼합물에 제1 촉매제로 3 ~ 10 중량%의 플루오르화칼슘(Calcium fluoride, CaF2),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NaF) 및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Ca3(PO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제2 촉매제로 2 ~ 10 중량%의 올레인산(Oleic Acid, C17H33COOH)을 첨가하고, 60 ~ 80℃에서 20 ~ 40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3 혼합물에 응집제로 3 ~ 7 중량%의 아크릴아미드(Acryl Amide,
C3H5NO) 또는 황산알미늄(Aluminum Sulfate, Al2(SO4)3-18H2O)을 첨가하고, 60 ~ 80℃에서 20 ~ 40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제4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4 혼합물에 pH 조정제로 5 ~ 12중량%의 염산(Hydro Chloric Acid, HCl) 또는 인산(Phosphoric Acid, H3PO4)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 5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제5 혼합물에 수분조정제로 3 ~ 15중량%의 잔탄검(Xanthan Gum)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6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6 혼합물에 점도조정제로 5 ~ 20중량%의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C6H7O6Na)n)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한 후 상온에서 20 ~ 30시간 동안 안정화시켜 유리 에칭액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높이조절나사를 회전시켜 유리칸막이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유리칸막이(칸막이)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유리칸막이를 칠판으로 이용가능하면서도 유리칸막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산란시켜 필기된 사항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칠판으로 이용되는 유리칸막이 칸막이에서 칸막이 설치를 위한 프레임의 폭을 감소시켜 최대한의 필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설치 구성이 단순해 설치 시공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실크 스크린 프린팅 식각 방식을 사용하면서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리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균질성을 개선하여 필기감과 지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질성의 돌기가 곡면 돌기에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 시킴으로써 시인성과 눈부심 방지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칠판 유리의 표면을 가공하게 되면, 유리 표면의 균질성과 눈부심 방지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칠판용 유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칠판용 유리를 제조하게 되면, 빛의 난반사와 눈부심 방지의 개선 효과를 통하여 빔프로젝트를 칠판 유리에 직접 조사할 수 있으므로, 빔프로젝트 스크린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측면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주요 부분의 측면 분리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 3에 대한 D-D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주요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유리 칸막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 측면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포함되는 칸막이 본체부와 보조산란부재와 보강흡수부재의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산란부재와 보강흡수재의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산란부재와 보상흡수재의 사시도
도 14 는 일반 유리 표면과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본체부의 정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본체부에 대한 표면 확대사진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주요 부분의 측면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에 대한 D-D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주요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리 칸막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 측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칸막이를 도시한 것으로,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유리칸막이(A)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하측 지지부재(B, C)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측 지지부재(C)는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결합홈(11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a)의 내부 전후측면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1b)이 형성된 지지바(10)와, 상기 결합홈(11a)의 입구부분 전후측 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전후측면에 밀착되는 패킹부재(20)와, 상기 지지바(10)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높이조절부재(30)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바(1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본체(11)와, 상기 바본체(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판(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본체(11)는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제작되는 알루미늄프로파일로 구성된 것으로, 하판(11d)과, 상기 하판(11d)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전방수직판(11e)과, 상기 하판(11d)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수직판(11f)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1b)이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후방수직판(11f)의 인접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수직판(11f)의 높이는 상기 전방수직판(11e)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판(12)은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제작되는 알루미늄프로파일의 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전면 중앙부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a)의 하측면에는 상기 후방수직판(11f)의 상단이 삽입결합되는 삽입홈(1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판(12)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12a)의 삽입홈(12b)을 후방수직판(11f)의 상단에 결합하였을 때, 상단이 상기 전방수직판(11e)의 상단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킹부재(20)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커버판(12)의 인접면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홈(11g, 12c)에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삽입결합된다.
즉, 상기 패킹부재(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홈(11g,12c)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부(21)와, 상기 결합부(2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2)와, 상기 연장부(22)의 선단부에 형성된 관체형상의 밀착부(23)로 구성되어, 상기 밀착부(23)가 상기 결합홈(11a)에 삽입되는 유리칸막이(A)의 하단 전후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30)는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31a)이 형성되며 전후단이 상기 걸림턱(11b)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11a)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판재(3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재(31)의 결합공(31a)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3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재(31)는 금속재의 사각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결합공(31a)의 둘레부 하측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관체(31b)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나사(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공(31a)에 나사결합된 나사축부(32a)와, 상기 나사축부(32a)의 상단에 구비되어 스페너 등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육각형의 헤드부(32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재(30)는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측면 양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본체(11)의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본체(11)를 바닥면에 고정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30)를 유리칸막이(A)의 하측면 양단을 지지하도록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바본체(11)에 배치한 후,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부가 상기 높이조절나사(32)의 헤드부(32b) 상면에 올려지도록 배치하고, 스페너 등을 헤드부(32b)에 결합하여 높이조절나사(32)를 정역회전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나사(32)가 승강되면서 상기 유리칸막이(A)의 단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유리칸막이(A)의 높이와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칸막이(A)의 높이와 측방향 기울기를 조절한 후, 상기 바본체(11)의 후방수직판(11f)에 상기 커버판(12)을 결합함으로서, 상기 하측 지지부재(C)와 유리칸막이(A)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리칸막이는 상기 하측 지지부재(C)가,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결합홈(11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a)의 내부 전후측면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1b)이 형성된 지지바(10)와, 상기 결합홈(11a)의 입구부분 전후측 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전후측면에 밀착되는 패킹부재(20)와, 상기 지지바(10)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높이조절부재(30)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30)는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31a)이 형성되며 전후단이 상기 걸림턱(11b)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11a)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판재(3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재(31)의 결합공(31a)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3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나사(32)를 회전시켜 유리칸막이(A)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유리칸막이(A)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패킹부재(20)를 이용하여 지지바(10)와 유리칸막이(A) 사이의 틈을 밀폐함으로, 실리콘접착제를 이용하는 종래의 유리칸막이와 달리, 유리칸막이(A)와 하측 지지바(10)의 고정과 분해가 용이하며, 이러한 유리칸막이는 설치한 후, 위치를 이동하여 다시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0)는 하판(11d)과 상기 하판(11d)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전방수직판(11e)과 상기 하판(11d)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수직판(11f)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11b)이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후방수직판(11f)의 인접면에 각각 형성된 바본체(11)와, 상기 후방수직판(11f)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판(12)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수직판(11f)의 높이는 상기 전방수직판(11e)의 높이에 비해 낮게 구성되며, 상기 커버판(12)의 전면 중앙부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a)의 하측면에는 상기 후방수직판(11f)의 상단이 삽입결합되는 삽입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20)는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커버판(12)의 인접면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홈(11g,12c)에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삽입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판(12)을 분리하면 상기 높이조절부재(30)의 높이조절나사(32)가 지지바(10)의 후측으로 노출됨으로, 상기 높이조절나사(32)의 상측에 유리칸막이(A)이 올려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높이조절나사(32)를 회전시켜 유리칸막이(A)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유리칸막이(A)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한 후 상기 커버판(12)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이 지지바(10)에 의해 고정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칸막이(A)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걸림턱(11b)의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1c)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재(31)의 전후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오목홈(11c)에 삽입고정되는 결합부(31c)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1c)는 상기 지지판재(31)의 전후단을 하측으로 벤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오목홈(11c)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턱(11b)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바본체(1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지지판재(31)가 결합되는 상기 지지바(10)의 바본체(11)는, 하판(11d)과, 상기 하판(11d)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전방수직판(11e)과, 상기 하판(11d)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방수직판(11f)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11b)이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후방수직판(11f)의 인접면에 각각 형성됨으로, 상기 높이조절나사(32)의 상면에 유리칸막이(A)을 올려놓을 경우, 유리칸막이(A)의 하중이 지지판재(31)로 전달되어 상기 걸림턱(11b)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11b)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후방수직판(11f)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상기 바본체(11)가 변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판재(31)에는 상기 오목홈(11c)에 결합되는 결합부(31c)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31c)를 상기 오목홈(11c)에 삽입결합하면, 상기 지지판재(31)에 의해 상기 걸림턱(11b)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상호 고정되어, 유리칸막이(A)의 하중에 의해 전방수직판(11e)과 후방수직판(11f)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나사(32)의 헤드부(32b)의 상면 중앙부에는 결합공(32c)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32c)에는 회전블록(3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블록(33)은 상기 결합공(32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3a)과, 상기 회전축(33a)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이 삽입결합되는 결합홈(33c)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33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33c)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유리칸막이(A)의 두께에 비해 조금 넓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33c)의 바닥면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양측이 하향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 유리칸막이(A)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홈(33c)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재(30)를 상기 지지바(10)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블록(33)의 결합홈(33c)에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나사(32)를 회전시키면, 상기 높이조절나사(32)는 회전되지만, 상기 회전블록(33)은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상기 높이조절나사(32)와 함께 승강되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칸막이(A)의 높이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리칸막이는 상기 걸림턱(11b)의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11c)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재(31)의 전후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오목홈(11c)에 삽입고정되는 결합부(31c)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재(31)를 상기 바본체(11)에 결합하면, 상기 결합부(31c)가 상기 오목홈(11c)에 결합되어, 무거운 유리칸막이(A)의 무게에 의해 상기 걸림턱(11b)과,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후방수직판(11f)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상기 바본체(1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하측 지지부재(C)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나사(32)의 헤드부(32b)의 상면 중앙부에는 결합공(32c)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2c)에는 회전블록(3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블록(33)의 상면에는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이 삽입결합되는 결합홈(33c)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3c)의 바닥면은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양측이 하향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유리칸막이(A)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나사(32)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블록(33)이 유리칸막이(A)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높이조절나사(32)와 함께 회전됨으로, 높이조절나사(32)를 회전시킬 때,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유리칸막이(A)이 쉽게 깨질 수 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유리칸막이(A)은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됨으로, 둘레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될 경우, 열팽창이나 작은 충격에도 쉽게 깨질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리칸막이(A)은 상기 높이조절나사(32)의 상단부에 밀착됨으로, 유리칸막이(A)의 높이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높이조절나사(32)를 회전시킬 때, 유리칸막이(A)의 하단이 회전되는 높이조절나사(32)에 의해 긁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리칸막이(A)은 상기 높이조절나사(32)의 상면에 단순히 올려짐으로, 상기 커버판(12)을 결합한 후 유리칸막이(A)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에의 경우, 상기 유리칸막이(A)이 상기 높이조절나사(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블록(33)에 형성된 오목홈(11c)에 결합됨으로, 높이조절나사(32)를 회전될 때, 상기 회전블록(33)은 회전되지 않고 유리칸막이(A)이 하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 높이조절나사(32)에 의해 유리칸막이(A)의 하단이 긁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리칸막이(A)이 기온변화에 의한 열팽창이나 작은 충격에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리칸막이(A)는 칸막이본체부(52)와 보조산란부재(53)를 투과한 빛이 상기 보강흡수부재(54)로 흡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패킹부재(20)의 밀착부(23)의 내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된 금속재의 가압바(24)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커버판(12)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부(21)와 연장부(22) 및 밀착부(23)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상기 가압바(24)에 밀착되는 가압나사(4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바(24)는 상기 밀착부(23)의 내부에서 내측, 즉, 상기 유리칸막이(A)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부위에 매립 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압나사(40)는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커버판(12)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여, 상기 유리칸막이(A)의 설치를 완료하고, 상기 커버판(12)을 결합한 후, 상기 가압나사(40)를 조이면, 상기 가압나사(40)의 단부가 상기 가압바(24)를 가압하여, 상기 밀착부(23)가 상기 유리칸막이(A)의 전후면에 밀착되어, 하측지지부재(C)와 유리칸막이(A) 사이의 틈을 견고하게 밀폐한다.
이때, 상기 가압나사(4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상호 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전방수직판(11e)과 커버판(1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리칸막이는 상기 유리칸막이(A)을 설치한 후, 상기 가압나사(40)를 조이면, 상기 패킹부재(20)의 가압바(24)가 가압되어, 상기 밀착부(23) 상기 유리칸막이(A)의 전후면에 밀착됨으로, 유리칸막이(A)이 외부충격 등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도 11은 본 발명의 유리칸막이에 포함되는 칸막이 본체부와 보조산란부재와 보강흡수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산란부재와 보강흡수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산란부재와 보상흡수재의 사시도, 도 14는 일반 유리 표면과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본체부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본체부에 대한 표면 확대사진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유리칸막이(A)는 어느 한 면과 양쪽면으로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본체부(52) 표면과 배면을 에칭하기 위한 애칭액의 조성물은, 1차적으로 유리를 에칭하기 위한 기본 부식재 약품과, 에칭 과정에서 원활한 에칭이 일어날 수 있도록 돕는 여러 가지의 보조제 약품들을 포함한다.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기본 부식재로는 불산(Hydro Fluoric Acid, HF), 불화암모늄(Ammonium Fluoride, NH4F), 염산(Hydro Chloric Acid, HCl), 형석(Fluorite, CaF2) 및 물(H2O)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보조제 약품으로는 설파민산(Sulfanic Acid, RSO3H), 구연산(Citric Acid, C6H8O7), 아크릴 아미드(Acryl Amide, C3H5NO), 불화 나트륨(Sodium Fluoride, NaF), 황산 알루미늄(Aluminum Sulfate, Al2(SO4)3-18H2O),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 나트륨(Sodium Alginate, (C6H7O66Na)n), CMC 나트륨(Carboxy methyl Cellulose), 인산(pHospHoric Acid, H3PO4),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FeCl2),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3H8O3),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C6H14O4) 등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본체부(52)는 유리 표면의 고른 에칭을 위해 1차적으로 상기 에칭액을 유리 표면에 고르게 도포한 상태에서, 15분 내지 30 분간 에칭액이 유리 면과 반응하여 에칭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1차 에칭 단계 후2차 에칭 단계를 수행한다.
1차 에칭된 유리의 표면은 거칠어져 있는 상태로서 미세하게는 국부적으로 용융된 입자들이 뭉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친 면을 대략 15 내지 30 분 간의 2차 에칭 단계를 통해 균일하고 부드럽게 형성한다.
상기 칸막이본체부(52)를 칠판으로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필기감과 함께 지울 때 깨끗이 지워져야 하고 지운 후 표면에 잔상이 남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표면의 입자가 고르게 에칭되어야 하며, 또한 에칭에 의해 형셩되는 표면 입자는 둥근 돌기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를 칠판으로 이용하는 경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 때 빛의 반사로 인한 시인성이 방해를 받지 않아야 하므로,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산란시켜 눈부심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리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가 균일하게 형성 되도록 함으로써 필기감과 지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형성되는 돌기의 표면에 의해 빛을 난반사시킴으로써, 시인성과 눈부심 방지 효과를 크게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은 8 ~ 15 중량%의 제1 부식제와, 2 ~ 4 중량%의 제2 부식제와, 4 ~ 8 중량%의 제3부식제와, 2 ~ 5 중량%의 씨드제와, 2 ~ 8 중량%의 점착제와, 3 ~ 10 중량%의 제1촉매제와, 2 ~ 10 중량%의제2 촉매제와, 3 ~ 7 중량%의 응집제와, 5 ~ 12 중량%의 pH 조정제와, 3 ~ 15 중량%의 수분조정제와, 5 ~ 20 중량%의 점도조정제 및 나머지 용매를 포함한다.
이때, 용매는 3 ~ 7 중량%의 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식제는 불화암모늄(Ammonium Fluoride, NH4F)이 이용되고, 제2 부식제는 불산(Hydro Fluoric Acid, HF)이 이용되며, 제3 부식제는 염산(Hydro Chloric Acid, HCl)이 이용되고, 씨드제는 형석(Fluorite, CaF2)이 이용될 수 있다.
유리는 대부분 규산염 유리가 사용되는데, 상기 제1 부식제인 불화암모늄 및 제2 부식제인 불산은 유리 표면에 도포될 시, 유리 표면의 SiO2 구조를 파괴하여 표면에서 에칭이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부식제인 불화암모늄의 함량이 8 중량% 미만이거나 또는 제2부식제인 불산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SiO2를 원활하고도 신속히 에칭하는 작용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유리 표면에 돌기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부식제인 불화암모늄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거나, 또는 제2부식제인 불산의 함량이 4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리 표면의 SiO2의 에칭이 과도하게 일어나 돌기가 거칠어질 수 있다.
제3 부식제인 염산은 유리에 포함된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망간(Mn), 티타늄(Ti) 등의 금속성 불순물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 부식제인 염산의 함량이 4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금속성 불순물이 제대로 용해되지 않아 유리 표면에 잔류물로 남아 표면이 울퉁불퉁해질 수가있다.
반대로, 제3부식제인 염산의 함량이 8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금속성 불순물이 과도하게 용해되어 유리의 표면이 마이크로적인 관점에서 패이거나 국부적으로 깊이가 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2 및 제3 부식제인 불화암모늄, 불산 및 염산의 작용에 의해, 상기 에칭액 조성물을 유리 표면에 도포할 시, 불화암모늄과 불산이 유리 표면에서 유리의 주성분인 SiO2의 구조를 파괴하여 에칭이 되도록 하고, 염산은 금속성 불순물들을 용해시킨다.
이에 따라, 용해된 금속성 불순물이 용해된 SiO2와 혼합된 상태로, 유리 표면에서 용해되지 않은 금속성 불순물의 표면을 덮으면서, 씨드제인 형석 위로 매끄러운 곡면을 갖도록 둥그렇게 돌출됨으로써 유리 표면에 둥근 돌기가 형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둥근 돌기는 외부에서 비춰지는 빛을 난반사 또는 산란 시켜 눈부심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상기 점착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3H8O3) 또는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larboxy methyl Cellulose)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점도조정제로서의 기능을 하여, 에칭액 조성물의 점성을 조정하거나 조정된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본체부(52) 유리 표면에 도포가 가능한 수준의 점성과 점도로서 안정된 분포도를 갖게 해 준다.
상기 에칭액 조성물은 상기 점착제에 의해 젤(Gel) 형태의 액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유리 표면에 도포시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여 도포 작업이 원활해질 수 있고, 도포가 완료된 후에도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제대로 점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착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에칭액 조성물의 점성이 너무 낮아지면서 밀도가 낮아져, 유리 표면에 점착되는 에칭액이 밀리게 되어 전체적으로 고르게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제2 및 3 부식제들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들의 크기가 불규칙하게 되며 완성된 유리 표면이 균일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점착제의 함량이 8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점도와 점성이 너무 높아져 마찬가지로 유리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 표면에서 에칭이 일어나기 전에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굳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촉매제는 플루오르화칼슘(Calcium fluoride, CaF2),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NaF) 및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Ca3(PO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이용되고, 제2 촉매제는 올레인산(Oleic Acid, C17H33COOH)이 이 용된다.
상기 제1 촉매제는 제1, 제2, 제3 부식제에 점착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를 혼합하여 점착성을 갖는 젤(Gel) 형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제1, 제2, 제3 부식제와 점착제 간의 상호 결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촉매제는 제1, 제2, 제3 부식제와 점착제가 혼합될 때, 상호 이질적인 화학적 반응에 의해 부식성에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촉매제는 제1, 제2, 제3 부식제들에 의해 유리 표면이 부식될 때, 유리 표면이 보다 부드럽게 부식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촉매제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묽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촉매제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에 포함된 부식제 입자들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뭉치게 되는 문제를 유발하며, 이는 결국 유리 표면이 고르게 에칭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 제2 촉매제는 제1, 제2, 제3 부식제에 점착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를 혼합하여 점착성을 갖는 젤(Gel) 형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제1, 제2, 제3 부식제와 점착제 간의 상호 결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촉매제는 제1, 제2, 제3 부식제와 점착제가 혼합될 때, 상호 이질적인 화학적 반응에 의해 부식성에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2 촉매제는 제1, 제2 및 제3 부식제에 의해 유리 표면이 부식될 때, 유리 표면이 보다 부드럽게 부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촉매제인 올레인산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묽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촉매제인 올레인산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에 포함된 부식제 입자들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뭉치게 되는 문제를 유발하며, 이는 결국 유리 표면이 고르게 부식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 응집제로서는 아크릴아미드(Acryl Amide, C3H5NO) 또는 황산알미늄(Aluminum Sulfate, Al2(SO4)3-18H2O)이 이용된다.
상기 에칭액이 일정 수준의 점착력을 갖지 않으면, 피도포물인 유리의 특성상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유리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응집제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장력을 증대시켜 유리 표면에서의 점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도포성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유리 표면 전체에 골고루 일정하게 도포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성을 갖는 에칭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유리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크기와 형상이 일정하게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집제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유리 표면에 물방울과 같은 형태로 부분적으로 응결되면서, 유리 표면에서 골고루 일정하게 도포되지 않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응집제의 함량이 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도, 유리 표면에서 고르게 부식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pH 농도조정제는 염산(Hydro Chloric Acid, HCl) 또는 인산(pHospHoric Acid, H3PO4)이 이용된다.
상기 pH 농도조정제는 제1, 제2, 제3 부식제가 적절한 환경에서 부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에칭액의 pH 농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부식제와 제2 부식제는 약산성에서 용해 및 용융 효과가 우수하므로,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의 pH 농도를 2 ~ 4로 유지하여, 제1 부식제, 제2 부식제 및 제3 부식제에 의한 유리 표면의 에칭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pH 조정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pH가 적정 수준 보다 높아 제1, 제2 및 제3 부식제의 에칭 효과가 저하될 수가 있다.
반대로, pH 조정제의 함량이 12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의 pH가 적정 수준보다 낮아 제1, 제2 및 제3 부식제의 에칭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수분조정제로서는 잔탄검(Xanthomonascam Pestris)이 이용된다.
이때, 상기 에칭액 조성물은 수성 젤 형태로서 공기 중에 노출 시 형태가 변하게 되므로,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은 일정하게 부식이 진행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수분조정제는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하게 부식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수분조정제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수분 함수율 및 점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농도를 묽게 하여 도포방식에 적합한 젤 특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수분함수율은 점도와 상관 관계가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점착제의 함량에 따라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점도를 8,000 ~ 10,000cp 로 설정하면, 수분 함수율도 이에 따라서 조정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수분조정제의 함량은 점착제의 함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기 에칭액 조성물은 1차적으로 점성을 갖는 젤 형태로 만들어지며, 수분조정제인 잔탄검은 상기 에칭액 조성물에서 2차로 점도를 조절하는 점결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수분조정제인 잔탄검은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수분 함수량을 조정하여,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점도가 도포 설비에 따라서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에칭액 조성물은 도포 설비에 따라서 점도를 달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로 압력을 가하여 눌러서 도포하는 방식일 경우,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점도가 적당해야 유리 표면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다.
수분조정제인 잔탄검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의 함수율이 너무 높아 점도가 너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수분조정제인 잔탄검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수율이 너무 낮아져 점도가 높아지므로,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쉽게 굳어져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고르게 도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점도조정제로서는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C6H7O6Na)n)이 이용된다.
상기 점도조정제인 알긴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점도를 조정하는 이유는,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진 상태에서 고점도 에칭액 조성물로 유리를 에칭하는 경우, 원하는 품질의 제품을 얻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고점도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고점도 에칭액을 폐기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에칭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점도조정제인 알긴산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점도를 실제 사용하게 될 에칭액 조성물의 점도보다 다소 묽게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에칭액을 사용하기 직전 용도에 맞도록 적절한 점도로 맞출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에칭액 조성물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에칭액 조성물 제조 방법은 용매에 부식제 및 씨드제 첨가 단계, 점착제 첨가 단계, 촉매제 첨가 단계, 응집제 첨가 단계, pH 조정제 첨가 단계, 수분조정제 첨가 단계 및 점도조정제 첨가 단계를 포함한다.
[용매에 부식제 및 씨드제 첨가]
용매에 부식제 및 씨드제 첨가 단계에서는 3 ~ 7 중량%의 용매, 제1 부식제로서 8 ~ 15 중량%의 불화암모늄(Ammonium Fluoride, NH4F), 제2 부식제로서 2 ~ 4 중량%의 불산(Hydro Fluoric Acid, HF), 제3 부식제로서 4 ~ 8 중량%의 염산(Hydro Chloric Acid, HCl)과 씨드제로서 2 ~ 5 중량%의 형석(Fluorite, CaF2)을 혼합한 후, 충분히 혼합되도록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때, 용매로 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 및 이후의 단계에 개시되는 상온의 범위는 -5 ~ 4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단계에서, 교반은 500 ~ 2,000rpm의 속도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첨가]
점착제 첨가 단계에서는 제1 혼합물에 점착제로써 2 ~ 8 중량%의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3H8O3) 또는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를 첨가한 후, 충분히 혼합되도록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때, 교반은 500 ~ 2,000rpm의 속도로 실시될 수 있다.
[촉매제 첨가]
촉매제 첨가 단계(S130)에서는 제2 혼합물에 제1 촉매제로 3 ~ 10 중량%의 플루오르화칼슘(Calcium fluoride, CaF2),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NaF) 및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Ca3(PO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제2 촉매제로 2 ~ 10 중량%의 올레인산(Oleic Acid, C17H33COOH)을 첨가하고, 60 ~ 80℃에서 20~ 40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한다.
본 단계에서, 가열 온도가 60℃ 미만이거나, 가열 시간이 20분 미만일 경우에는 제2 혼합물에 제1 촉매제 및 제2 촉매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뭉치게 되는 문제를 유발하며, 이는 결국 유리 표면에 에칭액 조성물을 도포할 시 유리 표면이 고리게 부식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반대로, 가열온도가 80℃를 초과하거나, 가열 시간이 4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응집제 첨가]
응집제 첨가 단계에서는 제3 혼합물에 응집제로 3 ~ 7 중량%의 아크릴아미드(Acryl Amide, C3H5NO) 또는 황산알미늄(Aluminum Sulfate, Al2(SO4)3-18H2O)을 첨가하고, 60 ~ 80℃에서 20 ~ 40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제4 혼합물을 형성한다.
젤 상의 액체인 에칭제가 만들어지더라도 일정 수준의 점착력을 갖지 않으면, 피도포물인 유리의 특성상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유리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지 않게 된다.
응집제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의 장력을 높여 유리 표면에서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고 도포성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이 유리 표면 전체에 골고루 일정하게 도포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성을 갖도록 부식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유리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크기와 형상이 일정하게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pH 조정제 첨가]
pH 조정제 첨가 단계에서는 제4 혼합물에 pH 조정제로서 5 ~ 12 중량%의 염산(Hydro Chloric Acid, HCl) 또는 인산(pHospHoric Acid, H3PO4)을 첨가한 후, 충분히 혼합되도록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5 혼합물을 형성한다.
pH 조정제는 제1, 제2, 제3 부식제가 적정한 환경에서 부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pH의 농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부식제와 제2 부식제는 약 산성에서 용해 및 용융 효과가 우수하므로,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의 pH 농도를 2 ~ 4로 유지하여 제1 부식제, 제2 부식제 및 제3 부식제에 의한 유리 표면의 에칭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분조정제 첨가]
수분조정제 첨가 단계에서는 제5 혼합물에 수분조정제로 3 ~ 1 5중량%의 잔탄검(Xanthan Gum)을 첨가한 후, 충분히 혼합되도록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6 혼합물을 형성한다.
수분조정제는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하게 부식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수분조정제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수분 함수율 및 점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하여,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의 농도를 묽게 하여 도포 방식에 적합한 젤 특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수분함수율은 점도와 상관 관계가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점착제의 함량에 따라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의 점도를 8,000 ~ 10,000cp 로 설정하면, 수분 함수율도 이에 따라서 조정이 이루어지므로, 수분조정제의 함량은 점착제의 함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제5 혼합물은 1차적으로 점성을 갖는 젤 형태로 만들어지며, 수분조정제인 잔탄검은 2차적으로 점도를 조절하는 점결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수분조정제인 잔탄검은 상기 에칭액 조성물의 수분 함수량을 조정하여,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의 점도가 도포 설비에 따라서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점도조정제 첨가]
점도조정제 첨가 단계에서는 제6 혼합물에 점도조정제로 5 ~ 20 중량%의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C6H7O6Na)n)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한 후 20 ~ 30시간 동안 안정화시켜 칠판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을 형성한다.
점도조정제인 알긴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점도를 조정하는 이유는, 상기 에칭액 조성물이 고점도로 만들어 지는 경우, 고점도 에칭액을 폐기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에칭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6혼합물의 점도를 실제 사용하게 될 에칭액 조성물의 점도 보다 약간 묽게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에칭액을 사용하기 전 용도에 맞는 적절한 점도로 맞추도록, 알긴산나트륨을 넣어 교반 후 상온에서 20 ~ 30시간 안정화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에칭액 조성물 제조 방법에 의해, 유리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균질성을 높여 필기감과 지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하게 형성되는 돌기 표면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 시킴으로써, 시인성과 눈부심 방지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칭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리를 에칭하게 되면, 빛의 난반사와 눈부심 방지의 개선 효과를 통하여 빔프로젝트를 유리 표면에 직접 조사할 수 있으므로, 빔프로젝트 스크린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4(a)는 종래의 일반 유리의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본체부 유리 표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4(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 유리 표면은 외부에서 비춰지는 햇빛이나 실내 등에서의 빛에 의해, 눈부심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1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본체부 유리 표면은 빛이 집중적으로 반사되는 영역을 갖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칭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칸막이본체부 유리의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칭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리 표면은, 평균 표면조도 값(Ra)이 대략 0.15 ~ 0.25㎛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칭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유리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균일하게 분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522)는 평균 입경(d1) 8㎛ 내지 12㎛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본체부(52)의 표면 또는 배면에서, 상기 돌기(522)는 1 제곱인치당 110 개 내지 130 개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리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들에 의해 필기감이 좋아지며, 글씨를 지웠을 때 글씨의 잔재가 남지 않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비춰지는 햇빛이나 실내 등으로부터의 빛이 난반사되어,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넓은 각도에서의 시인성이 좋아진다.
상기 칸막이본체부(52)의 배면에는 상기 칸막이본체부(52)의 빛투과성과 다른 빛투과성을 가지는 재질의 보조산란부재(53)가 배치된다.
상기 보조산란부재(53)는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산란부재(53) 표면에는 흰색 안료가 도포된다.
또한, 상기 보조산란부재(53) 배면에도 흰색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본체부(52)는 유리로 형성됨에 비해, 상기 보조산란부재(53)는 흰색 안료가 도포된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본체부(52)의 빛투과성이 상기 보조산란부재(53) 보다 크게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칸막이본체부(52)를 투과한 빛이 상기 보조산란부재(53)로 일정 정도 흡수되어 상기 칸막이본체부(52)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칸막이본체부(52) 표면에 필기된 사항의 시인성이 보다 향상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산란부재(53) 표면에 짙은 검은색 안료가 도포될 경우, 상기 칸막이본체부(52)를 투과한 빛이 흡수되는 정도는 높아질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칸막이본체부(52) 표면에 필기된 사항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본체부(52) 필기 사항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상기 칸막이본체부(52)를 투과한 빛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산란부재(53)의 표면에 흰색 안료가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산란부재(53) 배면에는 상기 보조산란부재(53)의 빛투과성과 다른 빛투과성을 가지는 재질의 보강흡수부재(5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흡수부재(54)는 금속재 플레이트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칸막이부재(50)의 강도를 확보하여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흡수부재(54) 표면에는 상기 보조산란부재(53) 표면에 도포되는 흰색 안료보다 명도가 낮은 안료가 도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흡수부재(54) 표면에는 흰색 안료보다 낮은 명도의 회색 안료가 도포된다.
그리하여, 상기 칸막이본체부(52)와 보조산란부재(53)를 투과한 빛이 상기 보강흡수부재(54)로 흡수되어 상기 칸막이본체부(52)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양을 더욱 감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칸막이본체부(52) 표면에 필기된 사항의 시인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산란부재(53)와 상기 보강흡수부재(54) 표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535, 54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535, 545)의 폭은 0.5 mm 내지 1 mm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3 mm 내지 0.7 m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보조산란부재(53)와 보강흡수부재(54)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오목부(535, 545)들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어둡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칸막이본체부(52)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양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산란부재(53)와 보강흡수부재(54)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산란부재(53)와 보강흡수부재(54)의 표면에 형성되는 불규칙적인 요철들은 샌드블러스팅(Sand Blust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산란부재(53)와 보강흡수부재(54)의 표면에 격자 형태의 오목부(535, 545) 또는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된 상태에서, 각각 흰색 안료와 회색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산란부재(53)와 보강흡수부재(54)의 배면에도 격자 형태의 오목부 또는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 흰색 안료와 회색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패널부재의 크기 대비 보다 넓은 필기면적이 확보되는 것이며, 유리패널을 설치한 후 가압나사를 조이면 패킹부재의 가압바가 가압되어 유리패널의 전후면에 밀착되므로 유리패널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지지바 11a : 결합홈
11b : 걸림턱 11c : 오목홈
11d : 하판 11e : 전방수직판
11f : 후방수직판 12 : 커버판
20 : 패킹부재 21 : 결합부
22 : 연장부 23 : 밀착부
24 : 가압바 30 : 높이조절부재
31 : 지지판재 31a : 결합공
32 : 높이조절나사 32a : 나사축부
32b : 헤드 33 : 회전블록
33c : 결합홈 40 : 가압나사
50 : 칸막이부재 52 : 칸막이본체부
53 : 보조산란부재 54 : 보강흡수부재
522 : 돌기 535, 545 : 오목부

Claims (31)

  1. 강화유리재질로 구성된 유리칸막이(A)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상하측 지지부재(B, C)를 포함하되;
    상기 하측 지지부재(C)는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한 결합홈(11a)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a)의 내부 전후측면에는 상호 인접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1b)이 형성된 지지바(10)와, 상기 결합홈(11a)의 입구부분 전후측 면에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전후측면에 밀착되는 패킹부재(20)와, 상기 지지바(10)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높이조절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30)는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31a)이 형성되며 전후단이 상기 걸림턱(11b)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홈(11a)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판재(3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재(31)의 결합공(31a)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유리칸막이(A)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32)를 포함하는 유리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칸막이(A)는 칸막이본체부(52)의 표면에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되고,
    배면에 빛투과성과 다른 빛투과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필름으로 보조산란부재(53)를 배치하되;
    상기 보조산란부재(53)는 표면에는 흰색 안료가 도포되어 격자 형태의 오목부 또는 불규칙적인 요철들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의 폭은 0.5 mm 내지 1 mm 범위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3 mm 내지 0.7 mm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불규칙적인 요철들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는 평균 입경 8㎛ 내지 12㎛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산란부재(53) 배면에 흰색 안료가 도포되어 격자 형태의 오목부 또는 불규칙적인 요철들을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의 폭은 0.5 mm 내지 1 mm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3 mm 내지 0.7 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는 평균 입경 8㎛ 내지 12㎛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산란부재(53) 배면에는 상기 보조산란부재(53)의 빛투과성과 다른 빛투과성을 가지는 재질의 보강흡수부재(54)는 금속재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상기 보조산란부재(53) 표면에 도포되는 흰색 안료보다 명도가 낮은 안료가 도포되고, 표면에 격자 형태의 오목부 또는 불규칙적인 요철들을 형성하되;
    상기 오목부의 폭은 0.5 mm 내지 1 mm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0.3 mm 내지 0.7 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는 평균 입경 8㎛ 내지 12㎛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본체부(52)의 표면 또는 배면에서 요철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는 1 제곱인치 당 110 개 내지 130 개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에칭에 의해 형성하되;
    14 내지 27 중량%의 불화암모늄 또는 불산 또는 염산을 포함하는 부식제와,
    2 내지 5 중량%의 형석을 포함하는 씨드제와,
    2 내지 8 중량%의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점착제와,
    5 내지 20 중량%의 불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촉매제와,
    3 내지 7 중량%의 황산알미늄을 포함하는 응집제와,
    5 내지 20 중량%의 점도조절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에칭액에 의해 불규칙적인 요철을 형성하되;
    상기 에칭은 동일한 에칭 과정이 2회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a) 3 ~ 7 중량%의 용매, 제1 부식제로서 8 ~ 15 중량%의 불화암모늄(Ammonium Fluoride, NH4F), 제2 부식제로서 2 ~ 4 중량%의 불산(Hydro Fluoric Acid, HF), 제3 부식제로서 4 ~ 8 중량%의 염산(Hydro Chloric Acid, HCl)과 씨드제로서 2 ~ 5 중량%의 형석(Fluorite, CaF2)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혼합물에 점착제로 2 ~ 8 중량%의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3H8O3) 또는 CMM 나트륨(Carboxy methyl Cellulose)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혼합물에 제1 촉매제로 3 ~ 10 중량%의 플루오르화칼슘(Calcium fluoride, CaF2),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NaF) 및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Ca3(PO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제2 촉매제로 2 ~ 10 중량%의 올레인산(Oleic Acid, C17H33COOH)을 첨가하고, 60 ~ 80℃에서 20 ~ 40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제3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3 혼합물에 응집제로 3 ~ 7 중량%의 아크릴아미드(Acryl Amide,
    C3H5NO) 또는 황산알미늄(Aluminum Sulfate, Al2(SO4)3-18H2O)을 첨가하고, 60 ~ 80℃에서 20 ~ 40분 동안 가열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제4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제4 혼합물에 pH 조정제로 5 ~ 12중량%의 염산(Hydro Chloric Acid, HCl) 또는 인산(Phosphoric Acid, H3PO4)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 5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제5 혼합물에 수분조정제로 3 ~ 15중량%의 잔탄검(Xanthan Gum)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6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6 혼합물에 점도조정제로 5 ~ 20중량%의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C6H7O6Na)n)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한 후 상온에서 20 ~ 30시간 동안 안정화시켜 유리 에칭액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에 사용되는 유리의 제조방법.
  31. 삭제
KR1020190173857A 2019-12-24 2019-12-24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 KR10217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857A KR102176306B1 (ko) 2019-12-24 2019-12-24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857A KR102176306B1 (ko) 2019-12-24 2019-12-24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306B1 true KR102176306B1 (ko) 2020-11-09

Family

ID=7342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857A KR102176306B1 (ko) 2019-12-24 2019-12-24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30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220A (ko) *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에스엘디 배면영사막 겸용 유리칠판
KR20120028947A (ko) * 2012-01-31 2012-03-23 주식회사 삼색오디 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칠판 겸용 무반사 유리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1143582B1 (ko) 2009-12-24 2012-05-09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 조립체
KR101194264B1 (ko) 2010-03-26 2012-10-29 주식회사 유비스 칸막이 시스템용 칠판 구조
KR101539248B1 (ko) * 2014-10-22 2015-07-27 ㈜미래미디어텍 프로젝터 영상 투사가 가능한 판서겸용 스크린 글래스보드
KR101545203B1 (ko) 2013-11-13 2015-08-19 오유석 기능성 파티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3085B1 (ko) 2015-08-10 2016-04-20 휴그린 주식회사 양면 난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259B1 (ko) * 2016-01-19 2017-03-17 주식회사 가인공영 난반사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5942A (ko) * 2018-03-07 2019-09-18 (주)혜덕 유리칸막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220A (ko) *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에스엘디 배면영사막 겸용 유리칠판
KR101143582B1 (ko) 2009-12-24 2012-05-09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 조립체
KR101194264B1 (ko) 2010-03-26 2012-10-29 주식회사 유비스 칸막이 시스템용 칠판 구조
KR20120028947A (ko) * 2012-01-31 2012-03-23 주식회사 삼색오디 근거리 영상투사를 위한 칠판 겸용 무반사 유리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1545203B1 (ko) 2013-11-13 2015-08-19 오유석 기능성 파티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9248B1 (ko) * 2014-10-22 2015-07-27 ㈜미래미디어텍 프로젝터 영상 투사가 가능한 판서겸용 스크린 글래스보드
KR101613085B1 (ko) 2015-08-10 2016-04-20 휴그린 주식회사 양면 난반사 유리스크린 겸용 칠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259B1 (ko) * 2016-01-19 2017-03-17 주식회사 가인공영 난반사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5942A (ko) * 2018-03-07 2019-09-18 (주)혜덕 유리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259B1 (ko) 난반사 유리 제조용 에칭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191253A (zh) 一种蒙砂液、其制备方法、用途以及制备防眩玻璃的方法
KR102176306B1 (ko)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유리칸막이와 이를 이용한 에칭액 제조방법
ES2741598T3 (es) Masa de tratamiento acuosa para paredes, techos o suelos de edificios
SG188588A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KR102155128B1 (ko) 시인성이 향상된 칠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파티션
KR102087703B1 (ko) 칠판 유리 제조용 식각액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H09157545A (ja) 塗料用艶消し剤、艶消し塗料組成物および艶消し塗膜
CN101311214B (zh) 耐水性造型材料及耐水性造型材料的制造方法
JP2013216795A (ja) 塗材組成物
US4559377A (en) Ceiling board edge coating
CN105885594A (zh) 高稳定性的自清洁涂层材料及制备方法
US20040259981A1 (en) Sealant coating for stucco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06947329A (zh) 一种高固含无机复合外墙涂料及其制备方法
JPS60223848A (ja) タイル用樹脂目地材
JP2006162846A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用拡散板
JP2000212481A (ja) 軽量パテ組成物
JP7024986B2 (ja) 内装面塗装方法
JPH07119271A (ja) 出隅の処理方法
CA2504530A1 (en) Acrylic latex wood fill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7064706A (ja) コーティング被膜形成方法および当該コーティング被膜を備える機能材
JPH1129350A (ja) 乾式タイル張施工用目地材
CN205502338U (zh) 一种方便安装及防止倾斜的玻璃幕墙结构
JP2006063213A (ja) 水系塗料組成物
JPH11147748A (ja) 機能性粉末担持用セメント系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