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222B1 - 네일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네일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222B1
KR102176222B1 KR1020190006326A KR20190006326A KR102176222B1 KR 102176222 B1 KR102176222 B1 KR 102176222B1 KR 1020190006326 A KR1020190006326 A KR 1020190006326A KR 20190006326 A KR20190006326 A KR 20190006326A KR 102176222 B1 KR102176222 B1 KR 10217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bearing
upper case
cas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506A (ko
Inventor
김이수
Original Assignee
김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수 filed Critical 김이수
Priority to KR102019000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2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 A45D29/14Polishing devices for nails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핀들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이 양호하여 적은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어 가격이 싸면서도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도록 된 네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네일용 핸드피스(1000)는,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 끼워지는 콜렛에 연마숫돌이 구비된 축부를 선택적으로 끼워서 조립함과 더불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설치된 스핀들부(1800)는, 상부케이스의 일단에 조립된 제1베어링(1810)과, 제1베어링에 끼워지면서 축중심으로 콜렛(1700)이 끼워지는 콜렛부시(1820)와, 상부케이스의 타단으로 끼워져 베어링걸림턱에 밀착되는 스프링(1830)과, 스프링으로 밀착된 스프링와셔(1840)와, 스프링와셔에 밀착되어 상부케이스에 끼워진 제2베어링(1850)과, 제2베어링에 지지됨과 더불어 제2베어링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된 회전력전달축(1860)과, 이 회전력전달축의 타단 축중심으로부터 스프링와셔쪽으로 위치한 콜렛의 암나사부에 체결된 콜렛고정나사(1870)와, 상부케이스의 타단으로 끼워지고 회전력전달축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제2베어링의 측면에 밀착되는 잠금해제부시(1880)와,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 축방향 일측이 끼워져 모터의 회전축과 동기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축방향 타측이 회전력전달축에 끼워져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모터핀(189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네일용 핸드피스{Handpiece for nail art}
본 발명은 네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핀들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적은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양호하여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도록 된 네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피스는 사용자가 손으로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일에 사용되는 것이며, 치과 병원에서 인체의 치아를 절삭, 연마하기 위한 치과기공용, 금과 같은 보석을 가공하기 위한 세공용, 인체의 손톱 등을 예쁘게 다듬질하기 위한 네일 아트용 등으로 사용되는 공구로서 그 특징은 정밀가공을 위해 진동이 적고, 섬세한 작업이 가능할 정도로 소형이어야 하며, 고장시 수리가 용이하여야 한다.
종래 이러한 핸드피스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 제10-1337308호 발명의 명칭 "핸드피스의 저진동 스핀들구조"와 특허등록 제10-1236156호 발명의 명칭 "핸드피스의 분진차단구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스핀들부와, 이 스핀들부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부는 단부에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물어주는 콜렛척과, 이 콜렛척을 지지하는 척하우징을 구비하며, 척하우징의 외부에는 베어링이 끼워져 있어 회전시 척하우징을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척하우징의 조립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게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연결축과 회전축을 지지하는 구조와 척하우징을 회전시켜 콜렛척에서 연마숫돌의 축부를 분해 조립하기 위해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 제10-1337308호 발명의 명칭 "핸드피스의 저진동 스핀들구조"와 특허등록 제10-1236156호 발명의 명칭 "핸드피스의 분진차단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핀들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적은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양호하여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도록 된 네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핸드피스는, 상부케이스와, 이 상부케이스에 일단이 축중심으로 끼워져 실링되도록 체결되는 하부케이스와, 이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잭케이스와, 이 잭케이스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제어부와, 이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끼워진 구동부와, 이 구동부가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체결되는 모터고정캡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 끼워지는 콜렛에 연마숫돌이 구비된 축부를 선택적으로 끼워서 조립함과 더불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설치된 스핀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핀들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부터 베어링걸림턱까지 끼워져 조립되는 제1베어링과, 이 제1베어링에 끼워짐과 더불어 축중심으로 콜렛이 끼워지는 콜렛부시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으로 끼워져 베어링걸림턱에 밀착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으로 밀착되는 스프링와셔와, 이 스프링와셔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부케이스의 내주면에 설치된 오링과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끼워진 제2베어링과, 이 제2베어링에 지지되도록 일단이 끼워짐과 더불어 제2베어링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부케이스에 삽입된 회전력전달축과, 이 회전력전달축의 타단 축중심으로부터 스프링와셔쪽으로 위치한 콜렛의 암나사부에 체결 고정된 콜렛고정나사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회전력전달축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제2베어링의 측면에 밀착되는 잠금해제부시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 축방향 일측이 끼워져 모터의 회전축과 동기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됨과 더불어 축방향 타측이 회전력전달축에 끼워져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모터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밀착되도록 나사체결 하게 되면,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단이 잠금해제부시를 가압함과 동시에 제2베어링과 스프링와셔 및 스프링이 가압되어 콜렛의 중심에서 연마숫돌의 축부가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떨어지도록 나사체결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와셔와 제2베어링 및 콜렛에 축방향으로 나사고정된 회전력전달축과 잠금해제부시가 하부케이스쪽으로 이동하여 콜렛이 콜렛부시에서 가압되어 콜렛의 축중심으로 끼워진 연마숫돌의 축부가 콜렛에서 빠지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쪽에는 일정길이의 무두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기 무두볼트에 의해 하부케이스가 상부케이스와 나사결합에 의해 회전하여 일정길이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된 무두볼트제어회전영역홈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잭케이스의 축중심에 체결되는 아답터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측 단부 내주면으로 일정한 각도에 형성된 도피홈을 통해서 아답터에 연결되면서 회전속도를 표시하도록 된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온오프스위치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디스플레이홈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표시되는 속도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속도표시부재와, 상기 속도표시부재와 일체로 연결됨과 더불어 하부케이스의 디스플레이홈과 이웃하게 형성된 온오프스위치설치구멍으로 안착되는 전원스위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마숫돌이 조립되지 않는 쪽이면서 축중심에 암나사가 형성된 콜렛의 단부 외주면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전달축에는 상기 테이퍼부가 일정길이 끼워져 밀착되면서 축중심에 조립되도록 된 콜렛안착테이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스핀들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적은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양호하여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용 핸드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저면도,
도 7은 도 1에서 콜렛부에 연마숫돌의 축부를 끼워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B - B선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하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우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C - C선단면도,
도 14는 도 8의 콜렛부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5는 도 8의 스프링와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6은 도 8의 콜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도 8의 회전력전달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도 8의 모타핀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좌측면도,
도 20은 도 8의 록킹와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1은 도 8의 모터고정캡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2는 도 21의 측면도,
도 23은 도 8의 노브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4는 도 23의 저면도,
도 25는 도 24의 좌측면도,
도 26은 도 8의 잭케이스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용 핸드피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일용 핸드피스(10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8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부케이스(1100)와, 이 상부케이스에 일단이 축중심으로 끼워져 실링되도록 체결되는 하부케이스(1200)와, 이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잭케이스(1300)와, 이 잭케이스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제어부(1400)와, 이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끼워진 구동부(1500)와, 이 구동부가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체결되는 모터고정캡(1600)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 끼워지는 콜렛(1700)에 연마숫돌(10)에 구비된 축부(11)를 선택적으로 끼워서 조립함과 더불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설치된 스핀들부(18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핀들부(1800)의 구조가 간단하여 적은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양호하여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부(1800)는, 도 7 내지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100)의 일단으로부터 베어링걸림턱(1110)까지 끼워져 조립되는 제1베어링(1810)과, 이 제1베어링에 끼워짐과 더불어 축중심으로 콜렛(1700)이 끼워지는 콜렛부시(1820)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으로 끼워져 베어링걸림턱에 밀착되는 스프링(1830)과, 이 스프링으로 밀착되는 스프링와셔(1840)와, 이 스프링와셔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부케이스의 내주면에 설치된 오링(1801)과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끼워진 제2베어링(1850)과, 이 제2베어링에 지지되도록 일단이 끼워짐과 더불어 제2베어링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부케이스에 삽입된 회전력전달축(1860)과, 이 회전력전달축의 타단 축중심으로부터 스프링와셔(1840)쪽으로 위치한 콜렛(1700)의 암나사부(1710)에 체결 고정된 콜렛고정나사(1870)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회전력전달축(1860)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제2베어링(1850)의 측면에 밀착되는 잠금해제부시(1880)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 축방향 일측이 끼워져 상기 구동부(1500)의 모터 회전축(1510)과 동기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됨과 더불어 축방향 타측이 회전력전달축(1860)에 끼워져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모터핀(189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0)를 조작하여 구동부(1500)의 모터 회전축(1510)이 회전하게 되면, 이 모터 회전축(1510)과 조립된 모터핀(1890)이 동기회전하게 되고, 이 모터핀(1890)의 회전은 상기 제2베어링(185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된 회전력전달축(1860)에 전달하게 되며, 이 회전력전달축(1860)에 콜렛고정나사(1870)로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제1베어링(1810)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콜렛부시(1820)의 축중심으로 끼워진 콜렛(170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콜렛(1700)이 콜렛부시(1820)와 함께 회전하면서 콜렛(1700)에 체결된 연마숫돌(10)에 의해 연마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200)와 상부케이스(1100)가 밀착되도록 나사체결 하게 되면, 상기 하부케이스(1200)의 일단이 잠금해제부시(1880)를 가압함과 동시에 제2베어링(1850)과 스프링와셔(1840) 및 스프링(1830)이 가압되어 콜렛(1700)의 중심에서 연마숫돌(10)의 축부(11)가 간단히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1200)와 상부케이스(1100)가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떨어지도록 조금만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스프링(1830)의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와셔(1840)와 제2베어링(1850) 및 콜렛(1700)에 축방향으로 나사고정된 회전력전달축(1860)과 잠금해제부시(1880)가 하부케이스(1200)쪽으로 이동하여 콜렛(1700)이 콜렛부시(1820)에서 가압되어 콜렛의 축중심으로 끼워진 연마숫돌(10)의 축부(11)가 콜렛(170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100)의 타단쪽에 형성된 무두볼트나사홈(1120)에는 일정길이의 무두볼트(1101)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무두볼트(1101)에 의해 하부케이스가 상부케이스와 나사결합에 의해 회전하여 일정길이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된 무두볼트제어회전영역홈(120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먼저 상기 상부케이스(1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30)와 하부케이스(1200)의 숫나사부(1210)를 체결하게 되고, 상기 무두볼트나사홈(1120)에 무두볼트(1101)를 체결하여 무두볼트의 하단부가 무두볼트제어회전영역홈(1201)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하부케이스(1200)와 상부케이스(1100)가 숫나사부(1210)와 암나사부(1130)가 나사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무두볼트(1101)의 하단부가 무두볼트제어회전영역홈(1201)의 범주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하부케이스(1200)에서 상부케이스(1100)가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잭케이스(1300)의 축중심에 나사체결되는 아답터(1410)와, 상기 하부케이스(1200)의 타측 단부 내주면으로 일정한 각도에 형성된 도피홈(1220)을 통해서 아답터에 연결되면서 회전속도를 표시하도록 된 디스플레이부(1421)와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온오프스위치(1422)가 설치된 기판(1420)과, 상기 하부케이스(1200)의 디스플레이홈(1230)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부(1421)로부터 표시되는 속도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속도표시부재(1430)와, 상기 속도표시부재와 일체로 연결됨과 더불어 하부케이스의 디스플레이홈과 이웃하게 형성된 온오프스위치설치구멍(1240)으로 안착되는 전원스위치부재(14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아답터(1410)로 전원이 공급된 상태로 전원스위치부재(1440)를 눌러 온오프스위치(1422)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1421)에 전원이 들어온 것이 표시되면 속도표시부재(1430)를 통해서 회전속도가 표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연마숫돌(10)이 조립되지 않는 쪽이면서 축중심에 암나사(1710)가 형성된 콜렛(1700)의 단부 외주면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172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전달축(1860)에는 상기 테이퍼부(1720)가 일정길이 끼워져 밀착되면서 축중심에 조립되도록 된 콜렛안착테이퍼홈(1866)이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의 네일용 핸드피스(1000)를 매우 오랜 사용으로 상기 콜렛(1700)이 연마숫돌(10)의 축부(10)에서 빠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잠금해제부시(1880)의 길이가 좀 더 긴 것으로 교체해 주게 되면 사용수명이 매우 길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네일용 핸드피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1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중심 일단에 제1베어링(1810)이 억지끼워마춤됨과 더불어 콜렛부시(1820)의 머리부가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베어링걸림턱(1110)까지 형성된 제1베어안착홈(1140)과, 상기 상부케이스(1100)의 타단에서 베어링걸림턱(1110)까지 일정길이로 형성된 제2베어링안착홈(1150)과, 이 2베어링안착홈(1150)에서 확경되면서 연장되어 일정길이로 잠금해제부시(1880)가 끼워지는 잠금해제부시안착홈(1160)과, 이 잠금해제부시안착홈에서 확경되면서 연장되어 상기 무두볼트(1101)이 체결되어 돌출됨과 더불어 하부케이스(1200)와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1실링홈(1170)과, 이 제1실링홈에서 확경되면서 연장되어 하부케이스와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2실링홈(1180)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2베어링안착홈(1150)의 소정위치에는 오링(180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오링안착홈(1151)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200)는, 도 8과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주면의 일단부쪽에 오링이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오링안착홈(1251,1252)과, 외주면의 타단부쪽에 상기 잭케이스(1300)의 조립후 축방향으로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나사부(1260)와, 축중심방향 일단부에는 상기 잠금해제부시(1880)의 타단부가 일정길이 수용되어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잠금해제부시밀착홈(1270)과, 이 잠금해제부시밀착홈보다 직경이 작게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핀(1890)이 끼워진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모터핀설치구멍(1271)과, 이 모터핀설치구멍으로부터 확경되어 구동부(1500)을 구성하는 모터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모터수용홈(1280)과, 이 모터수용홈에서 축중심 타방향으로 일정길이 확경됨과 더불어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모터고정캡체결나사부(1281)와, 이 모터고정캡체결나사부에서 축중심 타방향으로 단부까지 확경됨과 더불어 상기 잭케이스(1300)가 끼워지도록 된 잭케이스조립부(129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콜렛부시(1820)은,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단부가 상기 제1베어링(1810)의 측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제1베어안착홈(1140)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머리부(1821)와, 이 머리부의 외경에서 타단부의 축중심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여 제1베어링(1810)의 내경에 지지되도록 끼워지는 제1베어링끼움부(1822)와, 축중심으로 일정한 직경으로 관통형성되어 콜렛(1700)의 타단부가 자유로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콜렛조립구멍(1823)과, 이 콜렛조립구멍의 축방향 일단부에서 경사지게 확경되어 콜렛(1700)의 머리부가 안착됨과 더불어 축방향 타단부로 콜렛이 이동하게 되면 콜렛의 머리부를 가압하도록 된 콜렛머리밀착부(182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와셔(1840)은, 도 8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프링(1830)의 내경으로 끼워지도록 된 제1외주면(1841)과, 이 제1외주면에서 확경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100)의 축방향에 설치된 스프링(1830)의 타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된 제2외주면(1842)와, 축중심으로 상기 콜렛(1700)이 끼워져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콜렛끼움구멍(1843)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콜렛(1700)은, 도 8 및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단부의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1710)과, 이 암사사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부(1720)와, 반대쪽인 일단부에는 상기 콜렛부시(1820)의 축중심에 끼워짐과 더불어 연마숫돌(10)의 축부(11)가 끼워짐과 더불어 가압할 수 있도록 슬롯(1731)이 형성된 콜렛부(17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축(1860)은, 도 8 및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단의 외주면이 상기 제2베어링(1850)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된 제2베어링끼움고정부(1861)와, 이 제2베어링끼움고정부에서 확경되어 일정길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잠금해제부시(1880)의 축중심으로 자유로이 이동이가능하도록 된 잠금해제내주면끼움부(1862)와, 축중심으로 관통형성되어 콜렛고정나사(1870)가 끼워지도록 된 나사끼움구멍(1863)과, 상기 나사끼움구멍의 타단부 축중심에서 나사끼움구멍으로 끼워지는 나사의 머리를 안내하도록 일정길이 형성된 나사머리도피홈(1864)와, 이 나사머리도피홈이 형성된 단부에 일정한 두께와 깊이로 형성되어 모터핀(189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모터핀결함홈(1865)과, 이 모터핀결합홈이 형성된 반대쪽 축중심으로 나사끼움구멍에서 테이퍼지게 확경되어 형성된 콜렛안착테이퍼홈(186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핀(1890)은, 도 8과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200)의 모터핀설치구멍(1271)으로 끼워져 축방향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외주면(1891)과, 이 외주면의 일단부에서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1860)의 모터핀결함홈(1865)으로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모터핀결합돌기편(1892)과, 상기 외주면의 축중심에 일정한 직경과 길이로 형성되어 구동부(1500)의 모터 회전축(1510)이 끼워지도록 된 모터회전축끼움홈(1893)과, 상기 외주면(1891)에서 모터회전축끼움홈(1893)으로 관통형성된 나사부(189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모터고정캡(1600)은, 도 8과 도 13 및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멍(1610)과, 이 관통구멍보다 일정 직경이 확경되어 하부케이스(1200)의 모터고정캡체결나사부(1281)와 체결되는 모터고정나사부(1620)와, 이 모터고정나사부에서 직경이 축소되어 구동부(150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된 모터가압부(1630)와, 상기 모더고정나사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된 회전요홈(16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속도표시부재(1430)와 전원스위치부재(1440)는, 도 8과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얇은 연장부재(1431)에 의해 일체로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잭케이스(1300)는, 도 8과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중심에 형성되어 어댑터(1410)가 체결되도록 된 나사부(1310)와, 나사부에서 하부케이스(1200)측으로 확경되어 어댑터(14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어댑터수용홈(1320)과, 상기 나사부(1310)에서 어댑터수용홈의 반대쪽으로 형성되어 전원잭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원잭수용홈(1330)과, 상기 하부케이스(1200)에 끼워지는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340)이 구비되어 하부케이스의 나사부(1260)에 체결되는 무두볼트(1900)가 걸림홈(1340)에 안착되어 잭케이스(1300)가 하부케이스(1200)에서 빠지지 않도록 조립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네일용 핸드피스 1100 : 상부케이스
1200 : 하부케이스 1201 : 무두볼트제어회전영역홈
1300 : 잭케이스 1400 : 제어부
1410 : 아답터 1420 : 기판
1430 : 속도표시부재 1440 : 전원스위치부재
1500 : 구동부 1510 : 모터 회전축
1600 : 모터고정캡 1700 : 콜렛
1720 : 테이퍼부 1800 : 스핀들부
1810 : 제1베어링 1820 : 콜렛부시
1830 : 스프링 1840 : 스프링와셔
1850 : 제2베어링 1860 : 회전력전달축
1866 : 콜렛안착테이퍼홈 1870 : 콜렛고정나사
1880 : 잠금해제부시 1890 : 모터핀

Claims (5)

  1. 상부케이스와, 이 상부케이스에 일단이 축중심으로 끼워져 실링되도록 체결되는 하부케이스와, 이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잭케이스와, 이 잭케이스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제어부와, 이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끼워진 구동부와, 이 구동부가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체결되는 모터고정캡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 끼워지는 콜렛에 연마숫돌이 구비된 축부를 선택적으로 끼워서 조립함과 더불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축중심에 설치된 스핀들부를 포함하는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부터 베어링걸림턱까지 끼워져 조립되는 제1베어링과, 이 제1베어링에 끼워짐과 더불어 축중심으로 콜렛이 끼워지는 콜렛부시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으로 끼워져 베어링걸림턱에 밀착되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으로 밀착되는 스프링와셔와, 이 스프링와셔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부케이스의 내주면에 설치된 오링과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끼워진 제2베어링과, 이 제2베어링에 지지되도록 일단이 끼워짐과 더불어 제2베어링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부케이스에 삽입된 회전력전달축과, 이 회전력전달축의 타단 축중심으로부터 스프링와셔쪽으로 위치한 콜렛의 암나사부에 체결 고정된 콜렛고정나사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회전력전달축의 외주면으로 끼워져 제2베어링의 측면에 밀착되는 잠금해제부시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단으로 축방향 일측이 끼워져 모터의 회전축과 동기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됨과 더불어 축방향 타측이 회전력전달축에 끼워져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모터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밀착되도록 나사체결 하게 되면,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단이 잠금해제부시를 가압함과 동시에 제2베어링과 스프링와셔 및 스프링이 가압되어 콜렛의 중심에서 연마숫돌의 축부가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떨어지도록 나사체결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와셔와 제2베어링 및 콜렛에 축방향으로 나사고정된 회전력전달축과 잠금해제부시가 하부케이스쪽으로 이동하여 콜렛이 콜렛부시에서 가압되어 콜렛의 축중심으로 끼워진 연마숫돌의 축부가 콜렛에서 빠지지 않게 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타단쪽에는 일정길이의 무두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상기 무두볼트에 의해 하부케이스가 상부케이스와 나사결합에 의해 회전하여 일정길이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된 무두볼트제어회전영역홈을 갖추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잭케이스의 축중심에 체결되는 아답터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측 단부 내주면으로 일정한 각도에 형성된 도피홈을 통해서 아답터에 연결되면서 회전속도를 표시하도록 된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된 온오프스위치가 설치된 기판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디스플레이홈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부로부터 표시되는 속도표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속도표시부재와, 상기 속도표시부재와 일체로 연결됨과 더불어 하부케이스의 디스플레이홈과 이웃하게 형성된 온오프스위치설치구멍으로 안착되는 전원스위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핸드피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숫돌이 조립되지 않는 쪽이면서 축중심에 암나사가 형성된 콜렛의 단부 외주면에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전달축에는 상기 테이퍼부가 일정길이 끼워져 밀착되면서 축중심에 조립되도록 된 콜렛안착테이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핸드피스.
KR1020190006326A 2019-01-17 2019-01-17 네일용 핸드피스 KR10217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26A KR102176222B1 (ko) 2019-01-17 2019-01-17 네일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26A KR102176222B1 (ko) 2019-01-17 2019-01-17 네일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506A KR20200089506A (ko) 2020-07-27
KR102176222B1 true KR102176222B1 (ko) 2020-11-09

Family

ID=7189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326A KR102176222B1 (ko) 2019-01-17 2019-01-17 네일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2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844A (ja) * 2001-05-22 2002-12-03 Nakanishi:Kk 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100774260B1 (ko) * 2006-09-11 2007-11-08 (주)마이크로엔엑스 핸드피스용 스핀들축의 브레이킹 겸용 푸싱장치
JP2013056170A (ja) * 2007-05-17 2013-03-28 Pro-Dex Inc 手持ち式医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308B1 (ko) * 2012-04-13 2013-12-05 (주)마이크로엔엑스 핸드피스의 저진동 스핀들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844A (ja) * 2001-05-22 2002-12-03 Nakanishi:Kk 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100774260B1 (ko) * 2006-09-11 2007-11-08 (주)마이크로엔엑스 핸드피스용 스핀들축의 브레이킹 겸용 푸싱장치
JP2013056170A (ja) * 2007-05-17 2013-03-28 Pro-Dex Inc 手持ち式医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506A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2604B2 (ja) 回転工具の加工深さ調整装置
US9050663B2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 quick-clamping device for a working element
US7717653B2 (en) Processing tool
US20070160435A1 (en) Hole cutter having detachable hole-sawing blade
EP1539412B1 (en) A device for fixation of a portable drilling or milling machine on a template for making holes in a workpiece
US7029210B2 (en) Cutting tool with indexable insert
WO2012015018A1 (ja) タング無し螺旋状コイルインサート挿入工具
JP4644671B2 (ja) 締結具取り付け工具及び取り付け工具の後付キット
US20110036604A1 (en) Multi-function power tool
US6637756B2 (en) Power drill chuck
KR102176222B1 (ko) 네일용 핸드피스
JP2005349549A (ja) 加工工具
US11318578B2 (en) Tool holding fixture and device for polishing of lenses
JP2002036134A (ja) スクリュードライバ装置
US6814159B1 (en) Impact tool driver
KR20020044102A (ko)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및 이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KR101912009B1 (ko) 다이아몬드 버니싱공구
EP1306151A1 (en) Tool holder
AU2006235833A1 (en) Depth adjustment apparatus for power tool
JP4359918B2 (ja) スローアウェイドリルおよび操作冶具
JP4638776B2 (ja) ナットの旋削加工装置
JP2004322300A (ja) 固定具
US20190134716A1 (en) Holder for a rotary tool, for example one hole saw
JP2001162415A (ja) ドローダウンチャック
JPH0526211U (ja) ワンタツチ形工具ホルダ及びストレートシヤンク付回転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