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912B1 -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912B1
KR102175912B1 KR1020190123859A KR20190123859A KR102175912B1 KR 102175912 B1 KR102175912 B1 KR 102175912B1 KR 1020190123859 A KR1020190123859 A KR 1020190123859A KR 20190123859 A KR20190123859 A KR 20190123859A KR 102175912 B1 KR102175912 B1 KR 102175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dehumidifying
dehumidification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준
오진수
김경민
조선영
장원석
오문세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24F2003/146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using rotating regenerators
    • F24F2003/16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하우징, 상기 건조 하우징에 연결되어 습공기가 이동하는 제1 흡입관, 상기 제1 흡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흡착제습하는 제습필터, 상기 제습필터를 통해 제습되어 승온된 공기가 상기 건조 하우징으로 이동하는 이동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열원과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습필터로 공급되고, 상기 제습필터는 상기 제습필터를 이용한 제습과 상기 제습필터의 재생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Absorptive dehumidifying body dryer using outside heat}
실시예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필터와 외부열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디 드라이어는 목욕이나 샤워 후에 젖은 몸을 온풍으로 말리거나 입욕 전후의 욕실 온도를 올려 감기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전열코일이 구비된 가열부와 송풍팬을 구비하여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바디 드라이어는 예컨대 헤어드라이어처럼 이동이 자유로운 형태의 포터블형과 벽체에 고정시키는 부착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어느 것이나 온풍 배출구가 하나로 되어 포터블형은 기기를 한 손으로 들고 전신으로 옮겨가면서 사용하고, 부착형의 경우에는 온풍배출구의 높낮이 또는 각도가 순차적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디 드라이어는 주로 전기식으로 흡입한 공기를 고온 건조시키고 이를 고속으로 분사하여 신체에 있는 물방울은 고속으로 날리고 고온으로 건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식 바디 드라이어는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전력의 소모량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9634호.
실시예는 제습필터를 이용한 흡착제습 방식으로 고온의 건공기를 공급하여 바디를 건조할 수 있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 열원을 이용하여 전력 소모량을 감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조 하우징; 상기 건조 하우징에 연결되어 습공기가 이동하는 제1 흡입관; 상기 제1 흡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흡착제습하는 제습필터; 상기 제습필터를 통해 제습되어 승온된 공기가 상기 건조 하우징으로 이동하는 이동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열원과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습필터로 공급되고, 상기 제습필터는 상기 제습필터를 이용한 제습과 상기 제습필터의 재생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관의 일영역에는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공기압축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관의 일영역에는 상기 제습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관의 일영역에는 이동관을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의 가열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기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흡입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흡입관의 일 영역에는 공기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습필터에는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흡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습필터의 일영역을 통과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습필터의 또 다른 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모터가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흡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과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이동하는 공기에 의한 상기 제습필터의 건조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습필터는 원통형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흡입관의 지름은 상기 제습필터의 반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습필터를 이용한 흡착 제습을 통하여 공기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가열되어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을 기반으로 판매되고 있는 바디 드라이어 대비 에너지 소스를 다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열원을 활용하는 바디 드라이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습에 의한 온도 상승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열원을 활용하는 바디 드라이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습에 의한 온도 상승을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는 건조 하우징(100), 제1 흡입관(200), 제습필터(300), 제2 흡입관(500) 및 열교환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하우징(100)은 사람이 내부로 들어가서 몸을 건조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이동관(400)의 일영역이 연결되어 건조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건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건조 하우징(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이 이동하기 위한 배수관(130)이 연결될 수 있다. 건조 하우징(100)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제1 흡입관(200)은 건조 하우징(100)에 연결되어 습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제1 흡입관(200)은 일측이 건조 하우징(100)에 연결되며, 타측이 제습필터(300)로 연결될 수 있다.
제습필터(300)는 제1 흡입관(200)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흡착제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습필터(30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1 흡입관(200)의 지름이 제습필터(300)의 반지름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제습필터(300)는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습도가 낮아지는 경우 온도가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제1 흡입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32도의 습도 90%의 공기를 습도를 20%로 낮추는 경우 온도가 53도로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습도를 낮춤으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동관(400)은 제습필터(300)를 통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건조 하우징(100)으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이동관(400)의 일측은 제습필터(300)와 연결되며, 타측은 건조 하우징(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관(400)의 일 영역에는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공기압축기(410)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압축기(410)는 제습필터(300)를 빠져나온 공기를 압축 이송할 수 있다.
이동관(400)의 일 영역에는 제습필터(300)를 통과한 공기를 추가적으로 가열하는 가열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가열부(420)는 전기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관(400)의 일 영역는 제습필터(300)를 빠져 나온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10)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110)는 제습필터(300)로 빠져나온 공기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온도센서(110)의 배치위치와 종류는 제한이 없으나,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배관 이동시 열손실을 고려하여 이동관(400)의 토출구와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어부(120)는 온도센서(110)에 감지되는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가열부(420)의 가열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동관(40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가열부(420)를 동작시켜 이동하는 공기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6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열원과 열교환을 통해 가열할 수 있다. 열교환기(600)로 가열된 공기는 제습필터(300)로 공급되어 제습필터(300) 건조를 통해 제습필터(300)를 재생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6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흡입관(50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흡입관(500)의 일영역에는 공기필터(510)가 배치되어 외부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다.
열교환기(600)는 외부열원이동관(610)을 통해 이동하는 외부열원과 제2 흡입관(500)을 통해 이동하는 외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제습필터(300)는 제습을 위해 제습부재를 사용하며, 제습부재는 한번 흡착한 수분을 쉽게 내보내지 않는 바 제습부재의 재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제습필터(300)에 열교환기(600)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열교환기(600)와 열교환을 하는 외부열원으로는 보일러의 폐열원이나, 지역난방과 같은 에너지 공급 열원이 사용될 수 있다. 지역난방과 같은 경우 사용자의 사용유무와는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열원이 공급되고 있는바, 에너지의 활용도를 더욱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습필터(300)에는 모터(31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습필터(300)는 건조 영역과 재생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습필터(300)는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체시스템의 중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는 제습필터(300)에 모터(310)를 연결하여 제습필터(300)가 회전을 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제1 흡입관(200)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 열교환기(600)를 통과한 공기가 서로 다른 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모터(310)가 회전함으로 제습필터(300)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1 흡입관(200)을 통해 제습필터(300)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과 열교환기(600)를 거져 이동하는 공기에 의한 제습필터(300)의 건조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제습필터(300)의 건조를 위해 시스템 가동을 중단할 필요가 없으며, 모터(310)의 속도 제어를 통해 건조와 가열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이 존재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건조 하우징
110 : 온도센서
120 : 제어부
130 : 배수관
200 : 제1 흡입관
300 : 제습필터
310 : 모터
400 : 이동관
410 : 공기압축기
420 : 가열부
500 : 제2 흡입관
510 : 공기필터
600 : 열교환기
610 : 외부열원이동관

Claims (8)

  1. 건조 하우징;
    상기 건조 하우징에 연결되어 습공기가 이동하는 제1 흡입관;
    상기 제1 흡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를 흡착제습하는 제습필터;
    상기 제습필터를 통해 제습되어 승온된 공기가 상기 건조 하우징으로 이동하는 이동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열원과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는 열교환기;
    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습필터로 공급되고,
    상기 제습필터는 상기 제습필터를 이용한 제습과 상기 제습필터의 재생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의 일영역에는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공기압축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의 일영역에는 상기 제습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의 일영역에는 이동관을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의 가열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2 흡입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관의 일 영역에는 공기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필터에는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흡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습필터의 일영역을 통과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습필터의 또 다른 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모터가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흡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과 상기 열교환기를 거쳐 이동하는 공기에 의한 상기 제습필터의 건조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필터는 원통형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흡입관의 지름은 상기 제습필터의 반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KR1020190123859A 2019-10-07 2019-10-07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KR102175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59A KR102175912B1 (ko) 2019-10-07 2019-10-07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59A KR102175912B1 (ko) 2019-10-07 2019-10-07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912B1 true KR102175912B1 (ko) 2020-11-06

Family

ID=7357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59A KR102175912B1 (ko) 2019-10-07 2019-10-07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8491A (zh) * 2020-08-31 2022-03-01 Lg电子株式会社 过滤器组装体及具有该过滤器组装体的干燥装置
KR20230091208A (ko) 2021-12-15 2023-06-23 이권환 사용자 최적모드 분석형 인공지능 욕실케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634A (ko) 2008-04-16 2009-10-21 한선영 스탠드형 바디 드라이장치
KR101208015B1 (ko) * 2012-05-15 2012-12-04 (주)대동엔지니어링 클린룸 제습 공조 장치
KR20170052707A (ko) * 2015-10-08 2017-05-1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습도조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634A (ko) 2008-04-16 2009-10-21 한선영 스탠드형 바디 드라이장치
KR101208015B1 (ko) * 2012-05-15 2012-12-04 (주)대동엔지니어링 클린룸 제습 공조 장치
KR20170052707A (ko) * 2015-10-08 2017-05-1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습도조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8491A (zh) * 2020-08-31 2022-03-01 Lg电子株式会社 过滤器组装体及具有该过滤器组装体的干燥装置
KR20230091208A (ko) 2021-12-15 2023-06-23 이권환 사용자 최적모드 분석형 인공지능 욕실케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912B1 (ko)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바디 드라이어
KR20090116301A (ko) 제습기
US6364942B1 (en) Dehumidifier using non-rotating desiccant material
JP3827703B2 (ja) 除湿機の制御装置
KR20100025346A (ko) 제습기
CN112082216A (zh) 一种转轮除湿机及其控制系统
JP6433752B2 (ja) 除湿装置
JP2006170517A (ja) 除加湿装置
KR100853375B1 (ko) 이동 가능한 건식 회전형 제습기
JP7025663B2 (ja) 換気装置
JP2000304448A (ja) 乾燥機
KR102426777B1 (ko) 폐열 재활용이 가능한 제습기
CN105318442A (zh) 一种小型家用转轮除湿机
JP2010167178A (ja) 洗濯乾燥機
TWI651499B (zh) 除濕空調裝置
JP3794430B1 (ja) カビ発生防止装置
KR102140184B1 (ko) 외부 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의류 건조기
JP3835920B2 (ja) 温風器
JP2002276997A (ja) 除湿乾燥機
KR100600108B1 (ko) 가습 및 제습장치와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JP2001162128A (ja) 調湿機
TWM557811U (zh) 除濕空調裝置
JP2003024737A (ja) 除湿システム
JP7193112B2 (ja) 除湿機能付き換気装置
JP2001133156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