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670B1 -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 Google Patents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670B1
KR102175670B1 KR1020190172279A KR20190172279A KR102175670B1 KR 102175670 B1 KR102175670 B1 KR 102175670B1 KR 1020190172279 A KR1020190172279 A KR 1020190172279A KR 20190172279 A KR20190172279 A KR 20190172279A KR 102175670 B1 KR102175670 B1 KR 10217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ft
rotation shaft
rotation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투
Priority to KR102019017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8Ventilation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air ducts, e.g. arrangements for mounting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1Blades, their form o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24F7/025Roof venti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by means of a built-in ventil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하도록 복수개가 1 조의 바람개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100)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축(300)에 전달하도록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축연결부(200)와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300)과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소정 간격으로 하부 위치에 배치되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통과되어 지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410)에서 사방으로 경사지게 만곡부(420)와 측면부(430)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400)과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내측에서 상하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케이싱(500)과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내부케이싱(50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로펠러(600);를 포함하는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 VENTILATOR STRUCTURE WITH PINWHEEL FOR FUNCTIONALITY-ENHANCING }
본 발명은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하도록 복수개가 1 조의 바람개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축연결부를 통해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축연결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하부 위치에 배치되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이 통과되어 지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에서 사방으로 경사지게 만곡부와 측면부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측에서 상하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으로 공장 건물이나 비닐 하우스 또는 공동주택 등과 같은 구조물의 지붕이나 옥상에는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목적으로 환풍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환풍 시설은 전원을 공급받아 팬(fan)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동력식과,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무동력식으로 대별된다.
상기 동력식으로는 전기에 의해 팬을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풍기가 주로 사용되며, 무동력식으로는 자연의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벤츄레이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동력식의 경우 전력의 과다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구동을 조작하여야 되었으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 실내의 오염도에 구애받지 않고 환풍기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키고 있어 과다한 전력사용으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벤츄레이터를 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건물 외부의 대기가 순환되는 기상 환경에서는 동력식의 경우, 동력 기동이 불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에너지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동력인 경우에는 외부 대기가 순환되지 않거나 상하로 바람이 부는 경우 벤츄레이터를 통해 건물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여 실내 오염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806399호에 따르는 벤츄레이터는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제1케이스(100), 제2케이스(200), 제3케이스(300), 회전형 블레이드(400) 및 관통형 연결핀(500)을 구비하고, 상기의 제1케이스(100)는 수직덕트(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케이스(100)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실내공기를 제1케이스(100)의 중심부로 유도하여 발전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벤츄레이터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6399호(2017년12월01일.등록)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하도록 복수개가 1 조의 바람개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100)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축(300)에 전달하도록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축연결부(200)와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300)을 포함하는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소정 간격으로 하부 위치에 배치되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통과되어 지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410)에서 사방으로 경사지게 만곡부(420)와 측면부(430)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400)과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내측에서 상하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케이싱(500)과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내부케이싱(50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로펠러(600)를 통해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한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의 가압을 받는 어느 하나의 일면이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블레이드면(110),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제 3 블레이드(130)면의 순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상기 제 3 블레이드면(130)의 표면의 기울기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바람에 대한 저항 값이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크고,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3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작도록 구비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1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모두 서로 다르게 구비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종풍에 반응되는 상기 블레이드(100)를 적어도 포함하는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축연결부(200)와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 각도록 굴절가능하게 굴절부(31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축연결부(20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굴절삽입재(311)로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굴절삽입재(311)를 수용하도록 굴절수용부(312)가 구비되어 굴절 가능한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에 회전부(32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종단이 구 형상인 회전삽입재(3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삽입재(321)를 수용하도록 회전수용부(32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외주면에는 굴절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대향면에 위치하는 상기 굴절수용부(312)의 면에는 굴절제한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삽입재(321)의 외주면에는 회전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삽입재(321)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수용부(322)의 면상에는 회전제한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관통구(4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300)을 360°로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300)을 가이드 하도록 축가이드(440)가 구비되되, 상기 만곡부(420)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걸침부(44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10)와 상기 회전축(300)의 사이에는 하부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어링수납공간(442a)과 윤활유수납공간(442b)이 구비되는 가이드하우징(442)이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수납부에는 볼 베어링(442c)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내부케이싱(500)에 일단이 결합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프로펠러(600)의 직상 위치인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수평지지대(510)와 상기 회전축(300)을 연결하도록 링 형상의 수평지지연결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회전축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벤츄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는 먼저, 표면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하도록 복수개가 1 조의 바람개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00)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축(300)에 전달하도록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축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소정 간격으로 하부 위치에 배치되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통과되어 지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410)에서 사방으로 경사지게 만곡부(420)와 측면부(430)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내측에서 상하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케이싱(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내부케이싱(50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로펠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블레이드(100)는 공기의 가압을 받는 어느 하나의 일면이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블레이드면(110),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제 3 블레이드(130)면의 순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상기 제 3 블레이드면(130)의 표면의 기울기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바람에 대한 저항 값이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크고,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00)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1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모두 서로 다르게 구비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종풍에 반응되는 상기 블레이드(1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축연결부(200)와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 각도록 굴절가능하게 굴절부(310)가 더 구비되되, 상기 굴절부(310)는 상기 축연결부(20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굴절삽입재(311)로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굴절삽입재(311)를 수용하도록 굴절수용부(31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에 회전부(320)이 더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종단이 구 형상인 회전삽입재(3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삽입재(321)를 수용하도록 회전수용부(32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외주면에는 굴절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대향면에 위치하는 상기 굴절수용부(312)의 면에는 굴절제한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삽입재(321)의 외주면에는 회전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삽입재(321)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수용부(322)의 면상에는 회전제한홈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4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300)을 360°로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300)을 가이드 하도록 축가이드(440)가 구비되되, 상기 축가이드(440)는, 상기 만곡부(420)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걸침부(44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10)와 상기 회전축(300)의 사이에는 하부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어링수납공간(442a)과 윤활유수납공간(442b)이 구비되는 가이드하우징(442)이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수납부에는 볼 베어링(442c)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회전축(300)을 상기 내부케이싱(500)에 고정하도록 일단은 상기 내부케이싱(50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프로펠러(600)의 직상 위치인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5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를 제공하여,
첫째, 표면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하도록 복수개가 1 조의 바람개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100)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축(300)에 전달하도록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축연결부(200)와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300)을 포함하여 바람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소정 간격으로 하부 위치에 배치되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통과되어 지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410)에서 사방으로 경사지게 만곡부(420)와 측면부(430)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400)과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내측에서 상하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케이싱(500)과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내부케이싱(50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로펠러(600)를 통해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공기의 가압을 받는 어느 하나의 일면이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블레이드면(110),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제 3 블레이드(130)면의 순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상기 제 3 블레이드면(130)의 표면의 기울기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바람에 대한 저항 값이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크고,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3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작도록 구비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블레이드가 회전시 공기저항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1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모두 서로 다르게 구비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종풍에 반응되는 상기 블레이드(100)를 포함하여 풍향과는 상관없는 일정한 동력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섯째, 상기 축연결부(200)와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 각도록 굴절가능하게 굴절부(31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축연결부(20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굴절삽입재(311)로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굴절삽입재(311)를 수용하도록 굴절수용부(312)가 구비되어 굴절이 가능하여 강한 바람에도 용이하게 버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에 회전부(32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종단이 구 형상인 회전삽입재(3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삽입재(321)를 수용하도록 회전수용부(322)를 통하여 굴절을 통한 회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외주면에는 굴절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대향면에 위치하는 상기 굴절수용부(312)의 면에는 굴절제한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삽입재(321)의 외주면에는 회전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삽입재(321)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수용부(322)의 면상에는 회전제한홈이 더 구비되어 회전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상기 관통구(4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300)을 360°로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300)을 가이드 하도록 축가이드(440)가 구비되되, 상기 만곡부(420)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걸침부(44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10)와 상기 회전축(300)의 사이에는 하부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어링수납공간(442a)과 윤활유수납공간(442b)이 구비되는 가이드하우징(442)이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수납부에는 볼 베어링(442c)을 통해 보다 섬세한 굴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윤활휴를 통해 부드러운 굴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홉째, 상기 내부케이싱(500)에 일단이 결합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프로펠러(600)의 직상 위치인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수평지지대(510)와 상기 회전축(300)을 연결하도록 링 형상의 수평지지연결재를 통하여 내부케이싱 내의 회전축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구성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축결합 구성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5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외부케이스인 관통부 및 만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7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9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축연결부, 굴절부 및 결합부를 통하여 굴절과 회전이 가능하다는 내욜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3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축가이드,가이드하우징 및 걸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6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내부케이싱을 구성하는 수평지지대 및 수평지지연결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를 설치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와 선출원된 벤츄레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선출원 문건의 발췌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구성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축결합 구성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5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외부케이스인 관통부 및 만곡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7 내지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9 내지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축연결부, 굴절부 및 결합부를 통하여 굴절과 회전이 가능하다는 내욜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13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축가이드,가이드하우징 및 걸침부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16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의 내부케이싱을 구성하는 수평지지대 및 수평지지연결재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고, 도 1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를 설치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와 선출원된 벤츄레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선출원 문건의 발췌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는 먼저, 표면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하도록 복수개가 1 조의 바람개비를 형성하도록 블레이드(100)가 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블레이드(100)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축(300)에 전달하도록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축연결부(200)가 구비된다.
또한,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갖도록 상기 회전축(300)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소정 간격으로 하부 위치에 배치되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통과되어 지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410)에서 사방으로 경사지게 만곡부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400)으로 우수가 건물 내부에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는 것이다.
여기에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내측에서 상하가 개구된 관형상의 내부케이싱(500)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케이싱(500)은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배기용 에어 덕트에 연통되어 실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내부케이싱(50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600)가 수비되어 상기 에어 덕트의 공기를 상부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는, 도 7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가압을 받는 어느 하나의 일면이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블레이드면(110),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제 3 블레이드(130)면의 순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상기 제 3 블레이드면(130)의 표면의 기울기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바람에 대한 저항 값이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크고,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3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작도록 구비되어 블레이드 표면에서 발생되는 공기 저항으로 인한 소음이 완화되어 소음이 예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100)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1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모두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 소음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종풍에 반응되는 상기 블레이드(100)를 적어도 포함하여 횡풍 뿐만 아니라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 수직 또는 경사진 방향의 바람에도 상기 회전축(3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은 도 9 내지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연결부(200)와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 각도록 굴절가능하게 굴절부(310)가 구비되어 수직풍 또는 경사풍에 반응 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굴절부(310)는 상기 축연결부(20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굴절삽입재(311)로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굴절삽입재(311)를 수용하도록 굴절수용부(312)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에 회전부(320)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320)는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종단이 구 형상인 회전삽입재(3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삽입재(321)를 수용하도록 회전수용부(322)로 구비되어 횡풍의 방향에 효율적으로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외주면에는 굴절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대향면에 위치하는 상기 굴절수용부(312)의 면에는 굴절제한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삽입재(321)의 외주면에는 회전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삽입재(321)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수용부(322)의 면상에는 회전제한홈이 더 구비되어 상기 굴절부(310)와 상기 회전부(320)가 어느 정도의 고정을 유지하여 미세한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되어 발생되는 떨림 현상을 예방하고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4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300)을 360°로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300)을 가이드 하도록 축가이드(4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축가이드(440)는 상기 만곡부(420)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걸침부(44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10)와 상기 회전축(300)의 사이에는 하부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어링수납공간(442a)과 윤활유수납공간(442b)이 구비되는 가이드하우징(442)이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수납부에는 볼 베어링(442c)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00)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싱(500)에 상기 회전축(3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흔들거림을 예방하고 소음이 방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내부케이싱(500)에 결합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프로펠러(600)의 직상 위치인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51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를 통하여, 표면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하도록 복수개가 1 조의 바람개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100)와 상기 블레이드(100)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축(300)에 전달하도록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축연결부(200)와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300)을 포함하여 바람의 배출이 용이하며,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소정 간격으로 하부 위치에 배치되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통과되어 지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410)에서 사방으로 경사지게 만곡부(420)와 측면부(430)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400)과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내측에서 상하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케이싱(500)과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내부케이싱(50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로펠러(600)를 통해 효율적인 환기가 가능하며, 공기의 가압을 받는 어느 하나의 일면이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블레이드면(110),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제 3 블레이드(130)면의 순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상기 제 3 블레이드면(130)의 표면의 기울기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바람에 대한 저항 값이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크고,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3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작도록 구비하여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블레이드가 회전시 공기저항이 최소화 되며,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1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모두 서로 다르게 구비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종풍에 반응되는 상기 블레이드(100)를 포함하여 풍향과는 상관없는 일정한 동력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축연결부(200)와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 각도록 굴절가능하게 굴절부(31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축연결부(20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굴절삽입재(311)로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굴절삽입재(311)를 수용하도록 굴절수용부(312)가 구비되어 굴절이 가능하여 강한 바람에도 용이하게 지지되며,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에 회전부(32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종단이 구 형상인 회전삽입재(321)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삽입재(321)를 수용하도록 회전수용부(322)를 통하여 굴절을 통한 회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블레이드
110 ... 제 1 블레이드면
120 ... 제 2 블레이드면
130 ... 제 3 블레이드면
200 ... 축연결부
300 ... 회전축
310 ... 굴절부
311 ... 굴절삽입재
312 ... 굴절수용부
320 ... 회전부
321 ... 회전삽입재
322 ... 회전수용부
400 ... 외부케이싱
410 ... 관통부
420 ... 만곡부
440 ... 축가이드
441 ... 걸침부
442 ... 가이드하우징
442a ... 베어링수납공간
442b ... 윤활휴수납공간
442c ... 볼 베어링
500 ... 내부케이싱
510 ... 수평지지대
600 ... 프로펠러

Claims (8)

  1. 표면에 가해지는 공기의 압력으로 회전하도록 복수개가 1 조의 바람개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블레이드(100);
    상기 블레이드(100)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축(300)에 전달하도록 일측은 상기 블레이드(1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축연결부(200);
    지면과 수직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는 상기 회전축(300);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소정 간격으로 하부 위치에 배치되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300)이 통과되어 지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관통구(41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410)에서 사방으로 경사지게 만곡부(420)가 구비되는 외부케이싱(400);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내측에서 상하가 개구된 관형상으로 구비되는 내부케이싱(500);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내부케이싱(500)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로펠러(600);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100)는 공기의 가압을 받는 어느 하나의 일면이 상기 축연결부(200)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 1 블레이드면(110),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제 3 블레이드(130)면의 순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 및 상기 제 3 블레이드면(130)의 표면의 기울기가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바람에 대한 저항 값이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2 블레이드면(12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크고,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30)의 공기 저항값이 가장 작도록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100)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1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모두 서로 다르게 구비되되 상기 제 1 블레이드면(110)의 기울기가 종풍에 반응되는 상기 블레이드(100)가 적어도 포함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축연결부(200)와 상기 외부케이싱(400)의 사이에는 상하로 소정 각도록 굴절가능하게 복수의 굴절부(310)가 구비되며 상기 굴절부(310)는 상기 축연결부(200)의 직하 위치의 일단에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굴절삽입재(311)와 타단에 상기 굴절삽입재(311)가 수용되도록 굴절수용부(312)로 구비되며,
    회전부(320)는 상기 굴절부(310)의 직하 위치 일단에는 종단이 구 형상인 회전삽입재(321)와 타단에 상기 회전삽입재(321)를 수용하도록 회전수용부(322)로 구비되며,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외주면에는 굴절제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굴절삽입재(311)의 대향면에 위치하는 상기 굴절수용부(312)의 면에는 굴절제한홈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삽입재(321)의 외주면에는 회전제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삽입재(321)에 대향되는 상기 회전수용부(322)의 면상에는 회전제한홈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구(4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300)을 360°로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300)을 가이드 하도록 축가이드(440)가 구비되며,
    상기 축가이드(440)는 상기 만곡부(420)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걸침부(44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10)와 상기 회전축(300)의 사이에는 하부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어링수납공간(442a)과 윤활유수납공간(442b)이 구비되는 가이드하우징(442)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수납공간(442a)에는 볼 베어링(442c)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을 상기 내부케이싱(500)에 고정하도록 일단은 상기 내부케이싱(50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프로펠러(600)의 직상 위치인 상기 회전축(300)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5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KR1020190172279A 2019-12-20 2019-12-20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KR10217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79A KR102175670B1 (ko) 2019-12-20 2019-12-20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79A KR102175670B1 (ko) 2019-12-20 2019-12-20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670B1 true KR102175670B1 (ko) 2020-11-06

Family

ID=7357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279A KR102175670B1 (ko) 2019-12-20 2019-12-20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6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951U (ko) * 1989-09-12 1991-04-24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엔진의 실린더 블록 보강구조
KR20110005794U (ko) * 2009-12-04 2011-06-10 이행건 유동 및 소음 발생이 없는 무동력 벤추레이터
KR20120111340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쏠라디오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KR101331169B1 (ko) * 2012-09-26 2013-11-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 형 수평 날개를 갖는 소형 풍력발전기 및 이의 출력 제어방법
KR101806399B1 (ko) 2016-12-01 2017-1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벤츄레이터
KR101990381B1 (ko) * 2018-12-03 2019-06-18 정진구 양력과 항력 보완식 수평축 풍력발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951U (ko) * 1989-09-12 1991-04-24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엔진의 실린더 블록 보강구조
KR20110005794U (ko) * 2009-12-04 2011-06-10 이행건 유동 및 소음 발생이 없는 무동력 벤추레이터
KR20120111340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쏠라디오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KR101331169B1 (ko) * 2012-09-26 2013-11-1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 형 수평 날개를 갖는 소형 풍력발전기 및 이의 출력 제어방법
KR101806399B1 (ko) 2016-12-01 2017-1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벤츄레이터
KR101990381B1 (ko) * 2018-12-03 2019-06-18 정진구 양력과 항력 보완식 수평축 풍력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8729B1 (en) Wind energy plant having an observation platform
JP4128146B2 (ja) 屋根一体型風力発電装置
JP2008309132A (ja) 可変翼式風力変換機構
JP6354309B2 (ja) ブロワ装置
KR102175670B1 (ko)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US20090243302A1 (en) Optimized rotor for a wind power plant and wind power plant for mounting on a building
JP2010065676A (ja) 風力エネルギーシステム、風力エネルギー変換システム及び風トンネルモジュール
JP3153015U (ja) 風力発電システム
US20140094109A1 (en) Ventilation device
KR20100031449A (ko) 풍력 발전기용 배풍기
US10428789B2 (en) Cable routing for wind turbine system having multiple rotors
US10487807B2 (en) Cable routing for wind turbine system having multiple rotors
JP5455949B2 (ja) 換気扇
KR101863124B1 (ko) 풍력발전기
CN213806234U (zh) 一种屋面建筑结构
TWM542750U (zh) 熱氣導流裝置
JP6735906B2 (ja) ダクト用換気扇
US20090227198A1 (en) Smoke and heat exhaust ventilator
US20140175801A1 (en) Wind turbine power generator
US3469518A (en) Omnidirectional ventilator
KR200248380Y1 (ko) 배풍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CN217462654U (zh) 一种风机防雨结构
US20040109753A1 (en) Cross flow fan
KR102055575B1 (ko) 풍력발전기
CN220379891U (zh) 风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