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340A -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340A
KR20120111340A KR1020110029764A KR20110029764A KR20120111340A KR 20120111340 A KR20120111340 A KR 20120111340A KR 1020110029764 A KR1020110029764 A KR 1020110029764A KR 20110029764 A KR20110029764 A KR 20110029764A KR 20120111340 A KR20120111340 A KR 2012011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pipe
rotating shaft
rotary shaft
coupled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라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라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라디오
Priority to KR102011002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340A/ko
Publication of KR2012011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축과,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이송되는 유로가 마련된 통풍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통풍관 외부로부터 통풍관의 유로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지지부와,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고 실외로 노출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발생부와,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고 통풍관의 유로 상에 설치되며 회전축과 연동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이송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에 의하면, 풍력을 이용하여 통풍관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을 회전시킬 수 있어 전기료의 부담이 없고, 자연친화적인 통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 풍속에서는 풍차의 회전력이 송풍팬에 전달되고, 저속의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는 보조회전체의 회전력이 송풍팬에 전달되어 바람이 속도에 관계없이 송풍팬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 풍속에서 지지체를 통풍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하여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ventilation device using the windpower}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풍차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통풍관의 팬을 회전시키는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 화장실이나 공장의 건물 내부 등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환풍기를 설치하여 내부의 먼지나, 유해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주고 있다.
크게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팬을 회전시켜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켜주는 방식의 환풍기와, 외부의 풍력에 의해 팬을 회전시켜 공기를 환기시켜 주는 방식의 환풍기의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의 방식은 별도의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시 전기료의 부담감이 큰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방식은 전기료의 부담은 적으나 팬이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 내부의 공기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환풍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대신 통해 팬을 회전시키는 대신 풍력을 이용하여 팬을 회전시킬 수 있는 통풍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풍속에 관계없이 팬을 상시 회전시킴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이송되는 유로가 마련된 통풍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관 외부로부터 상기 통풍관의 유로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고 실외로 노출되며 바람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통풍관의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이송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력발생부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통풍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력발생부 방향으로 바람을 안내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통풍관과 이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통풍관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제1부분과 상기 경사판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게 상기 제1부분의 상단으로 연장되되 상기 경사판의 경사도와 대응되는 경사도로 절곡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이격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이 고속의 바람에 의해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통풍관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통풍관에 지지된 상태로 상승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회전력발생부의 하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에 양력을 발생시키는 보조블레이드와, 상기 통풍관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상승 될 시 상기 이격프레임이 상기 통풍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통풍관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제1부분가 삽입되는 가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다수의 평판형 블레이드가 원주상으로 배열결합된 보조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보조회전체와 송풍팬이 결합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제2회전축에 간섭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연동시키고, 상기 제1회전축이 저속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제1회전축과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축에 대한 간섭이 해제되는 연동부재가 개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에 의하면, 풍력을 이용하여 통풍관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을 회전시킬 수 있어 전기료의 부담이 없고, 자연친화적인 통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에 의하면, 고속의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는 풍차의 회전력이 송풍팬에 전달되고, 저속의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는 보조회전체의 회전력이 송풍팬에 전달되어 바람이 속도에 관계없이 송풍팬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 풍속에서 지지체를 통풍관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하여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풍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통풍 장치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의 제4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통풍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및 연동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풍 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풍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풍 장치(100)는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도록 공장 등의 지붕에 마련된 통풍관(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력발생부(120)와, 회전축(110)과, 지지부(130)와, 송풍팬(140)을 구비한다.
회전력발생부(120)는 외부의 풍속에 의해 회전되는 풍차를 적용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통상의 풍차를 이용한다.
회전력발생수단은 연결부재(121)와 제1연결봉(122) 및 제1블레이드(123)를 구비한다.
연결부재(121)는 회전축(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환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축(110)의 상부 및 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고정되며, 제1연결봉(122)은 연결부재(121)로부터 회전축(110)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제1연결봉(122)은 회전축(110)에 의해 회전될 시 공기와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게 평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평평한 면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123)는 외풍에 의해 회전축(11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1연결봉(122)에 일 측이 고정된다. 제1블레이드(123)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판 상의 소재를 프레스하여 성형하거나, 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 된다.
제1블레이드(123)는 단면에 4자계 에어 포일형, RAF 에어 포일형, 게팅겐 에어 포일형 등으로 대표되는 비행기에 사용되는 유선형이 에어 포일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축(110)과 마주하는 내향면에는 절제부(123a)가 형성된다.
절제부(123a)는 제1블레이드(123)의 선단으로부터 35 % 내지 45 % 사이의 위치에서 블레이드의 후미에 걸쳐 절제되어 형성된다. 그 결과, 제1블레이드(123)는 낮은 레이놀즈 수로 높은 양력 계수가 되는 에어 포일형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30)는 회전축(110)이 회전가능하도록 통풍관(10)에 대해 지지하고, 통풍관(10)의 상방에 설치되어 실외로부터 통풍관(10) 내부를 통해 실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커버(131)와, 다수의 이격프레임(134)을 구비한다.
커버(131)는 회전력발생부(120)의 하부에서 회전축(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판(132)과, 고정판(132)의 가장자리로부터 통풍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회전력발생부(120) 방향으로 바람을 안내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133)을 포함한다.
경사판(133)에는 후술되는 이격프레임(134)과 볼팅 결합시킬 수 있게 다수의 제1체결홀(133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다.
이격프레임(134)은 통풍관(10)을 통해 실내에서 실외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공간(S)이 형성될 수 있게 커버(131)를 통풍관(1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통풍관(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부분(135)과, 제1부분(135)으로부터 연장되어 커버(131)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부분(136)을 포함한다.
제1부분(135)은 통풍관(10)에 결합되는 면이 통풍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통풍관(10)의 외형과 대응되는 곡면형상을 가지고, 제2부분(136)은 경사판(133)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제1부분(135)으로부터 경사판(133)의 경사도와 대응되는 경사도를 가지며 결합되는 면이 경사판(133)의 내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형상을 갖는다.
제2부분(136)에는 커버(131)와 볼팅결합을 위한 제2체결홀(136a)이 형성된다.
제1부분(135)은 통풍관(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피스부재를 이용하여 통풍관(10)에 결합되고, 제2부분(136)은 볼트(12) 및 너트(13)를 통해 커버(131)와 결합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131)와 제2부분(136)과의 결합부분에는 커버(131)의 제1체결홀(133a)을 통해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기밀을 위한 실링부재가 볼트(12)와 커버(13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1)는 통풍관(10)의 측면 방향에서 부는 외풍에 의해 빗물 또는 이물질이 통풍관(1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후술 되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경사판(133)의 하단이 통풍관(1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송풍팬(140)은 통풍관(10)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게 회전축(110)의 하단에 결합되며, 회전력발생부(1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10)과 연동회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킨다.
송풍팬(140)은 통상의 선풍기 날개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예 이외에도 이와는 다르게 하부의 공기를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구조의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풍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통풍 장치(200)는 회전력발생부(220)와, 회전축(110)과, 지지부(130)와, 송풍팬(140)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축(110)과 지지부(130)와 송풍팬(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풍 장치(100)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회전력발생부(220)는 제2연결봉(221)과 고정프레임(222)과 제2블레이드(223)를 구비한다.
제2연결봉(221)은 회전축(11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회전축(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4개가 90°로 배치된다.
제2연결봉(221)의 단부에는 환 상의 고정프레임(222)이 결합되고, 고정프레임(222)은 회전축(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의 고정프레임(222) 사이에는 제2블레이드(223)가 설치된다. 제2블레이드(223)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되어 회전축(110)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제2블레이드(223)의 상하 양단은 상하 고정프레임(222)에 각각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2블레이드(223)는 항력형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력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풍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통풍 장치(300)는 회전력발생부(120)와, 회전축(110)과, 지지부(130)와, 송풍팬(140)과, 승강수단 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력발생부(120)와, 회전축(110)과, 지지부(130)와, 송풍팬(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풍 장치(100)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승강수단 은 회전축(110)이 고 풍속의 바람에 의해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시 송풍팬(140)에 의해 통풍관(10)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커버(131)를 통풍관(10)에 지지된 상태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보조블레이드(151)와, 가이드(152) 및 상승제한부재(155)를 구비한다.
보조블레이드(151)는 회전력발생수단과 커버(131) 사이의 회전축(110)에 결합된다.
보조블레이드(151)는 회전력발생부(120)에 의해 회전축(110)이 고속으로 회전될 시 커버(131)를 상승시키도록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에 사용되는 유선형 에어 포일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11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며 상호 180°를 갖도록 배치된다.
가이드(152)는 보조블레이드(151)에 의해 커버(131)가 통풍관(10)의 상부로 상승 될 경우 커버(131)에 고정되는 이격프레임(134)이 통풍관(10)에 지지된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격프레임(134)의 제1부분(135)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가이드(152)는 몸체(153)와, 몸체(153)를 통풍관(10)에 밀착고정시키는 플랜지(154)를 포함한다.
몸체(153)는 이격프레임(134)의 제1부분(135)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안내홀(153a)이 형성되며 하부는 폐쇄된 사각 함 형상으로 형성되고, 통풍관(10)에 밀착되는 후면과 대향되는 전면에는 후술되는 상승제한부재(15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53b)이 몸체(1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몸체(153)의 후면은 통풍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통풍관(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 풍속에서는 제1부분의 하단이 몸체(153)의 폐쇄된 바닥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게 제1부분(135)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플랜지(154)는 몸체(153)로부터 양 측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고정피스(14)를 통해 몸체(153)를 통풍관(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54a)이 형성된다.
이격프레임(134)의 제1부분에는 후술 되는 상승제한부재(155)와 볼팅 결합 될 수 있게 결합홈(135a)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 형성된다.
상승제한부재(155)는 삽입홈(153b)에 삽입된 이격프레임(134)에 볼트(12)를 통해 결합된다. 상승제한부재(155)를 관통하는 볼트(12)는 결합홈(135a)에 체결된다. 상승제한부재(155)는 커버(131)가 상승될 시 커버(131)와 연동하여 상승하는 이격프레임(134)에 의해 삽입홈(153b)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되 삽입홈(153b)의 끝나는 몸체(153)의 상부에 걸려 안내홀(153a)으로부터 이격프레임(134)이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평균 풍속이 5m/s 이상의 강풍(이하 '고 풍속'이라 함)에 의해 회전력발생부(120)가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 송풍팬(140) 또한 고속으로 회전되며 송풍팬(140)에 의해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평상시 보다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공간(S)은 한정되어 있고 송풍팬(140)에 의해 공기배출공간(S)으로 합류되는 공기의 양은 증가하게 되어 병목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보조블레이드(151)는 커버(131)를 통풍관(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통풍관(10) 사이의 공기배출공간(S)을 확장되게 하여 송풍팬(140)에 의해 공기배출공간(S)으로 합류되는 공기가 병목현상 없이 용이하게 배출되게 한다. 회전축(110)의 회전속도가 감소하게 되면 커버(131)는 초기의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보조블레이드(151)는 하부보다 상부가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로 상부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은 빠르고 하부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되어 보조블레이드(151)의 상방으로 양력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풍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통풍 장치(400)는 회전력발생부(120)와, 회전축(410)과, 지지부(430)와, 송풍팬(140)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력발생부(120)와, 송풍팬(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풍 장치(100)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지지부(430)는 다수의 평판형 제3블레이드(441)가 원주상으로 배열결합된 보조회전체(440)와 제2회전축(41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50) 및 연동부재(460)를 포함한다.
보조회전체(440)는 통상의 무동력으로 저속의 바람에도 회전되어 통풍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벤츄레타를 사용한다. 보조회전체(440)의 하부는 통풍관(10)의 상부에 끼움결합된다.
회전축은 회전력발생부(120)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411)과, 제1회전축(411)의 일부가 내부로 삽입되고 보조회전체(440)에 결합되며 제1회전축(411)과 동축상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412)을 포함한다.
제1회전축(411)은 회전력발생부(120)에 의해 회전되고 제2회전축(412)은 고 풍속에서는 회전력발생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축(411)과 연동하여 회전되고, 평균 풍속이 5m/s 미만의 약풍(이하 '저 풍속' 이라 함)에 의해 제1회전축(411)이 저속으로 회전되거나 정지될 경우 보조회전체(440)에 의해 제1회전축(411)과 개별적으로 회전된다.
지지프레임(450)은 제2회전축(412)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보강프레임(451)이 마련되고 통풍관(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환 형의 고정프레임(452)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450)은 통풍관(1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으로 하강된 위치에서 통풍관(10)의 내부에 고정된다. 지지프레임(450)과 통풍관(10)은 용접결합시킬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나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1회전축(411)과 제2회전축(412) 사이에는 제1회전축(411)과 제2회전축(412)을 연동하여 회전되게 하거나 개별적으로 회전되게 하는 연동부재(460)가 결합된다. 연동부재(460)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내측회전체(461)와 외측회전체(465)를 포함한다.
고 풍속 영역에서 연동부재(460)는 회전력발생부(120)의 고속 회전에 의해 제1회전축(411)의 회전수가 제2회전축(412)의 회전수보다 증가되는 시점에서 내측회전체(461)의 스프링(462)에 지지되는 볼(463)이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462)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면서 볼(463)가 외측회전체(465)와 간섭되어 제2회전축(412)을 회전시킨다.
한편, 고 풍속에서 저 풍속으로 변화되면 제1회전축(411)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면서 외측회전체(4465)에 간섭된 상태에서 볼(463)의 원심력이 작아져 스프링(462)에 의해 내측회전체(461) 방향으로 인접되어 외측회전체(465)에 대한 간섭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2회전축(412)은 보조회전체(440)에 의해 제1회전축(411)과는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저 풍속에서 제1회전축(411)이 정지하는 경우에도 보조회전체(440)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축(412)을 통해 송풍팬(140)을 구동할 수 있고, 고 풍속에서는 회전력발생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축(411)이 제2회전축(412)과 연동하여 회전되므로 송풍팬(140)을 구동할 수 있다. 즉, 저 풍속 또는 바람이 불지 않는 상태 또는 고 풍속 모두 송풍팬(140)을 구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통풍 장치 110 : 회전축
120 : 회전력발생부 130 : 지지부
140 : 송풍팬 150 : 승강수단
151 : 보조블레이드 152 : 가이드
153 : 상승제한부재 411 : 제1회전축
412 : 제2회전축 441 : 제3블레이드
440 : 보조회전체 460 : 연동부재
S : 공기배출공간

Claims (4)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이송되는 유로가 마련된 통풍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관 외부로부터 상기 통풍관의 유로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지지부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고 실외로 노출되며 바람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발생부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통풍관의 유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이송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력발생부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통풍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력발생부 방향으로 바람을 안내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상기 통풍관과 이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통풍관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제1부분과 상기 경사판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게 상기 제1부분의 상단으로 연장되되 상기 경사판의 경사도와 대응되는 경사도로 절곡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이격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고 풍속의 바람에 의해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통풍관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상기 커버를 상기 통풍관에 지지된 상태로 상승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회전력발생부의 하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에 연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에 양력을 발생시키는 보조블레이드와,
    상기 통풍관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상승 될 시 상기 이격프레임이 상기 통풍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통풍관의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이격프레임의 상기 제1부분이 삽입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다수의 평판형 블레이드가 원주상으로 배열결합된 보조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력발생부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보조회전체와 상기 송풍팬이 결합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 사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이 고속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제2회전축에 간섭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연동시키고, 상기 제1회전축이 저속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제1회전축과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축에 대한 간섭이 해제되는 연동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장치.
KR1020110029764A 2011-03-31 2011-03-31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KR20120111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64A KR20120111340A (ko) 2011-03-31 2011-03-31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64A KR20120111340A (ko) 2011-03-31 2011-03-31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340A true KR20120111340A (ko) 2012-10-10

Family

ID=4728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764A KR20120111340A (ko) 2011-03-31 2011-03-31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3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375B1 (ko) * 2013-07-24 2014-12-04 권윤석 개량 선풍기
KR101506942B1 (ko) * 2013-07-26 2015-03-31 양두석 급취식화장실
KR101524178B1 (ko) * 2013-09-12 2015-06-01 주식회사 휠코리아 실내 환풍 겸용 자연채광 광덕트 장치
KR102175670B1 (ko) * 2019-12-20 2020-11-06 주식회사 아투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375B1 (ko) * 2013-07-24 2014-12-04 권윤석 개량 선풍기
KR101506942B1 (ko) * 2013-07-26 2015-03-31 양두석 급취식화장실
KR101524178B1 (ko) * 2013-09-12 2015-06-01 주식회사 휠코리아 실내 환풍 겸용 자연채광 광덕트 장치
KR102175670B1 (ko) * 2019-12-20 2020-11-06 주식회사 아투 환기력 강화 벤츄레이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51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ing a rotor blade extension for use in a wind turbine
US8511965B2 (en) Vertical axis turbine
KR101849052B1 (ko) 방향키 풍력을 이용한 환풍기와 무동력 선풍기 발전 시스템
TW201326545A (zh) 風力發電裝置
JP6110455B2 (ja) 集風型風車
CN105715454A (zh) 全方位导流无轴风力发电装置
KR20120111340A (ko) 풍력을 이용한 통풍 장치
US11156204B2 (en) Wind turbine
WO2017198191A1 (zh) 圆锥风轮圆周边沿挡风墙头的离心气流四侧转化的风叶圈
KR20100031449A (ko) 풍력 발전기용 배풍기
US20120269627A1 (en) Vertical axis windmill system
US9470429B2 (en) Ventilation arrangement
CN108119299B (zh) 风动发电机
GB2420831A (en) Wind energy conversion apparatus
JP6732436B2 (ja) 受雷部への雷の誘導
KR101577901B1 (ko)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20100118741A (ko) 다단 풍력발전장치
KR101458892B1 (ko) 풍속상승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풍력발전장치
KR101646697B1 (ko) 도미노 방식의 에어 풍력 발전장치
KR20140054496A (ko) 풍력발전장치
JP2013519018A (ja) ブースター翼とブースター翼付き垂直軸風力発電機用風車
JP5284329B2 (ja) 抗力翼片及び直立式揚力翼片の複合式回転機構による垂直軸型風力運動エネルギー生成装置
CN219572176U (zh) 风帽
JP2012112335A (ja) 風力発電装置
CN102459871A (zh) 风力涡轮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