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653B1 -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653B1
KR102175653B1 KR1020180149973A KR20180149973A KR102175653B1 KR 102175653 B1 KR102175653 B1 KR 102175653B1 KR 1020180149973 A KR1020180149973 A KR 1020180149973A KR 20180149973 A KR20180149973 A KR 20180149973A KR 102175653 B1 KR102175653 B1 KR 10217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sample
images
depth camera
experimen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808A (ko
Inventor
오태건
이주원
백정인
홍설혜
최훈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드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드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드롭
Priority to KR102018014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6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진단 스트립에 포함된 검체 흡수지에서 시약이 도포된 영역을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이하 '촬영 이미지') 및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다수의 검체 흡수지를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quantitation of reactive samples}
본 발명은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정확한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혈액, 소변 등 검사 대상체에서 얻은 시료를 시약과 반응하여 임신 여부, 감염 여부, 배란 여부 등 다양한 목적의 체외진단 기술이 있다. 일반적인 체외 진단 키트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11815호에 개시되어 있듯이, 시료와 시약의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색깔의 변화여부를 통해 시험하고자 하는 대상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체외진단 키트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체외진단 키트는 검체 흡수지에 특정 물질을 검출하는 시료를 도포하여 생산한다. 상기 검체 흡수지는 일반적으로 종이 형태의 시험지이며, 시험지 상단에 시료와 반응시키기 위한 화학물 또는 항체인 시약을 도포하여 생산한다. 그러나 시약은 얇은 종이 형태의 시험지 상단에만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 및 하단까지 불규칙적으로 흡수된다.
단순 변색을 통한 검사의 목적인 경우에는 상관없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검사 목적에 맞추어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정확한 양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도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1815호
본 명세서는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는, 진단 스트립에 포함된 검체 흡수지에서 시약이 도포된 영역을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이하 '촬영 이미지') 및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다수의 검체 흡수지를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체 흡수지의 광학적 특성이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부는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 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뎁스 카메라는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각 촬영 구간 동안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고, 상기 실험 데이터 이미지는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검체 흡수지를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이고, 상기 메모리부는 각 촬영 구간 동안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를 하나의 구간 촬영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산출부는,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 중 상기 2이상의 구간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촬영 구간은 상기 시료와 시약이 최초로 반응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료와 시약의 반응이 종료된 시점 사이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은 뎁스 카메라, 메모리부 및 산출부를 포함하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으로서, (a) 상기 메모리부가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다수의 검체 흡수지를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뎁스 카메라가 진단 스트립에 포함된 검체 흡수지에서 시약이 도포된 영역을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이하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부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부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가 실험 데이터 이미지는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검체 흡수지를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이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뎁스 카메라가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각 촬영 구간 동안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는 단계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가 각 촬영 구간 동안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를 하나의 구간 촬영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이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부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 중 상기 2이상의 구간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시료와 시약이 반응한 정확한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정확한 반응양에 기초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체외진단 키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검체 흡수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100)는 뎁스 카메라(110), 메모리부(120) 및 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뎁스 카메라(110)는 공초점(Confocal) 방식을 통해 이미지를 생산할 수 있다. 공초점 방식은 초점 거리를 가변시켜가면서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한 후,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와 함께 초점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미지 내 피사체와 초점 거리가 맞는 부분은 선명하게 촬영되지만, 초점 거리가 맞지 않는 부분은 흐릿하게 촬영된다. 이를 통해 카메라와 피사체 내 선명하게 촬영된 부분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동일 피사체를 대상으로 초점 거리를 변화시켜 촬영한 이미지에서 선명하게 촬영된 부분만 모아서 3차원 형상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뎁스 카메라(110)는 진단 스트립에 포함된 검체 흡수지에서 시약이 도포된 영역을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뎁스 카메라(110)는 렌즈를 이동시켜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기계적 구동부 또는 액체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는 액체 렌즈(120)는 전기 습윤(electro-wetting) 현상에 근거하여 초점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렌즈로서, 얇은 절연층으로 덮인 금속제의 기판들 사이에 액체 방울이 개재된 렌즈이다. 상기 액체 렌즈는 기판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면, 정전 압력이 발생하여 액체 방울의 형태가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은 수광되는 광의 경로를 가변하여 초점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액체렌즈는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액체 방울의 형태가 두께가 가변하여 광의 초점거리를 가변할 수 있는 렌즈이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뎁스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20)는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다수의 검체 흡수지를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mg의 시약을 검체 흡수지에 도포한 다음, 상기 도포된 시약을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다. 이때 10mg의 시약에 대해 2이상의 초점 거리로 다양한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다. 상기 촬영된 다양한 이미지가 바로 상기 실험 데이터 이미지이다. 각각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는 초점 거리 및 시약의 양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양의 시약이라 하여도 도포된 형상/모양 등이 다양하므로, 다양한 형상/모양에 대해서 상기 실험 데이터 이미지가 누적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상기 산출부(13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상기 산출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RAM, ROM, EEPROM등 데이터를 기록하고 소거할 수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반도체 소자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로서, 디바이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정보가 저장되는 디바이스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특정 메모리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출부(130)는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체 흡수지의 광학적 특성이 반투명이다. 이를 통해 상기 뎁스 카메라는 검체 흡수지의 내부에서 반응한 시료와 시약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산출부(130)는 상기 2이상의 이미지를 통해 3차원 형상을 만들고, 상기 3차원 형상의 부피를 통해 시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3의 (b) 내지 (e)의 경우에도 보다 정확하게 시료와 시약이 반응한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검체 흡수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검체 흡수지에 이상적으로 시약이 흡수된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시약을 검체 흡수지의 위에서 도포하는데, 도포된 시약이 검체 흡수지의 아래 방향으로만 흡수되어 이상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검체 흡수지의 상단만 촬영하여도 검체 흡수지의 두께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시약과 시료가 반응한 양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a)에 도시된 예시는 어디까지나 이상적인 경우에 불과하다.
도 3의 (b)는 시약이 검체 흡수지의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넓게 퍼지며 흡수된 상태이다. 도 3의 (c)는 시약이 검체 흡수지의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좁아지며 퍼지며 흡수된 상태이다. 종래 방식과 같이 검체 흡수지의 상단만 촬영한 후 시약과 시료의 반응양을 계산할 경우, 도 3의 (b)는 실제보다 적은 것으로 계산될 것이며, 도 3의 (c)는 실제보다 많은 것으로 계산될 것이다.
도 3의 (d) 및 (e)는 도포된 시약의 일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흡수된 상태이다. 종래 방식과 같이 검체 흡수지의 상단만 촬영한 후 시약과 시료의 반응양을 계산할 경우, 도 3의 (d) 및 (e)는 실제보다 많은 것으로 계산될지, 실제보다 적은 것으로 계산될지 예상하기 어렵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도포된 다양한 양의 시약에 대해서 뎁스 카메라로 촬영을 하고 각각의 이미지들을 실험 데이터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실험 데이터 이미지의 양이 많으면 많을 수록 상기 산출부(130)가 산출한 값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출부(130)는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 이미지와 유사도가 높은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출부(130)는 유사도가 가장 높은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실험 데이터 이미지에 매칭된 시약의 양에 대한 정보를 읽어서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출부(130)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한 각 촬영 이미지로부터 각각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고, 산출된 복수의 값에 대한 평균값을 최종적으로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산출부(130)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한 각 촬영 이미지로부터 각각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고, 산출된 복수의 값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산출값을 최종적으로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100)는 시약과 시료가 반응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뎁스 카메라(110)는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각 촬영 구간 동안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촬영 구간은 상기 시료와 시약이 최초로 반응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료와 시약의 반응이 종료된 시점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험 데이터 이미지는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검체 흡수지를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120)는 각 촬영 구간 동안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를 하나의 구간 촬영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출부(130)는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 중 상기 2이상의 구간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출부(130)는 촬영된 이미지의 색상을 통해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농도를 산출하고, 3차원 형상의 부피와 산출된 농도를 이용하여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정확한 양을 산출할 수 있다. 같은 부피를 가진 시료 또는 시약이라 하여도, 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농도 차이로 인해 시료와 시약의 반응시 색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130)는 촬영된 이미지 내 각 픽셀의 색상값을 분석하여 해당 색상값에 대한 농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산출부(130)는 산출된 농도값을 상기 3차원 형상의 부피에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반응양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색상값에 따른 농도값에 대한 변환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은 상술한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측정 방법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의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00에서 상기 메모리부(120)가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다수의 검체 흡수지를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10에서 상기 뎁스 카메라(110)의 화각 내에 진단 스트립에 포함된 검체 흡수지에서 시약이 도포된 영역을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시료는 진단 스트립에 미리 투입된 상태일 수 있고, 상기 진단 스트립을 위치시킨 후 시료가 투입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120에서 상기 뎁스 카메라(110)가 시약이 도포된 영역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30에서 상기 메모리부(120)가 상기 뎁스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140에서 상기 산출부(130)가 상기 산출부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S140은 상기 산출부(130)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S100은 상기 메모리부(120)가 실험 데이터 이미지는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검체 흡수지를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계 S120은 상기 뎁스 카메라(110)가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각 촬영 구간 동안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계 S130은 상기 메모리부(120)가 각 촬영 구간 동안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를 하나의 구간 촬영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계 S140은 상기 산출부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 중 상기 2이상의 구간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
110 : 뎁스 카메라
120 : 메모리부
130 : 산출부

Claims (10)

  1. 진단 스트립에 포함된 검체 흡수지에서 시약이 도포된 영역을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는 공초점 방식의 뎁스 카메라;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이하 '촬영 이미지') 및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다수의 검체 흡수지를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체 흡수지의 광학적 특성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뎁스 카메라는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각 촬영 구간 동안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고,
    상기 실험 데이터 이미지는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검체 흡수지를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이고,
    상기 메모리부는 각 촬영 구간 동안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를 하나의 구간 촬영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산출부는,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 중 상기 2이상의 구간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촬영 구간은 상기 시료와 시약이 최초로 반응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료와 시약의 반응이 종료된 시점 사이에 포함된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
  6. 공초점 방식의 뎁스 카메라, 메모리부 및 산출부를 포함하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으로서,
    (a) 상기 메모리부가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다수의 검체 흡수지를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뎁스 카메라가 진단 스트립에 포함된 검체 흡수지에서 시약이 도포된 영역을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이하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산출부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체 흡수지의 광학적 특성이 반투명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부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이미지 중 상기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실험 데이터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가 실험 데이터 이미지는 도포된 시약의 양을 미리 알고 있는 검체 흡수지를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상기 뎁스 카메라로 촬영한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이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뎁스 카메라가 적어도 2이상으로 구분된 촬영 구간에서 각 촬영 구간 동안 적어도 2이상의 서로 다른 초점 거리로 촬영하는 단계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메모리부가 각 촬영 구간 동안 상기 뎁스 카메라에서 촬영된 2이상의 이미지를 하나의 구간 촬영 이미지로 저장하는 단계이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부가 상기 다수의 실험 데이터 세트 이미지 중 상기 2이상의 구간 촬영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를 판별하여 상기 시약과 반응한 시료의 양을 산출하는 단계인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촬영 구간은 상기 시료와 시약이 최초로 반응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료와 시약의 반응이 종료된 시점 사이에 포함된 체외진단 정량 측정 방법.
KR1020180149973A 2018-11-28 2018-11-28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7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73A KR102175653B1 (ko) 2018-11-28 2018-11-28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973A KR102175653B1 (ko) 2018-11-28 2018-11-28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08A KR20200063808A (ko) 2020-06-05
KR102175653B1 true KR102175653B1 (ko) 2020-11-06

Family

ID=7108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973A KR102175653B1 (ko) 2018-11-28 2018-11-28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97A1 (ko) * 2021-12-21 2023-06-29 바디텍메드(주) 신속 진단 검사에서 정량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04B1 (ko) 2016-10-17 2017-08-08 (주) 텔트론 독소 측정장치
KR101845315B1 (ko) 2017-10-23 2018-04-04 주식회사 로탬 휴대가 가능한 진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174B1 (ko) * 2002-01-31 2006-03-13 바디텍메드 주식회사 측방 유동 정량 검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스트립 및 패키지
KR20070011815A (ko) 2005-07-21 2007-01-25 주식회사 세움바이오텍 임신 진단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임신 진단 방법
KR102063984B1 (ko) * 2013-01-28 2020-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결함 검사 장치 및 이의 왜곡 보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04B1 (ko) 2016-10-17 2017-08-08 (주) 텔트론 독소 측정장치
KR101845315B1 (ko) 2017-10-23 2018-04-04 주식회사 로탬 휴대가 가능한 진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97A1 (ko) * 2021-12-21 2023-06-29 바디텍메드(주) 신속 진단 검사에서 정량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08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29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focus variation for a digital microscope
KR101982330B1 (ko) 증기 응축액 특히 입김 응축액을 수집 및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이 장치 및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US100310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nalyte in a bodily fluid using a test element
US11899007B2 (en) Specimen verification in automated testing apparatus
US11333658B2 (en) Urine test strip comprising timer,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analyzing urine test strip
CA2519903A1 (en) Translucent solid matrix assay device for microarray analysis
JPWO2009090985A1 (ja) 流速測定装置、抗原濃度測定装置、フローセル、流速測定方法、抗原濃度測定方法
CN111602053B (zh) 生物样品中分析物和/或蛋白质的测量方法
KR20190126381A (ko) 횡류 테스트 시스템
KR102175653B1 (ko)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824165B (zh) 基于微流控芯片和手机的肺癌肿瘤标志物检测装置及方法
US65457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transparent films
CN105334189B (zh) 基于微透镜成像的抗原抗体反应测定方法
JP2007309738A (ja) マイクロプレート
TW202107148A (zh) 用於測試生物樣本的裝置
KR102551560B1 (ko) 재귀반사 신호 측정용 가젯
US20050036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hape of an object from a planar top view thereof
JP5942390B2 (ja) 画像取得装置、画像取得方法及び画像取得プログラム
US11385158B2 (en) Optical method for estimating a representative volume of particles present in a sample based on a size of each region of interest
CA3230368A1 (en) Enhanc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 analyte concentration in bodily fluid
Brandenburg et al. Integrated point of care testing system based on low cost polymer biochips
JP2009085694A (ja) 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