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482B1 -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482B1
KR102175482B1 KR1020200047026A KR20200047026A KR102175482B1 KR 102175482 B1 KR102175482 B1 KR 102175482B1 KR 1020200047026 A KR1020200047026 A KR 1020200047026A KR 20200047026 A KR20200047026 A KR 20200047026A KR 102175482 B1 KR102175482 B1 KR 10217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tructure
water
chemical liquid
transfer pip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102020004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지상 구조물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지상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이송하는 물 이송관, 물탱크로부터 물 이송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 펌프, 워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지상 구조물에 설치된 약액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지상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이송하는 약액 이송관; 및 약액탱크로부터 약액 이송관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펌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대기 상태를 즉각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 구조물에서의 방역 작업 진행시 지상 구조물의 내부 및 외부에서의 즉각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역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Urban Environ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 등의 지상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이송관에 구비된 분사 노즐을 통해 대기 중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대기 중의 미세 먼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고, 지상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대기 상태를 즉각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지상 구조물에서의 방역 작업 진행시 지상 구조물의 내부 및 외부에서의 즉각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역 처리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지상 구조물의 인접 공간에 대한 방역 처리 또한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토록 하는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국 등의 인접국으로부터 유입, 화력 발전소의 가동, 노후된 경유 차량의 운행 등의 복합적 원인으로 급증하는 미세 먼지로 인한 대기 오염 문제가 최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차량 운행 제한 등의 미세 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 정책이 시도되고 있으나 대부분 미봉책에 그침으로써 그 효과가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한편, 미세 먼지 해결 방안으로서 대용량의 공기 정화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한 때 주목받은 바 있으나, 막대한 설치 비용과 운영 비용으로 인해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대기 중의 미세 먼지를 가장 확실하게 저감시키는 방법으로 인공 강우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인공 강우의 발생에 필요한 기술력과 막대한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이 또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인 대유행으로 인해 각국 정부는 바이러스 감염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감염자의 방문 장소에 대한 대대적인 방역 처리를 실행하는 등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방역 현장으로 방역 요원들이 출동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방역 현장이 빌딩 등의 대형 건물인 경우에 방역 작업의 효율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빌딩 등의 지상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이송관에 구비된 분사 노즐을 통해 대기 중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대기 중의 미세 먼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고, 지상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대기 상태를 즉각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지상 구조물에서의 방역 작업 진행시 지상 구조물의 내부 및 외부에서의 즉각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역 처리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지상 구조물의 인접 공간에 대한 방역 처리 또한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토록 하는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은, 지상 구조물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지상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이송하는 물 이송관;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물 이송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 펌프; 및 상기 워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상 구조물에 설치된 약액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상기 지상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이송하는 약액 이송관; 및 상기 약액탱크로부터 상기 약액 이송관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펌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약액 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외부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워터 펌프 및 상기 약액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와 미세 먼지 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워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정보에 포함된 질병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액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빌딩 등의 지상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이송관에 구비된 분사 노즐을 통해 대기 중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대기 중의 미세 먼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 구조물이 설치된 지역의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 중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대기 상태를 즉각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 구조물에서의 방역 작업 진행시 지상 구조물의 내부 및 외부에서의 즉각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역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 구조물의 인접 공간에 대한 방역 처리 또한 선택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에서의 워터 펌프의 제어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4은 도 3에서의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빌딩 등의 지상 구조물(10)의 옥상 등의 상부 공간에는 물탱크(400)와 약액탱크(50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물탱크(400)와 약액탱크(500)에는 각각 복수의 이송관(10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이송관(100)의 일단은 물탱크(400) 또는 약액탱크(5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관(100)의 타단은 지상 구조물(10)의 상부 공간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송관(100)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분사 노즐(150)을 통해 지상 구조물(10)의 외부면 또는 지상 구조물(10)의 주변 공간을 향해 물 또는 약액이 분사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약액탱크(500)에 충전된 약액은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의 제거 및 살균 처리용 약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각각의 이송관(100)과 물탱크(400) 또는 약액탱크(500)의 연결 부위에는 이송관(100)의 내부로 물 또는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200)가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빌딩 등의 지상 구조물(10)의 외벽면에 복수의 이송관(100)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상 구조물(10)의 옥상 등의 상부 공간에는 물탱크(400)와 약액탱크(50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물탱크(400)에는 복수의 물 이송관(110,12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약액탱크(500)에는 복수의 약액 이송관(130,140)의 일단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물 이송관(110,120)은 지상 구조물(10)의 외벽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물 이송관(110,120)에는 물 이송관(110,120)의 내부를 통해 이송된 물을 물 이송관(110,120)의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150)이 물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약액 이송관(130,140) 또한 지상 구조물(10)의 외벽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약액 이송관(130,140)에는 약액 이송관(130,140)의 내부를 통해 이송된 바이러스 살균 처리용 약액 등의 약액을 약액 이송관(130,140)의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150)이 약액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지상 구조물(10)의 외벽에 수평 방향으로 물 이송관(110,120)이 연속 설치됨에 있어서,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물 이송관(110,120)과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물 이송관(110,120)이 번갈아 가며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지상 구조물(10)의 외벽에 수직 방향으로 물 이송관(110,120)이 연속 설치됨에 있어서도,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물 이송관(110,120)과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물 이송관(110,120)이 번갈아 가며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물 이송관(110)들을 제1 물 이송관(110)라 하고,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이송관(120)들을 제2 물 이송관(120)로 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1 물 이송관(110)와 제2 물 이송관(120)에는 이송관(100)의 내부로 물탱크(400)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 펌프(210,220)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물 이송관(110)에는 제1 워터 펌프(210)가 연결 설치되고, 제2 이송관(120)에는 제2 물 워터 펌프(220)가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지상 구조물(10)의 외벽에 수평 방향으로 약액 이송관(130,140)이 연속 설치됨에 있어서,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약액 이송관(130)과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약액 이송관(140)이 번갈아 가며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지상 구조물(10)의 외벽에 수직 방향으로 약액 이송관(130,140)이 연속 설치됨에 있어서도,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약액 이송관(130)과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약액 이송관(140)이 번갈아 가며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150)은 지상 구조물(10)의 벽면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창문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약액 이송관(130)들을 제1 약액 이송관(130)라 하고,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50)의 위치가 형성된 약액 이송관(140)들을 제2 약액 이송관(140)으로 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1 약액 이송관(130)와 제2 약액 이송관(140)에는 약액 이송관(130,140)의 내부로 약액펌프(500)의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펌프(230,240)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약액 이송관(130)에는 제1 약액 펌프(230)가 연결 설치되고, 제2 약액 이송관(140)에는 제2 약액 펌프(240)가 연결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에서의 워터 펌프(210,220) 및 약액 펌프(230,240)의 제어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에서의 제어 장치(300)는 제1 워터 펌프(210), 제2 워터 펌프(220), 제3 약액 펌프(230), 제4 약액 펌프(240)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의 물의 분사,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의 물의 분사,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의 약액의 분사,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의 약액의 분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도 4은 도 3에서의 제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에서의 제어 장치(300)는 입력부(310), 제어부(330), 저장부(350) 및 통신부(370)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300)의 입력부(310)는 제1 워터 펌프(210), 제2 워터 펌프(220), 제1 약액 펌프(230) 및 제2 약액 펌프(240)에 대한 관리자의 개별 조작 신호가 입력되며, 제어부(330)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워터 펌프(210), 제2 워터 펌프(220), 제1 약액 펌프(230) 및 제2 약액 펌프(240)의 구동을 개별 제어한다.
한편, 통신부(37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상 구조물(10)이 설치된 위치에서의 기상 정보 및 질병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수신된 환경 정보는 저장부(350)에 저장된다.
제어부(330)는 통신부(370)를 통해 수신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워터 펌프(210), 제2 워터 펌프(220), 제1 약액 펌프(230) 및 제2 약액 펌프(240)에 대한 개별적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기상 정보에 포함된 대기 온도값이 소정의 기준 온도값(예를 들면, 30℃)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1 워터 펌프(21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1 워터 펌프(210)에 연결된 제1 물 이송관(110)에 구비된 분사 노즐(150)을 통해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지상 구조물(10)의 열기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330)는 기상 정보에 포함된 미세 먼지 농도값이 소정의 기준 농도값(예를 들면, 50μg/m3)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2 워터 펌프(22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2 워터 펌프(220)에 연결된 제2 물 이송관(120)에 구비된 분사 노즐(150)을 통해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지상 구조물(10)의 주변 대기에서의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330)는 기상 정보에 포함된 미세 먼지 농도값이 소정의 기준 농도값(예를 들면, 50μg/m3)을 초과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기상 정보에 포함된 대기 온도값이 소정의 기준 온도값(예를 들면, 0℃)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워터 펌프(22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지상 구조물(10)의 주변 도로가 분사된 물에 의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330)는 미세 먼지가 기준량을 초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인접 도로의 동결 우려로 인해 제2 워터 펌프(220)를 구동하지 않았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메시지를 통신부(370)를 통해 관리자의 이동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관리자가 제어 장치(300)가 고장난 것으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330)는 질병 발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 감염자의 이동 경로 정보 또는 방문지 정보에 지상 구조물(1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1 약액 펌프(23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1 약액 펌프(230)에 연결된 제1 약액 이송관(130)에 구비된 분사 노즐(150)을 통해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방향으로 약액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지상 구조물(10)의 외부면에 구비된 개방된 창문을 통해 지상 구조물(10)의 내부로 약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되어 지상 구조물(10)에 대한 효율적인 방역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시 지상 구조물(10)의 내부 및 외부에서의 즉각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방역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330)는 질병 발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 감염자의 이동 경로 정보 또는 방문지 정보에 지상 구조물(10)의 주변 지역 또는 인접 지역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2 약액 펌프(24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2 약액 펌프(240)에 연결된 제2 약액 이송관(140)에 구비된 분사 노즐(150)을 통해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즉, 주변 방향)으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지상 구조물(10)의 주변 또는 인접 영역에 대한 방역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시 지상 구조물(10)의 주변 또는 인접 영역에 대한 방역 처리 또한 추가적으로 실행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일단이 물탱크(400)에 연결 설치된 이송관(100)에 물탱크 제어 밸브(450)를 설치하고, 일단이 약액탱크(500)에 연결 설치된 이송관(100)에 약액탱크 제어 밸브(450)를 설치하며, 물탱크 제어 밸브(450)가 설치된 이송관(100)의 타단과 약액탱크(500)에 설치된 이송관(100)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되, 상호 연결 부위로부터 복수의 이송관(100)이 분기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300)는 물탱크 제어 밸브(450)의 개폐 동작과 약액탱크 제어 밸브(450)의 개폐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분기 형성된 복수의 이송관(100)을 통한 물 분사 또는 약액 분사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지상 구조물(10)의 내부 벽면에도 이송관(100)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지상 구조물(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물 또는 약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300)의 제어부(330)가 제1 워터 펌프(210), 제2 워터 펌프(220), 제1 약액 펌프(230) 및 제2 약액 펌프(240)에 대한 개별적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300)의 통신부(370)는 제어 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는 지상 구조물(10)과 동일한 지리적, 행정적 영역(예를 들면, 시, 군, 구, 동)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지상 구조물(10)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어 장치(300)로 펌프에 대한 개별 구동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동일한 지리적, 행정적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지상 구조물(10)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어 장치(300)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된 펌프 구동 제어 정보에 따라 각 지상 구조물(10)에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워터 펌프(210), 제2 워터 펌프(220), 제1 약액 펌프(230) 및 제2 약액 펌프(240)에 대한 개별적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동일한 지리적, 행정적 영역 내에서의 물 또는 약액 분사의 통합적 제어가 가능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 장치(300)의 저장부(350)에는 다른 지상 구조물(10)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어 장치(300)의 통신 아이디 정보가 해당 지상 구조물(1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어 장치(300)의 제어부(330)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질병 발생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 감염자의 이동 경로 정보에 지상 구조물(10)의 주변 지역 또는 인접 지역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제2 약액 펌프(24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2 약액 펌프(240)에 연결된 제2 약액 이송관(140)에 구비된 분사 노즐(150)을 통해 지상 구조물(10)의 벽면 반대 방향(즉, 주변 방향)으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지상 구조물(10)의 주변 또는 인접 영역에 대한 방역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경우에, 제어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바이러스 감염자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지상 구조물(10)을 검색하고, 검색된 지상 구조물(10)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장치(300)로 제2 약액 펌프(240)의 구동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자의 이동 경로 상에서의 일괄적인 약액 분사를 통한 통합 방역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지상 구조물, 110,120: 물 이송관,
130,140: 약액 이송관, 150: 분사 노즐,
210,220: 워터 펌프, 230,240: 약액 펌프,
300: 제어 장치, 400: 물탱크,
450: 물탱크 제어 밸브, 500: 약액탱크,
550: 약액탱크 제어 밸브.

Claims (3)

  1. 지상 구조물(10)에 설치되며, 미세 먼지 및 상기 지상 구조물(10)의 열기 제거를 위한 분사용 물이 충전된 물탱크(400);
    상기 지상 구조물(10)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물탱크(400)에 연결 설치되며, 물탱크 제어 밸브(450)가 구비된 제1 이송관;
    상기 지상 구조물(10)에 설치되며, 방역 처리용 약액이 충전된 약액 탱크(500);
    상기 지상 구조물(10)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약액 탱크(500)에 연결 설치되며, 약액 탱크 제어 밸브(550)가 구비된 제2 이송관;
    상기 지상 구조물(10)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이송관의 타단과 상기 제2 이송관의 타단의 상호 연결 부위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제3 이송관; 및
    상기 물탱크 제어 밸브(450)의 개폐 동작과 상기 약액 탱크 제어 밸브(550)의 개폐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3 이송관(100)을 통한 물 분사 또는 약액 분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3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300)는 상기 물탱크(400)로부터 상기 제3 이송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워터 펌프(210,220) 및 상기 약액 탱크(500)로부터 상기 제3 이송관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펌프(230,240)의 구동 제어 정보를 상기 지상 구조물(10)과 동일한 행정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지상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다른 지상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다른 지상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워터 펌프 및 약액 펌프에 대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이송관은 상기 물탱크(400)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상기 지상 구조물(10)의 외부 또는 내부로 분사하는 것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이송관은 상기 약액 탱크(500)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상기 지상 구조물(10)의 외부 또는 내부로 분사하는 것인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200047026A 2020-04-17 2020-04-17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17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26A KR102175482B1 (ko) 2020-04-17 2020-04-17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26A KR102175482B1 (ko) 2020-04-17 2020-04-17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482B1 true KR102175482B1 (ko) 2020-11-06

Family

ID=7357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026A KR102175482B1 (ko) 2020-04-17 2020-04-17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320A (ko) 2021-01-18 2022-07-26 강효진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하는 종합 도시환경 개선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145A (ko) * 2000-03-23 2001-10-18 정종승 산악 및 다설 지역의 도로, 터널, 교량 및 공항 등에 대한 노면결빙 감지 및 방지 시스템
KR20200027856A (ko) * 2018-09-05 2020-03-13 (주)수산씨엠씨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145A (ko) * 2000-03-23 2001-10-18 정종승 산악 및 다설 지역의 도로, 터널, 교량 및 공항 등에 대한 노면결빙 감지 및 방지 시스템
KR20200027856A (ko) * 2018-09-05 2020-03-13 (주)수산씨엠씨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320A (ko) 2021-01-18 2022-07-26 강효진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하는 종합 도시환경 개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482B1 (ko)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41945B1 (ko) 구조물 해체공법용 인공지능형 비산먼지 제거시스템
KR102198167B1 (ko) 지상 구조물 주변 환경 관리 시스템
RU2608089C1 (ru) Комплекс пылеподавления площадных источников
CN103702732A (zh) 海水渗透取水中过滤层的清洗设备
KR102131251B1 (ko) 로터리 조인트 기반 버킷형 연속 하역기의 석탄 미세분진발생 저감-억제시스템
KR101861516B1 (ko) 지능형으로 제어되는 에너지절약형 용액분사시스템
CN104624626A (zh) 一种污染土壤的原位修复系统
KR20230129148A (ko) IoT 폼, 형틀, 슬립폼, 유로폼, 거푸집, 슬라이딩폼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CN2819769Y (zh) 一种多功能平移式喷灌机
CN105521675A (zh) 一种智能干雾抑尘设备
KR102021016B1 (ko) 유출지하수 및 빗물을 이용한 건물의 비산 미세먼지 저감 장치
CN110374159A (zh) 适用于水下清淤机器人的自清洗绞龙吸淤装置
KR102306387B1 (ko) 실외용 공기정화 및 미스트 분무 시스템
CN104120676B (zh) 一种采用气水喷头的防冰冻装置
KR20090096579A (ko) 고압 액체 살포시스템
CN105854576A (zh) 一种烟气处理塔及处理系统
JP2003340228A (ja) 大気汚染浄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2700153U (zh) 一种森林消防灭火系统
WO2008049152A1 (en) A system, method and apparati for managing air pollution and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a large scale
KR102106510B1 (ko) 하수관로 방역장치와 방역방법
KR20180087498A (ko)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KR102139691B1 (ko)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운전 방법
CN102561249A (zh) 远程智能除冰雪系统
JP2011185548A (ja) 散水冷却装置の管理システム及び散水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