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856A -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856A
KR20200027856A KR1020180106182A KR20180106182A KR20200027856A KR 20200027856 A KR20200027856 A KR 20200027856A KR 1020180106182 A KR1020180106182 A KR 1020180106182A KR 20180106182 A KR20180106182 A KR 20180106182A KR 20200027856 A KR20200027856 A KR 2020002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user terminal
unit
disinfectant
steriliz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065B1 (ko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주)수산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산씨엠씨 filed Critical (주)수산씨엠씨
Priority to KR102018010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0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온습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온습도를 실시간으로 습득할 수 있고, 온습도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살균소독제를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분해에 의해 살균소독제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살균소독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분사하는 분사부와, 주기적으로 주변의 온습도 또는 미세먼지 등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서 검출된 환경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질병 발생 위험도를 판단하는 관리서버; 및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또는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환경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생성부 또는 분사부를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PERSONAL DISINFECTION SYSTEM BASED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온습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검출된 값을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들 사물 기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스마트 홈과 관련하여 실내의 가전, 전자기기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원격 제어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를 사물인터넷이라고 하며, 이는 무선통신을 이용해서 가정 내/외부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3G, LTE, Wi-Fi, Z-wave, ZigBee 등 거리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통신 방식중 하나가 선택되어 이용되고 있다.
가전기기,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다양한 기술들(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87290호, 공개특허공보 10-2014-0147485호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들 기술들의 공통점은 원/근거리에서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가전 혹은 전자기기들을 제어한다는 것이다. 즉, 유/무선 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하나, 혹은 다수의 기기를 혹은 기능을 모니터하거나 원격 제어한다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5-0145400호 특허등록 제10-1844389호 특허등록 제10-1087290호 공개특허 제10-2014-014748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온습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측정된 온습도를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온습도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살균소독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분사하여 설치장소의 위생상태를 최상의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된 온습도 및 미세먼지 등의 환경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고, 해당지역의 온습도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살균소독제를 분사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위생상태를 최상의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분해에 의해 살균소독제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살균소독제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주기적으로 주변의 온습도 또는 미세먼지 등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환경정보 및 적정성을 판단한 결과를 서비스 앱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환경정보 및 적정성을 판단한 결과를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는, 상기 검출부의 측정값으로부터 적정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정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설정하고, 상기 검출부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상기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생성부 또는 분사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기상청으로부터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생성부 또는 분사부의 작동 예약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로부터 제공된 환경정보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생성부 또는 분사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온습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온습도를 실시간으로 습득할 수 있고, 온습도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살균소독제를 분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위생상태를 최상의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습도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자동으로 살균소독제를 분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설치장소의 위생상태를 최상의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앱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은,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방역시스템은 관리서버(300)가 IoT 통신망(10)을 통해 다수의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과 결합되어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각종 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이나 PC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관리서버(300)로부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관리 관련 애플리케이션이나 전용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 및 관리 서버(300)와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실시간 검색요청을 수행하고, 이에 대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정보의 수신을 근거로 관리 서버(300)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와 사용자 단말에 대한 매칭 등록 요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단말(200)은 관리 서버(300)로부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유지보수 필요 여부, 에러 메시지 및 첨가액 교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과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단말(200)과 관리 서버(300)에 상태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과 관리 서버(300)에 의해 동작 상태가 변경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이 온/오프되거나 작동시간을 조정하도록 원격 조정될 수 있고, 첨가액이 과다 투입되거나 소량투입되는 경우 알람을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단말(200)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와 사용자단말 정보를 매칭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와 사용자단말간을 매칭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관련정보를 상호간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스케쥴정보를 해당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로 제공하고,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제품이력 관리, 고객이력 관리, 제품상태 관리, 정보 관리, 첨가액 교체 처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제품업데이트 이력과 의료관련 뉴스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정보는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사용 시작시간, 사용 종료시간 및 사용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과 관리서버가 매칭 등록시 제공되는 상기 스케쥴정보에 따라 동작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는 상태정보부(110), 첨가액 감지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검출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태정보부(11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의 작동상태정보, 에러정보, 기기일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동상태정보는 기기 온/오프 정보, 에러 정보 및 스케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기일반정보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식별정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모델명,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부여된 인증정보, 기준 첨가액 투입양, 생성되는 소독제 기준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액 감지부(12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내에 첨가액의 과다투입 여부, 소량투입 여부 및 미투입여부를 감지하여 관리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첨가액 교체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사용자단말(200) 및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Wi-Fi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4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식별정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모델명,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부여된 인증정보, 기준 첨가액 투입양, 생성되는 소독제 기준 농도, 스케쥴정보 등 각종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관련정보가 저장된다.
검출부(15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가 설치된 장소, 즉,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공간의 온습도 및 미세먼지나 황사농도를 검출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근거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스케쥴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설정한 시간에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를 제어하여 살균소독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단말(200) 및 관리서버(300)에 의해 원격조정에 기초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측정값으로부터 적정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부(170)는 온습도 또는 미세먼지 농도의 적정 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적색, 청색, 백색 등의 LED 또는 문자나 음성메세지를 송출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제어부 또는 관리서버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생성부(180)는 전기분해에 의해 살균소독제를 생성한다.
분사부(190)는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살균소독제를 분사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위험도 판단부(330), 제품이력 관리부(340), 고객이력관리부(350), 제품상태 관리부(360), 원격 조정부(370), 정도 관리부(380) 및 첨가액 교체 처리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사용자단말(200) 및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와 무선통신을 통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 관리 관련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32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살균소독제 생성장치가 오동작을 일으키고 있거나 작동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위험도 판단부(330)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습득된 온습도나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의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온습도가 낮으면 표시부(170) 및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앱 화면에 겨울철 바이러스 경고를 제공하고, 온습도가 높으면 표시부(170) 및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앱 화면에 여름철 세균성 식중동 주의 경고를 제공하며, 일교차 주의도 제공하고, 지난 1개월간 온습도 평균치를 합산하여 감염관리 지표(나쁨, 보통, 좋음)로 감염관리 정도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제품이력 관리부(34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별 제품 이력을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고객이력 관리부(350)는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제공되는 고객 고유 정보, 고객별 기기사용내역, 기기 고장 이력, 첨가액 구매이력, 정도관리 생성이력, 고장 및 A/S 횟수 등을 고객별로 관리할 수 있다.
제품상태 관리부(36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원격조정부(37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원격조정 요청을 수신하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의 제어부에 원격조정 명령을 송신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전원 온/오프, 알람 해제, 기기 강제 정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푸쉬메시지 전송, 세팅값 변경(전류 상한값, 전류 하한값, 유효기간), 날짜변경, 기기 작동시간, 기기 휴지기 온/오프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 동안 기기가 작동하지 않으면 절전모드가 되도록 원격 제어할수 있다.
정도 관리부(38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정도 관리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정도 관리표에는 기기 작동 주기, 기기 작동 날짜 및 시간, pH 농도, 전류값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생성된 정도 관리표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첨가액 교체 처리부(39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별 이전 누적사용시간과 현재 사용시간을 합산하여 누적사용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누적사용시간과 기준 첨가액교체시간을 비교하여 누적사용시간이 기준 첨가액 교체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첨가액 교체시기로 판단하고, 첨가액 교체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첨가액 구매 요청이 있으면 첨가액이 배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방법은 먼저 사용자단말(200)은 살균소독제생성장치(100)로 기기 검색을 요청하고(S410), 이에 대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정보를 사용자단말(200)에 송신한다(S420) 이때, 상기 응답정보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제품명과 MAC주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200)은 WiFi를 이용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로 MAC 주소를 포함하는 기기 검색요청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이에 대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모델명 및 MAC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정보 수신을 근거로 해당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대한 인증정보를 부여함과 더불어,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와 사용자단말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서버(300)로 등록요청한다(S430).
이후에, 관리서버(30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와 사용자단말(200)를 등록하며(S440),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매칭된 살균 소독기의 스케쥴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살균 소독기의 스케쥴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케쥴 정보는 사용날짜, 사용 시작시간, 사용 종료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상기 스케쥴 정보를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는 상기 스케쥴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며,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S460) 상기 상태정보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의 작동상태정보, 에러정보, 기기일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동상태정보는 기기 온/오프정보, 에러 정보 및 스케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기일반정보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식별정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모델명,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부여된 인증정보, 기준 첨가액 투입양, 생성되는 소독제 기준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의 유지보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S470), 유지보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200)에 유지보수 필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485).
사용자는 상기 에러 메시지에 기초하여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를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S490), 유지보수 결과를 관리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200)은 관리서버(300)에 원격조정을 요청할 수 있다(S492)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원격조정요청을 수신하면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를 원격조정하여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시스템은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온습도 및 미세먼지 등의 환경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150)가 구비된다.
따라서 검출부(150)로부터 습득된 환경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서비스 앱과, 관리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510,S511).
또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의 제어부(160)는 검출부(150)에서 검출한 값으로부터 환경의 유해성 여부, 즉, 위험도를 분석한다(S520).
이와 같이 분석된 위험도에 따라 살균소독제 생성장치(100)에 구비된 표시부(170)에 표시하게 된다. 이 때 측정값이 적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표시부에 살균소독제를 분사하도록 유도하는 경고음 및 경고메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측정된 값 및 분석 결과는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520). 사용자 단말은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환경정보 및 위험도 분석결과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관리서버는 지난 1개월간 온습도 평균치를 합산하여 감염관리 지표, 예를 들어, "나쁨", "보통", "좋음"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앱 화면에 괌염관리 지표로 감염관리 정도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앱화면을 통해 제공된 결과를 확인하고, 적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살균소독제를 분사하여 살균소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방에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설치한 경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내장된 검출부는 주방의 온습도를 검출하고, 적정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앱화면에는 주방의 온습도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주방의 온습도가 적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경고하는 알람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경고를 받고, 즉시 주방에 살균소독제를 분사하여 소독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방역시스템은 사용자가 원거리에 있는 경우, 서비스 앱에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제어하여 주방에 살균소독제를 분사할 수 있다(S530). 이 때, 살균소독제가 이미 생성되어 있다면 생성부(180)는 작동시키지 않고 분사부(190)만 작동시키는 것이고, 만들어진 살균소독제가 없거나 또는 살균소독제의 유효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생성부(180)를 작동시켜 살균소독제를 만든 다음 주방에 분사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은 원격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에 있을 때도 알람을 보고 주방을 살균소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된 알람을 보고 사용자는 수동으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작동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 때 사용자는 주방의 공기 또는 식기 등에 살균소독제를 분사하여 소독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은 측정된 온습도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이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방역시스템은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에 구비된 검출부에 의해 환경정보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살균소독제를 분사하여 소독하거나, 또는 원격으로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제어하여 소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기상청으로부터 환경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바탕으로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살균소독제를 분사하여 소독하거나,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를 원격제어하여 소독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의 서비스 앱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앱화면에는 검출부에서 측정한 온도와, 습도가 표시되며, 아주좋음, 좋음, 나쁨, 매우 나쁨 등으로 상표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측정된 온습도를 기반으로 한 실내 감염지수가 0~100까지 10단위로 표시된다.
또한 소독제 유효시간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는 특히,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을 살균소독제로 사용한다. 즉,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는 소정의 첨가액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고 분사하는 것이다.
그런데 차아염소산은 전기분해하여 얻어진 후, 72시간이 지나면 살균소독효과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살균소독제의 종류에 따라 유효시간이 있기 때문에 서비스 앱화면에 이러한 살균소독제 유효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 앱화면에서는 기기상태로서 '대기상태'와 '절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상태를 표시한다.
100: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110: 상태 정보부
120: 첨가액 감지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검출부
160: 제어부
170: 표시부
180: 생성부
190: 분사부
200: 사용자 단말
300: 관리서버
310: 통신부
320: 제어부
330: 위험도 판단부
340: 제품이력 관리부
350: 고객이력 관리부
360: 제품상태 관리부
370: 원격 조정부
380: 정도 관리부
390: 첨가액 교체 처리부

Claims (6)

  1.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분해에 의해 살균소독제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살균소독제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주기적으로 주변의 온습도 또는 미세먼지 등의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살균소독제 생성장치;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로부터 전송받은 환경정보 및 적정성을 판단한 결과를 서비스 앱 화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환경정보 및 적정성을 판단한 결과를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는,
    상기 검출부의 측정값으로부터 적정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정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설정하고, 상기 검출부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상기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의 생성부 또는 분사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기상청으로부터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가 설치된 지역의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생성부 또는 분사부의 작동 예약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장치로부터 제공된 환경정보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생성부 또는 분사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방역시스템.
KR1020180106182A 2018-09-05 2018-09-05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KR10222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182A KR102225065B1 (ko) 2018-09-05 2018-09-05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182A KR102225065B1 (ko) 2018-09-05 2018-09-05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856A true KR20200027856A (ko) 2020-03-13
KR102225065B1 KR102225065B1 (ko) 2021-03-10

Family

ID=6993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182A KR102225065B1 (ko) 2018-09-05 2018-09-05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4349A (zh) * 2020-04-22 2020-08-11 四川智眼天下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消毒杀菌系统的工作方法
KR102175482B1 (ko) * 2020-04-17 2020-11-06 김용근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290B1 (ko) 2011-09-16 2011-11-29 (주)디라직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20140147485A (ko)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 쿠오핀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거리 무선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45400A (ko) 2014-06-19 2015-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4389B1 (ko) 2016-12-05 2018-04-03 김진규 사물인터넷 기반의 살균세척제 생성장치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290B1 (ko) 2011-09-16 2011-11-29 (주)디라직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 무선제어 시스템
KR20140147485A (ko) 2013-06-20 2014-12-30 주식회사 쿠오핀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거리 무선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45400A (ko) 2014-06-19 2015-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44389B1 (ko) 2016-12-05 2018-04-03 김진규 사물인터넷 기반의 살균세척제 생성장치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482B1 (ko) * 2020-04-17 2020-11-06 김용근 도시 환경 통합 제어 시스템
CN111514349A (zh) * 2020-04-22 2020-08-11 四川智眼天下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消毒杀菌系统的工作方法
CN111514349B (zh) * 2020-04-22 2021-12-21 四川智眼天下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消毒杀菌系统的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065B1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1845C (en) Monitoring system
US90079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wireless monitoring network
US20150278456A1 (en) Hygienic Enforcement and Nosocomial Diagnostic System (HEANDS)
US201300828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ntrol and management
KR102225065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개인용 방역시스템
NL2020198B1 (en)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User Healthy Information
US10235861B1 (en) Monitoring a disinfected state of a mobile device
US94720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enforcing hand hygiene and sanitization
AU2017204516B2 (en) Monitoring system
CN110715404A (zh) 智能空气净化消毒器远程管理控制系统
CN113093572B (zh) 厨房消杀控制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844389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살균세척제 생성장치 유지보수 방법 및 시스템
CN113850509A (zh) 一种物联网消毒管控方法、系统
CN109976238B (zh) 人员消洗的管理方法及消洗系统
KR20220095474A (ko) 실내 공간방역 시스템
KR20220034617A (ko) 스마트 실내 소독 장치
CN113098740B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智能控制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5379309B (zh) 消毒设备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11725312U (zh) 一种分布式雾化除臭设备
KR20220125507A (ko) 공간 소독 시스템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14540460U (zh) 一种物联网平台消毒控制模块
CN113965598A (zh) 一种中央消杀智能系统及方法
JP2021183034A (ja) エアゾル噴霧システム
Kumar et al. Contact-Less Hand Disinfection Using Arduino and UV Lighting
CN115597181A (zh) 家用空气消毒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