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330B1 - 데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데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330B1
KR102175330B1 KR1020180108281A KR20180108281A KR102175330B1 KR 102175330 B1 KR102175330 B1 KR 102175330B1 KR 1020180108281 A KR1020180108281 A KR 1020180108281A KR 20180108281 A KR20180108281 A KR 20180108281A KR 102175330 B1 KR102175330 B1 KR 10217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anel
frame
guide
extens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800A (ko
Inventor
이택관
Original Assignee
이택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관 filed Critical 이택관
Priority to KR102018010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3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데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부는,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일면의 일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패널의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일면의 타측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결합되지 않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 어셈블리{DECK ASSEMBLY}
본 발명은 데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목재 데크는 등산로, 산책로, 보도, 주택 테라스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마감재로,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 친화적이고,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한다. 또한, 목재 데크는 충격흡수 기능이 있어, 보행자가 보행시에 피로감을 덜 느낀다는 장점도 가진다. 이에, 최근들어 목재 데크의 활용폭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재 데크는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하부구조물을 일정형태로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 데크를 스크류볼트나 못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방법은 설치공정이 복잡하고, 나아가 목재 데크의 설치공사가 대부분 전기시설이 없는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여건상 별도의 이동식 발전기를 구비해야한다. 이에 따라 이동식 발전기를 구입하거나 임대하는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스크류볼트나 못이 관통하는 부위를 통해 눈, 비 등이 침투하여 소재 자체의 내구성이 감소되고, 기온변화에 따른 목재 데크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스크류볼트나 못이 고정된 부위에 전단응력이 집중하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데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데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부는,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일면의 일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패널의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일면의 타측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결합되지 않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패널의 일측 단부의 하측에는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상면이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패널의 타측 단부의 상측에는 상기 패널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하면이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부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데크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데크부의 일측 단부는 일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의 타측 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상기 데크부의 타측 단부는 타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의 일측 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데크부의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데크부와 일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의 제2 경사부 사이에는 제1 배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데크부의 상기 제2 경사부 및 상기 데크부와 타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의 제1 경사부 사이에는 제2 배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패널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탄성 브라켓은, 상기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일면과 평행하게 상기 패널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일면을 향해 상기 패널의 타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연장부; 상기 제 3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일면을 향해 상기 패털의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4 연장부; 및 상기 제4 연장부에서 상기 패널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5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패널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5 연장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데크부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에 상기 탄성 브라켓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삽입되지 않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3 연장부와 상기 제4 연장부가 형성하는 사이각 중 상기 제1 연장부와 대향하는 부분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가이드 슬릿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가이드 슬릿의 바닥면과 상기 패널의 일면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는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는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브라켓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서 데크부가 프레임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방향을 정의하면, 도면상에 표시된 x, y, z는 각각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은 지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일 수 있으며, 높이방향은 지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100)는 복수 개의 결합홀(112)이 형성된 프레임(110),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데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데크부(12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프레임(110)은 폭 방향으로 두 개가 구비될 수있다.
프레임(110)에는 가이드 슬릿(1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11)은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경우, 데크부(120)의 패널(125)의 저면은 가이드 슬릿(111)의 바닥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10)에는 복수 개의 결합홀(112)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홀(112)에는 데크부(120)의 가이드 브라켓(121) 및 탄성 브라켓(12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데크부(120)는 프레임(11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크부(120)는 프레임(110)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의 단부는 높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데크부(120)는 예를 들어, 프레임(110)에 안착되는 패널(125), 패널(125)의 프레임(110)과 대향하는 일면, 다시 말해, 패널(125)의 하면의 일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결합홀(112)에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121) 및 패널(1250의 프레임(110)과 대향하는 일면, 다시 말해 패널(125)의 하면의 타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가이드 브라켓(121)이 결합되지 않은 결합홀(112)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 브라켓(122)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25)은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경우 패널(125)의 저면은 프레임(110)의 상면과 접촉될수 있다.
패널(125)의 일측 단부의 하측에는 패널(125)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상면이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123)가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패널(125)의 타측 단부의 상측에는 패널(125)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하면이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 외측이란 길이방향으로 패널(125)과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 내측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경우, 데크부(120)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와 단부가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크부(120)의 일측 단부는 일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의 타측 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데크부(120)의 타측 단부는 타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의 일측 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데크부(1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경사부(123)와 상기 데크부(120)와 일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의 제2 경사부(124)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부(120)의 제1 경사부(123)와 상기 데크부(120)와 일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의 제2 경사부(124) 사이에는 제1 배수 슬릿(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크부(12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경사부(124)와 상기 데크부(120)와 타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의 제1 경사부(123)는 서로 이격되고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부(120)의 제2 경사부(124)와 상기 데크부(120)와 타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의 제2 경사부(124) 사이에는 제2 배수 슬릿(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부(123)는 길이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우천시 제1 배수 슬릿(120b) 및 제2 배수 슬릿(120b)으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물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가이드 브라켓(121) 및 탄성 브라켓(122)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브라켓의 개략 사시도이고,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브라켓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125)의 일측에는 가이드 브라켓(1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탄성 브라켓(122)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21)은 패널(125)의 일측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이드 브라켓(121)은 패널(125)의 저면에 체결볼트(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21)은 예를 들어 패널(125)의 저면에 접촉되는 가이드 브라켓 체결판(121a) 및 가이드 브라켓 체결판(12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가이드 브라켓 절곡부(1210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 체결판(121a)에는 체결볼트(10)가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 체결홀(121b)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121)은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에 삽입되는 경우 선삽입되어 데크부(120)가 장착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패널(125)의 타측 저면에는 탄성 브라켓(122)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122)은 일 예로서 패널(125)의 저면에 체결볼트(10)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브라켓(122)은 금속재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데크(120)가 프레임(110)에 착탈되는 경우, 탄성 브라켓(122)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브라켓(122)의 적어도 일부는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경우 길이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에 완전히 안착되는 경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가 데크부(120)는 프레임(11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탄성 브라켓(122)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경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 브라켓(122)은 예를 들어, 패널(125)의 저면에 접촉되어 결합되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탄성 브라켓 체결홀(1220b)이 관통형성된 체결부(122a), 체결부(122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22c), 제1 연장부(122c)의 연장된 단부에서 패널(125)의 저면과 평행하게 패널(125)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22d), 제2 연장부(122d)의 연장된 단부에서 패널(125)의 일면을 향해 패널(125)의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연장부(122e), 제3 연장부(122e)의 연장된 단부에서 패널(125)의 저면을 향해 패널(125)의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제4 연장부(122f) 및 제4 연장부(122f)에서 패널(125)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122h)이 관통형성된 제5 연장부(122g)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경우, 제3 연장부(122e)와 결합홀(112)의 테두리가 접촉됨으로써, 탄성 브라켓(122)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제4 연장부(122f)와 결합홀(112)의 테두리가 접촉됨으로써 탄성 브라켓(122)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 3 연장부(122e)와 제4 연장부(122f)가 형성하는 사이각 중 상기 제1 연장부(122c)와 대향하는 부분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패널(125)의 저면에는 가이드 돌기(126)가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126)는 제5 연장부(122g)의 가이드 홈(122h)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126)는 탄성 브라켓(122)의 길이방향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26)는 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패널(125)의 저면에 나사 헤드가 이격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더 참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100)의 데크부(120)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우선, 가이드 브라켓(121)이 프레임(110)의 결합홀(1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b)를 참조하면, 데크부(120)의 타측이 프레임(110)을 향해 회전될 수 있으며, 데크부(120)의 회전 중 탄성 브라켓(122)의 제3 연장부(122e)가 결합홀(112)의 테두리에 접하는 경우, 탄성 브라켓(122)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데크부(120)가 더 회전하여 데크부(120)의저면이 프레임(110)에 안착되는 경우, 탄성 브라켓(122)은 다시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크부(120)의 결합은 완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어셈블리(100)는 탄성 브라켓(122)을 구비함으로써, 데크부(120)와 프레임(11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120) 사이에 제1 배수슬릿(120a) 및 제2 배수 슬릿(120b)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된 물에 의해 데크부(120)가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데크 어셈블리(10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데크 어셈블리 110: 프레임
120: 데크부 121: 가이드 브라켓
122: 탄성 브라켓 123: 제1 경사부
124: 제2 경사부 125: 패널

Claims (11)

  1.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데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부는,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일면의 일측에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브라켓; 및
    상기 패널의 상기 프레임과 대향하는 일면의 타측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결합되지 않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탄성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패널의 저면에 접촉되고 가이드 브라켓 체결홀이 관통형성된 가이드 브라켓 체결판; 및
    상기 가이드 브라켓 체결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가이드 브라켓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브라켓은,
    상기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일면과 평행하게 상기 패널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일면을 향해 상기 패널의 타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 연장부;
    상기 제 3 연장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패널의 일면을 향해 상기 패널의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4 연장부; 및
    상기 제4 연장부에서 상기 패널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홈이 형성된 제5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5 연장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3 연장부와 상기 제4 연장부가 형성하는 사이각 중 상기 제1 연장부와 대향하는 부분은 예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형상으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가이드 슬릿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슬릿의 바닥면과 상기 패널의 일면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데크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일측 단부의 하측에는 길이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상면이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패널의 타측 단부의 상측에는 길이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하면이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부가 돌출 구비되는 데크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데크부의 일측 단부는 일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의 타측 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되고,
    상기 데크부의 타측 단부는 타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의 일측 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높이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데크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의 상기 제1 경사부 및 상기 데크부와 일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의 제2 경사부 사이에는 제1 배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데크부의 상기 제2 경사부 및 상기 데크부와 타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데크부의 제1 경사부 사이에는 제2 배수 슬릿이 형성되는 데크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후에 상기 탄성 브라켓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삽입되지 않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데크 어셈블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08281A 2018-09-11 2018-09-11 데크 어셈블리 KR102175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281A KR102175330B1 (ko) 2018-09-11 2018-09-11 데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281A KR102175330B1 (ko) 2018-09-11 2018-09-11 데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800A KR20200029800A (ko) 2020-03-19
KR102175330B1 true KR102175330B1 (ko) 2020-11-06

Family

ID=6995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281A KR102175330B1 (ko) 2018-09-11 2018-09-11 데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237B1 (ko) * 2023-11-02 2024-02-21 유니온산업 주식회사 데크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034Y1 (ko) * 2003-04-07 2003-06-28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용 패널
KR101278446B1 (ko) * 2011-09-20 2013-07-05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패킹재가 결합된 목재데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740Y2 (ja) * 1991-09-04 1997-04-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床材の固定装置
JP3290330B2 (ja) * 1995-06-19 2002-06-10 積水樹脂株式会社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034Y1 (ko) * 2003-04-07 2003-06-28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용 패널
KR101278446B1 (ko) * 2011-09-20 2013-07-05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패킹재가 결합된 목재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800A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192B1 (ko) 목재데크용 연결클립
US9290889B2 (en) Deck fastening device
KR101492132B1 (ko) 목재 바닥 데크의 완충구조
KR102030900B1 (ko) 목재데크시스템
RU2683732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реек для создания приподнятого основания или пола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2175330B1 (ko) 데크 어셈블리
KR102380497B1 (ko) 보행의 편리성을 개선한 데크 및 계단 데크
KR101784932B1 (ko) 충격완충용 목재데크 고정클립
KR101829422B1 (ko) 데크바닥 결합구조
KR101253080B1 (ko) 미끄럼방지 데크
KR101588325B1 (ko)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KR200449138Y1 (ko) 목재 결속용 고정구
KR20150116505A (ko)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805851B1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867933B1 (ko)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26355B1 (ko) 데크 구조체
KR101925284B1 (ko) 목재 데크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2463046B1 (ko)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101293496B1 (ko)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된 목재 데크
KR100749351B1 (ko) 각 형강을 이용한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2535528B1 (ko) T형 퀵 클립 모듈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