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059B1 - 낚시용 활어 박스 - Google Patents

낚시용 활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059B1
KR102175059B1 KR1020190070212A KR20190070212A KR102175059B1 KR 102175059 B1 KR102175059 B1 KR 102175059B1 KR 1020190070212 A KR1020190070212 A KR 1020190070212A KR 20190070212 A KR20190070212 A KR 20190070212A KR 102175059 B1 KR102175059 B1 KR 10217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x
cover
water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환
Original Assignee
김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환 filed Critical 김은환
Priority to KR102019007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존에 필요한 물을 지속적으로 박스에 공급하여 물고기를 살리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활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용량의 박스를 덮개로 개폐시키되 상기 박스와 덮개는 단열재를 내장시켜 이루어지게 하고, 덮개의 내부에 펌프와 공기 공급기 및 배터리를 내장시키고, 상기 덮개의 전면 상측에는 조작버튼과 공기구멍 및 충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에 내장된 펌프의 배출배관과 공기 배출관은 덮개의 내측에서 박스의 내부로 설치하여 물을 채우거나 기포 발생기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박스의 측면에는 릴 형태로 배관을 감거나 인출하는 두 개의 배관 공급기를 설치하되 하나의 배관 공급기에 감긴 흡입배관의 일측은 박스의 내부를 통하여 덮개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에 연결하는 한편 타측의 흡입배관 선단은 거름망이 끼워져 물속으로 인출되게 하고, 상기 다른 배관 공급기에 감긴 배출배관의 일측은 박스에 일정 수위를 유지케하는 월류관에 끼워지고 타측 선단은 무게추를 달아 물에 잠기게 하고, 상기 박스에는 물이 일정 수위를 유지케 하는 월류관을 설치하는 한편 내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낚시용 활어 박스{Live fish box for fishing}
본 발명은 생존에 필요한 물을 지속적으로 박스에 공급하여 물고기를 살리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활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등으로 잡은 물고기를 신선하게 보관 및 관리하기 위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쿨러(cooler) 또는 아이스박스(ice box)로 공지되어 있으며, 내부에 얼음이나 드라이아이스 등과 함께 낚시 등으로 잡은 물고기를 넣어서 신선한 상태로 장시간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이점과 함께 물고기를 선어 형태로 보관은 할 수 있으나, 활어로 보관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고기를 활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물을 채우고 기포 발생기를 사용하여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물고기가 활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소량의 물에 지속적으로 기포를 공급한다 하더라도 짧은 시간만 활어로 유지할 수 있을 뿐이고,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는 별도의 살림망을 활용하여 물고기를 살려 놓았다가 낚시를 접고 운반할 때에만 기포 발생기가 구비된 박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낚시로 잡은 물고기를 장시간 살리기 위해서는 낚시를 하는 기간에는 살림망을 사용하고, 낚시 장소를 옮기거나 낚시를 마친 후에는 기포 발생기가 구비된 박스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살려주어야 하는 것으로, 살림망과 기포 발생기가 구비된 박스를 별도로 구비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그리고, 기포 발생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한정된 수량의 물을 교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고기를 살릴 수 있는 기간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고기를 장시간 활어 상태로 살릴 수 없다.
특허등록 10-1495286호(2015.02.13 등록) 특허등록 10-1886716호(2018.08.02 등록) 실용신안 공개 20-1999-009455호(1999.03.15 공개) 실용신안 등록 20-0401528호(2005.11.10 등록)
본 발명은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낚은 물고기를 살리기 위해서는 물속에 보관하게 되는 별도의 살림망에 물고기를 넣어주거나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기포 발생기로 산소를 공급하는 박스에 물고기를 넣어주어야 하나, 살림망을 구비하는 경우는 물고기 보관용 박스와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기포 발생기가 구비된 박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한정된 수량의 물을 교체하지 않을 경우 물고기의 생존시간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기포 발생기를 사용할 때 생존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낚시를 하는 도중에 지속적으로 박스의 물을 교체해 주어야 한다.
기존의 물고기 보관용 박스에 기포 발생기를 투입하는 방식은 있으나, 물을 교체하는 방식의 물고기 보관용 박스는 없었다.
본 발명은 살림망을 구비하지 않고도 낚시를 하는 도중에 물이 교체되는 박스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살린 채로 낚시를 마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낚은 물고기는 박스에 기포 발생기를 구비하여 활어 상태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용량의 박스를 덮개로 개폐시키되 상기 박스와 덮개는 단열재를 내장시켜 이루어지게 하고, 덮개의 내부에 펌프와 공기 공급기 및 배터리를 내장시키고, 상기 덮개의 전면 상측에는 조작버튼과 공기구멍 및 충전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에 내장된 펌프의 배출배관과 공기 배출관은 덮개의 내측에서 박스의 내부로 설치하여 물을 채우거나 기포 발생기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박스의 측면에는 릴 형태로 배관을 감거나 인출하는 두 개의 배관 공급기를 설치하되 하나의 배관 공급기에 감긴 흡입배관의 일측은 박스의 내부를 통하여 덮개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에 연결하는 한편 타측의 흡입배관 선단은 거름망이 끼워져 물속으로 인출되게 하고, 상기 다른 배관 공급기에 감긴 배출배관의 일측은 박스에 일정 수위를 유지케하는 월류관에 끼워지고 타측 선단은 무게추를 달아 물에 잠기게 하고, 상기 박스에는 물이 일정 수위를 유지케 하는 월류관을 설치하는 한편 내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월류관의 내측과 드레인의 외측에는 콕크를 설치하여 막아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배관 공급기는 두 개의 배관을 감거나 풀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배관 공급기만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배관 공급기는 배관을 인출한 후 스톱퍼를 눌러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내장된 스프링을 이용하여 수납되게 하는 공지의 장치이고, 본 발명의 덮개에는 내장된 펌프나 공기 공급기 또는 배터리 등을 교체 수리할 수 있도록 커버를 설치할 수 있으나, 물에 접촉할 때 누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조작버튼이 설치된 곳에는 공기 공급기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구멍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물고기를 살릴 수 있는 박스의 내부로 지속적인 신선한 물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낚시질을 하는 동안에 물고기를 살릴 수 있는 것으로, 살림망이 없이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활어 상태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관을 통하여 물의 펌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사진 곳이나 가파른 곳에서 위험하게 물을 긷거나 하는 등의 어려움 없이 간편하게 박스에 물을 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 채움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물 채움과 월류 상태도
본 발명은 살림망을 사용하지 않고도 낚시를 하면서 물고기를 살린 채로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물고기가 보관되는 박스의 내부로 외부에서 물고기를 살리는데 필요한 신선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활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덮개가 구비되고 내장재가 내장된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덮개에 펌프를 내장시켜 외부의 물을 흡입하여 박스로 공급되게 하는 한편 공기 공급기를 내장시켜 박스에 채워진 물에 기포 발생기를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한편 배터리를 내장시키고, 박스에는 배관 공급기를 설치함으로써 배관을 감아주거나 풀어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낚시를 할 때 펌프로 박스에 물을 채우되 월류관에 의해 일정 수위가 유지되게 하면서 연속적으로 신선한 물을 공곱하고, 기포 발생기를 통하여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낚시로 낚은 물고기를 박스에 넣으면 마치 살림망에 넣은 것과 같이 물고기를 살릴 수 있으며, 낚시 후 물고기를 운반할 때에도 활어 상태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덮개(20)가 구비된 박스(10)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살리는 것으로, 덮개(20)의 내부에는 단열재를 채우는 한편 펌프(30)와 공기 공급기(40) 및 배터리(50)를 내장시키는 한편 커버(21)를 이용하여 씌워주되 상기 커버(21)는 수밀이 유지되게 하고, 박스(10)에도 단열재를 내장시키는 한편 일측으로 배관 공급기(60)(70)를 설치하되 상기 배관 공급기(60)(70)에 감긴 배관(61)(71)은 박스(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여기서, 덮개(20)의 전면 상측에는 펌프(30)와 기포 발생기(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31)을 구비하는 한편 배터리(5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단자(51)를 구비하고, 공기 공급기(4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구멍(41)을 설치하며, 상기 조작버튼(31)과 충전단자(51) 및 공기구멍(41)을 통하여 덮개(2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배관 공급기(60)(70)는 두 개의 배관(61)(71)을 각각 감거나 풀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관 공급기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스(10)에 내장된 배관 공급기(60)(70)는 배관(61)(71)이 도시되지 아니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감겨있게 되고, 박스(10)의 외부로 노출된 배관(61)(71)을 당기게 되면, 스프링을 긴장시키면서 배관(61)(71)이 인출되며, 배관(61)(71)을 인출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시되지 아니한 스톱퍼를 이용하면 되는 것으로, 스프링과 스톱퍼가 구비된 배관 공급기(60)(70)는 공지된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공지된 배관 공급기(60)(70)를 박스(10)에 설치하여 구성하되 흡입배관(61)의 일측은 펌프(30)와 연결하는 한편 타측은 거름망(62)을 씌워서 박스(1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배출배관(71)의 일측은 월류관(12)에 끼워지게 하는 한편 타측은 무게추(72)가 끼워져 박스(10)의 내부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 박스(10)에는 일정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월류관(12)을 설치하되 콕크(11)로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박스(1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비우기 위한 드레인(14)을 설치하되 상기 드레인(14)에는 콕크(13)를 설치하여 잠그거나 열어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덮개(20)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30)에 배출되는 물은 배관(32)을 통하여 박스(10)에 채워지게 되고, 공기 공급기(40)에서 공급하는 공기는 박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기포 발생기(80)로 공급되어 기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낚시를 하면서 지속적으로 물을 박스(10)로 공급하여 물고기를 살리도록 하는 것으로, 낚시를 하기 전에 배관 공급기(60)의 흡입배관(61)을 잡아당기면 흡입배관(61)이 인출되고, 인출된 흡입배관(61)은 선단에 거름망(62)을 씌워서 물에 집어넣고 조작버튼(31)을 눌러 펌프(30)를 작동시키게 되면, 흡입배관(61)을 통하여 흡입된 물이 펌프(30)에서 배관(32)을 통하여 박스(10)의 내부로 배출되며, 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 박스(1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게 되고, 물이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월류관(12)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월류관(12)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배관 공급기(70)에 감긴 배출배관(71)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배관(71)의 선단은 무게추(72)를 달아 물속에 잠기게 함으로써 월류관(12)으로 넘친 물이 물속으로 배출되고, 주면으로 넘치지 않아 미끄러지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펌프(30)를 작동시켜 신선한 물을 박스(10)에 채우도록 함으로써 박스(10)에 넣는 물고기는 장시간 살아 있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는 물을 떠와서 박스에 채운 후 기포 발생기를 통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신선한 물의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고기가 쉽게 죽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지속적으로 신선한 물을 박스(10)에 채움으로써 물고기를 오랫동안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펌프(30)가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물을 박스(10)에 채우더라도 일정 높이에 뚫린 월류관(12)을 통하여 일정 수위를 유지하기 때문에 박스(10)에는 신선한 물이 정해진 수위를 이루기 때문에 낚시를 하는 동안 신선한 물의 공급으로 활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박스(10)에 채워진 물은 공기 공급기(40)를 작동시켜 기포 발생기(80)에서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산소 포화도를 높여서 물고기의 생존 확률을 높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살린 물고기를 장시간 운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톱퍼를 눌러 배관(61)(71)이 배관 공급기(60)(70)에 감기도록 한 후 펌프(30)는 작동을 중단시키고, 콕크(11)는 막아준 상태에서 공기 공급기(40)만 작동시킨 상태에서 물고기를 운반하면 된다.
박스(10)에 채워진 물은 콕크(13)를 개방시킨 후 드레인(14)을 이용하여 버리면 되고, 배터리(50)는 평상시 충전단자(51)에 충전기를 꼿아서 충전시키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두 개의 배관 공급기(60)(70)를 사용하지 않고, 두 개의 배관(61)(71)을 각각 감거나 풀을 수 있는 하나의 배관 공급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어느 종류의 배관 공급기를 사용하느냐의 차이만 있다.
10 : 박스 12 : 월류관
14 : 드레인 20 : 덮개
30 : 펌프 31 : 조작버튼
40 : 공기 공급기 50 : 배터리
60,70 : 배관 공급기 80 : 기포 발생기

Claims (3)

  1. 일정 용량의 박스(10)를 덮개(20)로 덮어주되 박스(10)와 덮개(20)는 단열재를 내장시켜 구성하고,
    상기 덮개(20)의 내부에는 펌프(30)와 공기 공급기(40) 및 배터리(50)를 내장시키고,
    상기 덮개(20)의 전면 상측에는 펌프(30)와 공기 공급기(40) 및 배터리(50)를 조작하는 조작버튼(31)과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구멍(41) 및 배터리 충전용 충전단자(51)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20)에 내장된 펌프(30)의 배출배관(32)과 공기 발생기(40)의 공기 배출관(42)은 덮개(20)의 내측에서 박스(10)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박스(10)의 측면에는 릴 형태의 배관 공급기(60)를 설치하되 상기 배관 공급기(60)에 감긴 흡입배관(61)의 일측은 박스(10)의 내부를 통하여 덮개(20)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30)에 연결하는 한편 타측은 박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거름망(62)이 씌워지고,
    상기 박스(10)의 측면에는 릴 형태의 배관 공급기(70)를 설치하되 상기 배관 공급기(70)에 감긴 배출배관(71)의 일측은 월류관(12)에 끼워지는 한편 타측은 박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무게추(72)가 고정되고,
    상기 박스(10)에는 물이 일정 수위를 유지케 하는 월류관(12)을 상측으로 설치하는 한편 하측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14)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활어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월류관(12)의 내측과 드레인(14)의 외측에는 월류관(12)과 드레인(14)을 개폐시키는 콕크(11)(1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활어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배관 공급기(60)(70)는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두 개의 배관(61)(71)을 각각 감거나 풀을 수 있는 하나의 배관 공급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활어 박스.
KR1020190070212A 2019-06-13 2019-06-13 낚시용 활어 박스 KR10217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12A KR102175059B1 (ko) 2019-06-13 2019-06-13 낚시용 활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12A KR102175059B1 (ko) 2019-06-13 2019-06-13 낚시용 활어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059B1 true KR102175059B1 (ko) 2020-11-05

Family

ID=7324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212A KR102175059B1 (ko) 2019-06-13 2019-06-13 낚시용 활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05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371A (ja) * 1991-12-17 1993-07-02 Shinko Metal Prod Kk 活魚の運搬用コンテナー
US5397040A (en) * 1994-04-21 1995-03-14 Lee; Jeffrey S. Fishing tackle waist belt
JP3022619U (ja) * 1995-09-12 1996-03-26 株式会社牛若丸 釣魚運搬用の携帯容器
JP3056851U (ja) * 1998-08-20 1999-03-05 太郎 大城 魚釣り用餌入れ容器
KR19990009455U (ko) 1997-08-16 1999-03-15 김종원 낚시용 아이스박스의 공기공급장치
KR200401528Y1 (ko) 2005-09-02 2005-11-17 민재홍 물고기 저장통으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박스
KR200420103Y1 (ko) * 2006-03-24 2006-06-28 주식회사 선경 낚시용 활어박스
KR101495286B1 (ko) 2012-03-30 2015-02-2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886716B1 (ko) 2016-07-28 2018-08-09 (주)한울특수공업 활어 보존용 박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371A (ja) * 1991-12-17 1993-07-02 Shinko Metal Prod Kk 活魚の運搬用コンテナー
US5397040A (en) * 1994-04-21 1995-03-14 Lee; Jeffrey S. Fishing tackle waist belt
JP3022619U (ja) * 1995-09-12 1996-03-26 株式会社牛若丸 釣魚運搬用の携帯容器
KR19990009455U (ko) 1997-08-16 1999-03-15 김종원 낚시용 아이스박스의 공기공급장치
JP3056851U (ja) * 1998-08-20 1999-03-05 太郎 大城 魚釣り用餌入れ容器
KR200401528Y1 (ko) 2005-09-02 2005-11-17 민재홍 물고기 저장통으로 사용 가능한 다용도 박스
KR200420103Y1 (ko) * 2006-03-24 2006-06-28 주식회사 선경 낚시용 활어박스
KR101495286B1 (ko) 2012-03-30 2015-02-2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886716B1 (ko) 2016-07-28 2018-08-09 (주)한울특수공업 활어 보존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9608B1 (en) Fishing chest
US8327576B2 (en) Floating fishing tackle box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034693A (en) Device for automatic raising of fish traps, crayfish pots, nets and the like
KR101024385B1 (ko) 가두리 양식장 자동사료 공급시스템
RU2013104052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оз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литейная машина
CN105900896A (zh) 一种具有监控功能的池塘用精准投料装置
KR102175059B1 (ko) 낚시용 활어 박스
KR200444477Y1 (ko) 해수유입이 가능한 전면 개폐형 활어운반선
US1576688A (en) Bait and tackle container
CN112655663A (zh) 一种用于溪流环境的鱼类采样工具
SI24992A (sl) Napihljivo plovilo z vgrajenim kompresorjem
JP2014167245A (ja) 水再利用システム
CN204781212U (zh) 一种节水水箱
CN107867505A (zh) 基于振动装置的物料仓储罐
KR200440282Y1 (ko) 낚시 보조용 산소집어장치
CN114204169A (zh) 一种自动智能补充电解液的锂电池外壳
JP2012193559A (ja) 浮式雨水貯水タンク
KR101547596B1 (ko) 사료 급이탱크
KR102255352B1 (ko) 곤충 사육용 급수기구
KR102159653B1 (ko) 갑각류 저장환경 유지용 냉각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갑각류 운송방법
JP2007274947A (ja) 発泡樹脂製容器
CN218544909U (zh) 一种预留注水口的制冰机
CN209290977U (zh) 一种豆腐包装箱
CN213252111U (zh) 一种防滴空的营养液泵管
CN211168174U (zh) 呼吸内镜培训用动物模型存放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