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013B1 - 양초 - Google Patents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013B1
KR102175013B1 KR1020180140054A KR20180140054A KR102175013B1 KR 102175013 B1 KR102175013 B1 KR 102175013B1 KR 1020180140054 A KR1020180140054 A KR 1020180140054A KR 20180140054 A KR20180140054 A KR 20180140054A KR 102175013 B1 KR102175013 B1 KR 10217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andle
state
candle body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118A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김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민 filed Critical 김종민
Priority to KR1020180140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013B1/ko
Priority to PCT/KR2019/012392 priority patent/WO2020101170A1/ko
Publication of KR2020005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Abstract

양초를 개시한다.
이러한 양초는, 왁스나 오일류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양초 본체와, 상기 양초 본체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며 연소불꽃을 발생하기 위한 외부 연소심재, 및 상기 양초 본체의 하부 측에 연결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초{CANDLE}
본 발명은 야외 사용에 적합한 양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실내의 조명을 확보하거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양초는 주로 왁스나 오일 성분의 원료(예: 파라핀 왁스)가 고형화 처리되어 원통이나 다각통 모양의 본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본체의 둘레부 중앙부에 심지(WICK)가 심어진 내부 심지형의 연소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내부 심지형 양초들은 특히 심지의 연소력이 약해서 바람 등에 의해 연소불꽃이 쉽게 꺼질 수 있으므로, 야외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80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9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야외 사용 환경에 적합한 연소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양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왁스나 오일류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양초 본체;
상기 양초 본체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며, 연소불꽃을 발생하기 위한 외부 연소심재; 및
상기 양초 본체의 하부 측에 연결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초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양초 본체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는 외부 연소심재 측에서 연소불꽃을 발생하는 상태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므로, 특히 일반 내부 심지형 구조를 갖는 양초들과 비교할 때 연소불꽃의 크기가 대폭 증대되어 야외 사용 환경에 적합한 연소 분위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는, 양초 본체(2), 외부 연소심재(4), 및 손잡이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양초 본체(2)는 후술하는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 작용과 부합하는 성분을 갖는 왁스나 오일류 등의 원료로 제조되며, 원료를 고형화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서 양초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양초 본체(2)는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를 고형화 처리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원형의 둘레부를 갖는 막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양초 본체(2)의 제조는 예를 들어, 몰드(Mold) 역할이 가능하게 외부 연소심재(4)를 원통 모양으로 가셋팅한 다음, 이 외부 연소심재(4)의 둘레부 내측에 원료를 부어서 고형화 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별도의 몰드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고형화 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양초 본체(2)는 사용 환경이나 용도 등에 따라 이와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양초 본체(2)는 원통이나 다각통 모양의 막대 형태는 물론이거니와,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과 부합하는 기능을 원활하게 구현하면서 미감(美感)이나 기능성 등을 높일 수 있는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연소심재(4)는 양초 본체(2)의 둘레부를 경계로 하여 외측에 배치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외부 연소심재(4)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된다.
외부 연소심재(4)의 재질은 연소(燃燒)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종이 재질이 사용된다.
즉, 외부 연소심재(4)는 종이 시트 형태를 가지며,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외부면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어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상에 덧씌워진 종이층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외부 연소심재(4)는 종이 시트 중에서 백상지(白上紙)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시트 두께는 대략 0.3mm 내지 1.0mm 범위 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종이 시트 두께가 상기한 범위보다 더 얇으면 만족할 만한 연소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외부 연소심재(4)는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될 때, 도 2에서와 같이 외부 연소심재(4)의 상측 단부는 양초 본체(2)의 상측 단부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외부 연소심재(4) 측에 라이터 등으로 불을 붙일 때 심재 상측의 돌출 부분에 불이 원활하게 옮겨 붙는 상태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연소심재(4) 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표시면(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표시면(A) 측에는 예를 들어, 양초의 미감이나 상품성 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이와 부합하는 그림이나 문자 등이 프린트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연소심재(4)는 종이 시트 형태를 가지며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므로,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양초 본체(2)의 상부 측에서 이 양초 본체(2)의 둘레부를 따라 링(Ring) 모양으로 연장된 형태의 연소불꽃(F)을 발생하는 상태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 연소심재(4)는 예를 들어, 양초의 둘레부 중앙에 한 가닥의 심지가 제공되는 내부 심지형의 양초 구조들과 비교할 때, 연소불꽃(F)의 크기가 대폭 증대되고, 시각적으로도 차별화된 미감을 얻을 수 있는 연소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다.
손잡이부(6)는 사용자가 양초 본체(2) 측을 안정적인 받침 상태로 잡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6)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 쥘 수 있는 막대 형태를 가지며, 상부 측에는 양초 본체(2)의 하부 측이 받침 상태로 끼워지기 위한 홈부(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손잡이부(6)는 양초 본체(2)의 하부 측이 홈부(B) 측에 끼워지는 상태로 연결 셋팅되어 양초 본체(2) 측을 받침 상태로 잡아줄 수 있는 손잡이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손잡이부(6)는 도 5에서와 같이 외부 연소심재(4)가 연소불꽃(F)을 발생하는 상태로 연소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양초 본체(2) 측을 직접 잡지 않고도 안정적인 상태로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6)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하부 측이 지면 측에 꽂혀져서 양초 본체(2) 측을 지면 상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는, 연소 조절구(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소 조절구(8)는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양초 본체(2) 측에 설치된다.
연소 조절구(8)는 도 6에서와 같이 링(Ring) 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링 내주면 측에는 외부 연소심재(4) 측과 접촉 간섭되기 위한 조절면(C)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소 조절구(8)의 재질은 불연성이면서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한다.
연소 조절구(8)는 도 6에서와 같이 조절면(C) 측이 외부 연소심재(4)의 둘레부 측과 서로 밀착 접촉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측에 끼워진 상태로 셋팅된다.
연소 조절구(8)의 조절면(C)은 외부 연소심재(4) 측과 접촉될 때, 이들 접촉면 사이에 불규칙한 틈새들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표면 상태를 이루도록 표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조절면(C)과 외부 연소심재(4) 간의 접촉면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연소 조절구(8)의 셋팅 지점에서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 상태가 용이하게 소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연소 조절구(8)는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측에서 도 6에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위치 조절된 지점에서 멈춤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소 조절구(8)의 위치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연소 소거 지점을 용이하게 조절 및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 조절구(8) 측에는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가이드면(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D)은 연소 조절구(8)의 둘레부 내주면 측에 형성되되, 조절면(C) 상부 측에서 점차 둘레부 크기가 확장되는 상태로 위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면(D)은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시 연소열에 의해 발생된 촛농이 양초 본체(2)의 둘레부를 타고 불규칙하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D)은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시 촛농이 양초 본체(2)의 상부 둘레부 내측으로 모이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연소 조절구(8)의 셋팅 지점에서 촛농에 의해 연소 부분이 묻히는 상태가 되면서 소거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면(D)은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연소 조절구(8)의 링 둘레부 측에서 조절면(C)의 둘레부 상부 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조절면(C)에 의해 연소불꽃(F)이 꺼지도록 연소 조절구(8) 측을 조작할 때, 이와 연계되어 외부 연소심재(4)의 끝단 연소 부분이 촛농에 묻히면서 연소불꽃(F)이 더욱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꺼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소 조절구(8)는 양초 본체(2) 측에서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 상태를 다음과 같이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양초 본체(2) 측에서 외부 연소심재(4)가 연소될 때, 연소 조절구(8)를 위쪽으로 이동시켜서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 지점에 셋팅할 수 있다.
그러면, 연소 조절구(8)의 조절면(C) 측이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 지점 바로 아래쪽 부분과 밀착된 접촉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외부 연소심재(4)가 더 이상 연소되지 않고 소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 조절구(8)는 외부 연소심재(4)의 연소 시간 조절이 가능하게 조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양초 본체(2)의 상부 측에서 외부 연소심재(4)가 연소될 때 이 연소 지점과 일정 간격을 띄우고 아래쪽 지점에 연소 조절구(8)가 위치되도록 셋팅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 연소심재(4)는 현재 연소 지점에서 연소 조절구(8)의 셋팅 지점 까지만 연소된 후 소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소 조절구(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사용 환경에 따라 이와 부합하도록 양초의 연소 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양초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초 본체(2)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외부 연소심재(4)가 형성되어 양초 본체(2)의 둘레부를 따라 링 모양으로 연장된 형태의 연소불꽃(F)을 발생할 수 있는 양초 구조를 제공하므로, 일반 내부 심지형의 양초들과 비교할 때, 특히 연소불꽃(F)의 크기가 대폭 증대되어 야외 사용 환경에 더욱 부합하는 연소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야외에서 사용할 때 연소불꽃(F)이 바람에 의해 쉽게 꺼지지 않는 연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외 레크레이션 등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2: 양초 본체 4: 외부 연소심재 6: 손잡이부
8: 연소 조절구

Claims (6)

  1. 왁스나 오일류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양초 본체;
    상기 양초 본체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며, 연소불꽃을 발생하기 위한 외부 연소심재;
    상기 양초 본체의 하부 측과 대응하는 홈부를 구비하고, 이 홈부에 의해 상기 양초 본체의 하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상태로 연결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외부 연소심재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는 링 형태를 가지며, 연소불꽃의 꺼짐을 유도할 수 있는 상태로 링 둘레부 측에 형성되는 조절면 및 가이드면을 구비한 연소 조절구;
    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 조절구의 조절면은,
    상기 외부 연소심재의 둘레부 외부면 측에 밀착 접촉이 가능한 상태로 링 둘레부 내주면 측에 형성되어 밀착 접촉 틈새 사이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억제되는 상태로 상기 외부 연소심재의 연소불꽃의 꺼짐이 유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연소 조절구의 가이드면은,
    상기 조절면의 둘레부 상부 측에서 둘레부 크기가 점차 확장되는 상태로 위쪽을 향하여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 연소심재의 연소불꽃의 연소열에 의해 발생된 촛농이 경사면을 따라 상기 조절면 상부 둘레부 측으로 모이면서 상기 외부 연소심재의 연소 부분 측이 촛농에 묻히는 상태로 연소불꽃의 꺼짐이 유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소심재는,
    종이 시트를 사용하고, 상기 양초 본체의 둘레부 외부면 측에 종이층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양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소심재는,
    상기 양초 본체의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에서 심재의 상측 단부 측이 상기 양초 본체의 상측 단부보다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 조절구는,
    상기 양초 본체의 둘레부 측에서 이 양초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 상태로 셋팅되는 양초.
KR1020180140054A 2018-11-14 2018-11-14 양초 KR102175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54A KR102175013B1 (ko) 2018-11-14 2018-11-14 양초
PCT/KR2019/012392 WO2020101170A1 (ko) 2018-11-14 2019-09-24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054A KR102175013B1 (ko) 2018-11-14 2018-11-14 양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18A KR20200056118A (ko) 2020-05-22
KR102175013B1 true KR102175013B1 (ko) 2020-11-05

Family

ID=7073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054A KR102175013B1 (ko) 2018-11-14 2018-11-14 양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5013B1 (ko)
WO (1) WO202010117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958Y1 (ko) * 2006-10-10 2007-10-22 이재흥 유리보호관을 구비한 양초
KR100949215B1 (ko) * 2008-09-26 2010-03-24 김미옥 소원비는 양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689A (ja) * 1992-05-18 1993-12-03 Morimi Taniguchi ろうそく
JP2004043604A (ja) * 2002-07-10 2004-02-12 Hayashida Shokuhin Sangyo Kk ローソ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10800Y1 (ko) 2005-12-30 2006-03-08 정종길 시각적 효과를 높인 양초
KR200436960Y1 (ko) 2006-10-10 2007-10-22 이재흥 적층형 양초
JP5433511B2 (ja) * 2010-06-25 2014-03-05 カメヤマ株式会社 ローソ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958Y1 (ko) * 2006-10-10 2007-10-22 이재흥 유리보호관을 구비한 양초
KR100949215B1 (ko) * 2008-09-26 2010-03-24 김미옥 소원비는 양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1170A1 (ko) 2020-05-22
KR20200056118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1577A (en) Fuel bottle with candle-like attachment
US6629836B2 (en) Cap for a jar containing a candle and the jar containing the candle and the cap therefore
WO2006031669A3 (en) Candle assembly
US6270340B1 (en) Reusable candle wick
KR102175013B1 (ko) 양초
US20100112503A1 (en) Large flame torch with textured flame bowl
CN209101249U (zh) 香薰蜡烛
JP3209080U (ja) 蝋燭ランプ
CN208919733U (zh) 油灯浮台
CN204026501U (zh) 仿真黑芯烛台
US9612010B1 (en) Enhanced torch top burner
JP3128746U (ja) 面芯ロウソク
JP3161363U (ja) タワー型線香
TWM340387U (en) Camp torch
KR101667571B1 (ko) 휴대용 복합 랜턴
CN104180170A (zh) 油灯蜡烛
CN204962311U (zh) 遥控式激光点火式照明杯
CN204026161U (zh) 油灯蜡烛
JP2018071896A (ja) 聖火トーチ
CN209404354U (zh) 一种香炉
JPH0441160Y2 (ko)
CN210921484U (zh) 一种可调节的打火机
CN207252658U (zh) 一种蚊香
TWM597356U (zh) 自燃蠟燭
JP3099185U (ja) 棒状の固体燃料に外嵌される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