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25B1 -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25B1
KR102174825B1 KR1020200095296A KR20200095296A KR102174825B1 KR 102174825 B1 KR102174825 B1 KR 102174825B1 KR 1020200095296 A KR1020200095296 A KR 1020200095296A KR 20200095296 A KR20200095296 A KR 20200095296A KR 102174825 B1 KR102174825 B1 KR 10217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coupled
buffer
camera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디에스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0009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3299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의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구비한 항공촬영부 및 항공기에 내장되어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가 연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조류 등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PHOTOFLIGHT SYSTEM FOR ACQUIRING PRECISE IMAGE OF HIDDEN GEOGRAPPHICAL FEATURES}
본 발명은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의 자세 변화에 상관없이 카메라가 독립적으로 연직 방향 촬영을 할 수 있는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공촬영기술은 크게 조종사와 촬영사가 비행기 조종석과 카메라 옆에 착석하여 촬영하는 유인촬영과 모형 헬리콥터나 비행선과 같이 사람을 태울 수 없는 기체에 무선송수신 제어기를 장착하여 무선으로 비행기를 조종하면서 촬영하는 무인촬영기술로 구분된다.
항공촬영시스템은 촬영기기가 장착된 비행기를 이용하여 촬영계획 지역으로 비행사가 해당 촬영구역 경로를 따라 비행기를 조종하여 이동하면 촬영사가 촬영 장치를 이용해 자료를 취득할 수 있도록 비행기, 촬영장비, 자동항법장치로 구성된다.
비행선촬영시스템은 항공측량방법이나 원격탐측기법의 고비용, 과다한 시간소요, 데이터취득절차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소 및 헬륨과 같이 가벼운 기체를 채울 수 있는 비행선 기낭과, 추진 및 제어기,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곤돌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촬영시스템, 지상관제시스템, 조종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항공사진은 지형지물의 지피에스 좌표 정보 등을 수치화하여 적용하고, 이렇게 확보된 수치정보를 바탕으로 각종 추가 정보를 입력하여 수치지도 제작에 이용된다. 특히 최근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촬영기술 및 항공기술의 발달, 정밀 광학 기계 및 계측기기의 발달 등은 사실감 있는 지도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
도 1은 일반적인 항공촬영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항공촬영은 항공기(P)에 설치된 고배율, 고해상도를 갖는 고성능 카메라(C)가 일정 고도에서 초당 수회에 걸쳐 지상을 촬영하며 진행되고, 이러한 촬영을 통해 수집된 항공촬영이미지들 중 수치지도 제작에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선별해 도화이미지의 대상으로 활용한다.
하지만, 항공기(P)는 창공을 일정속도로 운항하는 기기이므로, 항공기(P)의 고도 조정, 조향 조정 등에 따라 항공기(P) 기체의 자세가 변할 수 있고, 기체의 자세 변화는 카메라(C)의 촬영각도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C)가 의도한 대상을 촬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카메라(C)를 항공기(P)의 기체와 피봇 구조로 연결시켜서, 기체가 전후좌우로 회동하더라도 카메라(C)의 자중에 의해 해당 중력방향을 유지하면서 상기 기체와는 독립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카메라(C)가 항공기(P)의 기체와 독립적으로 고정되더라도, 항공기(P)의 속도 조절 또는 조향 조정 등에 따라 카메라(C)에 관성이 적용되면서, 오히려 카메라(C)가 더 흔들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항공기(P)의 속도가 갑자기 줄어들거나, 항공기(P)가 갑자기 선회할 경우 카메라(C)는 자체 관성에 의해 항공기(P)의 기체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촬영 각도가 크게 변하고, 이를 통해 의도한 대상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나아가, 종래 항공기(P)에 설치되어 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는 항공 촬영 중 조류 등의 접근에 의해 촬영 방해를 받는 경우가 발생되지만 그에 대한 대비책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다소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철/전개 가능한 다수의 지지부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초음파발진기를 이용하여 조류 등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부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상의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구비한 항공촬영부; 및 항공기에 내장되어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가 연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항공촬영부는, 항공기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탈착부; 회전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완충부; 완충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음파교란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완충부는, 회전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완충상판; 완충상판의 하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는 완충하판; 및 완충상판과 완충하판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완충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상판의 네 귀퉁이에는 ‘U’자형 홈을 형성하는 4개의 상판연장부가 하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고, 완충하판의 네 귀퉁이에는 ‘U’자형 홈을 형성하는 4개의 하판연장부가 상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며, 상판연장부는 하판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어 상판연장부와 하판연장부가 마주보는 부분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판연장부와 하판연장부가 형성하는 소정의 공간에는 좌우탄성부가 삽입되어 완충상판과 완충하판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회전탈착부는, 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탈착몸체부; 및 탈착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탈착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몸체부는, 완충상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하판; 탈착하판의 중앙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탈착회전축; 및 탈착회전축의 상단에 장착되어 탈착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체결부는, 탈착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상판; 탈착상판의 상부에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탈착회전축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탈착신축부; 탈착신축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탁착신축부가 오므라들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탈착외력부; 탈착외력부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 및 탈착신축부의 상부에 십(十)자 형태로 천공되는 탈착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회전제어부는, 탈착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회전제어몸체; 회전제어몸체의 내측 일단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 제1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 제1슬라이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회전제어몸체 외부로 노출되거나 회전제어몸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제1구체; 회전제어몸체의 내측 타단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 제2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회전제어몸체 외부로 노출되거나 회전제어몸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제2구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일측부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가 장착되고, 제1슬라이더의 일측부와 마주보는 제2슬라이더의 일측부에는 자성체가 장착되며, 전자석부에 전류가 흐르면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접촉 고정되어 제1구체와 제2구체가 회전제어몸체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항공기의 저면에 결합되며 회전탈착부의 탈착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된 고정몸체; 및 고정몸체의 내측 삽입공간의 상단에 배치되며 회전제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수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간의 중앙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어 회전가이드부가 수용될 수 있고, 회전수용부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어 제1구체와 제2구체가 수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지지부는 각각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수평모터를 구비하여 접철 및 전개가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수평센서가 장착되어 항공제어부가 수평센서로부터 하우징의 수평값을 전달 받은 후, 각각의 수평모터를 개별적으로 절첩 또는 전개하여 하우징이 높낮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항공기의 기울어짐에 관계없이 카메라가 연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음파교란하우징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음파방사구가 형성되고, 음파교란하우징 내벽에는 음파방사구를 통해 초음파를 발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초음파발진기가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에서 상기 항공제어부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의 GPS 위치좌표를 측정 연산하는 지피에스모듈; 항공기의 고도계측기 및 수평감지기와 연동하면서 항공기가 현재 위치한 고도와 기체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고도 및 수평 상태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인식모듈; 카메라에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서로 이웃하는 지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끼리 연결해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로 편집하고, 지피에스모듈에서 확인한 위치좌표를 상기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에 링크하는 편집모듈; 상기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와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다수의 지지부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항공기가 급격하게 방향을 조정하거나 속도를 변경하여도 카메라가 항상 연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모터를 통해 개별적으로 접철/전개 가능한 다수의 지지부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자동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길이를 조정하여 은폐된 지형지물에 대한 보다 정밀한 촬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초음파발진기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진시켜서 촬영 방해 요소인 조류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더욱 고품질의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완충부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촬영이미지 획득 작업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항공촬영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제어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탈착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탈착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막이부의 각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막이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시스템은 지상의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1400)를 구비한 항공촬영부(1000) 및 항공기(P)에 내장되어 카메라(1400)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가 연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제어부(2000)를 포함한다.
상기 항공촬영부(1000)는, 항공기(P)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1300),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탈착부(1200), 회전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완충부(1100), 완충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1600),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카메라(1400)가 장착되는 하우징(1700) 및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음파교란하우징(18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300), 회전탈착부(1200) 및 완충부(1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수의 지지부(1600)는 카메라(1400)를 항공기(P)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항공기(P)의 비행 상태에 상관없이 카메라(1400)가 항시 지상을 중력 방향으로 수직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600)는 항공기(P)가 갑작스럽게 속도를 조정하거나 방향을 선회할 경우에도 카메라(1400)의 촬영 각도가 갑자기 변하는 것을 최소화해서 카메라가 지정된 위치 이외에 불필요한 부분을 촬영하는 방지한다.
다수의 지지부(1600)는 힌지(1610)를 통해 완충부(110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다수의 지지부(1600)에는 각각 수평모터(1620)가 설치되어 그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즉, 촬영자는 카메라(1400)의 배율 조정이 필요하거나 또는 은폐된 지형지물에 대해 보다 정밀한 촬영이 필요할 때, 지지부(16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카메라(14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600)의 하부에 결합된 하우징(1700)에는 수평센서(1710)가 장착될 수 있는데, 후술되는 항공제어부(2000)의 제어모듈(2600)은 수평센서(1710)로부터 하우징(1700)의 수평값을 전달 받은 후, 수평모터(1620)를 이용해 각각의 지지부(1600)를 접철 또는 전개하여 하우징(1700)이 자동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지지부(1600)는 총 3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1600)에 의해 카메라(1400)는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정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1700)의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고정되고, 이러한 베어링을 매개로 하방이 개방된 음파교란하우징(18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음파교란하우징(1800)은 개방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반경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음파방사구(1810)가 천공된다.
상기 음파교란하우징(1800)의 내벽에는 음파방사구(1810) 사이 사이에 다수의 초음파발진기(1820)가 고정된다. 상기 초음파발진기(1820)는 대향하는 각 음파방사구(1810)를 향해 배치되어 방사된 초음파가 음파방사구(1810)를 통해 외부로 발진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회전 가능한 음파교란하우징(1800) 내부에 설치된 초음파발진기(1820)는 초음파를 발진시키고, 발진된 초음파는 음파방사구(1810)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퍼져나가면서 조류의 접근을 원천 차단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제어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공제어부(2000)는 지피에스모듈(2100), 위치인식모듈(2200), 편집모듈(2300), 메모리(2400), 통신모듈(2500) 및 제어모듈(2600)을 포함한다.
상기 지피에스모듈(2100)은 GPS 전용 인공위성(A)과 통신하여 현재 위치 좌표를 연산한 다음 출력할 수 있다. 연산된 위치 좌표는 카메라(1400)가 촬영한 항공 촬영 이미지와 링크된다.
상기 위치인식모듈(2200)은 항공기(P)의 고도계측기, 방위계측기 및 기울기센서 등과 통신하여 항공기의 현재 고도와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치인식모듈(2200)은 항공기의 비행 상태에 따라 카메라(1400)의 최적 촬영 시점을 확인할 수도 있다.
사용자(촬영자)가 최적 촬영 고도를 위치인식모듈(2200)에 설정하면, 위치인식모듈(2200)은 항공기(P)의 고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원하는 고도에 다다르면 카메라(1400)가 지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위치인식모듈(2200)은 항공기(P)의 기울기센서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항공기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며, 항공기가 수평 안정 범위에 이르면 카메라(1400)가 지상을 지속적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촬영자는 카메라(1400)를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도 위치인식모듈(2200)이 최적의 촬영 시점을 파악해 지형지물을 촬영하므로 실수로 촬영을 누락하지 않을 수 있다.
지상 촬영에 사용되는 카메라(1400)는 항공촬영을 위한 통상적인 촬영기로서, 고해상도의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집모듈(2300)은 카메라(1400)가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를 동일한 배율로 조정하고, 이웃하는 항공촬영이미지끼리 서로 연결 또는 합성해서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로 편집하는 것이다.
편집모듈(2300)은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출력해 촬영자에게 제시하고, 촬영자는 편집모듈(2300)을 조작해서 이들 중 최적화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선정해 서로 연결하고, 하나의 항공촬영이미지로 최종 편집한다.
상기 메모리(2400)는 카메라(1400)가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와 편집모듈(2300)에서 편집한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한다. 메모리(2400)는 삽탈이 가능한 USB 메모리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통상적인 외장 하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2500)은 편집모듈(2300)에 저장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지상에 위치한 도화장치 등에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는 것으로서, 통신모듈(2500)에 의해 전송되는 항공촬영이미지에는 지피에스모듈(2100)에서 확인된 위치좌표가 링크된다.
상기 제어모듈(2600)은 다수의 지지부(1600)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2600)에서 지지부(1600)의 수평모터(1620)를 제어하여 카메라(1400)가 자동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1100)는 회전탈착부(1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완충상판(1110), 완충상판의 하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는 완충하판(1130) 및 완충상판과 완충하판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완충탄성부(112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상판(1110)과 완충하판(1130)은 사각 패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탄성부(1120) 역시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완충탄성부(1120)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항공기(P)로부터 카메라(140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감쇠시켜 주고, 이에 따라 카메라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완충상판(1110)의 네 귀퉁이에는 'U'자형 홈을 형성하는 4개의 상판연장부(1111)가 하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고, 완충하판(1130)의 네 귀퉁이에는 'U'자형 홈을 형성하는 4개의 하판연장부(1131)가 상부를 향해 돌출 연장된다.
즉, 상기 상판연장부(1111)와 하판연장부(1131)는 치아처럼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판연장부(1111)가 하판연장부(1131)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어 상판연장부(1111)와 하판연장부(1131)가 마주보는 부분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연장부(1111)와 하판연장부(1131)가 형성하는 소정의 공간에는 좌우탄성부(1140)가 삽입된다. 좌우탄성부(1140)는 일측면이 상판연장부(1111)의 'U'자형 홈에 접촉되고 타측면이 하판연장부(1131)의 'U'자형 홈에 접촉되어 완충상판(1110)과 완충하판(1130)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완충하판(1130) 및 그 하부에 결합된 카메라(1400)는 완충탄성부(1120)에 의해 상하방향 진동이 감쇠되고, 좌우탄성부(1140)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 진동이 감쇠된다.
4개의 상판연장부(1111) 중 완충상판(1110)의 일측부에 배치된 2개의 상판연장부(1111), 4개의 상판연장부(1111) 중 완충상판(1110)의 타측부에 배치된 나머지 2개의 상판연장부(1111) 사이는 각각 상판지지부(1112)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판지지부(1112)와 완충하판(1130) 사이는 높이고정부(1150)를 통해 연결되고, 높이고정부(1150)가 조절됨에 따라 완충상판(1110)과 완충하판(1130)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항공기(P)의 운항 속도, 각 부품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높이고정부(1150)를 조이거나 풀 수 있고, 이에 따라 완충상판(1110)과 완충하판(1130)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어 완충탄성부(1120)의 강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상판(1110)의 하면과 하판연장부(1131)의 최상단 사이의 간격은 좌우탄성부(114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좌우탄성부(1140)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탈착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탈착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탈착부(1200)는 완충부(1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탈착몸체부(1210) 및 탈착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탈착체결부(1220)를 포함한다.
상기 탈착몸체부(1210)는 금속, 목재 등 하부에 결합된 완충부(1100)를 지탱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지니는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고, 탈착체결부(1220)는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탈착몸체부(1210)와 탈착체결부(1220)를 상이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카메라(14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하고, 사용할 때에는 부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탈착몸체부(1210)는 완충상판(1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하판(1211), 탈착하판의 중앙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탈착회전축(1212) 및 탈착회전축의 상단에 장착되어 탈착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12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탈착몸체부(1210)가 탈착회전축(121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카메라(1400)의 시야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모터, 기어 등 공지의 구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체결부(1220)는 탈착하판(1211)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상판(1221), 탈착상판의 상부에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탈착회전축(1212)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탈착신축부(1222), 탈착신축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탁착신축부가 오므라들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탈착외력부(1223), 탈착외력부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1224) 및 탈착신축부의 상부에 십(十)자 형태로 천공되는 탈착천공부(1225)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탈착외력부(1223)를 잡고 힘을 가하여 탈착외력부(1223)가 탈착신축부(1222) 안쪽으로 들어오도록 할 수 있고, 이때 돌출된 회전가이드부(1224)도 함께 탈착신축부(1222) 안쪽으로 들어오면서 탈착몸체부(1210)를 후술되는 고정브라켓(1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탈착몸체부(1210)를 고정브라켓(1300)에 삽입할 때에는 위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여 회전가이드부(1224)가 탈착신축부(1222) 안쪽으로 들어오도록 힘을 가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1300)에 삽입하고, 탈착외력부(1223)를 놓아 회전가이드부(1224)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제어부(1230)는 탈착회전축(1212)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회전제어몸체(1231), 회전제어몸체의 내측 좌단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1232), 제1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1233), 제1슬라이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회전제어몸체 외부로 노출되거나 회전제어몸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제1구체(1234), 회전제어몸체의 내측 우단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1236), 제2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1237) 및 제2슬라이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회전제어몸체 외부로 노출되거나 회전제어몸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제2구체(1238)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프링(1232)은 제1슬라이더(1233)를 우측으로 밀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1구체(1234)는 별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회전제어몸체(1231) 외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스프링(1236)은 제2슬라이더(1237)를 좌측으로 밀려는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2구체(1238)는 별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회전제어몸체(1231) 외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슬라이더(1233)의 일측부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1235)가 장착되고, 제1슬라이더(1233)의 일측부와 마주보는 제2슬라이더(1237)의 일측부에는 자성체(1239)가 장착된다.
상기 전자석부(1235)에 전류가 흐르면 제1슬라이더(1233)와 제2슬라이더(1237)가 접촉 고정되므로 제1구체(1234)와 제2구체(1238)는 회전제어몸체(1231)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평상시 제1구체(1234)와 제2구체(1238)는 제1스프링(1232) 및 제2스프링(1236)에 의해 회전제어몸체(1231) 내부에 수납 또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으나, 전자석부(1235)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부(1235)와 자성체(1239)가 붙은 상태에서 고정됨에 따라 제1슬라이더(1233)와 제2슬라이더(1237)가 하나의 막대처럼 단단해지고, 이에 따라 제1구체(1234)와 제2구체(1238)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모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300)은 항공기(P)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탈착부(1200)의 탈착체결부(1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1311)이 형성된 고정몸체(1310) 및 고정몸체의 내측 삽입공간의 상단에 배치되며 회전제어부(12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수용부(1320)를 포함한다.
즉, 항공기(P)의 하면에 고정브라켓(1300)이 결합되고, 이러한 고정브라켓(1300)에는 회전탈착부(1200)가 탈착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회전탈착부(1200)의 하부에 완충부(1100)가 결합되고, 완충부(1100)의 하부에 다수의 지지부(1600)가 결합된다.
상기 삽입공간(1311)의 중앙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1312)이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1312)에는 전술한 회전가이드부(1224)가 수용되고, 이에 따라 탈착몸체부(1210)는 고정브라켓(13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일정한 궤도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수용부(1320)의 내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걸림홈(1321)이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1321)에는 제1구체(1234) 및 제2구체(1238)가 수용되어 일정한 고정력을 지닐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탈착몸체부(1210)가 회전함에 따라 탈착회전축(1212)이 회전되고, 그 상단의 회전제어부(1230) 역시 회전하게 되는데, 제1구체(1234) 및 제2구체(1238)가 걸림홈(1321)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일시적으로 약간의 고정력을 지니고, 제1구체(1234) 및 제2구체(1238)가 걸림홈(1321)을 타고 넘어간 후 다시 다른 걸림홈(1321)에 수용될 때에는 '딸깍'하는 느낌과 함께 절도감을 형성하여 회전 여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만약, 카메라(1400)의 시야각 조절이 완료되어 더 이상 탈착몸체부(12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면, 전자석부(1235)에 전류를 흘려 제1슬라이더(1233)와 제2슬라이더(1237)가 하나의 막대처럼 단단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1구체(1234) 및 제2구체(1238)가 걸림홈(1321)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탈착몸체부(121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전자석부(1235)는 항공기(P)의 일반적인 제어부, 배터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황에 따라 전류가 흐르거나 또는 흐르지 않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400) 및 탈착몸체부(1210)의 회전 역시 모터, 기어 등 공지의 구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막이부의 각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람막이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바람막이부(1500)는 항공기(P)의 저면에 장착되며, 카메라(1400)의 전방에 배치되어 항공기(P)의 운항시 카메라(1400)로 과도하게 바람이 주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람막이부(1500)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하단에 진입홀(1531)이 천공된 바람케이스(1530), 바람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하부바람몸체(1510), 하부바람몸체의 전방면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1511), 하부바람몸체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상부바람몸체(1520) 및 상부바람몸체의 후방면에 함몰 형성되며 다수의 걸림턱(1511)이 수용되는 다수의 레일(1521)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람몸체(1510)의 단부는 바람회전모터(1540)에 연결되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회전할 수 있으며, 다수의 걸림턱(1511)은 다수의 레일(1521)에 수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걸림턱(1511)은 'T'자 형태로 형성되어 레일(152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걸림턱(1511)이 레일(1521)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바람몸체(1510)가 하부를 향해 더 이동되면 상부바람몸체(1520)는 걸림턱(1511)이 레일(1521)에 걸린 채로 하부바람몸체(1510)와 함께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반대로, 하부바람몸체(1510)의 걸림턱(1511)이 레일(1521)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바람몸체(1510)가 상부를 향해 더 이동되면 상부바람몸체(1520)는 하부바람몸체(1510)의 전방에 포개어 겹쳐진 상태로 수납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하부바람몸체(1510)와 상부바람몸체(1520)를 나누어 구성하고, 하부바람몸체(151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부바람몸체(1520)도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적은 면적을 차지하면서도 동시에 바람 진입 방지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하부바람몸체(1510)와 상부바람몸체(1520)가 펼쳐지는 정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바람몸체(1510)에는 다수의 통기공(1512)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다수의 통기공(1512) 사이사이에 다수의 공기홈(1513)이 이격 배치된다.
다수의 통기공(1512)은 종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일부 바람이 하부바람몸체(1510)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한 바람이 발생하였을 때 하부바람몸체(1510)가 부러지거나 과한 진동이 발생하여 항공기(P) 및 카메라(14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수의 공기홈(1513)은 가운데 부분이 낮고 양 단부가 높은 'V'자 형태로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4개의 공기홈(1513)이 한 세트를 이룬다. 다수의 공기홈(1513)은 하부바람몸체(1510)에 부딪히는 바람을 통기공(1512) 방향으로 유도하여 흐르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0 : 항공촬영부 1100 : 완충부 1110 : 완충상판
1111 : 상판연장부 1112 : 상판지지부 1120 : 완충탄성부
1130 : 완충하판 1131 : 하판연장부 1140 : 좌우탄성부
1150 : 높이고정부 1200 : 회전탈착부 1210 : 탈착몸체부
1211 : 탈착하판 1212 : 탈착회전축 1220 : 탈착체결부
1221 : 탈착상판 1222 : 탈착신축부 1223 : 탈착외력부
1224 : 회전가이드부 1225 : 탈착천공부 1230 : 회전제어부
1231 : 회전제어몸체 1232 : 제1스프링 1233 : 제1슬라이더
1234 : 제1구체 1235 : 전자석부 1236 : 제2스프링
1237 : 제2슬라이더 1238 : 제2구체 1239 : 자성체
1300 : 고정브라켓 1310 : 고정몸체 1311 : 삽입공간
1312 : 가이드홈 1320 : 회전수용부 1321 : 걸림홈
1400 : 카메라 1500 : 바람막이부 1510 : 하부바람몸체
1511 : 걸림턱 1512 : 통기공 1513 : 공기홈
1520 : 상부바람몸체 1521 : 레일 1530 : 바람케이스
1531 : 진입홀 1540 : 바람회전모터 1600 : 지지부
1610 : 힌지 1620 : 수평모터 1700 : 하우징
1710 : 수평센서 1800 : 음파교란하우징 1810 : 음파방사구
1820 : 초음파발진기 2000 : 항공제어부 2100 : 지피에스모듈
2200 : 위치인식모듈 2300 : 편집모듈 2400 : 메모리
2500 : 통신모듈 2600 : 제어모듈

Claims (1)

  1. 지상의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구비한 항공촬영부; 및 항공기에 내장되어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며 카메라가 연직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항공촬영부는,
    항공기의 저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탈착부; 회전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완충부; 완충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카메라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음파교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회전탈착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완충상판; 완충상판의 하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는 완충하판; 및 완충상판과 완충하판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완충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상판의 네 귀퉁이에는 ‘U’자형 홈을 형성하는 4개의 상판연장부가 하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고, 완충하판의 네 귀퉁이에는 ‘U’자형 홈을 형성하는 4개의 하판연장부가 상부를 향해 돌출 연장되며, 상판연장부는 하판연장부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어 상판연장부와 하판연장부가 마주보는 부분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판연장부와 하판연장부가 형성하는 소정의 공간에는 좌우탄성부가 삽입되어 완충상판과 완충하판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회전탈착부는,
    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탈착몸체부; 및 탈착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탈착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몸체부는, 완충상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하판; 탈착하판의 중앙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는 탈착회전축; 및 탈착회전축의 상단에 장착되어 탈착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체결부는, 탈착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탈착상판; 탈착상판의 상부에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탈착회전축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탈착신축부; 탈착신축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탈착신축부가 오므라들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탈착외력부; 탈착외력부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 및 탈착신축부의 상부에 십(十)자 형태로 천공되는 탈착천공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어부는,
    탈착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회전제어몸체; 회전제어몸체의 내측 일단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 제1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 제1슬라이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회전제어몸체 외부로 노출되거나 회전제어몸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제1구체; 회전제어몸체의 내측 타단에 결합되는 제2스프링; 제2스프링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단부에 결합되며 회전제어몸체 외부로 노출되거나 회전제어몸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제2구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일측부에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는 전자석부가 장착되고, 제1슬라이더의 일측부와 마주보는 제2슬라이더의 일측부에는 자성체가 장착되며, 전자석부에 전류가 흐르면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접촉 고정되어 제1구체와 제2구체가 회전제어몸체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항공기의 저면에 결합되며 회전탈착부의 탈착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이 형성된 고정몸체; 및 고정몸체의 내측 삽입공간의 상단에 배치되며 회전제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수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간의 중앙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어 회전가이드부가 수용될 수 있고, 회전수용부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어 제1구체와 제2구체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각각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수평모터를 구비하여 접철 및 전개가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수평센서가 장착되어 항공제어부가 수평센서로부터 하우징의 수평값을 전달 받은 후, 각각의 수평모터를 개별적으로 절첩 또는 전개하여 하우징이 높낮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항공기의 기울어짐에 관계없이 카메라가 연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음파교란하우징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음파방사구가 형성되고, 음파교란하우징 내벽에는 음파방사구를 통해 초음파를 발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초음파발진기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항공제어부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의 GPS 위치좌표를 측정 연산하는 지피에스모듈; 항공기의 고도계측기 및 수평감지기와 연동하면서 항공기가 현재 위치한 고도와 기체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고도 및 수평 상태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인식모듈; 카메라에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서로 이웃하는 지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끼리 연결해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로 편집하고, 지피에스모듈에서 확인한 위치좌표를 상기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에 링크하는 편집모듈; 상기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와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다수의 지지부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0200095296A 2020-07-30 2020-07-30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2174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296A KR102174825B1 (ko) 2020-07-30 2020-07-30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296A KR102174825B1 (ko) 2020-07-30 2020-07-30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825B1 true KR102174825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296A KR102174825B1 (ko) 2020-07-30 2020-07-30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5004A (zh) * 2021-09-06 2021-12-24 太仓阿尔法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在役绝缘子远程探伤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456B1 (ko) * 2013-09-05 2014-02-05 삼아항업(주) 고정밀 이미지를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KR101739776B1 (ko) * 2016-12-06 2017-05-26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영상물 교체시 촬영대상을 기준으로 영상합성을 진행하는 영상물 편집처리시스템
KR101942770B1 (ko) * 2018-11-29 2019-01-28 네이버시스템(주)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보정 후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456B1 (ko) * 2013-09-05 2014-02-05 삼아항업(주) 고정밀 이미지를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KR101739776B1 (ko) * 2016-12-06 2017-05-26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영상물 교체시 촬영대상을 기준으로 영상합성을 진행하는 영상물 편집처리시스템
KR101942770B1 (ko) * 2018-11-29 2019-01-28 네이버시스템(주)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보정 후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5004A (zh) * 2021-09-06 2021-12-24 太仓阿尔法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在役绝缘子远程探伤方法
CN113835004B (zh) * 2021-09-06 2024-02-09 太仓阿尔法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在役绝缘子远程探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827B1 (ko) 지피에스와 아이엔에스를 이용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ES2902469T3 (es) Métodos y sistemas para el control del movimiento de dispositivos voladores
CN113682476B (zh) 无人驾驶飞行系统和用于无人驾驶飞行系统的控制系统
CN106029501B (zh) Uav全景成像
JP6122591B2 (ja) 写真測量用カメラ及び航空写真装置
JP6261090B2 (ja) 無人飛行体
KR101644151B1 (ko) 지능형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3d공간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29846B1 (ko)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장치
US20200319642A1 (en) Gimbal control method and device, gimbal, and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4062789A (ja) 写真計測用カメラ及び航空写真装置
JP2013505457A (ja) 縦続カメラおよび/またはキャリブレーション特徴を含む広いエリア画像を詳細に取り込む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269641A1 (en) Unmanned aerial or marine vehicle
Mészarós Aerial surveying UAV based on open-source hardware and software
KR101893078B1 (ko) 측정된 수치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3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350929B1 (ko) 지피에스(gps)와 아이엔에스(ins)를 이용한 초정밀 항공촬영 장치
KR102174825B1 (ko) 은폐된 지형지물을 촬영하여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349148B1 (ko) 자동촬영시스템을 이용한 항공촬영장치
KR102186199B1 (ko) 다시점 영상이미지를 이용한 화면분할 기반 영상처리시스템
KR101910819B1 (ko) 항공 촬영 무인 비행 장치
KR102515843B1 (ko) 공간정보의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174826B1 (ko) 정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중복 항공촬영시스템
KR102462806B1 (ko)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멀티콥터 및 그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KR102174823B1 (ko) 위치정보와 영상이미지를 합성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948543B1 (ko) 위치정보와 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KR102294009B1 (ko) 고정밀 항공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자동 항공촬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