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420B1 -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420B1
KR102174420B1 KR1020190014259A KR20190014259A KR102174420B1 KR 102174420 B1 KR102174420 B1 KR 102174420B1 KR 1020190014259 A KR1020190014259 A KR 1020190014259A KR 20190014259 A KR20190014259 A KR 20190014259A KR 102174420 B1 KR102174420 B1 KR 10217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information
information
event
individual
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364A (ko
Inventor
최상원
김용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14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4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04L67/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상에서 비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특히 사전에 특정 이벤트별로 서로 연계된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고, 해당 이벤트 발생시 개별 정보를 동기화하여 수집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FUSING APERIODIC INDIVIDUAL INFORMATION FOR MISSION CRICICAL SYSTEM}
본 발명은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상에서 비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전에 특정 이벤트별로 서로 연계된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고, 해당 이벤트 발생시 개별 정보를 동기화하여 수집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션 크리티컬(MC: Mission Critical) 요소라 함은 업무 수행을 위하여 가장 중요하거나 필수 불가결한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SOC 시설과 같이 시스템이 항상 유지될 필요가 있는 하드웨어적 환경에 근간한 시스템에 적용된다.
미션 크리티컬 요소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거나 파괴되면 업무나 서비스 제공 전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혼란이나 사고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철도를 비롯하여 은행이나 항공기 운행 시스템 등에서 채택하고 있다.
예컨대,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의 융합이 필수적이다. 또한 미션 크리티컬 철도 서비스 가운데 하나인 MC Push To Talk(MCPTT), MC DATA 또는 MC VIDEO 등과 같은 공공 안전 서비스의 경우 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위치 정보와 더불어 사고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신뢰성있는 전송이 필요하다.
아울러, 철도 유지 보수 등과 같은 유지 보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유지 보수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와의 융합이 필요하다.
나아가 공공 안전 서비스의 경우에는 재난 등의 사고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이벤트성으로 발생하는 비주기적인 정보의 유기적인 획득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사고 난 지점의 위치뿐만 아니라 부상자 정보, 사고 열차, 사고 차량, 또는 사고 선박 등의 정보의 융합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10512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69407호
이에, 본 발명은 사전에 특정 이벤트별로 서로 연계된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고, 해당 이벤트 발생시 개별 정보를 동기화하여 수집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은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상에서 발생되는 개별 정보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정보 분석 단계와; 비주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을 분류하는 이벤트 분류 단계와; 상기 분류된 이벤트와 관련된 개별 정보들을 각각 다수개 추출하여 이벤트별로 그룹핑하는 그룹핑 단계와; 이벤트 발생시 개별 정보 융합장치를 활성화시켜 발생된 이벤트와 연관되도록 그룹핑된 개별 정보를 수집 및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이벤트별 개별 정보들을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그룹핑 단계는 다수의 서로 다른 이벤트에 대해 각각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룹핑 단계는 테이블 맵핑(table mapping) 방식으로 어드레싱된 다수의 개별 정보들에 대해 해당 이벤트와 연계성이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적어도 1비트(bit)의 비트맵으로 표현하여 그룹핑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획득 단계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1 그룹 획득 방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획득 단계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와 함께 개별 정보의 출력 정보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또 다른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그룹 획득 방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별 정보에 대한 개별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보 획득 단계는 이벤트 발생 전이나 이벤트 발생 후부터 상기 설정된 개별 주기마다 상기 이벤트로 그룹핑된 개별 정보를 수집 및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장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상에서 발생되는 개별 정보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정보 분석 장치와; 비주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을 분류하는 이벤트 분류 장치와; 상기 분류된 이벤트와 관련된 개별 정보들을 각각 다수개 추출하여 이벤트별로 그룹핑하여 저장하는 그룹핑 저장 장치와; 이벤트 발생시 상기 그룹핑된 개별 정보들을 스캔하여 해당 이벤트와 연관되도록 그룹핑된 개별 정보들을 추출하는 스캐닝 장치와; 개별 정보 획득장치를 활성화시켜 상기 스캐닝된 개별 정보들을 획득하는 활성화 발생 장치; 및 상기 획득된 이벤트별 개별 정보들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그룹핑 저장 장치(130)는 다수의 서로 다른 이벤트에 대해 각각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룹핑 저장 장치(130)는 테이블 맵핑(table mapping) 방식으로 어드레싱된 다수의 개별 정보들에 대해 해당 이벤트와 연계성이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적어도 1비트(bit)의 비트맵으로 표현하여 그룹핑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1 그룹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와 함께 개별 정보의 출력 정보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또 다른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그룹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별 정보별로 정보 획득시 요구되는 개별 주기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주기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사전에 특정 이벤트별로 서로 연계된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고, 해당 이벤트 발생시 개별 정보를 동기화하여 수집한다. 따라서, 이벤트별로 그룹핑된 개별 정보들을 융합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트 맵 테이블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별 정보 획득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별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개별 정보 융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은행 네트워크, 항공기 운항 서비스 및 철도 운행 서비스 등을 비롯한 다양한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중 철도 서비스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는 미션 크리티컬(MC: Mission Critical) 시스템 상에서 안전사고 등 비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개별 정보들을 수집하여 융합 효과를 제공한다.
미션 크리티컬 요소로 작용하는 비주기적인 정보들에 대해 철도 서비스를 예로 들면 사고난 지점의 위치, 속도 등 사고시 열차 운행 정보, 부상자 유형이나 정보 등이 있으며, 이들 정보는 서로 간에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비주기적인 개별 정도들을 효율적으로 융합한다. 즉,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별로 그룹핑된 개별 정보를 수집 및 획득함으로써 정보 융합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최적의 정보 획득 주기를 설정하여 개별 정보들을 획득하고, 서로 연계된 개별 정보들의 경우 개별 정보의 출력 정보를 다른 개별 정보의 획득을 위한 입력으로 적용하고 개별 정보의 정확성 역시 높인다.
이를 위해,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은 정보 분석 단계(S110), 이벤트 분류 단계(S120), 그룹핑 단계(S130), 정보 획득 단계(S140) 및 정보 저장 단계(S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보 분석 단계(S110)에서는 수집이 필요한 개별 정보들에 내한 내용이나 종류 등을 분석하고, 이벤트 분류 단계(S120)에서는 철도 사고 등 비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이벤트들을 분류한다.
그룹핑 단계(S130)에서는 이벤트별로 서로 연계되는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고, 정보 획득 단계(S140)에서는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로 그룹핑된 개별 정보들을 동기화하여 획득하고, 정보 저장 단계(S150)에서 획득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분석 단계(S110)에서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상에서 발생되는 개별 정보별들의 내용을 분석한다. 이러한 개별 정보들은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은 물론 변화하는 이벤트에 맞추어 신규로 추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고 지점, 사고 열차 및 부상 유형 등의 개별 정보는 단일한 하나의 소단위 정보를 의미할 수 있지만 유형별로 분류된 그룹에 속하는 여러개의 소단위가 모여 하나의 개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분석 단계(S110)에서 선택 혹은 결정됨에 따라 이용 가능한 개별 정보들은 관제 서버,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앙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여 관리자간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개별 정보는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시 일 예로 테이블 맵핑(table mapping) 방식으로 저장됨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룹핑시 개별 정보간 연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이용 가능한 개별 정보는 'I'로 표현한다. 또한 그에 대한 개별 주기는 'T'로 표현한다. 따라서, 이용 가능한 N개의 전체 개별 정보는 Ii(i=1,2,3,…N)로 정의하고, N개의 개별 주기는 Ti(i=1,2,3,…N)로 정의한다.
실시예로써,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이 철도 서비스 시스템인 경우 제1 개별 정보인 I1은 운행 중인 열차의 위치 정보이다. 이때, 열차의 위치 정보를 획득(혹은 업데이트)하는 제1 개별 주기는 T1이 된다.
같은 방식으로 제2 개별 정보인 I2는 운행 중인 열차의 속도 정보이고, 열차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라고 명령하는 제2 개별 주기는 T2가 된다. 각각의 주기 T1과 T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개별 정보의 개수 N은 필요에 따라 더욱 많이 설정할 수 있다.
다음, 이벤트 분류 단계(S120)에서는 비주기적(aperiodic)으로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을 분류한다. 이벤트 분류는 일 예로 대분류, 중분류 및 소분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철도 서비스의 경우 안전사고 발생, 노선이나 차량 보수 및 신규 노선 개설 등으로 나누고, 그 하위에 속도, 위치(지점), 부상 유형, 차량 유형 및 보수 대상 등의 개별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 그룹핑 단계(S130)에서는 위와 같이 분류된 이벤트와 관련된 개별 정보들을 각각 다수개 추출하여 이벤트별로 그룹핑한다. 즉, 이용 가능한 N개의 개별 정보들 중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M개의 개별 정보를 그룹핑한다.
이용 가능한 N개의 전체 개별 정보 Ii(i=1,2,3,…N)들 중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M개의 개별 정보 IM(i=1,2,3,…M)들은 N개의 전체 개별 정보 개수보다 작거나 같게 되므로 N≥M이 된다.
이와 같이 각 개별 정보 사이의 연계성을 사전에 미리 정의하고, 각각의 이벤트를 기반으로 각 이벤트 발생과 관련이 있는 개별 정보들이 그룹핑됨으로써 해당 이벤트 발생시 관련된 개별 정보 발생(획득) 장치가 동기화되어 작동된다.
그룹핑 단계(S130)는 테이블 맵핑 방식으로 어드레싱된 다수의 개별 정보들에 대해 해당 이벤트와 연계성이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적어도 1비트(bit)의 비트맵으로 표현하여 그룹핑한다.
여기서 이벤트별 그룹핑은 테이블 맵 상에서 서로 연계성을 나타내며, 테이블에 각 항목별로 연계 연계성이 있는지 없는지 나타낸다. 예컨대, 1bit의 bit-map을 사용하는 경우 0(연계성 없음) 또는 1(연계성 있음)로 나타낸다.
도 2와 같이, 실시예로 해당 이벤트에 대해 이용 가능한 개별 정보가 2개라면 N=2가 된다. 이때 I1은 이벤트 발생시 열차의 위치 정보이고, I2는 열차의 속도 정보이며, 이들은 테이블 상에서 각각 '1'로 지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차 사고라는 비주기적 이벤트의 경우 열차의 위치와 속도 정보가 서로 연계된 것으로 사전에 정의함에 따라, 해당 이벤트 발생시 이들 정보를 동기화하여 함께 획득하여 정보간 연계가 가능하고 융합 효과를 제공한다.
다음, 정보 획득 단계(S140)에서는 이벤트 발생시 개별 정보 획득장치를 활성화시켜 사전에 그룹핑된 개별 정보를 수집 및 획득한다. 따라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일 예로 개별 정보 Ii는 슬립(sleep) 혹은 아이들(idle) 상태의 개별 정보 융합장치가 활성화(activating)됨으로써 정보 수집이 시작(enable)된다. 정보 수집은 이벤트 발생 시점 이후는 물론, 그 전후에 걸쳐 연속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 발생과 연계된 개별 정보가 M개이면 해당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와 관련(혹은 담당)이 있는 개별 정보 획득장치는 미리 정의된 연계 그룹핑 정보를 기반으로 활성화됨에 따라 그룹핑된 정보들을 획득한다.
즉, 특정의 이벤트와 관련이 있는 개별 정보를 찾도록 그룹핑된 정보들을 스캐닝한 뒤, 그룹핑 정보에 포함되는 활성화 발생 장치만을 인애이블(enable)하여 해당되는 개별 정보를 획득 및 저장되게 된다.
이때, 기본적으로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개별 정보 획득장치를 활성화하여 개별 정보를 얻지만, 특정한 일부의 개별 정보에 대해서는 1개 이상의 다른 개별 정보를 기반으로 개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제1 그룹 획득 방식 및 제2 그룹 획득 방식을 제공한다. 제1 그룹 획득 방식은 독립하여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고, 제2 그룹 획득 방식은 개별 정보간 연계하여 획득하는 방식이다.
도 3의 (a)와 같이, 제1 그룹 획득 방식은 정보 획득 단계(S140)에서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개별 정보를 획득한다. 즉, 활성화 신호만으로 개별 정보의 수집이 시작된다.
반면, 도 3의 (b)와 같이, 제2 그룹 획득 방식은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와 함께 개별 정보의 출력 정보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또 다른 개별 정보를 획득한다. 즉, 개별 정보를 수집시 활성화 신호 및 관련성 있는 다른 개별 정보의 출력이 전제된다.
제2 그룹 획득 방식에서 개별 정보의 획득을 위해 인가되는 관련된 개별 정보 자체는 해당 개별 정보가 실현 가능한(feasible) 표시자(indicator) 역할도 하므로, 그 프레임 데이터의 오버헤드에 별도의 시그널링(signaling)은 필요 없다.
따라서, 별도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의 변경 없이도 어느 하나의 개별 정보 출력을 다른 개별 정보의 활성화 입력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관성 있는 개별 정보들은 연계하여 획득하고 정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만, 위와 같은 활성화 신호는 처음에는 이벤트 기반으로 발생이 되나 그 이후에는 사전에 정의된 개별 정보들에 대한 주기값을 기반으로 활성화됨으로써 주기적으로 개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정보 저장 단계(S150)는 이상과 같이 획득된 이벤트별 개별 정보들을 정보 저장 장치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벤트 별로 개별 정보들을 그룹화하여 저장하며 이때 발생 시간도 함께 저장한다.
정보 저장 장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내/외의 것이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철도 서비스의 경우 열차에 탑재된 차상 단말 장치 및 관제실에 구비된 열차 관제 서버를 저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중앙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 정보를 획득시 정보의 수집 시점을 결정하는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개별 정보에 대한 개별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 단계(S130a)를 더 포함한다.
주기 설정 단계(S130a)에서 설정되는 주기는 개별 정보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통된 주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획득 단계(S140)에서는 이벤트 발생 전이나 이벤트 발생 후부터 설정된 개별 주기마다 이벤트로 그룹핑된 개별 정보를 수집 및 획득하게 된다.
실시예로 업데이트를 위한 활성화 신호는 처음에는 이벤트 기반으로 발생이 시작되며, 그 이후부터는 위와 같이 설정된 주기 값을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개별 정보를 획득한다.
도 4와 같이, 이벤트별로 서로 연계되는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고 아울러 주기 역시 이용하는 경우, 이벤트별 연계 정보들의 그룹핑 셋팅 및 개별 정보별 업데이트 주기를 셋팅(S131)한다.
그 후, 특정 이벤트가 발생(S132)하면, 해당 이벤트와 연계성 있는 개별 정보들을 스캔(S133)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개별 정보들을 획득(S140)하고, 획득된 정보를 저장 장치에 저장(S150)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장치는 정보 분석 장치(110), 이벤트 분류 장치(120), 그룹핑 저장 장치(130), 스캐닝 장치(140), 활성화 발생 장치(150) 및 정보 저장 장치(160)를 포함한다.
이때, 정보 분석 장치(110)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상에서 발생되는 개별 정보들의 내용을 분석한다. 분석은 바람직하게 이용 가능한 모든 개별 정보들에 대해 이루어지며, 분석된 정보는 메모리(ME)에 저장된다.
이벤트 분류 장치(120)는 비주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을 분류한다. 이벤트는 일 예로 대/중/소나 카테고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며, 분류된 이벤트 정보 역시 메모리(ME)에 저장된다. 메모리(ME)에는 개별 정보의 획득 주기 역시 저장한다.
그룹핑 저장 장치(130)는 위와 같이 분류된 이벤트와 관련된 개별 정보들을 각각 다수개 추출하여 이벤트별로 그룹핑하고 저장한다. 즉, 이용 가능한 N개의 개별 정보들 중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M개의 개별 정보를 그룹핑하여 저장한다. 이때, 이벤트는 서로 다른 다수개가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각각의 이벤트에 대해 그룹핑이 이루어진다.
그룹핑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 맵핑 방식으로 어드레싱된 다수의 개별 정보들에 대해 해당 이벤트와 연계성이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적어도 1비트(bit)의 비트맵으로 표현하여 그룹핑한다.
스캐닝 장치(140)는 지정된 이벤트 발생시 개별 정보들을 스캔하여 해당 이벤트와 연관되도록 그룹핑된 개별 정보들만을 추출한다. 스캔은 개별 정보들이 저장된 테이블 맵을 검색하여 이루어진다.
스캔을 통해 테이블 맵 상에서 해당 이벤트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개별 정보들에 대한 정보는 일 예로 인애이블(enable) 장치(141)에 제공된다. 따라서, 인애이블 장치(141)는 활성화 발생 장치(150)를 작동시킨다.
한편,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개별 정보 획득장치를 활성화시켜 스캐닝 장치(140)에 의해 스캐닝된 개별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 예로 인애이블 장치(141)에서 전송되는 인애이블 신호에 의해 활성화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획득이 필요한 개별 정보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 구비되며, 그에 대응하여 개별 정보 획득장치(151) 역시 다수개 구비된다. 즉, 하나의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하나의 개별 정보 획득장치(151)를 1:1로 활성화시킨다.
이때,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1 그룹 획득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와 함께 개별 정보의 출력 정보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또 다른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그룹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다.
다만, 위와 같은 다수의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단일의 활성화 장치에 일체로 구축되거나 프로그램적으로 활성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개별 정보 획득장치(151) 역시 마찬가지이다.
정보 저장 장치(160)는 획득된 이벤트별 개별 정보들을 저장하는 것으로, 정보 저장 장치(160) 역시 개념적으로는 획득이 필요한 개별 정보의 종류에 대응하여 다수개이나 이들은 하나의 메모리에 일체로 구축될 수 있다.
주기 저장 장치는 개별 정보별로 정보 획득시 요구되는 개별 주기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메모리(ME)에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다른 개별 정보나 이벤트 정보 등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정보 분석 장치
120: 이벤트 분류 장치
130: 그룹핑 저장 장치
140: 스캐닝 장치
141: 인애이블 장치
150: 활성화 발생 장치
160: 정보 저장 장치
ME: 메모리(주기 저장 장치)

Claims (12)

  1.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시스템 상에서 발생되는 개별 정보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정보 분석 단계(S110)와;
    비주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을 분류하는 이벤트 분류 단계(S120)와;
    상기 분류된 이벤트와 관련된 개별 정보들을 각각 다수개 추출하여 이벤트별로 그룹핑(grouping)하되, 테이블 맵핑(table mapping) 방식으로 어드레싱된 다수의 개별 정보들에 대해 해당 이벤트와 연계성이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적어도 1비트(bit)의 비트맵으로 표현하여 그룹핑하는 그룹핑 단계(S130)와;
    이벤트 발생시 개별 정보 융합장치를 동기상태로 활성화시켜 발생된 이벤트와 연관되도록 그룹핑된 개별 정보를 수집 및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S140); 및
    상기 획득된 이벤트별 개별 정보들을 정보 저장 장치(160)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 단계(S130)는,
    다수의 서로 다른 이벤트에 대해 각각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단계(S140)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1 그룹 획득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단계(S140)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와 함께 개별 정보의 출력 정보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또 다른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그룹 획득 방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정보에 대한 개별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 단계(S130a)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보 획득 단계(S140)는,
    이벤트 발생 전이나 이벤트 발생 후부터 상기 설정된 개별 주기마다 상기 이벤트로 그룹핑된 개별 정보를 수집 및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7.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 상에서 발생되는 개별 정보들의 내용을 분석하는 정보 분석 장치(110)와;
    비주기적으로 발생 가능한 이벤트들을 분류하는 이벤트 분류 장치(120)와;
    상기 분류된 이벤트와 관련된 개별 정보들을 각각 다수개 추출하여 이벤트별로 그룹핑하여 저장하되, 테이블 맵핑(table mapping) 방식으로 어드레싱된 다수의 개별 정보들에 대해 해당 이벤트와 연계성이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적어도 1비트(bit)의 비트맵으로 표현하여 그룹핑하도록 이루어진 그룹핑 저장 장치(130)와;
    이벤트 발생시 상기 그룹핑된 개별 정보들을 스캔하여 해당 이벤트와 연관되도록 그룹핑된 개별 정보들을 추출하는 스캐닝 장치(140)와;
    개별 정보 획득장치를 동기상태로 활성화시켜 상기 스캐닝된 개별 정보들을 획득하는 활성화 발생 장치(150); 및
    상기 획득된 이벤트별 개별 정보들을 저장하는 정보 저장 장치(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핑 저장 장치(130)는,
    다수의 서로 다른 이벤트에 대해 각각 개별 정보들을 그룹핑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장치.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1 그룹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발생 장치(150)는,
    이벤트 기반의 활성화 신호와 함께 개별 정보의 출력 정보를 업데이트 신호로 하여 또 다른 개별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그룹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장치.
  12. 제7항,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개별 정보별로 정보 획득시 요구되는 개별 주기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주기 저장 장치(M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장치.
KR1020190014259A 2019-02-07 2019-02-07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 KR10217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59A KR102174420B1 (ko) 2019-02-07 2019-02-07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59A KR102174420B1 (ko) 2019-02-07 2019-02-07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364A KR20200097364A (ko) 2020-08-19
KR102174420B1 true KR102174420B1 (ko) 2020-11-05

Family

ID=7229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259A KR102174420B1 (ko) 2019-02-07 2019-02-07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4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863B1 (ko) * 2016-09-12 2018-04-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안전 데이터 통합 전송을 위한 변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129A (ko) 2005-10-13 2005-11-03 황영복 철도구간의 철도차량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센서망
KR102229699B1 (ko) * 2014-05-22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운용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669407B1 (ko) 2015-08-11 2016-10-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손실에 대한 mcptt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863B1 (ko) * 2016-09-12 2018-04-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안전 데이터 통합 전송을 위한 변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364A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2819B (zh) 数据采集系统及数据采集方法
CN109754594B (zh) 一种路况信息获取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终端
CN103824340B (zh) 无人机输电线路智能巡检系统及巡检方法
CN101359347A (zh) 基于随机Petri网的铁路应急预案的建模方法
CN106373391A (zh) 一种服务于城市交通的多维度智能调度服务平台的使用方法
CN110458214B (zh) 驾驶员更换识别方法和装置
KR102151272B1 (ko) 예측모델 학습을 통한 데이터 분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1982756B1 (ko) 분산인메모리기반 복합형스트림 데이터처리시스템 및 방법
CN106301823A (zh) 一种关键组件的故障告警方法、装置及大数据管理系统
CN111062562A (zh) 一种社区网格服务联动处置控制方法及系统
CN112186901A (zh) 一种变电站全景感知监控方法及系统
KR102174420B1 (ko)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을 위한 비주기적인 개별 정보 융합 방법 및 장치
CN114298493A (zh) 一种公路运行监测系统、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0481804A (zh) 一种飞行辅助系统和飞机
Liu et al. A scalable distributed stream mining system for highway traffic data
Lawson et al. Translation software: An alternative to transit data standards
CN115689277B (zh) 云边协同技术下的化工园区风险预警系统
CN115567563A (zh) 基于端边云的综合交通枢纽监测预警系统及其控制方法
CN115330262A (zh) 一种智慧城市公共管理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3784881B (zh) 用于基础设施和/或交通工具的模块化监视系统
Szwed et al. Application of new ATAM tools to evaluation of the dynamic map architecture
KR20180029515A (ko) 철도 안전 데이터 통합 전송을 위한 변환 장치 및 방법
JPH03145846A (ja) 障害診断方法
KR102573708B1 (ko)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142459A (ko) 인스트루먼트 인덱스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