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821B1 - 스피치 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피치 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821B1
KR102173821B1 KR1020200023556A KR20200023556A KR102173821B1 KR 102173821 B1 KR102173821 B1 KR 102173821B1 KR 1020200023556 A KR1020200023556 A KR 1020200023556A KR 20200023556 A KR20200023556 A KR 20200023556A KR 102173821 B1 KR102173821 B1 KR 10217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ch
user terminal
user
mentor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언스피치커뮤니케이션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언스피치커뮤니케이션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언스피치커뮤니케이션그룹
Priority to KR102020002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Abstract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스피치 훈련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피치 훈련 시스템{SPEECH TRAINNING SYSTEM}
본 발명은 스피치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와 멘토 간의 양방향 스피치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교육 컨텐츠 개발과 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화상, 컨텐츠 교육은 오프라인의 학습방법을 그대로 온라인에 옮겨놓은 실정으로 실질적인 학습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즉, 오프라인에서 실행되는 강의 프로그램이나 학습지 등과 같은 자체 프로그램을 그대로 멀티미디어를 이용하면 보다 많은 학습자들에게 있어 접근성은 용이할 수 있으나, 직접 대면이 아닌 한 방향 학습법으로 학습자의 성취 정도, 학습 정도를 파악,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한편, 문자를 중심으로 한 읽기나 쓰기에 관해서는 사전과 문법책을 비롯한 각종 학습서들이 존재하는 반면에 소리를 중심으로 한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서는 단순히 반복적으로 많이 듣고 따라하는 것 이상의 학습 및 훈련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말하기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 간의 개별편차, 레벨 등을 파악하는 단계가 생략되어 학습자의 흥미, 성취도 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0215호(20200102)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학습자의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고, 난이도 별 스피치 훈련 컨텐츠를 제공하며, 학습자의 스피치 유형에 기반한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피치 훈련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학습자의 멘토링 서비스 후기 내용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광고할 멘토링 서비스를 추천하여 주는 스피치 훈련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학습자의 스피치 음성 입력 수단에 진동을 가하거나 공기 분사 기능을 부가하고, 스피치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입력 수단에 진동 발생 또는 공기 분사의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학습자가 스피치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도록 하는 스피치 훈련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피치 훈련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소정의 설문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는 스피치 유형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피치 훈련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에 따라 멘토링 서비스의 종류를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는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 상기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문의 사항을 입력받고, 상기 스피치 훈련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1:1 문의 관리부;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스피치 훈련 서비스에 대한 공지사항 또는 FAQ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고객센터 관리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스피치 훈련 서비스에 대한 약관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약관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가입목적 및 스피치 관련 고민사항을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상기 회원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회원 정보의 열람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회원 정보를 가입일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 회원 검색, 회원 강퇴 및 포인트 부여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스피치 유형 관리부는, 스피치 대회 규모, 성적 종류 및 아나운서 인지도로 구성되는 3개의 카테고리 및 각 카테고리 별 3가지 특징을 생성하고, 각 카테고리 별 특징을 조합하여 27개의 스피치 유형을 생성하며,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 별 질문을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생성하되, 상기 목소리 요소의 경우, 음성, 발성, 호흡 및 속도의 세부 요소를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고, 콘텐츠 요소의 경우, 목적설정, 청중분석, 청중참여 및 구체성 제시의 세부 요소를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며, 이미지 요소의 경우, 시선, 제스쳐, 자세 및 표정의 세부 요소를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고, 상기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및 매우 높음 중 어느 하나로 선택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수신하고, 상기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및 매우 높음의 답변에 각각 1점 내지 5점을 부여하고,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 별로 답변을 합산한 점수를 산출하며, 각 요소 별 답변 합산 점수가 미리 설정되는 3 개의 구간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산출하고,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를 각각 상기 카테고리에서 아나운서 인지도, 성적 종류 및 스피치 대회 규모에 매칭하고, 각 카테고리의 특징에 각각 답변 합산 점수의 구간을 매칭하여 미리 저장하며,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 별 답변 합산 구간에 매칭되는 각 카테고리의 특징을 산출하고, 산출한 각 카테고리 특징을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산출하며, 산출한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되, 해당 스피치 유형의 특징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스피치 훈련 관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입력받아 저장하되, 각 스피치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를 초급, 중급 및 고급 중 어느 하나로 선택받아 함께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초급, 중급 및 고급으로 분류하여 제공하고,
상기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온라인에서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인 퍼블릭 서비스, 온라인에서 사용자의 스피치 영상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인 펄스널 서비스 및 오프라인에서의 대면 그룹 멘토링 클래스인 프레스티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 서비스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멘토링 서비스를 선택받되,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에 따라 멘토링 서비스 종류를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여 멘토링 서비스를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퍼블릭 서비스 및 상기 펄스널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 서비스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피치 원고 또는 스피치 영상의 입력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 또는 상기 스피치 영상을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토가 소지하는 단말인 멘토 단말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상기 멘토 단말로 언어분석을 위한 분석 툴을 제공하거나, 언어 및 비언어분석을 위한 분석 툴을 제공하고,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상기 분석 툴에 기반한 상기 스피치 원고 또는 상기 스피치 영상에 대한 코멘트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 또는 상기 스피치 영상에 대한 코멘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프레스티지 멘토링 서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오프라인 그룹 멘토링 클래스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후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스피치 유형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피치 유형 진단 또는 음성 진단의 선택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선택 화면에서 상기 스피치 유형 진단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출력하고, 상기 선택 화면에서 상기 음성 진단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소정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스피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 파일로부터 음성 파형을 추출하고, 상기 음성 파형과 미리 저장된 기준 음성 파형을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고,
상기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후기가 퍼블릭 서비스, 펄스널 서비스 및 프레스티지 서비스 중 어느 종류의 멘토링 서비스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 및 부정 단어의 출현을 카운트하여,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과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이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보다 높은 경우, 후기에 해당하는 멘토링 서비스 종류와 동일한 종류의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광고 팝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이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보다 낮은 경우, 후기에 해당하는 멘토링 서비스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두 종류의 멘토링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광고 팝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스피치 음성 파형의 변화 및 변동 폭을 분석하는 자습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스피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파일을 생성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는, 상기 마이크 장치의 손잡이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진동을 가하는 진동 발생 패드; 및 상기 마이크 장치의 머리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공기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입 부분으로 압력을 가하는 공기 배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자습 관리부는, 상기 마이크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스피치 음성 파형의 변화가 불규칙적이거나, 파형의 변동 폭이 기 설정된 변동 폭보다 큰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진동 발생 신호 또는 공기 배출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 패드에서 진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공기 배출 홀에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간 및 시간 제약이 없는 스피치 훈련을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스피치 자가 진단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피치 훈련의 방향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자기주도적 학습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멘토링 서비스도 제공하여 스피치 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학습자의 멘토링 서비스 후기 내용에 따라 광고 내용을 선정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피치 음성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스피치의 크기, 속도 등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시켜 스스로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 멘토 단말(400), 관리자 단말(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멘토 단말(400) 및 관리자 단말(200)은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예를 들면, PC, 스마트폰, 테블릿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솔루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스피치 훈련을 받는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치이고, 멘토 단말(400)은 학습자의 스피치를 평가 및 피드백하는 멘토가 소지하고 있는 장치이며, 관리자 단말(2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솔루션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장치이다.
관리 서버(300)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서버로, 사용자 단말(100), 멘토 단말(400) 및 관리자 단말(200)이 참여하는 교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멘토 단말(400), 관리자 단말(200) 및 관리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솔루션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설문 답변을 입력받아 사용자 별 스피치 유형을 27가지 중 어느 하나로 진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로 난이도 별 스피치 훈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스피치를 멘토 단말(400)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 멘토 단말(400)로부터 사용자의 스피치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스피치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1000)은 공간 및 시간 제약이 없는 스피치 훈련을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스피치 자가 진단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피치 훈련의 방향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시스템(1000)은 자기주도적 학습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멘토링 서비스도 제공하여 스피치 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회원 관리부(310),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 스피치 훈련 관리부(330),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 결제 관리부(350), 1:1 문의 관리부(360), 고객센터 관리부(370) 및 약관 관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솔루션 이용을 위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원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10)는 본 실시예에 다른 스피치 훈련 솔루션의 회원 가입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로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가입목적, 스피치 관련 고민사항 등을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회원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부(310)는 관리자 단말(200)로 회원 정보의 열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10)는 관리자 단말(200)로 회원 정보를 소정의 기준(예컨대, 가입일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고, 이메일, 이름, 전화번호 등으로 회원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원 강퇴, 포인트 부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소정의 설문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진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치 유형은 스피치 대회에서 소정의 성적을 거둔 아나운서 버전으로, 아래 표 1과 같은 스피치 대회 규모, 성적 종류 및 아나운서 인지도로 구성되는 3개의 카테고리의 3가지 특징을 조합하여 아래 표 2와 같은 총 27개의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Figure 112020020289591-pat00001
Figure 112020020289591-pat00002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위와 같은 27개의 스피치 유형 중 어느 하나로 진단하기 위한 설문을 생성할 수 있다.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스피치의 요소 별로 질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및 매우 높음 중 어느 하나로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 별로 질문을 생성할 수 있는데, 목소리 요소의 경우, 음성, 발성, 호흡 및 속도의 세부 요소를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고, 콘텐츠 요소의 경우, 목적설정, 청중분석, 청중참여 및 구체성 제시의 세부 요소를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며, 이미지 요소의 경우, 시선, 제스쳐, 자세 및 표정의 세부 요소를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여 총 12개의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 스피치 유형 진단의 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스피치 유형 진단을 선택받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및 매우 높음 중 어느 하나로 선택받을 수 있다.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상술한 27가지의 유형 중 어느 하나로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및 매우 높음의 답변에 각각 1점 내지 5점을 부여하고,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의 요소 별로 답변을 합산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각 요소 별 답변 합산 점수가 미리 설정되는 3 개의 구간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의 요소는 각각 상술한 스피치 유형 카테고리 중 아나운서 인지도, 성적 종류 및 스피치 대회 규모로 대응될 수 있으며, 각 카테고리의 특징에는 각각 답변 합산 점수의 구간이 매칭될 수 있다.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의 요소 별 답변 합산 구간에 매칭되는 3 가지 특징을 산출하고, 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산출한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하며, 이때, 각 스피치 유형의 특징 및 개선해야 할 점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스피치 유형 및 그 특징을 인지하고, 추후 훈련 진행 방향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사용자의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 스피치 유형 진단의 선택 화면과 함께 음성 진단의 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 진단을 선택받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되는 소정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피치 유형 관리부(320)는 사용자의 음성 파일로부터 음성 파형을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미리 저장된 기준 음성 파형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음성 파형은 아나운서의 실제 음성 파형으로, 파형이 규칙적으로 변하며, 변동폭이 작은 특징을 갖는다.
사용자는 자신의 음성 파형과 기준 음성 파형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스피치 음성에서 개선해야할 점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스피치 훈련 관리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스피치 훈련 관리부(330)는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피치 훈련 관리부(330)는 관리자 단말(200)로 각 스피치 훈련 콘텐츠의 제목, 유형, 난이도(초급, 중급 및 고급), 썸네일 등을 요청하여 함께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피치 훈련 관리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피치 훈련 관리부(330)는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초급, 중급 및 고급으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스피치 학습 결과물을 입력 받고, 멘토 단말(400)을 통해 사용자의 스피치 학습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여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100)로 멘토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오프라인 스피치 멘토링 특강 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 단말(100)로 오프라인 스피치 멘토링 특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 스피치 멘토링 종류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치 멘토링 종류는 크게 온라인 기반의 멘토링 서비스 및 오프라인 기반의 멘토링 서비스로 나뉠 수 있다. 온라인 기반의 멘토링 서비스는 퍼블릭 및 펄스널로 나뉠 수 있는데, 퍼블릭의 경우,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에 대한 멘토링을 받는 서비스이고, 펄스널의 경우, 사용자의 스피치 영상에 대한 멘토링을 받는 서비스이다. 퍼블릭 멘토링 서비스는 스마트 언어 분석이라 할 수 있으며, 펄스널 멘토링 서비스는 스마트 언어 및 비언어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오프라인 기반의 멘토링 서비스는 프레스티지 서비스라 칭하며, 오프라인 대면 그룹 멘토링 클래스에 해당한다. 프레스티지 서비스는 언어 및 비언어적 분석 컨설팅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에 따라 멘토링 종류를 추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출력할 수 있다. 27개의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에 따라 추천되는 멘토링 종류는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112020020289591-pat00003
Figure 112020020289591-pat00004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퍼블릭 및 펄스널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스피치 원고 또는 스피치 영상의 입력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 또는 스피치 영상을 멘토 단말(400)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멘토 단말(400)로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 또는 영상에 대한 코멘트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멘토 단말(400)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 또는 영상에 대한 코멘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퍼블릭 멘토링을 진행하는 경우, 멘토 단말(400)로 스마트 언어분석을 위한 분석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언어분석을 위한 분석 툴은 내용구성력(주제 내포 여부, 구체성 등), 어휘표현력(적절성, 다양성, 중복 여부 등) 및 문장표현력(중의성 여부, 추측성 여부, 주술 호응 여부, 단문 여부, 서사, 묘사, 비유 등)을 분석하기 위한 폼을 제공한다.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펄스널 멘토링을 진행하는 경우, 멘토 단말(400)로 스마트 언어 및 비언어 분석을 위한 분석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언어 및 비언어 분석을 위한 분석 툴은 상술한 언어분석을 위한 분석 툴에 더하여 소리 표현력(발음, 발성, 호흡, 강세, 속도, 포즈 등) 및 몸 표현력(눈짓(표정, 시선), 손짓, 몸짓 등)을 분석하기 위한 폼을 제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도 10과 같은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프레스티지 멘토링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오프라인 클래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클래스 정보에는 클래스 명, 클래스 회차, 일시, 장소, 모집인원, 모집기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도 12와 같은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오프라인 클래스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클래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오프라인 클래스 신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오프라인 클래스를 진행하는 멘토가 소지하고 있는 멘토 단말(400)로 상술한 언어 및 비언어 분석을 위한 분석 툴을 제공하여, 오프라인 클래스를 수강하는 사용자의 언어 및 비언어적 분석 컨설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 이와 같은 퍼블릭, 펄스널 및 프레스티지 멘토링에 대한 후기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후기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광고할 멘토링 종류를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산출한 멘토링 종류에 대한 광고 팝업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후기가 퍼블릭, 펄스널 및 프레스티지 중 어느 종류의 멘토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 및 부정 단어의 출현을 카운트하여,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과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이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보다 높은 경우, 사용자가 해당 종류의 멘토링에 만족한 것으로 간주하여, 동일한 종류의 멘토링을 해당 사용자에게 광고할 멘토링 종류로 산출할 수 있다.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이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보다 낮은 경우, 사용자가 해당 종류의 멘토링에 불만족한 것으로 간주하여, 나머지 두 종류의 멘토링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을 사용자에게 광고할 멘토링 종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후기가 온라인 기반의 멘토링 종류, 즉, 퍼블릭 또는 펄스널에 해당하는 경우, 오프라인 기반의 멘토링인 프레스티지를 사용자에게 광고할 멘토링 종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후기가 오프라인 기반의 멘토링인 프레스티지에 해당하는 경우, 온라인 기반의 멘토링 종류, 즉, 퍼블릭 또는 펄스널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 종류를 사용자에게 광고할 멘토링 종류로 산출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350)는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에서 제공하는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350)는 외부 금융 서버와 연동되어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340)에서 제공하는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 결제 진행을 위한 각종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1:1 문의 관리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문의 사항을 입력받고,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고객센터 관리부(370)는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서비스에 대한 공지사항 또는 FAQ를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약관 관리부(380)는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치 훈련 서비스에 대한 약관을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스피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마이크 장치(210)를 입력 장치로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장치(210)는 압전소자 등의 회로가 내장되고, 외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통상의 마이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마이크 장치(210)의 손잡이를 잡고 스피치를 하여 음성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 장치(210)는 진동 발생 패드(211)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진동 발생 패드(211)는 손잡이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이크 장치(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진동 발생 패드(211)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그 진동이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가해질 것이다.
진동 발생 패드(211)는 압전소자를 포함하여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발생 패드(21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압전소자에 전압을 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따라서 사용자의 손에서 진동을 느끼게 한다. 이때, 진동 발생 패드(211)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에 직접 접속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되는 송신기와 압전소자의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특정 코드 신호를 주고받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마이크 장치(210)는 거치대(220)에 장착되어 스탠딩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 장치(210)의 손잡이 부분을 잡고 스피치 음성을 생성하거나, 양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마이크 장치(210)를 거치대(220)에 고정한 뒤 스피치 음성을 생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 장치(210)는 공기 배출 홀(212)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 배출 홀(212)은 마이크 장치(210)의 머리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성 입력을 위해 마이크 장치(210)의 머리 부분에 입을 가까이 대고 있는 상태에서 공기 배출 홀(212)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그 압력이 사용자의 입 부분에 가해질 것이다.
예컨대, 공기 배출 홀(212)은 마이크 장치(210)에 내장되는 회전 팬 박스에 접속되어 있는 공기 관과 연결되어, 회전 팬의 동작에 의해 회전 팬 박스에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회전 팬은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되는 송신기와 회전 팬을 동작시키기 위한 특정 코드 신호를 주고받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관리 서버(300)로부터 진동 발생 신호 또는 공기 배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진동 발생 패드(211)에서 진동이 발생하거나, 공기 배출 홀(212)에서 공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관리 서버(300’)는 도 2에 도시된 관리 서버(300)와 비교하여 자습 관리부(39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습 관리부(390)에 대하여 설명하고 나머지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자습 관리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의 스피치 음성을 실시간으로 입력 받고, 미리 설정된 기준 음성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00)로의 진동 발생 신호 또는 공기 배출 신호의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습 관리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스피치 음성의 파형의 변화가 규칙적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자습 관리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스피치 음성의 파형의 변화가 불규칙적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진동 발생 신호 또는 공기 배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자습 관리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입력되는 스피치 음성의 파형의 변동 폭이 기 설정된 변동 폭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진동 발생 신호 또는 공기 배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마이크 장치(210)로부터 진동이 가해지거나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스피치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스스로 스피치의 크기, 속도 등을 조절하는 학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스피치 훈련 시스템(1000)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스피치 훈련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200: 관리자 단말
300: 관리 서버
400: 멘토 단말

Claims (2)

  1.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피치 훈련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소정의 설문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는 스피치 유형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피치 훈련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에 따라 멘토링 서비스의 종류를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는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
    상기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문의 사항을 입력받고, 상기 스피치 훈련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1:1 문의 관리부;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스피치 훈련 서비스에 대한 공지사항 또는 FAQ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고객센터 관리부; 및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스피치 훈련 서비스에 대한 약관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약관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전화번호, 가입목적 및 스피치 관련 고민사항을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회원 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처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상기 회원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을 처리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회원 정보의 열람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회원 정보를 가입일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 회원 검색, 회원 강퇴 및 포인트 부여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스피치 유형 관리부는,
    스피치 대회 규모, 성적 종류 및 아나운서 인지도로 구성되는 3개의 카테고리 및 각 카테고리 별 3가지 특징을 생성하고, 각 카테고리 별 특징을 조합하여 27개의 스피치 유형을 생성하며,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 별 질문을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및 매우 높음 중 어느 하나로 선택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수신하고, 상기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및 매우 높음의 답변에 각각 1점 내지 5점을 부여하고,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 별로 답변을 합산한 점수를 산출하며, 각 요소 별 답변 합산 점수가 미리 설정되는 3 개의 구간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산출하고,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를 각각 상기 카테고리에서 아나운서 인지도, 성적 종류 및 스피치 대회 규모에 매칭하고, 각 카테고리의 특징에 각각 답변 합산 점수의 구간을 매칭하여 미리 저장하며, 목소리, 콘텐츠 및 이미지로 나뉘는 스피치의 요소 별 답변 합산 구간에 매칭되는 각 카테고리의 특징을 산출하고, 산출한 각 카테고리 특징을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산출하며, 산출한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되, 해당 스피치 유형의 특징을 함께 출력하고,
    상기 스피치 훈련 관리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입력받아 저장하되, 각 스피치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를 초급, 중급 및 고급 중 어느 하나로 선택받아 함께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스피치 훈련 콘텐츠를 초급, 중급 및 고급으로 분류하여 제공하고,
    상기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온라인에서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인 퍼블릭 서비스, 온라인에서 사용자의 스피치 영상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인 펄스널 서비스 및 오프라인에서의 대면 그룹 멘토링 클래스인 프레스티지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 서비스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멘토링 서비스를 선택받되,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유형에 따라 멘토링 서비스 종류를 추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여 멘토링 서비스를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퍼블릭 서비스 및 상기 펄스널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 서비스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피치 원고 또는 스피치 영상의 입력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 또는 상기 스피치 영상을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멘토가 소지하는 단말인 멘토 단말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상기 멘토 단말로 언어분석을 위한 분석 툴을 제공하거나, 언어 및 비언어분석을 위한 분석 툴을 제공하고,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상기 분석 툴에 기반한 상기 스피치 원고 또는 상기 스피치 영상에 대한 코멘트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의 스피치 원고 또는 상기 스피치 영상에 대한 코멘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프레스티지 멘토링 서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오프라인 그룹 멘토링 클래스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후기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스피치 유형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스피치 유형 진단 또는 음성 진단의 선택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선택 화면에서 상기 스피치 유형 진단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스피치 유형을 진단하기 위한 질문을 출력하고, 상기 선택 화면에서 상기 음성 진단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소정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스피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 파일로부터 음성 파형을 추출하고, 상기 음성 파형과 미리 저장된 기준 음성 파형을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고,
    상기 스피치 멘토링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후기가 퍼블릭 서비스, 펄스널 서비스 및 프레스티지 서비스 중 어느 종류의 멘토링 서비스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 및 부정 단어의 출현을 카운트하여,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과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이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보다 높은 경우, 후기에 해당하는 멘토링 서비스 종류와 동일한 종류의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광고 팝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후기에서 긍정 단어의 출현 비율이 부정 단어의 출현 비율보다 낮은 경우, 후기에 해당하는 멘토링 서비스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두 종류의 멘토링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광고 팝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력하는, 스피치 훈련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23556A 2020-02-26 2020-02-26 스피치 훈련 시스템 KR10217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556A KR102173821B1 (ko) 2020-02-26 2020-02-26 스피치 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556A KR102173821B1 (ko) 2020-02-26 2020-02-26 스피치 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821B1 true KR102173821B1 (ko) 2020-11-03

Family

ID=7319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556A KR102173821B1 (ko) 2020-02-26 2020-02-26 스피치 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5814A (zh) * 2022-02-25 2022-05-31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特征检测方法、装置及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48A (ko) * 2000-10-11 2001-01-05 박병근 인터넷을 이용한 단계별 면접 학습방법
KR20180066709A (ko) * 2016-12-09 2018-06-19 김은솔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KR20200000215A (ko) 2018-06-22 2020-01-02 이미진 스피치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8838A (ko) * 2018-07-17 2020-01-29 김하륜 가상 면접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48A (ko) * 2000-10-11 2001-01-05 박병근 인터넷을 이용한 단계별 면접 학습방법
KR20180066709A (ko) * 2016-12-09 2018-06-19 김은솔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KR20200000215A (ko) 2018-06-22 2020-01-02 이미진 스피치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8838A (ko) * 2018-07-17 2020-01-29 김하륜 가상 면접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5814A (zh) * 2022-02-25 2022-05-31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特征检测方法、装置及终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bauw et al. Discussing with a computer to practice a foreign language: Research synthesis and conceptual framework of dialogue-based CALL
Bashori et al. Web-based language learning and speaking anxiety
Poupore Measuring group work dynamics and its relation with L2 learners’ task motivation and language production
CN106663383B (zh) 分析受试者的方法和系统
Forbes-Riley et al. Designing and evaluating a wizarded uncertainty-adaptive spoken dialogue tutoring system
Morett When hands speak louder than words: The role of gesture in the communication, encoding, and recall of words in a novel second language
US9378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calable educational content
JP3772205B2 (ja) 教材学習システム
Griol et al. An architecture to develop multimodal educative applications with chatbots
KR20160077200A (ko) 언어-관련 장애들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컴퓨팅 기술들
Aljameel et al. Development of an Arabic conversational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ASD
Ward et al. My science tutor and the myst corpus
KR102124790B1 (ko) 하브루타 학습시스템 및 하브루타 학습플랫폼
Sefcik et al. An examination of student user experience (UX) and perceptions of remote invigilation during online assessment
Chou et al. An AI mock-interview platform for interview performance analysis
Parks Story circles: A new method of narrative research
Bhatia Using transfer learning, spectrogram audio classification, and MIT app inventor to facilitate machine learning understanding
KR102173821B1 (ko) 스피치 훈련 시스템
Bräuer et al. How to Design Audio-Gamification for Language Learning with Amazon Alexa?—A Long-Term Field Experiment
Ockey et al. Evaluating technology-mediated second language oral communication assessment delivery models
US20230062127A1 (en) Method for collaborative knowledge base development
Heath et al. The challenges of designing a robot for a satisfaction survey: Surveying humans using a social robot
KR101111746B1 (ko)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jameel Development of an Arabic conversational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Nguyen Hufi Non-Englished Majored Students’ Fears of Public Speaking: Causes and Solu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