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705B1 -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705B1
KR102173705B1 KR1020180052038A KR20180052038A KR102173705B1 KR 102173705 B1 KR102173705 B1 KR 102173705B1 KR 1020180052038 A KR1020180052038 A KR 1020180052038A KR 20180052038 A KR20180052038 A KR 20180052038A KR 102173705 B1 KR102173705 B1 KR 10217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hemical liquid
hole
spray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432A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농
김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농, 김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농
Priority to KR102018005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7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A01C23/005Nozzles, valves, splash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부에 식생되는 농작물에 약액을 분사하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출체에 형성되는 배출가공통공의 직경에 따라 배출부를 통해 이송홈부로 유입되는 약액의 압력이 조절됨으로써, 노즐팁의 분사공으로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각도가 조절되어 보다 용이하게 약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약액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Operating device of rotary spray apparatus}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내부에 식생되는 농작물에 약액을 분사하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출체에 형성되는 배출가공통공의 직경에 따라 배출부를 통해 이송홈부로 유입되는 약액의 압력이 조절됨으로써, 노즐팁의 분사공으로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각도가 조절되어 보다 용이하게 약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약액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란 채소류의 촉성재배 또는 비교적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 필름을 씌운 온실을 말하는 것으로서 농촌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 내에는 여러 종류의 농작물이 다양한 형태로 재배되는데, 일반적으로는 비닐하우스 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둔덕 내에 농작물이 심어지며 일정한 식생기간이 지난 후에 농작물은 개별적으로 재배된다.
상기와 같은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은 용수나 비료와 같은 약액이 필수적으로 공급되며 이러한 약액은 유독성물질이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의 약액방제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기보다 무인방제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무인방제장치는 보통 비닐하우스 내부에 약액이 이동되는 파이프가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분사 노즐이 다수 구성되어 노즐이 회전됨에 따라 노즐에서 분사되는 약액이 비닐하우스 내부의 농작물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무인방제장치는 다수의 노즐이 설치되어 그 효율성이 떨어져 최근에는 파이프 자체가 회전되어 기술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644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716호가 있다.
본 발명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644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716호의 무인방제장치에 대한 개량을 제시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644호 (2014.04.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716호 (2013.12.09)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체에 형성되는 배출가공통공의 직경에 따라 배출부를 통해 이송홈부로 유입되는 약액의 압력이 조절됨으로써, 노즐팁의 분사공으로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각도가 조절되어 보다 용이하게 약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약액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송홈부를 통해 와류작용으로 미립자 형태로 분사공에서 분사되는 약액이 차단부로 인해 외부공기와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입자가 굵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약액으로 하여금 작물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주어 약액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키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은, 비닐하우스에 생육되는 작물에 공급하는 약액이 내부에 유동되는 공급관에 간격을 두고 다수 연결되어 공급관에 유동되는 약액을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공급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공급부재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작물에 직접적으로 분사시키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약액을 유동시킬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 내경에는 공급부재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단부에는 나사부 보다 내경이 좁아지도록 단턱지는 제1단턱부 및 나사부 보다 내경이 좁아진 수용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단턱부 보다 내경이 좁아지도록 단턱지는 제2단턱부 및 배출공이 형성되는 분사커버; 상기 분사커버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수용체 및 수용체의 하부로 수용체 보다 외경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태로 연장되는 분판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체의 상측면으로 분사커버 내부에서 유동되는 약액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분판체의 상부 양측으로 유입공에 의해 유입된 약액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배출체; 상기 배출체의 분판체 하부를 지지하며, 분판체의 직경 보다 큰 원형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로 지지부 보다 외경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태로 연장되어 분사커버의 제2단턱부에 안착되어 배출공에 하단면이 노출되는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유입하도록 지지부의 상측면에는 일방향으로 만곡지는 형태인 다수의 이송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이송홈부 중앙에서 지지부 및 분사부의 내부로 연계되어 이송홈부를 통해 유입된 약액이 일괄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에 노출되는 분사부의 하단면에는 유입부에 유입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되는 노즐팁;이 포함되고, 상기 배출체의 분판체 하부로 배출부와 연계되어 배출부에 유입된 약액이 노즐팁의 유입부로 일부 배출되는 배출가공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커버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외측하부방향으로 분사공에서 배출되는 약액이 공기와 바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장되는 차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가공통공의 직경이 0.5 ~ 0.8㎜일 때에는 차단부는 4 ~ 6㎜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가공통공의 직경이 0.9 ~ 1.2㎜일 때에는 차단부는 7 ~ 10㎜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배출체의 분판체 하부로 유입공과 연계되어 유입공에 의해 유입된 약액이 노즐팁의 유입부로 일부 배출되는 배출가공통공이 형성되어, 배출체에 가공되는 배출가공통공의 직경에 따라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의 압력을 조절되어 분사공으로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약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하여 약액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홈부를 통해 와류작용으로 미립자 형태로 분사공에서 분사되는 약액이 배출공이 형성되는 외측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부의 구성으로 인해 외부공기와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입자가 굵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약액으로 하여금 작물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주어 약액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공급관에 연결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사커버 내부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배출체에 대한 상, 하 외부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 7은 본 발명의 노즐팁에 대한 상, 하 외부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내부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생육되는 작물에 공급하는 약액이 내부에 유동되는 공급관(1)에 간격을 두고 다수 연결되어 공급관(1)에 유동되는 약액을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공급부재(5)에 체결되어, 상기 공급부재(5)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작물에 직접적으로 분사시키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재(5)에서 공급되는 약액을 유동시키는 분사커버(10), 상기 분사커버(10)에 유동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하여 배출체(20) 및 노즐팁(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분사커버(1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공급부재(5)에서 공급되는 약액을 유동시킬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분사커버(10)의 상측 내경에는 나사부(11)가 형성되어 공급부재(5)와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커버(10)의 중단부에는 나사부(11)보다 내경이 좁아지도록 단턱지는 제1단턱부(13) 및 나사부(11)보다 내경이 좁아진 수용홈(14)이 형성되어, 수용홈(14)으로 후술되는 배출체(20) 및 노즐팁(3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사커버(10)의 하부에는 제1단턱부(13)보다 내경이 좁아지도록 단턱지는 제2단턱부(15) 및 배출공(16)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노즐팁(30)을 통해 배출공(16)으로 약액을 분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배출체(20)는 도 4, 5,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커버(10)의 수용홈(14)에 수용되는 수용체(21) 및 수용체(21)의 하부로 수용체(21) 보다 외경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태로 연장되어 수용홈(14)과 약액이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분판체(25)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배출체(20)는 수용체(21)의 상측면으로 분사커버(10) 내부에서 유동되는 약액이 유입되는 유입공(23)이 형성되고, 분판체(25)의 상부 양측으로 유입공(23)에 의해 유입된 약액이 배출되는 배출부(27)가 형성된다.
노즐팁(30)은 도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체(20)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그 형태는 배출체(20)의 분판체(25) 하부를 지지하며, 분판체(25)의 직경 보다 큰 원형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31) 및 상기 지지부(31)의 하부로 지지부(31) 보다 외경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태로 연장되어 분사커버(10)의 제2단턱부(15)에 안착되어 배출공(16)에 하단면이 노출되는 분사부(35)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노즐팁(30)은 상기 배출부(27)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유입하도록 지지부(31)의 상측면에는 일방향으로 만곡지는 형태인 다수의 이송홈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이송홈부(33) 중앙에서 지지부(31) 및 분사부(35)의 내부로 연계되어 이송홈부(33)를 통해 유입된 약액이 일괄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6)에 노출되는 분사부(35)의 하단면에는 유입부(34)에 유입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공(37)이 형성된다.
즉, 배출부(27)에서 이송홈부(33)를 통해 유입 이송되는 약액이 와류되면서 유입부(34)로 이송하게 되고, 와류작용을 통해 유입부(34)로 유입된 약액은 분사공(37)을 통해 그대로 외부로 분사되어, 약액의 이송속도 및 약액의 분사력이 증가하게 되고, 약액이 미립자 형태로 분무되어 약액을 비닐하우스 내부의 작물에 고루 분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배출체(20)의 분판체(25) 하부로 유입공(23)과 연계되어 유입공(23)에 의해 유입된 약액이 노즐팁(30)의 유입부(34)로 일부 배출되는 배출가공통공(28)이 형성되어, 배출체(20)에 가공되는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에 따라 배출부(27)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의 압력을 조절되어 분사공(37)으로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약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하여 약액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컨데, 배출체(20)에 형성되는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을 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가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약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하여 약액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분사커버(10)는 배출공(16)이 형성되는 외측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분사공(37)에서 배출되는 약액이 공기와 바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17)가 형성된다.
즉, 이송홈부(33)를 통해 와류작용으로 미립자 형태로 분사공(37)에서 분사되는 약액이 외부공기와 바로 마찰되어 입자가 굵어지는 현상을 차단부(17)로 하여금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17)는 약액의 분사각도에 의해 차단부(17)의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어 약액의 분사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이 0.5 ~ 0.8㎜일 때에는 차단부(17)는 4 ~ 6㎜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이 0.9 ~ 1.2㎜일 때에는 차단부(17)는 7 ~ 10㎜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이 0.5 ~ 0.8㎜이면, 약액의 압력이 비교적 강하여 분사공(37)을 기준으로 약액의 분사범위가 60 ~ 120°의 각도로 이루어지고, 0.9 ~ 1.2㎜이면, 약액의 압력이 비교적 약하여 분사공(37)을 기준으로 약액의 분사범위가 120 ~ 180°의 각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단부(17)가 형성되는 길이는 상기에서 한정하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이 좁으면 배출가공통공(28)에서 유동되는 약액의 압력이 강하여 분사공(37)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범위가 좁아지고,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이 넓으면 배출가공통공(28)에서 유동되는 약액의 압력이 약해져서 분사공(37)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범위가 넓어지는 현상에 기인한 것이다.
한편, 분사커버(10)와 배출체(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강도의 향상과 더불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노즐팁(30)은 내부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져, 고압으로 배출되는 약액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10 : 분사커버 11 : 나사부
13 : 제1단턱부 14 : 수용홈
15 : 제2단턱부 16 : 배출공
17 : 차단부 20 : 배출체
21 : 수용체 23 : 유입공
25 : 분판체 27 : 배출부
28 : 배출가공통공 30 : 노즐팁
31 : 지지부 33 : 이송홈부
34 : 유입부 35 : 분사부
37 : 분사공

Claims (5)

  1. 비닐하우스에 생육되는 작물에 공급하는 약액이 내부에 유동되는 공급관(1)에 간격을 두고 다수 연결되어 공급관(1)에 유동되는 약액을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공급부재(5)에 체결되어, 상기 공급부재(5)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작물에 직접적으로 분사시키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공급부재(5)에서 공급되는 약액을 유동시킬 수 있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 내경에는 공급부재(5)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11)가 형성되고, 중단부에는 나사부(11)보다 내경이 좁아지도록 단턱지는 제1단턱부(13) 및 나사부(11)보다 내경이 좁아진 수용홈(1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1단턱부(13)보다 내경이 좁아지도록 단턱지는 제2단턱부(15) 및 배출공(16)이 형성되는 분사커버(10);
    상기 분사커버(10)의 수용홈(14)에 수용되는 수용체(21) 및 수용체(21)의 하부로 수용체(21) 보다 외경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태로 연장되는 분판체(25)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체(21)의 상측면으로 분사커버(10) 내부에서 유동되는 약액이 유입되는 유입공(23)이 형성되고, 분판체(25)의 상부 양측으로 유입공(23)에 의해 유입된 약액이 배출되는 배출부(27)가 형성되는 배출체(20);
    상기 배출체(20)의 분판체(25) 하부를 지지하며, 분판체(25)의 직경 보다 큰 원형판으로 형성되는 지지부(31) 및 상기 지지부(31)의 하부로 지지부(31) 보다 외경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형태로 연장되어 분사커버(10)의 제2단턱부(15)에 안착되어 배출공(16)에 하단면이 노출되는 분사부(3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27)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유입하도록 지지부(31)의 상측면에는 일방향으로 만곡지는 형태인 다수의 이송홈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이송홈부(33) 중앙에서 지지부(31) 및 분사부(35)의 내부로 연계되어 이송홈부(33)를 통해 유입된 약액이 일괄적으로 유입되는 유입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16)에 노출되는 분사부(35)의 하단면에는 유입부(34)에 유입되는 약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공(37)이 형성되는 노즐팁(30);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배출체(20)의 분판체(25) 하부로 배출부(27)와 연계되어 배출부(27)에 유입된 약액이 노즐팁(30)의 유입부(34)로 일부 배출되는 배출가공통공(28)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커버(10)는 배출공(16)이 형성되는 외측하부방향으로 분사공(37)에서 배출되는 약액이 공기와 바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장되는 차단부(17)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이 0.5 ~ 0.8㎜일 때에는 차단부(17)는 4 ~ 6㎜로 연장되고,
    상기 배출가공통공(28)의 직경이 0.9 ~ 1.2㎜일 때에는 차단부(17)는 7 ~ 10㎜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커버(10)와 배출체(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고,
    상기 노즐팁(30)은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20180052038A 2018-05-04 2018-05-04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217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038A KR102173705B1 (ko) 2018-05-04 2018-05-04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038A KR102173705B1 (ko) 2018-05-04 2018-05-04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432A KR20190127432A (ko) 2019-11-13
KR102173705B1 true KR102173705B1 (ko) 2020-11-03

Family

ID=6853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038A KR102173705B1 (ko) 2018-05-04 2018-05-04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7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4602A1 (en) 2002-04-08 2005-10-13 Saint Gobain Ceramiques Avancees Desmarquest Spray nozzle
KR100912888B1 (ko) * 2009-02-19 2009-08-20 주식회사하이테크21 농업용 분사노즐
US20180078955A1 (en) 2015-04-01 2018-03-22 Spraying Systems Co. Spray nozzle assembly with expanded pressure responsive liquid flow ra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833U (ko) * 1997-12-31 1999-01-25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액체 분사노즐
KR100525837B1 (ko) * 2002-12-10 2005-1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압에 따른 수류 조절이 가능한 가변 노즐
KR101382644B1 (ko) 2012-07-23 2014-04-08 장용규 농약 살포장치
KR101341716B1 (ko) 2013-02-25 2013-12-16 김성환 비닐하우스용 회전식 자동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4602A1 (en) 2002-04-08 2005-10-13 Saint Gobain Ceramiques Avancees Desmarquest Spray nozzle
KR100912888B1 (ko) * 2009-02-19 2009-08-20 주식회사하이테크21 농업용 분사노즐
US20180078955A1 (en) 2015-04-01 2018-03-22 Spraying Systems Co. Spray nozzle assembly with expanded pressure responsive liquid flow rat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432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6572A1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KR102247842B1 (ko) 수경 및 토양 재배용 균일 물분사장치
RU2173584C1 (ru) Насадок дождевального агрегата
KR101096464B1 (ko) 농사용 살수방제 회전노즐
KR102173705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KR101917668B1 (ko) 관수 및 방제를 위한 농업용 스프링클러
EP1933988B1 (en) Vertical air conveyor for agricultural sprayer machines
KR102017888B1 (ko)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KR102031959B1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052270B1 (ko) 스프링클러
KR930003651B1 (ko) 분무노즐
KR200495277Y1 (ko) 동적 노즐
KR101194116B1 (ko) 농업용 분사노즐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JP2013153671A (ja) 噴霧装置
US8544495B1 (en) Dispenser for liquid and/or solid chemicals
JP6485968B2 (ja) 散水ノズル
KR101053837B1 (ko) 농사용 살수방제 노즐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CN220108821U (zh) 一种植烟滴灌装置
JP3200702B2 (ja) 散布装置
KR101024597B1 (ko) 스프링클러
KR101938493B1 (ko) 양방향으로 급수되는 회전식 분수호스
US20230027492A1 (en) Diffuser and method of diff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