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497B1 -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497B1
KR102172497B1 KR1020190177010A KR20190177010A KR102172497B1 KR 102172497 B1 KR102172497 B1 KR 102172497B1 KR 1020190177010 A KR1020190177010 A KR 1020190177010A KR 20190177010 A KR20190177010 A KR 20190177010A KR 102172497 B1 KR102172497 B1 KR 102172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ular degeneration
aucubin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497B1/ko
Priority to PCT/KR2020/017918 priority patent/WO20211329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comprising aucubin}
본 발명은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눈의 안쪽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신경조직을 황반이라고 하는데, 시세포 중 원뿔세포가 밀집되어 있고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도 황반의 중심이므로 시력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시력이란 대상의 존재와 형태를 인식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물체의 상이 황반의 중심오목에 맺어질 때 가장 예민하고(중심 시력), 망막 주변 (주변시력)으로 갈수록 저하된다. 노화, 유전적인 요인, 독성, 염증 등에 의해 황반부의 변형이 일어나거나 기능이 떨어지면 시력이 감소되고, 심할 경우 시력을 완전히 잃을 수도 있는데, 황반변성이란 시력에 중요한 부위인 황반부위에 손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 및 습성황반변성으로 나뉘며, 망막에 드루젠(노폐물들이 황반부에 쌓여가는 상태)이나 망막색소상피의 위축과 같은 병변이 생긴 경우를 건성황반변성이라 하며, 흔히 보는 형태로 연령관련 황반변성 모든 증례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보통 심한 시력상실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습성 형태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경과관찰과 예방이 중요하다. 황반변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증상의 진행을 억제할 근본적인 치료는 불가하며, 치료보다는 예방이 더 필요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10-2011-0021309호에는 들쭉 추출물 또는 들쭉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번호 제 10-2014-0045263호에는 진세노사이드 Rg1에 의한 망막 재생을 통한 눈 기능 저하 및 황반 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아우쿠빈 (aucubin)은 식나무 (Acuba japonica)의 주요성분 (major compound)으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에서 황반변성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아우쿠빈이 황반변성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에서 황반변성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아우쿠빈이 황반변성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35059973-pat00001
.
상기 황반변성은 건성황반변성일 수 있다.
상기 아우쿠빈은 1mg/kg 내지 500mg/kg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시럽제, 에멀젼, 리포좀,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서방형 제제, 점안제(eye drop), 캡슐제, 콘택트렌즈 세정제 및 콘택트렌즈 윤활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국소, 경피, 경구 또는 비경구투여 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35059973-pat00002
.
상기 황반변성은 건성황반변성일 수 있다.
상기 아우쿠빈은 1mg/kg 내지 500mg/kg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우쿠빈은 황반변성과 유사한 병변을 마우스의 망막에 유발할 수 있는 유도 물질인 N-methyl-N-nitrosourea을 처리한 마우스에서 신경 세포 소실에 의한 외측망막층 (outer nuclear layer)의 두께감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고 , a-wave 및 b-wave의 신경전도 억제를 개선하며 시세포의 활성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차 배양한 망막세포에서 세포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세포 자멸사를 감소시키며,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망막 기능에 대한 아우쿠빈의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써, (a)는 ERG(dark-adapted electroretinography) 파형을 보여주는 결과이고, (b) 및 (c)는 scotopic ERG 반응에서 평균 a와 b파 진폭을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2는 망막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아우쿠빈의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써, (a)는 MNU 투여로 유발된 조직학적 변화를 보여주는 결과이고 ( GCL: 신경절 세포층; IPL: 내망상층; INL: 내부 핵 층; OPL: 외망사층; ONL: 외부 핵 층), (b)는 ONL 두께를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3은 광 수용기 세포 사멸에 대한 아우쿠빈의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써, (a) MNU 처리 후 망막 세포 사멸은 TUNEL 염색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고(GCL: 신경절 세포층; IPL: 내망상층; INL: 내부 핵 층; OPL: 외망사층; ONL: 외부 핵 층), (b)는 세포 사멸의 수를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4는 산화성 DNA 손상에 대한 아우쿠빈의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써, (A) 산화성 DNA 손상 마커인 8-하이드록시 데옥시 구아노신 (8-OHdG)에 대한 면역 조직 화학적 염색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고 (GCL: 신경절 세포층; IPL: 내망상층; INL: 내부 핵 층; OPL: 외망사층; ONL: 외부 핵 층), (b)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강도의 정량화한 결과이다.
도 5는 일차 배양된 망막 세포에서 세포 생존력, 산화 스트레스 및 세포 사멸에 대한 아우쿠빈의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에서 황반변성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아우쿠빈이 황반변성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aucubin)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35059973-pat00003
.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 및 습성황반변성으로 나뉘며, 망막에 드루젠(노폐물들이 황반부에 쌓여가는 상태)이나 망막색소상피의 위축과 같은 병변이 생긴 경우를 건성황반변성이라 하며, 망막 아래에 맥락막 신생혈관이 자라서 생기는 질환을 습성황반변성이라 한다. 본 발명은 N-methyl-N-nitrosourea (MNU, Sigma, USA)를 이용하여 황반변성과 유사한 병변을 망막에 유도한 동물모델에 아우쿠빈을 처리한 결과, 신경 세포 소실에 의한 외측망막층 (outer nuclear layer)의 두께감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고 (도 2), a-wave 및 b-wave의 신경전도 억제를 개선하며 시세포의 활성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및 도 3).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손상을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도 4). 일차 배양한 망막세포에서 세포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세포 자멸사를 감소시키며,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원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5).
상기 아우쿠빈은 1mg/kg 내지 500mg/k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g/kg 내지 100mg/k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mg/kg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국소, 경피, 경구 또는 비경구투여 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정질 셀룰로오스,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한 양,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aucubin)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35059973-pat00004
.
상기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인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유제,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등의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젤리,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의 임의의 건강식품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제제화를 위해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각종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의 비율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중의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로서 제조될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상기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음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단당류(예: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예: 말토즈, 수크로즈 등), 다당류(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음료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황반변성 모델동물 (N-methtyl-N-nitrosourea (MNU)-inudced photorecepto cell degeneration mouse)에서 아우쿠빈의 효력 확인
1-1. 망막전위도 (ERG)측정
6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주)오리엔트 (성남,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순화 후 사용하였다. 황반변성에서 나타나는 망막조직의 형태학적인 변화 중, photoreceptor cell의 손상 및 변성을 유발하기 위하여 N-methyl-N-nitrosourea (MNU, Sigma, USA)을 0.05% acetic acid 용액에 1%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여 7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에 1% MNU 용액을 각 개체당 60mg/kg 만큼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정상군에서는 동량의 0.05% acetic acid만 복강 투여하였다. 아우쿠빈은 15 mg/kg/day의 농도가 되도록 멸균 3차 증류수에 녹여 조제한 후 MNU 투여후 같은 날부터 7일 동안 매일 1회 경구투여 하였다. 망막전위도(ERG, electroretinogram)란, 빛에 대한 시신경의 반응으로 생긴 전기적인 신호를 나타내는 망막시신경의 전도로 망막 손상이나 질병의 유무를 확인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망막전위도를 측정하였다. 부검하루 전 16시간 이상의 암순응 후에, ERG 측정을 위해 isoflurane(포란, 중외제약)으로 호흡 마취 시킨 후 0.5% tropicamide를 이용하여 동공을 산대시킨 후 체온을 유지 시킨채 안구에 1% methylcellulose를 적당량 도포하고 Gold wire loops 관전극(recording electrode)을 각막에 접지시키고 불관전극(reference electrode)을 뺨 부위에, 접지전극 (ground eletrode)는 꼬리에 접지시킨 후, ERG의 측정은 Retiport (Roland consult,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timulation은 white LED light를 이용하여 암순응 섬광반응 (scotopic flash response)으로부터 a 파와 b 파를 구하였다. ERG는 일반적으로 a 및 b-wave로 구성되어 있으며, a-wave는 광수용체에 의해서 나타나고, b-wave는 망막이 광자극에 의해 내핵층(inner nuclear layer)에 있는 bipolar 세포가 탈분극(depolarization)되어 생기게 된다. MNU에 대한 노출로 인해 a- 파 및 b- 파 진폭이 각각 78 % 및 63 %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아우쿠빈은 이러한 진폭의 감소를 막을 수 있었다 (도 1).
1-2. 조직 병리학
시험약물 투여 종료 후 부검을 실시하여 안구를 적출한 후, 10% 중성화 포르말린에 하루 동안 고정한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여 슬라이드 절편을 제작하였다. 슬라이드 절편은 Hematoxylin & Eosin (H&E) 염색하여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하다. Photoreceptor cell의 손상 & 변형은 망막조직의 outer nuclear layer(ONL)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망막 세포는 정상 대조군에서 잘 유지되었다. MNU에 대한 노출은 ONL 두께의 현저한 감소를 유도하였다. 아우쿠빈은 9.8%±2.9%만큼 광 수용체 세포 손실을 감소하였다(도 2).
1-3. 아우쿠빈의 세포 사멸 방지 효과 확인
4㎛ 두께의 망막 섹션을 만들었다. 이어서, 섹션을 파라핀 제거하고, 재 수화시키고, 처리 하였다. TUNEL 염색의 경우,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In Situ Cell Death Detection 키트 (Roche Biochemicals, Mannheim, Germany)로 섹션을 염색 하였다.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망막의 어느 층에서도 TUNEL-양성 세포가 관찰되지 않았다. MNU를 처리한 군에서는 다수의 사멸 세포가 관찰되었지만, 이는 주로 외부 핵 층에서 검출되었다. 아우쿠빈의 투여는 이러한 세포 사멸을 유의하게 방지하였다.
1-4. 아우쿠빈의 항산화 효과 확인
구아닌의 산화에 의해 유도된 8-하이드록시 디옥시 구아노신(8-OHdG)의 형성은 산화성 DNA 손상에 대한 잘 알려진 마커이다. 아우쿠빈의 항산화 역할을 조사하기위해, 8-OHdG의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을 수행하였다. 상기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위해, 섹션을 항-8-OHdG 항체 (Santa Cruz Biotechnology, California, CA, USA)와 37 ℃에서 1 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인비전 키트 (DAKO, Carpinteria, CA, USA)는 아미노 에틸 카르바졸로 가시화 된 신호를 검출 하였다. 도 4와 같이 8-OHdG의 면역 조직 화학은 정상 마우스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모든 핵 세포 층 내의 핵은 산화성 망막 손상에 기여할 수 있는 8-OHdG로 강하게 염색되었다. 8-OHdG 수준은 MNU-처리된 그룹과 비교하여 아우쿠빈의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2. 일차 배양된 망막세포의 생존력, 세포 자멸사 및 산화 스트레스 분석
망막을 C57BL/6 마우스 (Orient Bio, Seoul, Korea)에서 안구를 적출하여 분리하고 37 ℃에서 15분 동안 파파인으로 해리시켰다. 오보뮤코이드 (Sigma Aldrich) 및 DNase (Sigma Aldrich)를 포함하는 신경기저배지 (Gibco)를 첨가하고, 세포를 8분 동안 100xg에서 원심 분리 하였다. DNase 없는 상기 배지에 세포를 재현탁 시켰다. 망막 세포는 L-글루타민 및 B27 보충제 (Gibco)와 함께 신경 기저 배지에서 유지되었다. 망막 세포는 로돕신 (막 광 수용체 세포에 대한 마커) 및 아교 섬유질 산성 단백질 (뮬러 신경교세포)에 대한 면역 염색에 의해 확인되었다. 배양된 세포는 65% 로드 광수 용기 세포 및 28 % 뮬러 신경교세포를 포함하였다. 망막 세포를 24 시간 동안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 (1*104 cell/well) 하고, 배지를 MNU (100 μg/mL)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상이한 농도의 아우쿠빈으로 교환하고 24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 증식 분석 시약 (MTS 분석 키트, Promega Corporation,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검사 하였다. MNU 처리는 망막 세포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100 μg/mL의 MNU 단독으로 배양된 세포의 생존력은 대조 세포의 생존력과 비교하여 대략 70 %였다. 세포를 24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의 아우쿠빈으로 처리한 겨우, 세포 생존율은 용량 의존적적으로 회복하였다 (도 5a). 산화 스트레스는 형광 프로브 인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DCFH 염료는 MNU에 의해 급겨하게 증가하였고, 아우쿠빈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도 5b). 사멸 세포는 TUNEL 염색으로 측정하였다. 사멸 세포는 MNU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고, 아우쿠빈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도 5c).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aucubin)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135059973-pat00005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쿠빈은 1mg/kg 내지 500mg/kg의 농도로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시럽제, 에멀젼, 리포좀,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서방형 제제, 점안제(eye drop), 캡슐제, 콘택트렌즈 세정제 및 콘택트렌즈 윤활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국소, 경피, 경구 또는 비경구투여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우쿠빈(aucubin)을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135059973-pat00006
    .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쿠빈은 1mg/kg 내지 500mg/kg의 농도로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조성물.
KR1020190177010A 2019-12-27 2019-12-27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7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10A KR102172497B1 (ko) 2019-12-27 2019-12-27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20/017918 WO2021132950A1 (ko) 2019-12-27 2020-12-09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010A KR102172497B1 (ko) 2019-12-27 2019-12-27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497B1 true KR102172497B1 (ko) 2020-10-30

Family

ID=7304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010A KR102172497B1 (ko) 2019-12-27 2019-12-27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2497B1 (ko)
WO (1) WO20211329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950A1 (ko) * 2019-12-27 2021-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24B1 (ko) * 2019-01-15 2019-05-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697B1 (ko) * 2013-10-31 2016-12-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992455A (zh) * 2018-07-13 2018-12-14 大连理工大学 一种桃叶珊瑚苷抑制炎症因子释放的应用
KR102172497B1 (ko) * 2019-12-27 2020-10-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24B1 (ko) * 2019-01-15 2019-05-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2950A1 (ko) * 2019-12-27 2021-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950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8093B1 (ko) (7S)-(+)-시클로펜틸 카바믹산, 8,8-디메틸-2-옥소-6,7-디히드로-2H,8H-피라노[3,2-g]크로멘-7-일-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873904B2 (ja) 眼血管血流障害改善剤
KR102172497B1 (ko)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8624B1 (ko) 아우쿠빈을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7252339B2 (ja) アオキ抽出物を含む黄斑変性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US1156496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aple leaf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tinal disease
TWI488633B (zh) 黑豆用於治療眼疾之用途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9107945A (ja) 視神経障害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KR101835227B1 (ko) 서목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25259A (ko) 후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5977B1 (ko) (7S,8R)-디히드로디히드로디코니페릴 알콜-9-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10483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containing imidazoline derivativ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102587315B1 (ko) 카보플라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7280353B2 (ja) 黄斑変性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US2023031035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brain damag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comprising glutamine as effective component
JPWO2011089951A1 (ja) 糖尿病網膜症の予防又は治療剤及び糖尿病網膜症の予防又は治療を目的とした食品、糖尿病網膜症の各種兆候の改善剤及び糖尿病網膜症の各種兆候の改善を目的とした食品並びに糖尿病網膜症の予防又は改善剤の投与時期を決定する方法
KR20240006143A (ko) 신규화합물을 함유하는 파킨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551A (ko) 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549A (ko) 골담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547A (ko) 건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552A (ko) 호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548A (ko)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1851A (ko) 잎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220036153A (ko) L-알트로즈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