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644B1 - 착석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착석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644B1
KR102171644B1 KR1020180071269A KR20180071269A KR102171644B1 KR 102171644 B1 KR102171644 B1 KR 102171644B1 KR 1020180071269 A KR1020180071269 A KR 1020180071269A KR 20180071269 A KR20180071269 A KR 20180071269A KR 102171644 B1 KR102171644 B1 KR 10217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upport
seating
sp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613A (ko
Inventor
하태준
이지석
정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6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다리에 착용하여 별도의 동력발생 장치 없이 언제 어디서든 힘들이지 않고 원하는 각도로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평상적인 보행에 저항감을 최소화하는 착석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상부 프레임과, 제1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래칫(ratchet)과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상기 래칫과 결합 또는 분리되며, 수평부와 수직부로 형성되는 폴(paw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관절부와,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에 유연하게 연동하도록 상부 프레임에 결합 되는 상부 슬라이더와 착용자의 허벅지를 받침 지지하여 안락감을 부여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허벅지 받침대와, 하부 일 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에 유연하게 연동하도록 하부 프레임에 결합 되는 하부 슬라이더와 착용자의 종아리를 받침 지지하여 안락감을 부여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종아리 받침대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착석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받침대의 하단과 종아리 받침대의 상단은 보조관절과 연결되고, 상기 폴의 수평부는 중간 부분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에는 스프링의 타 일단 부분을 수용하는 스프링 지지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석용 보조장치{Assist apparatus for seating}
본 발명은 착석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다리에 착용하여 별도의 동력발생 장치 없이 언제 어디서든 힘들이지 않고 원하는 각도로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평상적인 보행에 저항감을 최소화하는 착석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를 놓을 수 없거나 의자사용이 불편한 경우 인체(다리)에 착용하여 착석 동작을 보조하는 장치(옷처럼 몸에 착용하고 동작 의도에 따라 근력을 증폭시켜 능력을 더해주는 장치.)가 사용된다.
즉, 상기 착석용 보조장치의 다른 명칭으로는 착용로봇(wearable robot : 옷처럼 몸에 착용하고 동작 의도에 따라 근력을 증폭시켜 작업능력을 더해주는 로봇으로서, 착용자의 무릎 등에 부착된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해 활동을 도와주는 방식이다.)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착석 동작을 보조하는 장치는 보행 동작과 앉는(착좌) 동작을 구분하기 위해 한가지 이상의 센서를 활용하고 이를 처리하여 적절한 동작을 하도록 해주는 구동기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 컴퓨터의 산술논리 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 제어회로 등의 연산장치와 제어장치를 1개의 작은 실리콘 칩에 모아놓은 처리장치를 말한다.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착석용 보조장치는 착용자로 하여금 전원을 휴대하도록 제한함과 동시에 배터리와 같은 전원의 사용시간이 한정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항상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착용자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장치의 전체 중량이 무거워 착용자에게 피로감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세를 보조해주는 장치의 경우, 착용자의 하중 지지를 위해 필요한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관절부의 크기를 줄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관절부가 착용자의 무릎 뒤쪽에 배치됨에 따라 착용자의 무릎 뒤쪽을 압박하기 때문에 앉는 각도를 충분하게 제공하지 못하여 이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48680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동력 발생장치 없이 착용자의 다리에 견고하게 착용하여 의자를 놓을 수 없거나 의자사용이 불편한 경우 등, 언제 어느 장소에서든 힘들이지 않고 원하는 각도로 앉을 수 있도록 하고, 또 보행동작과 앉는(착좌) 동작을 구분하여 착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착석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과, 제1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래칫(ratchet)과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상기 래칫과 결합 또는 분리되며, 수평부와 수직부로 형성되는 폴(paw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관절부와,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에 유연하게 연동하도록 상부 프레임에 결합 되는 상부 슬라이더와 착용자의 허벅지를 받침 지지하여 안락감을 부여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허벅지 받침대와, 하부 일 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에 유연하게 연동하도록 하부 프레임에 결합 되는 하부 슬라이더와 착용자의 종아리를 받침 지지하여 안락감을 부여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종아리 받침대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착석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받침대의 하단과 종아리 받침대의 상단은 보조관절과 연결되고, 상기 폴의 수평부는 중간 부분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에는 스프링의 타 일단 부분을 수용하는 스프링 지지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스프링은 막대 모양의 양단 부분을 갖는 토션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에는 톱니바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관절은 허벅지 받침대와 종아리 받침대를 각각 회전동작하도록 복수 개의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모터와 같은 구동모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중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부수장치를 제거함으로써 비용절감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 보조장치의 중량을 현저하게 줄여 착용자의 착용부하와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절부에 전기모터와 같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착용자가 관절운동을 저항감 없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종래의 보조장치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고속의 무릎관절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착용자가 다양한 각도로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평상적인 보행활동에 제한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석용 보조장치의 일부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벅지 받침대와 보조 관절부 및 종아리 받침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받침대의 높이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에 케이블을 연결하고 레버를 가압하여 폴과 래칫의 톱니바퀴를 상호 결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가압을 해제하여 폴과 래칫의 톱니바퀴를 상호 분리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폴과 래칫의 톱니바퀴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폴과 래칫의 톱니바퀴가 상호 분리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석용 보조장치의 사용 상태로서 착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허벅지 받침대와 종아리 받침대가 착용자를 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석용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석용 보조장치(100)는 관절부(110)와 허벅지 받침대(120) 및 종아리 받침대(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관절부(110)는 제1 회전축(114)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폴(pawl)(111)과, 제2 회전축(115)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상기 폴(pawl)(111)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래칫(ratchet)(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관절부(110)는 착용자(200)의 대퇴부에 위치하여 상기 허벅지 받침대(120)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50)의 회전동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회전축(114)을 통해 결합 되는 폴(111)과, 착용자(200)의 종아리부에 위치하여 상기 종아리 받침대(130)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60)의 회전동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회전축(115)을 통해 결합 되는 래칫(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폴(pawl)(111)은 래칫(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부(111a)와 래칫(112)의 측부에 위치하는 수직부(111b)로 형성된다.
또, 상기 폴(111)의 수평부(111a)는 중간 부분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113)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절개부(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13)은 비틀었을 때 강성(剛性)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이용한 막대 모양의 양단 부분을 갖는 토션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폴(111)은 수평부(111a)와 수직부(111b)가 접하는 중앙 지점에 상기 제1 회전축(114)과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h)이 형성된다.
또, 상기 수직부(111b)에는 상기 스프링(113)의 타 일단 부분을 수용하는 스프링 지지구멍(sb)이 형성된다.
또, 상기 수직부(111b)의 내측면에는 상기 래칫(112)의 톱니바퀴(rg)와 대향하여 결합 및 분리되는 톱니바퀴(pg)가 형성된다.
상기 래칫(ratchet)(112)은 외주면에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톱니바퀴(rg)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관절부(110)는 폴(111)이 제1 회전축(114)에 결합 되고, 폴(111)의 결합구멍(h)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스프링(113)을 절개부(c)에 위치시킨 후, 상기 폴(111)과 스프링(113)을 제1 회전축(114)에 삽입, 결합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13)의 일단은 폴(111)의 스프링 지지구멍(sb)에 삽입, 지지되고, 타 일단은 관절부 하우징(110a)의 내부 천정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폴(111)의 수평부(111a) 일측에는 케이블(171)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171)의 타 일단으로는 케이블(171)을 당기거나 푸는 레버(17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관절부(110)는 상기 레버(172)를 착용자가 쥐게 되면 스프링(113)의 비틀림 탄성력을 극복하고 케이블(171)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폴(111)의 수평부(111a)가 위로 당겨짐과 동시에 수직부(111b)에 형성된 톱니바퀴(pg)가 전진하여 래칫(112)의 톱니바퀴(rg)와 치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150) 및 하부 프레임(160)과 이에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허벅지 받침대(120) 및 종아리 받침대(130)의 움직임이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은 착용자(200)의 원하는 앉음 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동 로커(kinetic locker)로서 착용자(200)의 동작의도(케이블 당김동작)를 통해 현재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일단 락킹이 발생하게 되면 착용자(200)의 체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예압으로 인해 중력방향으로의 회전은 별도의 동작없이 구속된다.
반대로, 상기 레버(172)를 착용자가 놓게 되면 스프링(113)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케이블(171)이 풀어지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폴(111)의 수평부(111a)는 원위치로 복귀(되돌아감)하게 되고, 상기 수직부(111b)의 톱니바퀴(pg)는 래칫(112)의 톱니바퀴(rg)와 분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150) 및 하부 프레임(160)과 이에 연동하도록 결합 되는 허벅지 받침대(120) 및 종아리 받침대(130)는 움직임이 자유로워 진다.
상기 허벅지 받침대(120)는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착용자(200)의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에 유연하게 연동하도록 상부 프레임(150)에 결합 되는 상부 슬라이더(121)와 상기 상부 슬라이더(121)의 동작에 연동함과 동시에 착용자(200)의 허벅지를 받침 지지하여 안락감을 부여하는 받침부(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슬라이더(121)는 상부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외주를 감싸며 삽입된다.
또, 상기 받침부(122)의 하단에는 추후 설명할 보조 관절부(140)와 연결되어 원활한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상부 회전부(12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허벅지 받침대(120)는 상기 상부 슬라이더(121)가 착용자(200)의 다리 동작에 연동하여 상부 프레임(150)을 따라 상, 하로 유동하므로 착용자(200)는 다리 동작에 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로운 보행이나 기립 또는 앉는 동작을 원활하게 취할 수 있다.
상기 종아리 받침대(130)는 하부 일 측에 형성되어 착용자(200)의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에 유연하게 연동하도록 하부 프레임(160)에 결합 되는 하부 슬라이더(131)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131)의 동작에 연동함과 동시에 착용자(200)의 종아리를 받침 지지하여 안락감을 부여하는 받침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슬라이더(131)는 하부 프레임(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외주를 감싸며 삽입된다.
또, 상기 받침부(132)의 상단에는 추후 설명할 보조 관절부(140)와 연결되어 원활한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하부 회전부(13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 받침대(130)는 상기 하부 슬라이더(131)가 착용자(200)의 다리 동작에 연동하여 하부 프레임(160)을 따라 상, 하로 유동하므로 착용자(200)는 다리 동작에 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로운 보행이나 기립 또는 앉는 동작을 원활하게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허벅지 받침대(120)와 종아리 받침대(130)는 각각 상부 슬라이더(121)와 하부 슬라이더(131)가 상부 프레임(150)과 하부 프레임(160)을 따라서 평행하게 이동 동작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부(110) 및 보조 관절부(140)의 회전과 착용자(200)의 다리 관절 회전이 일치하도록 만들어준다.
또한 착석용 보조장치(100)와 착용자(200)의 관절 회전동작 불일치로 인한 끼임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허벅지 받침대(120)와 종아리 받침대(130)는 보조 관절부(140)에 의해 약간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슬라이딩간 끼임을 방지하여 준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조관절부(140)는 허벅지 받침대(120)와 종아리 받침대(130)의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지지하도록 상부 회전축(141)과 하부 회전축(14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회전축(141)와 하부 회전축(142)은 핀과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회전부(123) 및 하부 회전부(133)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허벅지 받침대(120)와 정강이 받침대(130)는 연결을 단일 회전축으로 하게 되면 착용자(200)의 회전축인 무릎관절과의 회전 불일치가 발생하게 되므로 허벅지 받침대(120)의 체결부 또는 정강이 받침대(130)의 체결부에 쓸림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관절(140)은 착용자(200)의 다리 관절 축과 보조장치(100)의 관절부(110) 회전축 상이, 즉 회전축이 불일치한 부분을 일치시키도록 상기 허벅지 받침대(120)와 종아리 받침대(130)를 각각으로 회전시키는 이중 회전축 또는 다중심 회전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허벅지 받침대(120)와 정강이 받침대(130)는 중간 부분 양측에 착용자(200)의 허벅지나 종아리에 견고하게 장착시키기 위해 천, 가죽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 밴드(band)나 스트랩(Strap) 같은 형태의 장착밴드(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착밴드는 일 예로서 일단 부분에는 벨크로(Velcro)인 갈고리(미도시)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타단 부분에는 걸림고리(미도시)가 형성되어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밴드를 착용자(200)의 대퇴부에 둘러 감은 후 갈고리와 걸림고리를 상호 부착시키거나 분리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착석용 보조장치(100)를 쉽고 견고하게 장착하거나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 프레임(160)의 일 측으로는 조이거나 풀기 위한 체결구(B)가 삽입되는 체결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60)의 밑면 내부를 통해서는 높이조절 받침대(161)가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200)의 키높이나 다리 길이에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160)의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된 체결구(B)를 풀거나 조여 높이조절 받침대(16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 받침대(161)의 길이를 착용자(200)의 신체 길이에 대응하여 조절이 가능하며, 높이조절 받침대(161)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높이조절 받침대(161)를 통해 착용자(200)의 몸무게가 지면에 전달, 지지되므로 착용자(200)가 기립동작 또는 착석동작시 하중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석용 보조장치(100)는 순수한 기계적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서 관절부(110)와 보조관절부(14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없이도 언제, 어느 장소에서든 힘들이지 않고 원활한 보행과 앉는 동작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착석용 보조장치(100)를 착용한 착용자가 통상적인 보행을 할 경우 상기 관절부(110)의 폴(111)과 래칫(112)은 스프링(113)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이격(떨어져 있음)되어 있으므로 관절부(11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로운 회전동작이 가능하여 원활한 보행동작을 이루게 된다.
또, 착용자(200)가 앉고자 할 경우 원하는 각도로 앉은 자세를 취한 후 상기 레버(172)를 손으로 눌러 당겨 쥔다.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172)와 일단이 연결된 케이블(171)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폴(111)의 수평부(111a)가 당겨지면서 스프링(113)을 비틀어 압축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폴(111)의 수직부(111b)가 일 측으로 당겨지면서 톱니바퀴(pg)가 상기 래칫(112)의 톱니바퀴(rg)와 결합하면서 관절부(110)가 잠금되고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의자를 놓을 수 없거나 의자사용이 불편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착석용 보조장치(100)를 착용하게 되면 어느 장소에서나 지면 형상과 상관 없이 착용자(200)의 앉은 자세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111)의 톱니바퀴(pg)와 래칫(112)의 톱니바퀴(rg)는 상호 치결합시 맞닿은 면에서 마찰력과 착용자(200)가 앉았을 때 착석용 보조장치(1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레버(172)를 계속 눌러 당기지 않아도 관절부(110)의 잠금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또, 착용자(200)가 앉은 자세를 풀고 다시 보행하고자 할 경우, 일어나려는 동작을 취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113)의 탄성 복귀력이 작용하면서 당겨져 있던 상기 케이블(171)이 풀어지게 되면서 상기 폴(111)의 톱니바퀴(pg)는 래칫(112)의 톱니바퀴(rg)로부터 분리되어 관절부(110)의 잠금이 해제되고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200)는 관절부(110)와 보조 관절부(140)를 회전축으로 하여 원활한 보행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 발생장치 없이도 언제, 어느 장소에서든 힘들이지 않고 원활한 보행과 앉는 동작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원활한 보행과 앉는 동작을 이룰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 모터를 이용하는 착석용 보조장치에 비해 중량을 현저하게 줄여 착용자의 착용부하와 피로도를 감소시킨다.
또, 본 발명은 모터와 같은 전기식 동력원 대신 케이블과 탄성체를 포함하는 순수한 기계적인 장치로 앉은 동작을 보조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동작 신뢰성 향상과 반영구적인 동력을 확보한다.
특히 관절부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제거함으로 착용자와 동일한 관절운동을 저항감없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존 장치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고속의 무릎관절 구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양한 앉은 자세를 유지하여 주면서 평상시 활동에는 제한을 주지 않는 경량,소형의 착석용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착석용 보조장치 110 : 관절부
110a : 관절부 하우징 111 : 폴
111a : 수평부 111b : 수직부
112 : 래칫 113 : 스프링
114 : 제1 회전축 115 : 제2 회전축
120 : 허벅지 받침대 121 : 상부 슬라이더
122 : 받침부 123 : 상부 회전부
130 : 종아리 받침대 131 : 하부 슬라이더
132 : 받침부 133 : 하부 회전부
140 : 보조 관절부 141 : 상부 회전축
142 : 하부 회전축 150 : 상부 프레임
160 : 하부 프레임 161 : 높이조절 받침대
171 : 케이블 172 : 레버
200 : 착용자 B : 체결구
c : 절개부 h : 결합구멍
pg : 톱니바퀴 rg : 톱니바퀴
sb : 스프링 지지구멍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부 프레임과, 제1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래칫(ratchet)과 제2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상기 래칫과 결합 또는 분리되며, 수평부와 수직부로 형성되는 폴(paw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관절부와, 상부 일 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에 유연하게 연동하도록 상부 프레임에 결합 되는 상부 슬라이더와 착용자의 허벅지를 받침 지지하여 안락감을 부여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허벅지 받침대와, 하부 일 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에 유연하게 연동하도록 하부 프레임에 결합 되는 하부 슬라이더와 착용자의 종아리를 받침 지지하여 안락감을 부여하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종아리 받침대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착석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받침대의 하단과 종아리 받침대의 상단은 보조관절과 연결되고, 상기 폴의 수평부는 중간 부분에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에는 스프링의 타 일단 부분을 수용하는 스프링 지지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용 보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막대 모양의 양단 부분을 갖는 토션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용 보조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내측면에는 톱니바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용 보조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절은 허벅지 받침대와 종아리 받침대를 각각 회전동작하도록 복수 개의 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용 보조장치.
KR1020180071269A 2018-06-21 2018-06-21 착석용 보조장치 KR10217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69A KR102171644B1 (ko) 2018-06-21 2018-06-21 착석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69A KR102171644B1 (ko) 2018-06-21 2018-06-21 착석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13A KR20190143613A (ko) 2019-12-31
KR102171644B1 true KR102171644B1 (ko) 2020-10-30

Family

ID=6905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269A KR102171644B1 (ko) 2018-06-21 2018-06-21 착석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6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4709A (ja) 2004-07-28 2006-02-09 Hikari:Kk 関節装置
US20120271207A1 (en) * 2011-03-14 2012-10-25 Schoen Jason A Orthosi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815B1 (ko) * 2014-06-23 2016-02-23 주식회사 오프리스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KR101486808B1 (ko) 2013-12-19 2015-01-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프링을 이용한 외력의 적용범위 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장치
KR101727502B1 (ko) * 2015-09-24 2017-05-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4709A (ja) 2004-07-28 2006-02-09 Hikari:Kk 関節装置
US20120271207A1 (en) * 2011-03-14 2012-10-25 Schoen Jason A Orthosi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13A (ko)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09892B (zh) 一种可穿戴式智能外骨骼座椅装置
JP5515116B2 (ja) パワーアシストスーツ
JP4326580B2 (ja) 歩行補助装置の大腿部装具
KR102115016B1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20210077839A1 (en) Assist device
JP2009023828A (ja) 中腰作業補助装置
JP2009219650A (ja) 装着型動作補助装置
EP2904994B1 (en) Spinal orthosis
JP2016067899A (ja) 装着式電気機械装置のためのブレーキ装置
CN111084685A (zh) 一种支撑相控制膝关节支具
CN109318217A (zh) 可提高舒适性的穿戴式肩部助力外骨骼
JP2903509B1 (ja) 膝装具
KR101944181B1 (ko) 무릎관절 보조장치
KR102171644B1 (ko) 착석용 보조장치
CN117064607A (zh) 脊柱松弛用医疗器械
JP5578031B2 (ja) 脚装具
KR102074146B1 (ko) 착석용 보조장치
US20230100371A1 (en) Exosuit having adjustable modular straps and bands
JP2009219648A (ja) 装着型動作補助装置
CN211841975U (zh) 一种具有棘轮式膝关节的随行椅
JP2010110365A (ja) 長下肢装具
JP2013022708A (ja) 腰部負担軽減具
CN111805512A (zh) 一种膝关节外骨骼
JP6722914B2 (ja) アシスト装置装着用のウエアおよびアシストウエアシステム
WO2018179294A1 (ja) 介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