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545B1 - 잠금장치용 선재 - Google Patents

잠금장치용 선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545B1
KR102171545B1 KR1020200053168A KR20200053168A KR102171545B1 KR 102171545 B1 KR102171545 B1 KR 102171545B1 KR 1020200053168 A KR1020200053168 A KR 1020200053168A KR 20200053168 A KR20200053168 A KR 20200053168A KR 102171545 B1 KR102171545 B1 KR 10217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unit
tube
length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훈
Original Assignee
(주)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우 filed Critical (주)용우
Priority to KR102020005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4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with a core of fibres or filament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e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003Chain, wire or cabl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1/00Locks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other than pa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05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using chains, cabl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2015/1692Wires or straps

Abstract

본 발명은 쉽게 절단되지 않아서 제품의 도난우려가 적으며, 접거나 구부려서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성이 좋고, 가벼워서 휴대성도 좋은 새로운 구성의 잠금장치용 선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실다발로 이루어진 심재; 상기 심재를 감싸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감싸는 것으로서 직물 형태로 되어 있는 외피; 및 상기 심재, 튜브 및 외피의 양단부가 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심재는 2종 이상의 길이를 가진 단위심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잠금장치용 선재{Line Member For Locker}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쉽게 절단되지 않아서 제품의 도난우려가 적으며,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접거나 구부려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성이 좋고, 경량특성도 가지므로 휴대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잠금장치용 선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와이어형 잠금장치는 와이어의 양단부에 열쇠뭉치가 연결된 것으로서,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잠금장치로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형 잠금장치의 와이어로는 강철심을 꼬아 만든 것이 사용된다. 강철심의 외부를 합성수지로 된 튜브로 감싼 형식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와이어형 잠금장치는 강철심을 꼬아서 만든 와이어는 강철심에 의한 탄성력 때문에 와이어를 구부려 놓으면 구부려진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다시 펴져서 부피를 많이 차지하며, 중량도 많이 나가기 때문에 휴대나 보관이 불편하다.
한편, 와이어형 잠금장치를 경량화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가늘게 제작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가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형절단기 등에 의해 쉽게 절단되므로 제품을 도난당할 위험이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8419호(2010. 12. 3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87412(2016. 07. 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5549호(2013. 11. 2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598호(2011. 08. 3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절단기에 의해서도 쉽게 절단되지 않아서 제품의 도난 우려가 적으며, 유연하면서도 탄성력이 없기 때문에 접거나 구부려서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어서 보관성이 좋고, 가볍고 휴대하기에도 좋은 새로운 구성의 잠금장치용 선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실다발로 이루어진 심재와,
상기 심재를 감싸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감싸는 것으로서 직물 형태로 되어 있는 외피;
상기 심재, 튜브 및 외피의 양단부가 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심재는 2종 이상의 길이를 가진 단위심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선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심재는 소재가 상이한 2종이상의 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심재는 길이가 가장 짧은 단위심재는 중심에 배치되고 길이가 길어질수록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심재(10)가 선재를 팽팽하게 당길 경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인장부와, 인장부 보다 길이가 긴 비인장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단기로 절단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한번에 쉽게 절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절도 기타 부정한 목적으로 선재를 여러번에 걸쳐서 절단시켜야 하므로 자전거 등을 훔쳐가는 도난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용 선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재가 유연하면서도 탄성력이 없기 때문에 접어놓거나 구부려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지 않으므로 부피를 적게 차지하도록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소재 전체가 섬유 등의 경량소재로 되어 있어서 휴대도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용 선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용 선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용 선재의 심재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용 선재의 단면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용 선재는 종래의 체인 또는 와이어와 같이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강인한 선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잠금장치용 선재(이하, 단지 선재라 한다)는 가장 중심에 위치하는 심재(10)와, 심재를 감싸는 튜브(20와, 튜브를 감싸는 외피(30)를 포함한다.
심재(10)는 여러 가닥의 실, 즉 실다발로 이루어져 있다. 심재(10)는 일반 합성섬유로만 구성될 수 있다.
튜브(20)는 상기 심재를 감싸는 것으로서 형태의 유지를 위한 것이다. 즉 축 늘어지지 않고 어느 정도의 형태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튜브(20)는 고무, 에폭시 또는 우레탄 소재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심재(10)의 표면에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튜브(20)는 열수축튜브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내열 또는 난연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튜브(20)는 스테인리스로 된 가느다란 선을 망사형태가 되도록 직조한 것일 수도 있다. 이것은 칼을 이용하여 쉽게 절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튜브(20)를 생략하고 심재(10)를 외피(30)로 감싸서 구성할 수 있다.
외피(30)는 튜브(20)를 감싸는 직물 형태로 되어 있다. 외피(30)는 난연소재로 되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라미드 섬유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외피(30)는 편조 또는 직조에 의해 통형상으로 제공되며 튜브(20)의 외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시킨다.
심재(10), 튜브(20) 및 외피(30)의 양단부가 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이 포함된다. 단부고정수단은 접착제가 될 수도 있고, 클립 또는 결속철사가 될 수도 있다. 선재(1)는 이렇게 단부고정수단에 의해 단부가 일정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잠금장치에 적용된다. 선재(1)의 양 끝에는 자물쇠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재(10)는 2종 이상의 길이를 가진 단위심재로 구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3종이상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5종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2,3,4,5단위심재(11,12,13,14,1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3,4,5단위심재(11,12,13,14,15) 간의 길이의 차이는 선재(1)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2 ~ 10%가 될 수 있다. 제1,2,3,4,5단위심재(11,12,13,14,15)의 양단부(20,21)는 전술한 단부고정수단에 의해 일정하게 정렬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심재(10)는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재(1)의 길이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제1단위심재(11)에 의한 인장부와, 그외의 단위심재(12,13,14,15)로 구성되는 비인장부로 이루어진다. 인장부는 심재(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심재(10)를 길이방향으로 당겼을 때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인장되는 부분이고, 비인장부는 심재(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선재(1)를 길이방향으로 당겼을 때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인장되지 못하고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언급한 것처럼 비인장부는 각자 길이가 다르게 되어 있는 제2,3,4,5단위심재(12,13,14,15)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재(10)에 비인장부가 구비됨에 따라 선재(1)가 한 번에 쉽게 절단되지 못한다. 가위와 같은 형태의 절단기(즉, 커터)로 선재(10)를 절단할 때에 있어서, 선재(10)에 장력이 부여되어 어느 정도 팽팽하게 당겨져야 잘 절단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심재(10)에 팽팽하게 당겨질 수 없는 비인장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선재(1)를 길이방향으로 당겨서 절단시키면 심재(10) 중 인장부인 제1단위심재(11)만 절단되고, 나머지 단위심재(12,13,14,15)는 절단되지 않는다. 가위로 느슨한 실을 절단할 경우 소위 날이 씹히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재(10)를 완전히 절단시키기 위해서는 제1단위심재(11)를 절단시킨 다음, 제2단위심재(12)가 팽팽해지도록 선재(1)를 당겨서 제2단위심재(12)를 절단하고, 다시 제3단위심재(13)가 팽팽해지도록 선재(1)를 당겨서 제3단위심재(13)를 절단하는 등 여러 번의 절단과정을 거쳐야 한다. 결과적으로 선재(1)를 절단시키기가 쉽지 않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재(10)는 고장도 PE 섬유다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더 나아가 심재(10)는 소재가 상이한 2종 이상의 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심재(10)는 강선과 같은 금속선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인장강도가 뛰어난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소재로 된 단위심재를 인장력을 다르게 하여 튜브(20) 내에 설치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심재(10)는 길이가 가장 짧은 제1단위심재(11)는 중심에 배치되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제2,3단위심재(12,13)는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길이가 길어질수록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다.
즉 인장부인 제1단위심재(11)가 중심에 배치되어 절단시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더욱 절단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선재 10 : 심재
11,12,13,14,15 : 제1,2,3,4,5 단위심재
20 : 튜브 30 : 외피

Claims (4)

  1. 실다발로 이루어진 심재(10);
    상기 심재(10)를 감싸는 튜브(20);
    상기 튜브(20)를 감싸는 것으로서 직물 형태로 되어 있는 외피(30); 및
    상기 심재(10), 튜브(20) 및 외피(30)의 양단부가 서로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심재(10)는 2종 이상의 길이를 가진 단위심재로 구성되고,
    상기 2종 이상의 길이를 가진 단위심재 중 상기 2종 이상의 길이를 가진 단위심재를 당겼을 때 심재(10)의 길이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단위심재에 의한 인장부와, 그외의 단위심재로 구분되는 비인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장부는 심재(10)를 길이방향으로 당겼을 때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인장되는 것이고, 상기 비인장부는 심재(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심재(10)를 길이방향으로 당겼을 때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인장되지 못하고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2종 이상의 길이를 가진 단위심재 중 길이가 가장 짧은 단위심재는 중심에 배치되고 길이가 길어질수록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선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10)는 소재가 상이한 2종 이상의 단위심재이고,
    상기 심재(10)는 고강도 PE섬유로 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30)는 난연성을 가진 아라미드 섬유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선재.

  3. 삭제
  4. 삭제
KR1020200053168A 2020-05-04 2020-05-04 잠금장치용 선재 KR10217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168A KR102171545B1 (ko) 2020-05-04 2020-05-04 잠금장치용 선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168A KR102171545B1 (ko) 2020-05-04 2020-05-04 잠금장치용 선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545B1 true KR102171545B1 (ko) 2020-10-29

Family

ID=7312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168A KR102171545B1 (ko) 2020-05-04 2020-05-04 잠금장치용 선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54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157U (ja) * 1995-10-27 1996-05-17 株式会社斉工舎 ワイヤ錠
JP2002339280A (ja) * 2001-05-21 2002-11-27 Toray Ind Inc 高剪断コードおよびカールコード
JP2003184386A (ja) * 2001-12-18 2003-07-03 Tokyo Seiko Co Ltd 防犯用連結具
JP2004256975A (ja) * 2003-02-27 2004-09-16 Konno Yuki 耐刃物切断性に優れた金属・繊維複合ロープ
KR200377335Y1 (ko) * 2004-12-09 2005-03-10 송원호 기능성 끈
JP4540245B2 (ja) * 2001-03-29 2010-09-08 株式会社アルファ ワイヤ錠
KR20100138419A (ko) 2009-06-25 2010-12-31 곽민제 자전거 잠금 장치
KR101062598B1 (ko) 2008-10-30 2011-09-06 이문수 와이어 자물쇠
KR101335549B1 (ko) 2011-08-03 2013-12-02 정진안 잠금장치
KR20160087412A (ko) 2015-01-13 2016-07-22 (주)디에스일렉트론 자전거용 와이어식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157U (ja) * 1995-10-27 1996-05-17 株式会社斉工舎 ワイヤ錠
JP4540245B2 (ja) * 2001-03-29 2010-09-08 株式会社アルファ ワイヤ錠
JP2002339280A (ja) * 2001-05-21 2002-11-27 Toray Ind Inc 高剪断コードおよびカールコード
JP2003184386A (ja) * 2001-12-18 2003-07-03 Tokyo Seiko Co Ltd 防犯用連結具
JP2004256975A (ja) * 2003-02-27 2004-09-16 Konno Yuki 耐刃物切断性に優れた金属・繊維複合ロープ
KR200377335Y1 (ko) * 2004-12-09 2005-03-10 송원호 기능성 끈
KR101062598B1 (ko) 2008-10-30 2011-09-06 이문수 와이어 자물쇠
KR20100138419A (ko) 2009-06-25 2010-12-31 곽민제 자전거 잠금 장치
KR101335549B1 (ko) 2011-08-03 2013-12-02 정진안 잠금장치
KR20160087412A (ko) 2015-01-13 2016-07-22 (주)디에스일렉트론 자전거용 와이어식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128B1 (ko) 광 케이블
US8136438B2 (en) Arborist's climbing rope
US6088499A (en) Fiber optic cable with ripcord
US5577299A (en) Quick-release mechanical knot apparatus
RU2006134407A (ru) Тросообра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ES2904461T3 (es) Cable de seguridad para asegurar objetos móviles
WO2014097666A1 (ja) 高強力繊維線材及び該高強力繊維線材を有してなる複合材
NO336644B1 (no) Kappe for et langstrakt legeme
CA2639316A1 (en) Lifesaving rope
US6658187B2 (en) Optical fiber cable assembly with interstitial support members
KR102171545B1 (ko) 잠금장치용 선재
US10310192B2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JP7273960B2 (ja) ローラブルリボンおよび中央強度部材を有する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09706765B (zh) 一种适用于空间位置保持固定的定点定力连接破断结构
NO162877B (no) Baerestolpe, saerlig for elektriske ledninger eller telefonlinjer.
JP2017201090A (ja) 耐震補強材
US20180027788A1 (en) Fishing Rod
KR102153730B1 (ko) 와이어락 및 이 와이어락에 사용되는 와이어 제조방법
JP6576865B2 (ja) 不燃性炭素繊維複合材
KR20020090126A (ko) 내손상성 낚시대
CN110219188B (zh) 一种聚烯烃单丝乳胶弹力绳及其连续生产方法
US1862505A (en) Reenforced rope or cord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156471B1 (de) Saite für ein Musikinstrument
KR102434213B1 (ko) 낚싯대 부속품용 부속품 고정구 및 부속품 고정 방법
JP4282519B2 (ja) 長さ調節可能なループ状コ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