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46B1 -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46B1
KR102171346B1 KR1020200050896A KR20200050896A KR102171346B1 KR 102171346 B1 KR102171346 B1 KR 102171346B1 KR 1020200050896 A KR1020200050896 A KR 1020200050896A KR 20200050896 A KR20200050896 A KR 20200050896A KR 102171346 B1 KR102171346 B1 KR 10217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ir
buffer tank
suspension brid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나
Original Assignee
정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나 filed Critical 정한나
Priority to KR102020005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에 사용되는 공기를 순환시켜 재사용하여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가 제공된다.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는, 피복재로 둘러싸인 철심다발로 이루어져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에 습기를 제거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에 있어서, 피복재가 제거되어 철심다발이 노출된 케이블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어 건조공기를 철심다발로 공급하는 급기유닛과, 피복재가 제거되어 철심다발이 노출된 케이블에 급기유닛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며 철심다발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닛과,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급기관을 통하여 급기유닛과 연결되고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유닛과 연결된 버퍼탱크와, 버퍼탱크에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제습유닛과, 버퍼탱크 또는 급기관 상에 결합되어 버퍼탱크 내부의 건조공기를 급기유닛으로 공급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Dehumidifier of Cable for Suspention Bridges}
본 발명은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에 사용되는 공기를 순환시켜 재사용하여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하천, 강, 바다의 좁은 해협 등에 가로질러 놓은 구조물로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중요한 시설물 중 하나이다. 교량은 육지 사이를 연결하여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만들어지며 미적으로도 아름답게 만들어진다.
다양한 종류의 교량들 중 하나인 현수교는 상판이 케이블에 매달려 있는 구조로,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케이블 내부에는 가늘고 강한 철사들의 집합인 철사 묶음이 위치하여 교량의 하중을 지탱한다. 철사 묶음은 표면을 감싸며 보호하는 피복으로 감싸지며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다. 철사 묶음은 피복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지만 세월이 지남에 따라 습한 공기가 스며들어 부식되기도 한다. 철사가 부식되는 정도가 심하여 케이블이 끊어지면 이는 대형사고로 이어지므로 케이블 내부의 습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에 제습장치를 이용하여 현수교의 부식을 방지하고자 하는 장치가 도입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현수교 제습장치는 구조물 전체에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장치로 일반적인 구조물에 적용되는 장치와 별 차이가 없었고, 현수교용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제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06174호 (2010. 12. 2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에 사용되는 공기를 순환시켜 재사용하여 제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는, 피복재로 둘러싸인 철심다발로 이루어져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에 습기를 제거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가 제거되어 상기 철심다발이 노출된 상기 케이블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어 건조공기를 상기 철심다발로 공급하는 급기유닛과, 상기 피복재가 제거되어 상기 철심다발이 노출된 상기 케이블에 상기 급기유닛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철심다발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닛과,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급기관을 통하여 상기 급기유닛과 연결되고 배기관을 통하여 상기 배기유닛과 연결된 버퍼탱크와, 상기 버퍼탱크에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제습유닛과, 상기 버퍼탱크 또는 상기 급기관 상에 결합되어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건조공기를 상기 급기유닛으로 공급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급기유닛과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피복재 사이로 노출된 상기 철심다발을 밀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철심다발을 관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닛은, 상기 커버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케이블을 중앙에 두고 양측에서 가압하여 결합되는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은 상기 철심다발의 외주면 전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상기 철심다발을 중앙에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닛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기준압력 이상에서 개방되어 상기 커버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탱크는 현수교의 상판을 지지하는 거더(girder) 내부가 밀폐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유닛은 상기 버퍼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버퍼탱크 내부를 제습할 수 있다.
상기 급기관과 상기 배기관은, 현수교의 케이블과 상판을 연결하는 수직케이블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버퍼탱크를 형성하는 거더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는, 케이블을 제습하는데 사용되는 공기를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켜 재사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동시에 제습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 제습에 사용되는 공기를 순환시켜 평균 습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습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제습기로 다량의 케이블을 제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가 설치된 현수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급기유닛의 부분 절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버퍼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공기순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가 설치된현수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1)는 현수교(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2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여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케이블(20)은 피복재(20b) 내부에 여러 가닥의 철심다발(도 3의 20a참조)이 수용되어 있어 습기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녹과 같은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1)는 케이블(20)의 전 구간을 제습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마다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을 설치하여 케이블(20) 내부에 건조공기를 순환시킨다. 또한,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1)는 교량부분의 지지구조인 거더(26) 내부의 빈 공간을 버퍼탱크(260)로 활용하여 우천시와 같이 갑자기 습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건조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1)는 피복재(20b)로 둘러싸인 철심다발(20a)로 이루어져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20)에 습기를 제거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1)에 있어서, 피복재가 제거되어 철심다발(20a)이 노출된 케이블(20)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어 건조공기를 철심다발(20a)로 공급하는 급기유닛(100)과, 피복재가 제거되어 철심다발(20a)이 노출된 케이블(20)에 급기유닛(100)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며 철심다발(20a)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닛(200)과,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급기관(101)을 통하여 급기유닛(100)과 연결되고 배기관(201)을 통하여 배기유닛(200)과 연결된 버퍼탱크(260)와, 버퍼탱크(260)에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제습유닛(270)과, 버퍼탱크(260) 또는 급기관(101) 상에 결합되어 버퍼탱크(260) 내부의 건조공기를 급기유닛(100)으로 공급하는 송풍유닛(280)을 포함한다.
현수교(10)는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교각을 최소화하고 교량의 하중을 복수 개의 주탑(22)을 기반으로 하여 케이블(20)을 통하여 지지하는 방식의 다리이다,이러한 현수교(10)는 대부분의 하중을 두 개의 주케이블이 지지하고 있어 케이블의 관리가 대단히 중요하다. 케이블(20)은 주탑(22)에걸쳐져 상판(25)의 양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늘어지고 있으며, 상판(25)과는 여러 줄의 수직케이블(20)로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20)은 피복재(도 3의 20b 참조)로 둘러싸인 철심다발(도 3의 20a참조)로 구성된다. 즉, 케이블(20)은 하나의 굵은 철심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가는 여러 가닥의 철심이 다발을 이루어 구성된다. 이러한 철심다발(도 3의 20a참조)은 피복재(도 3의 20b 참조)에 의해 외부와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된다. 철심다발(20a)은 철에 구리, 크롬 등의 금속재가 포함된 합금 형태로 이루어져 강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으나, 금속의 특성상 녹이 슬거나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철심다발(20a)은 가느다란 철심이 다발을 이루어 형성되면서 철심 사이에 공간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간으로 공기나 습기 등이 유입될 수 있어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철심이 부식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철심다발(20a)을 보호하기 위하여 피복재(20b)가 밀봉을 하고 있으나, 현수교(10)가 설치되는 해상 등의 가혹 조건에서 피복재(20b)가 훼손이 될 경우 철심다발(20a)이 부식 조건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을 통하여 철심다발(20a) 속에 건조공기를 순환시켜 습기에 의한 철심다발(20a)의 부식을 방지한다.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은 케이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각각 건조공기를 급기하고 배기할 수 있다. 즉, 건조공기는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을 통하여 케이블(20) 속을 순환하게 된다. 급기유닛(100)은 케이블(20) 속으로 건조공기를 주입하는 부분이며, 배기유닛(200)은 케이블(20)을 통과한 공기를 회수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급기유닛(100)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는 건조한 공기이며, 배기유닛(20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황에 따라 습기가 포함된 습한 공기일 수 있다. 이러한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은 케이블(2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장치의 효율성을 위하여 서로 교대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유닛(100)을 통해 주입된 공기는 이웃하는 배기유닛(2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 사이의 간격은 급기유닛(100)으로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과 피복재(20b)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건조공기는 여러 개의 급기유닛(100)을 통해 케이블(20) 내부로 동시에 들어갈 수 있으며,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며 케이블(20) 내부의 습기를 흡수한 후 여러 개의 배기유닛(200)을 통해 각각 배출되어 버퍼탱크(260)로 순환된다. 즉, 배기유닛(200)은 제습에 사용된 건조공기를 배기관(201)으로 배출하여 버퍼탱크(260)로 이동시키며, 건조공기는 버퍼탱크(260)에서 제습된 후 다시 급기관(101)을 통해 급기유닛(100)으로 주입될 수 있다.
급기관(101)은 제습된 건조공기가 이동하여 케이블(20)로 공급되는 통로이고, 배기관(201)은 케이블(20)의 제습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급기관(101)은 일단부가 급기유닛(100)에 연결되며 반대측 단부는 거더(26)의 내부에 위치하는 버퍼탱크(260)와 연결되며, 배기관(201)은 단부가 배기유닛(200)에 연결되며 반대측 단부는 버퍼탱크(260)와 연결된다. 급기관(101)과 배기관(201)은 케이블(20)과 거더(26)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케이블(20)에 고정되어 케이블(20)과 버퍼탱크(260) 사이를 연결한다. 급기관(101)과 배기관(201)은 케이블(20)과 수직케이블(20)의 배열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버퍼탱크(260)는 내부에 저장공간(261)을 형성하여 건조공기를 저장하며, 급기관(101)과 배기관(201)에 각각 연결되어 케이블(20)로 순환되는 건조공기의 순환경로를 구성한다. 버퍼탱크(260)는 현수교(10)의 교량 구조를 이루는 거더(26)의 일부 구간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더(26)는 교량 구조를 이루는 구조물로 통상 내부에 공간이 존재한다. 버퍼탱크(260)는 이러한 거더(26)의 내부 구조를 별도의 격벽 등을 이용하여 밀폐하고 내부에 제습유닛(270)을 설치하여 건조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버퍼탱크(260)는 케이블(20)로 공급되는 건조공기를 미리 준비하여 급기유닛(100)으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양이 변하더라도 일정하게 건조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버퍼탱크(260) 내부에는 제습유닛(270)이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일정 습도 이하로 유지한다. 제습유닛(270)은 제습용량이 급기유닛(100)으로 공급되는 건조공기의 최대 공급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습유닛(270)은 제습용량이 크지 않더라도 버퍼탱크(260)에 항상 일정한 정도의 건조공기를 미리 생산하여 급기유닛(100)을 통해 일정한 양의 건조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버퍼탱크(260)는 일측에 배기관(201)과 급기관(101)이 연결되어 케이블(20)에 건조공기를 공급한다. 버퍼탱크(260)는 저장공간(261)에 수용된 건조공기를 송풍유닛(280)을 통해 급기관(101)으로 배출하고, 배기관(201)을 통해 들어오는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저장공간(261)에 수용한다.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습유닛(270)에 의해 제습될 수 있다. 저장공간(261)은 급기관(101)과 배기관(201)을 통해 나가고 들어가는 공기의 양보다 월등히 많은 양의 공기를 수용한다. 때문에 배기관(201)을 통해 약간의 습기가 있는 공기가 저장공간(261)에 주입된다 하더라도 저장공간(261) 전체 공기의 습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급기유닛 및 배기유닛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급기유닛의 부분 절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급기유닛의 부분 절개도이고, 도 3의 (b)는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급기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급기유닛(100)은 피복재(20b)가 제거된 케이블(20)의 일정구간에서 철심다발(20a)을 둘러싸며, 철심다발(20a)에 건조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철심다발(20a)은 원형 단면을 갖는 철심 복수 개가 뭉쳐 형성되며, 각 철심들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가 형성된다. 건조공기는 철심다발(20a)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지나며 각각의 철심들의 표면에 있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급기유닛(100)은 커버부(110)를 이용하여 철심다발(20a)을 감싸며, 커버부(110)는 외부로부터 케이블(20) 내부에 이물질이나 외부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로 구성되며, 제1 커버부(110)과 제2 커버부(110)는 각각 중앙측을 향해 가압되며 접하는 면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10)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투명창(120)이 설치되어 커버부(110)의 외측에서 철심다발(20a)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만일 철심다발(20a)이 부식되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작업자는 투명창(120)을 철심다발(20a)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철심다발(20a)의 보수를 위해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10)를 분리하여 커버부(110)를 개봉할 수 있다. 즉, 커버부(110)는 평소에는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필요한 경우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10)가 분리되어 개방될 수 있다.
투명창(120)은 커버부(110)의 일정구역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케이블(20)의 외부에서 케이블(20) 내부에 위치하는 철심다발(20a)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투명창(120)을 통해 철심다발(20a)의 부식 정도나 상태를 직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즉, 투명창(120)은 케이블(20)의 유지 및 보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창(120)은 철심다발(20a)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철심다발(20a)의 상태를 사방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급기유닛(100)은 커버부(110)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구(150)에 급기관(101)이 연결되어, 급기관(101)을 통해 건조공기를 철심다발(20a)에 공급할 수 있다. 연결구(150)는 철심다발(20a)이 수용되는 케이블(20)의 내부공간과 급기관(101)을 연결할 수 있으며, 건조공기는 버퍼탱크(260)에서 공급되어 급기관(101)을 거쳐 케이블(20) 내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연결구(150)의 일측에 부착된 유량계(140)에 의해 유량이 측정될 수 있다.
유량계(140)는 급기유닛(100)으로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유량값은 전기박스(80)를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기박스(80)는 케이블(20)의 상단에 위치하는 로프(70)에 고정부재(71)에 의해 고정되어 유량계(140)와 연동되며 동시에 전선(81)으로 지상의 제어시설과 연동될 수 있다. 전기박스(80)는 케이블(20)에 유입되는 건조공기의 유량 및 상태를 지상의 제어센터와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지상에서 케이블(20)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유량값에 이상이 생긴 경우 특정 급기유닛(100)에 대한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커버부(110)의 일측에는 압력조절밸브(130)가 설치되어 급기유닛(100) 내부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압력조절밸브(130)는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몸체의 일부가 개방되어 급기유닛(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내부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즉, 압력조절밸브(130)는 케이블(20) 내부의 압력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배기유닛(200)은 급기유닛(100)와 동일하게 케이블(20)의 피복재가 제거된 구간에서 커버부(110)로 철심다발(20a)을 둘러싸며 건조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배기유닛(200)은 급기유닛(100)과 유사한 구조로 커버부(110)가 제1 커버부(111)와 제2 커버부(112)로 구성되어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커버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투명창(120)이 형성된다. 또한, 배기유닛(200)은 커버부(1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구(150)를 통해, 연결구(150)에 결합되는 배기관(201)으로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구(150)는 필요에 따라 개폐가 가능하며, 배기관(201)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 자체적으로 외부와 차단될 수도 있다.
또한, 배기유닛(200)은 커버부(110)에 온습도센서가 부착되어 배기유닛(200) 내부의 온도와 습도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온습도센서는 전기박스(80)와 연동될 수 있다. 온습도센서는 전기박스(80)를 통해 지상의 제어센터와 데이터를 공유하며, 관리자는 이를 통해 케이블(20)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버퍼탱크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의 버퍼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3을 참조하면, 버퍼탱크(260)는 거더(26)의 내부에서 차단막(262)에 의해 양단이 밀폐된 저장공간(261)을 형성하며, 저장공간(261)에 건조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거더(26)는 통행이 가능한 상판(25)의 하단에서 상판을 지지하며,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거더(26)는 적은 질량으로 높은 지지력을 구현하기 위해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재가 설치될 수 있다. 차단막(262)은 일부 보강재를 차단하거나, 거더(26) 내부의 일정 구간을 막으며, 버퍼탱크(260)를 형성할 수 있다. 버퍼탱크(260)의 내부에는 제습유닛(270)이 설치되어 저장공간(261)에 수용되는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제습유닛(270)은 저장공간(261)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저장공간(261)에 수용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적정 습도에 맞게 유지할 수도 있다. 제습유닛(270)에 의해 제습된 건조공기는 송풍유닛(280)에 의해 급기관(101)을 거쳐 급기유닛(100)으로 배출되며 철심다발(20a)을 건조시킬 수 있다. 송풍유닛(280)은 급기관(101) 주변에 설치되어 급기관(101)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저장공간(26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수용되는 공기가 골고루 제습되도록 할 수 있다. 버퍼탱크(260)는 복수 개의 급기관(101)과 배기관(20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되는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1)는 케이블(20)에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사용된 건조공기를 버퍼탱크(260)로 다시 회수 및 제습하여 케이블(20) 건조에 재사용할 수 있다. 건조공기는 버퍼탱크(260)의 저장공간(261)에 대량으로 보관되며 제습유닛(270)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습된다. 건조공기는 일정량만큼 송풍유닛(280)에 의해 급기관(101)을 타고 급기유닛(1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건조공기는 급기유닛(100)을 통해 케이블(20) 내부로 들어가며, 케이블(20)의 양방향으로 퍼지며 케이블(20) 내부의 습기를 흡수한다. 사용된 건조공기는 습기를 포함한 상태로 근처의 배기유닛(200)으로 전달되어 배기관(201)을 타고 버퍼탱크(260)로 다시 이동하며, 저장공간(261)에서 제습유닛(270)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어 다시 건조공기로 재사용 될 수 있다. 즉,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1)는 건조공기를 케이블(20)과 버퍼탱크(260)로 순환시켜 케이블(2)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10: 현수교
20: 케이블 20a: 철심다발
20b: 피복재 21: 수직케이블
22: 주탑 25: 상판
26: 거더 70: 로프
80: 전기박스 81: 전선
100: 급기유닛 101: 급기관
110: 커버부 111: 제1 커버부
112: 제2 커버부 120: 투명창
130: 압력조절밸브 140: 유량계
150: 연결구 200: 배기유닛
201: 배기관 260: 버퍼탱크
261: 저장공간 262: 차단막
263: 관통구 270: 제습유닛
280: 송풍유닛

Claims (8)

  1. 피복재로 둘러싸인 철심다발로 이루어져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에 습기를 제거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가 제거되어 상기 철심다발이 노출된 상기 케이블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어 건조공기를 상기 철심다발로 공급하는 급기유닛;
    상기 피복재가 제거되어 상기 철심다발이 노출된 상기 케이블에 상기 급기유닛과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철심다발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닛;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급기관을 통하여 상기 급기유닛과 연결되고 배기관을 통하여 상기 배기유닛과 연결된 버퍼탱크;
    상기 버퍼탱크에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제습유닛; 및
    상기 버퍼탱크 또는 상기 급기관 상에 결합되어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건조공기를 상기 급기유닛으로 공급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유닛과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피복재 사이로 노출된 상기 철심다발을 밀폐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철심다발을 관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유닛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기준압력 이상에서 개방되어 상기 커버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케이블을 중앙에 두고 양측에서 가압하여 결합되는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창은 상기 철심다발의 외주면 전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상기 철심다발을 중앙에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유닛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기준압력 이상에서 개방되어 상기 커버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탱크는 현수교의 상판을 지지하는 거더(girder) 내부가 밀폐되어 형성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유닛은 상기 버퍼탱크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버퍼탱크 내부를 제습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과 상기 배기관은, 현수교의 케이블과 상판을 연결하는 수직케이블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버퍼탱크를 형성하는 거더와 연결되는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KR1020200050896A 2020-04-27 2020-04-27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KR10217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896A KR102171346B1 (ko) 2020-04-27 2020-04-27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896A KR102171346B1 (ko) 2020-04-27 2020-04-27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346B1 true KR102171346B1 (ko) 2020-10-29

Family

ID=7312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896A KR102171346B1 (ko) 2020-04-27 2020-04-27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5259A (zh) * 2021-08-05 2021-11-05 长安大学 用于空间缆索悬索桥吊索张拉的大角度调节装置及方法
CN114232478A (zh) * 2021-09-06 2022-03-25 郑州大学 一种高效的悬索桥主缆除湿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012A (ja) * 1994-12-20 1996-07-09 Honsyu Shikoku Renrakukiyou Kodan ケーブルの防錆方法および装置
JP2001207408A (ja) * 2000-01-31 2001-08-03 Mitsubishi Heavy Ind Ltd 吊構造用ケーブルの防食装置及び吊構造用ケーブルの防食方法
KR101006174B1 (ko) 2008-10-15 2011-01-07 (주)드라이어코리아 교량 제습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3795310U (zh) * 2014-01-08 2014-08-27 中铁大桥局集团武汉桥梁科学研究院有限公司 利用固有索夹进排气的悬索桥主缆除湿系统
CN107354859A (zh) * 2017-07-04 2017-11-17 镇江蓝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悬索桥主缆维护的集成式除湿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7012A (ja) * 1994-12-20 1996-07-09 Honsyu Shikoku Renrakukiyou Kodan ケーブルの防錆方法および装置
JP2001207408A (ja) * 2000-01-31 2001-08-03 Mitsubishi Heavy Ind Ltd 吊構造用ケーブルの防食装置及び吊構造用ケーブルの防食方法
KR101006174B1 (ko) 2008-10-15 2011-01-07 (주)드라이어코리아 교량 제습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3795310U (zh) * 2014-01-08 2014-08-27 中铁大桥局集团武汉桥梁科学研究院有限公司 利用固有索夹进排气的悬索桥主缆除湿系统
CN107354859A (zh) * 2017-07-04 2017-11-17 镇江蓝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悬索桥主缆维护的集成式除湿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5259A (zh) * 2021-08-05 2021-11-05 长安大学 用于空间缆索悬索桥吊索张拉的大角度调节装置及方法
CN114232478A (zh) * 2021-09-06 2022-03-25 郑州大学 一种高效的悬索桥主缆除湿方法
CN114232478B (zh) * 2021-09-06 2023-09-15 郑州大学 一种高效的悬索桥主缆除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346B1 (ko) 현수교의 케이블 제습장치
CN2412029Y (zh) 一种桥梁拉索防护装置
US7010824B2 (en) Method for anchoring parallel wire cables and suspension system for a construction work
CN106958198B (zh) 一种新型斜拉索
JP4467620B2 (ja) ステーケーブルを備えた構造体の腐食防止システム
KR20150005959A (ko) 케이블 구조물의 케이블 앵커 장치를 위한 씰
RU255702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конца натяжного троса
CN110518504A (zh) 一种高压电缆附件的封闭式安装环境系统及其搭建方法
US3909863A (en) Bridge crane girder
CN110080106B (zh) 一种管道法预制平行钢丝吊索
CN210420865U (zh) 一种管道法预制平行钢丝吊索
CN111780542A (zh) 一种斜拉桥分丝管索鞍的除湿结构及除湿系统
JP3173956B2 (ja) ケーブルの防錆方法および装置
CN214573336U (zh) 一种斜拉桥分丝管索鞍的除湿结构及除湿系统
CA1293540C (en) Aerial cable with closure drain and ve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EP1616053A1 (en) Dehumidification protecting system for main cables on suspension bridges
CN112323624A (zh) 一种斜拉桥分丝管索鞍的除湿结构及除湿系统
JP2001207408A (ja) 吊構造用ケーブルの防食装置及び吊構造用ケーブルの防食方法
CN216891949U (zh) 一种拉索预埋管除湿系统
KR102499501B1 (ko) 포스트텐션 덕트 내 강연선 부식 측정 시스템
KR102492691B1 (ko) 침수 방지 분전반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침수 방지 시스템
CN207764443U (zh) 一种光缆交接箱
CN210151576U (zh) 一种拉索和吊杆的锚具保护装置
CN212010479U (zh) 一种抗拉耐磨型架空绝缘电缆
JPH03382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