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171B1 - 제습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제습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171B1
KR102171171B1 KR1020200108651A KR20200108651A KR102171171B1 KR 102171171 B1 KR102171171 B1 KR 102171171B1 KR 1020200108651 A KR1020200108651 A KR 1020200108651A KR 20200108651 A KR20200108651 A KR 20200108651A KR 102171171 B1 KR102171171 B1 KR 10217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hicle lamp
thermoelectric element
air
el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171B9 (ko
Inventor
김동환
김정민
윤태영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171B1/ko
Priority to US17/167,32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59789B2/en
Publication of KR10217117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17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2Forced cooling
    • F21S45/43Forced cooling using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2Forced cooling
    • F21S45/43Forced cooling using gas
    • F21S45/435Forced cooling using gas circulating the gas within a closed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60Heating of lighting devices, e.g. for dem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용 램프가 개시된다. 본 차량용 램프는 광원,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광원 및 글래스를 지지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냉풍 및 온풍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유닛, 열전소자 유닛에서 발생되는 냉풍 및 온풍 중 하나를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 유로 및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열전 소자 유닛은, 제1 유로에 연결되며, 냉기 및 온기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1 파트, 제2 유로에 연결되며, 냉기 및 온기 중 다른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2 파트, 제1 파트 및 제2 파트의 배치 공간을 구획하며, 상면에 개구가 형성된 바디부 및 바디부의 개구에 배치되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팬을 포함하며, 열전 소자 유닛은 하우징의 외부 배면의 상단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제습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VEHICLE LAMP WITH DEHUMIDIFICATION}
본 개시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열전 소자 유닛을 이용하여 램프 내부를 제습 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헤드램프, 백램프, 사이드 램프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내·외부의 온도와 습도 차로 인해 내부에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결로가 차량용 램프 내에 설치된 광원과 글래스에 생기는 경우, 결로는 광원의 광 효율을 떨어트리고 시계 확보가 어렵게 되고 광원의 수명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차량용 램프 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전 소자를 구동하고 유로를 이용하여 차량용 램프의 하우징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상기 광원 및 상기 글래스를 지지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냉풍 및 온풍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유닛, 상기 열전소자 유닛에서 발생되는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하나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 유로 및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은, 상기 제1 유로에 연결되며, 냉기 및 온기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1 파트, 상기 제2 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냉기 및 온기 중 다른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2 파트,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의 배치 공간을 구획하며, 상면에 개구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개구에 배치되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팬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배면의 상단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파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팬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는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의 하단에 배치되는 송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내부 센싱부를 포함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소자 유닛에 제공되는 전기 신호의 극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는 외부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센싱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외부 센싱부의 획득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배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용 램프가 탑재된 차량의 프로세서로부터 외부 온도 및 외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와 비교하여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하나가 상기 글래스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상기 글래스 방향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상기 글래스의 외측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은,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에 접촉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은,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측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열전 소자 유닛과 유로를 이용하여 차량용 램프 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차량의 선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차량의 전장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로서, 차량용 램프에 구비된 구성을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유닛과 제1 유로, 제2 유로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유닛과 제1 유로, 제2 유로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유닛'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닛'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유닛'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가 차량(10)의 선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10)의 선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은 승용차, 이륜차, 화물차와 같은 모든 차량을 포괄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선단부의 전조등 및 상향등뿐만 아니라 차량(10)의 후방에도 배치될 수도 있으며, 안개등, 방향 지시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장치까지 이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차량용 램프(100)는 열차, 선박, 항공기의 범위까지 확대될 수 있으며, 차량이 아닌 조명 기구인 가정용 조명, 공업용 조명, 무대 조명, 국부 조명, 가로등에 이르기 까지 램프가 구비될 수 있는 기구라면 적용가능하여,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사륜 자동차의 헤드 램프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차량(10)은 전원을 차량용 램프(10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차량(10)은 엔진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 에너지를 이차 전지에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은 이차 전지에 충전된 전원을 차량용 램프(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이 전기 동력만으로 구동한다면, 이자 전지는 가정용 어댑터 또는 전기 충전소에서 제공한 전원으로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설정된 조건이 발생하면 차량용 램프(100)가 빛을 조사하도록 차량용 램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 외부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 차량(10)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차량용 램프(100)가 빛을 조사하도록 차량용 램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10)의 구체적인 전장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10)의 전면으로 빛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램프(100)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110)을 구비하며, 차량(10)의 제어에 따라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램프(100)는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가 기설정된 상태가 되면 내부에 구비된 열전 소자 유닛(130)을 이용하여 습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차량(10)의 전장에 탑재된 중앙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와 연동하지 않고 차량용 램프(100)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차량용 램프(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차량(10)은 자체적으로 습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100)를 이용하는 바, 배광 성능을 향상하며 램프의 수명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차량(10)의 전장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은 프로세서(11), 전원 공급부(12) 및 차량용 램프(100)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차량(1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는 사용자의 조작 및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차량용 램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차량(10)에 구비된 각종 전자부품의 상태를 체크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르게는, 프로세서(11)는 중앙 제어 장치나 센터페시아 등으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세서(11)로 통칭한다.
프로세서(11)는 차량(1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량용 램프(1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는 차량(1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이면 차량용 램프(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는 시동이 걸린 상태이거나 준비 상태이면 차량용 램프(1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는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도 차량용 램프(100)의 동작이 필요한 시점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1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는 이차 전지(또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차량(10) 내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2)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차량용 램프(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은 차량용 램프(100)에 전원 공급뿐만 아니라, 차량용 램프(100)의 광원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도 전달할 수도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프로세서(11)에서 제공한 제어 신호 및 전원 공급부(12)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헤드라이트 모듈, 헤드라이트 장치, 램프, 램프 모듈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프로세서(11)의 제어없이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차량(10)을 구성하는 간단한 전장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 차량(10)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 램프의 동작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광원(110), 하우징(101), 글래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은 빛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광원(110)은 차량용 램프(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01)의 일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 또는 프로세서(11)의 제어에 따라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광원(110)이 2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광원의 개수나 배치 위치,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110)은 LED 램프이거나, 할로겐 램프, HID 램프, 백열 램프 등 다양한 발광 부품이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101)은 차량용 램프(100) 내의 각 구성을 지지할 수 있고,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광원(110)과 반사층(111)이 배치되고, 하우징(101)의 전면에는 글래스(102)가 배치되며, 하우징(101)의 배면 상단의 홀을 통하여 제1 유로(140)가 결합되며, 하측에는 송풍구(103)가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우징(101)의 배면 하단의 홀을 통하여 제1 유로(140)가 결합되며, 상단에는 송풍구(103)가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01)의 내측 일 면에는 광원(110)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1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1)은 내부 절연을 위하여 절연 물질로 구성되고, 절연 물질의 상부면, 즉, 광원(110)이 배치되는 일 면에는 반사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111)은 광원(110)에서 조사된 빛 중 전면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는 빛을 전면 방향으로 반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알루미늄과 같은 물질일 수 있다. 한편, 구현 시에는 반사 기능을 갖는다면 알루미늄 이외에 다른 물질이 이용될 수도 있다.
글래스(102)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0)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우징(101)의 전면의 개구를 덮는다. 광원(110)은 빛을 글래스(102) 방향으로 조사하고, 글래스(102)는 광원(110)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글래스(102)는 광원(110)에서 발사된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재질을 가지고, 아우터 렌즈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구현 시에 글래스(102)는 차량용 램프(100)의 종류에 따라 특정 색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로서, 차량용 램프(100)에 구비된 구성을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열전 소자 유닛(130), 제2 유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 소자 유닛(130)은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냉기 또는 온기를 방출하는 장치로서, 열전 소자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일면이 냉각 또는 가열되는 현상인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소자로, 펠티에 소자로 지칭될 수 있다.
열전 소자는 크기 및 형상에 제한이 없으므로, 가로와 세로 길이가 4cm 내지 7cm에 높이는 1cm 이내의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100)의 크기와 차량(10) 내부 구조에 따라 크기와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열전 소자는 복수의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반도체부, 반도체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 배치되어 반도체부에서 발생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받는 두 개의 세라믹 판, 각 세라믹 판에 마련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확산시키는 복수의 핀 등으로 구성된다.
제1 파트(131)는 두 개의 세라믹 판 중 하나와 그 세라믹 판에 마련된 복수의 핀을 의미하고, 제2 파트(132)는 반대측 세라믹 판과 핀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열전 소자는 전류가 일정 방향으로 흐를 때 제1 파트(131)가 냉각되며 제2 파트(132)는 가열될 수 있고, 전류가 그 반대 반향으로 흐를 때 제1 파트(131)는 가열되며 제2 파트(132)는 냉각될 수 있다.
열전 소자 유닛(130)은 하우징(101)의 외부 배면의 상단에 위치되며 하우징(101)의 외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 할 수 있다.
열전 소자 유닛(130)이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열교환이 일어나는 제1 파트(131) 및 제2 파트(132)와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135)의 크기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나, 열전 소자 유닛(130)은 하우징(101)의 외부 배면에 위치함으로서 각 부품의 부피에 제약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열전 소자 유닛(130)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전 소자 유닛(130)이 점검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열전 소자 유닛(130)은 하우징(101)의 외부 배면에 위치함으로서 하우징(101)을 분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열전 소자 유닛(130)을 점검하고 수리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열전 소자 유닛(130)은 하우징(101)의 외부 배면에 위치함으로서 내부에 위치한 실시예보다 하우징(101) 내부의 온도 제어 성능이 향상되며, 수리와 점검이 용이해질 수 있다.
열전 소자 유닛(130)은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냉기 및 온기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1 파트(131)와 하우징(1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1 파트(131)의 상측에 배치되며,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냉기 및 온기 중 다른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2 파트(132)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137)는 제1 파트(131) 및 제2 파트(132)의 배치 공간을 구획하며, 상면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37)에 의하여 제1 파트(131)와 제2 파트(13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파트(132)가 제1 파트(131)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37)는 제1 파트(131), 제2 파트(132) 및 팬(135)을 지지하며 팬(135)에 의하여 개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1 파트(131) 및 제2 파트(132)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팬(135)은 바디부(137)의 개구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바디부(137)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하우징(101)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 팬(135)이 구동되면, 팬(135)은 하우징(101)의 외부 공기를 열전 소자 유닛(130)의 내부로 유입시키며, 유입된 공기는 제1 파트(131) 또는 제2 파트(132)를 통과하며 열교환하여 각각 냉풍 또는 온풍 중 하나로 바뀌게 된다.
팬(135)의 종류와 형상은 제약이 없으나, 적어도 일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이 적용되는 산업분야에 따라 고속 팬, 무소음 팬, 소형 팬 등의 다양한 종류와 형상의 팬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열전 소자 유닛(130)은 제1 유로(140), 제2 유로(145)를 포함한다. 냉풍 및 온풍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유로를 추가할 수 있다.
제1 유로(140)는 열전 소자 유닛(130)의 제1 파트(131)에 연결되고, 제2 유로(145)는 제2 파트(13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유로(140)는 제1 파트(131)에서 발생되는 냉풍 및 온풍 중 하나를 하우징(101)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고, 제2 유로(145)는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하우징(10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1 유로(140), 제2 유로(145), 팬(135)의 구성 및 형상은 도 6 내지 도7의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송풍구(103)는 하우징(101) 바닥면, 측면, 후면의 상단 또는 후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구(103)는 하우징(10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하우징(101)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이며, 송풍구(103)의 형태나 위치에 따라 배출 방향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1 유로(140)를 통해서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101) 내부를 돌면서 온도를 낮추거나 높이고, 하단에 배치된 송풍구(103)를 통하여 하우징(10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구(103)에는 별도의 송풍구 팬(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송풍구 팬은 배치 방향과 풍량에 따라 송풍구(103)의 배기 방향과 배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의 구동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광원(1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하우징(101)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습도가 높아지며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램프(100)가 가동되어, 제1 유로(140)를 통하여 냉풍이 하우징(101) 내부로 유입된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냉각된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며,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일으켜 하우징(10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이 완료된 공기는 하부에 형성된 송풍구(10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구(103)가 하단에 배치됨에 따라, 하우징(101) 하부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가 배출되고, 상부에서 공기가 들어오며 밀려나는 하우징(10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곧바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구(103)의 개구는 제1 유로(140)의 개구에 비교하여 작을 수 있다. 송풍구(103)의 개구가 좁아짐에 따라서 송풍구(10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빨라지고, 송풍구(103)를 통하여 하우징(101)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센서(120)는 하우징(101)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내부 센싱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센싱부(123)는 차량용 램프(10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 센서와 차량용 램프(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일 수 있다.
센서(120)는 하우징(101)의 외부 배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 센싱부(123)는 하우징(101)의 배면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하우징(101)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열전 소자 유닛(130)에 제공되는 전기 신호의 극성을 전환하여 차량용 램프(100) 내부로 냉풍 및 온풍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하우징(101)의 외부 배면 또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센서(120)에 감지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열전 소자 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8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센서(120)는 하우징(101) 외부의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는 외부 센싱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20)는 하우징(101)의 외부 배면에 배치될 수 있기에, 외부 센싱부(125)는 하우징(101)의 외부 배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하여, 획득 결과를 컨트롤러(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센싱부(125)는 차량(10)의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차량(10) 외부에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내에서 습기와 결로가 발생하는 원인은 글래스(102)를 기준으로 차량(10)의 외부와 하우징(101) 내부의 온도 차이가 주요 원인이다. 그러므로, 외부 센싱부(125)가 차량용 램프(100) 내부에 배치되거나 차량(10) 내부에 배치된다면 상기 온도 및 습도 차이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차량(1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 센싱부(125)를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차량(10)의 프로세서(11)로부터 외부 온도나 습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60)는 프로세서(11)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내부 센서에서 감지한 결과를 비교하여 열전 소자 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내부 센싱부(123)의 감지 결과 및 외부 센싱부(125)의 획득 결과를 비교하여, 열전 소자 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60)에 의한 차량용 램프(100)의 동작은 도 8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차량용 램프(100)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 차량용 램프(100)에는 다양한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의 조사 방향이 변경 가능한 램프는, 조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동 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광원(110)에서 산란된 빛을 반사층(111)으로 유도하는 실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반사층(111)을 둘러싸는 베젤(미도시) 등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유닛(1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전 소자 유닛(130)은 상술한 제1 파트(131), 제2 파트(132), 팬(135)과 바디부(1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135)은 바디부(137)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유입받을 수 있으며, 열전 소자 유닛(130)의 상하 방향의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는, 팬(135)이 바디부(137)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 바디부(137)의 세로 높이의 범위 내의 크기만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팬(135)은 바디부(137)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바디부(137)는 유입된 공기를 제1 파트(131) 및 제2 파트(132)로 가이드하는 구조를 가지기에, 팬(135)은 바디부(137)의 바닥면의 넓이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열전 소자 유닛(130)은 제1 파트(131)와 제2 파트(132)에 접촉하는 복수의 핀(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핀(133)은 공기와 열전 소자의 열교환 시 공기와 닿는 표면적을 늘려주어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핀(133)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핀(133)은 상측 세라믹 판 및 하측 세라믹 판 모두에 배치되어 제1파트 및 제2 파트(132)를 구성한다. 제1파트 및 제2 파트(132)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핀들을 지나면서 가열 또는 냉각된다.
핀(133)의 형태는 원기둥형이나 막대 기둥 형일 수 있고, 공기 진행 방향에 수평한 하나 이상의 판자 형태 일 수도 있으며, 공기를 통과시키고 표면적을 늘려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핀을 방열 부재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제1 파트(131)와 제2 파트(132)는 각각 냉각 또는 가열되기에 열전 소자 유닛(130)은 제1 파트(131)와 제2 파트(132)를 기준으로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에너지 효율을 위하여는 제1 파트(131)에서 발생하는 냉풍 또는 온풍은 냉각 또는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며 하우징(101)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열전 소자 유닛(130) 내에서 불필요한 열교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열전 소자 유닛(130)은 제1 파트(131)와 제2 파트(132)의 측면에 배치되는 단열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134)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단열재(134)는 제1 유로(140)와 제2 유로(145) 사이까지 확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3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 소자 유닛(130)의 구성을 지지하고, 유입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는, 도 5의 제1 파트(131)를 하부, 제2 파트(132)를 상부로 가정할 때, 팬(135)은 하우징(101) 외부의 공기를 제1 파트(131) 및 제2 파트(132)와 직교하는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37)는 하부 방향으로 전달된 공기를 제1 파트(131)와 제2 파트(132)로 분리하여 수평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만약 바디부(137)를 포함하지 않고 열전 소자의 측면에 팬(135)을 직접 배치한 경우에는, 열전 소자 유닛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열전 소자 유닛(130) 내부로 원활하게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는 팬(135)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그런데, 팬(135)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열전 소자 유닛(130)의 개구가 커지며, 전체적인 열전 소자 유닛(130)이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열전 소자 유닛(130)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 배치되기 위하여는 팬의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차량(10)의 후면이나 측면에 별도의 여유 공간을 마련해야 했다.
그런데, 본 개시의 열전 소자 유닛(130)은 하우징(101)의 상부에 배치되고, 바디부(137)에 의해 팬(135)이 공기를 유입시키는 방향을 상부에서 하부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열전 소자 유닛(130)의 수평 길이만 길어지면 충분한 팬(135)의 크기는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팬(135)이 열전 소자 유닛(13)의 측면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열전 소자 유닛(130)은 하우징(101) 상부에 결합되며, 상하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는 차량(10)의 내부 공간 확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램프(100) 하우징(101)에 적용되어,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100)에 하나의 열전 소자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열전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과 도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유닛(130)과 제1 유로(140), 제2 유로(145)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유로(140)에 있어, 도6과 도7을 참조하면, 제1 유로(140)는 냉풍 및 온풍 중 하나가 글래스(102)의 내측면을 따라 하우징(101)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글래스(102) 방향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유로(140)가 글래스(102) 방향으로 단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제1 파트(131)의 냉풍 또는 온풍은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 전반으로 전달될 수 있고, 하우징(101) 내부 전반의 온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하우징(101) 내부에서의 온도 차이에 의한 역대류를 방지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나팔 형태의 제1 유로(140)를 만드는 경우 글래스(102)에 최대한 넓은 면적에 퍼져서 온풍이나 냉풍이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유로(140)의 배출구를 전부 개방시키지 않고 글래스(102) 중에서 습기가 잘 맺히는 부분에만 중점적으로 온풍이나 냉풍이 전달되도록 배출구 일부는 뚫리고 일부는 막히는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는, 배출구를 그대로 오픈시키지 않고 폐쇄된 형태로 만들면서 복수의 구멍을 뚫어서 구멍을 통해서 온풍이나 냉풍이 글래스(102) 측으로 나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의 면적을 줄이면 팬(135)의 구동력을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좀 더 강한 바람이 글래스(102)로 전달 될 수 있다.
제2 유로(145)에 있어, 도 6을 참조하면, 제2 유로(145)는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글래스(102)의 외측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글래스(102) 외측 방향은 차량(10)의 외부 방향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10) 외부로 직접 배출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제2 유로(145)를 형성하게 되면 제1 유로(140)에서 배출되는 바람과 다른 성격의 바람이 글래스 외부로 전달된다. 가령 제1 유로(140)에서 글래스 내측으로 온풍이 출력되고 제2 유로(145)에서 글래스 외측으로 냉풍이 출력된다면, 글래스 안팎의 온도차가 더 빨리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100)의 뒤쪽이나 윗쪽 등에 배치되는 다른 부품들이나 보닛 등에 온풍이나 냉풍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유로(145)는 도 7과 같이 차량용 램프(100)의 후측 방향, 즉, 하우징(101)의 배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145)는 제1 유로(140)와 반대로 냉풍 또는 온풍을 배출하므로, 제1 유로(140)와 제2 유로(145)의 진행방향을 달리하여 제1 유로(140)와 제2 유로(145)간의 불필요한 2차 열교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145)가 도 7과 같이 배치될 경우, 차량용 램프(100) 후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10)의 프로세서(11)와 구분되어 독자적으로 전원 공급부(1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가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치 위치에 따라 차량(10)의 기능상의 필요에 부합하도록 차량용 램프(100) 후면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전달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60)는 전원부(15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차량(10)의 전원 공급부(12)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차량용 램프(100) 내의 각 구성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러(160)는 전원부(150)의 전원을 광원(110)에 제공한다. 이때, 컨트롤러(160)는 프로세서(11)에서 제공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광원(11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60)는 센서(120)에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열전 소자 유닛(130)의 전원을 독자적으로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60)는 센서(120)에서 감지된 습도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 넘으면 열전 소자 유닛(130)이 동작하도록 전원부(150)의 전원을 열전 소자 유닛(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60)는 감지된 습도 값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듀티로 열전 소자 유닛(1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50)는 50~60% 습도 값에서는 30% 듀티의 전원을 열전 소자 유닛(130)에 제공하고, 60~70% 습도 값에서는 50% 듀티의 전원을 열전 소자 유닛(130)에 제공하고, 70% 이상에서는 100% 듀티(즉, 전원을 계속 공급)의 전원을 열전 소자 유닛(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수치 값은 일 예에 불과하고, 열전 소자의 용량, 팬(135)의 풍량,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 공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10)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100) 하우징(101)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고 습도가 높아진 경우, 컨트롤러(160)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100) 내의 온도를 낮춰 습기를 제거해야 한다.
습도 범위가 습도를 낮춰야 할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기설정된 크기 및 극성의 전원이 열전 소자 유닛(130)에 제공되어, 제1 파트(131)를 냉각시키고 팬(135)을 가동할 수 있다. 제1 파트(131)에서 냉각된 공기는 제1 유로(140)를 통하여 하우징(101) 내부로 전달됨에 따라 차량용 램프(100) 내의 온도는 낮아진다. 그리고 습도가 높은 뜨거운 내부 공기는 송풍구(103)를 통하여 하우징(101) 외부로 배출되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겨울에는 냉각 방식으로 습기를 제거하는 게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센싱부(125)에 의하여 측정된 온습도 값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60)는 차량용 램프(100) 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60)는 열전 소자 유닛(130)의 제1 파트(131)를 가열시키고, 팬(135)을 가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이용하면 차량용 램프(100) 내의 상대 습도가 높아지고, 송풍구(103)를 통하여 습도가 높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글래스(102)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컨트롤러(160)는 센서(120)를 통하여 내부의 습도가 높은 공기를 배출한 것을 확인한 후, 열전 소자 유닛(130)의 전원을 다시 제어하여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는 센서(120)에서 전달되는 측정값에 따라 컨트롤러(160)에 의해 열전 소자가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차량용 램프(1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램프(100)의 배광 성능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컨트롤러(160)는 집적회로, MPU, ASIC, 프로세서(11) 등의 구성과 열전 소자 유닛(130)의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60)의 열전 소자 유닛(130) 제어 시스템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일 수 있다.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서 냉풍 및 온풍 중 하나가 습기 제거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의 제조업체에서는 차량용 램프의 내부 온도 및 습도와, 외부 온도 및 습도를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각 온도 및 습도 조건에서 습기 제거가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는 구동 조건을 반복 실험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 내부에 메모리가 마련되는 경우, 메모리에 온습도 조건 및 구동 조건을 서로 매칭시켜 저장해 둘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센서(120)의 내부 센싱부(123)와 외부 센싱부(125)의 감지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현재의 온습도 조건을 결정하고, 그 조건에 매칭되는 구동 조건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그 조건에 따라 열전 소자 유닛(1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습기 제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컨트롤러(160)가 열전 소자 유닛(130)의 제어 기능 및 전원 공급 기능 모두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두 기능은 복수의 소자가 구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어 기능은 별도의 집적회로가 수행하고, 전원 공급 기능은 복수의 스위칭 소자가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위칭 소자는 H 브리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자체적으로 차량용 램프(100) 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10)의 시스템의 리소스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컨트롤러(160)가 광원(110)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 광원(110)은 프로세서(11)에 의하여 직접 제어되고, 컨트롤러(160)는 광원(11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컨트롤러(160)는 프로세서(11)의 제어 없이 차량용 램프(100) 내의 습도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컨트롤러(160)가 감지된 온도 및 습도에 따라서만 열전 소자 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 컨트롤러(160)는 광원(110)의 동작 유무도 고려하여 열전 소자 유닛(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소자 유닛(1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열전 소자 유닛(130)은 하우징(101)의 상측의 홀(hole)에 배치될 수 있고, 센서(120)는 하우징(101) 내의 광원(110)의 후방에 배치될수 있다.
차량용 램프(100)는 그 특성상 차량의 전방, 측방, 후방과 같이 끝 부분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100) 뒤쪽에는 다른 부품들이 많이 탑재된다. 이에 따라, 새로운 부품을 추가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며,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차량용 램프(100)의 구조만이 아니라 차량 자체의 부품 레이아웃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도 9와 같이 차량용 램프(100)의 상측에 열전 소자 유닛(130)을 배치하게 되면, 차량용 램프(100)의 하우징(101) 상측에 홀을 뚫어서 열전 소자 유닛(130)을 배치하고 유로 부분만 추가하면 되므로, 타 부품들의 형태나 배치 구조를 바꾸지 않아도 되므로 호환성이 매우 증대된다.
센서(120)는 하우징(101) 내에서 광원(110)의 후방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20)는 반사층(11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120)가 광원(110)의 전방에 위치할 경우, 차량용 램프(100)의 구동 시 광원(11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차량용 램프(100)의 내부 온도와 습도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광원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차량 11: 프로세서
12: 전원 공급부 100: 차량용 램프
110: 광원 120: 센서
130: 열전 소자 유닛 140: 제1 유로
145: 제2 유로 160: 컨트롤러

Claims (12)

  1. 광원,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되는 글래스, 상기 광원 및 상기 글래스를 지지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냉풍 및 온풍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유닛, 상기 열전소자 유닛에서 발생되는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하나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1 유로 및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은,
    상기 제1 유로에 연결되며, 냉기 및 온기 중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1 파트;
    상기 제2 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냉기 및 온기 중 다른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2 파트;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의 배치 공간을 구획하며, 상면에 개구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개구에 배치되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팬;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배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팬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는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로 가이드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의 하단에 배치되는 송풍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내부 센싱부를 포함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열전 소자 유닛에 제공되는 전기 신호의 극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하우징 외부의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는 외부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부 센싱부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외부 센싱부의 획득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 배면에 위치되는 차량용 램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용 램프가 탑재된 차량의 프로세서로부터 외부 온도 및 외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와 비교하여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하나가 상기 글래스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대류하도록 상기 글래스 방향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상기 글래스의 외측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 차량용 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냉풍 및 온풍 중 다른 하나를 상기 하우징의 배면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 차량용 램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은,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에 접촉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소자 유닛은,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의 측면에 배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200108651A 2020-02-27 2020-08-27 제습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KR10217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67,321 US11359789B2 (en) 2020-02-27 2021-02-04 Vehicle lamp with dehumid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536 2020-02-27
KR20200024536 2020-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171B1 true KR102171171B1 (ko) 2020-10-28
KR102171171B9 KR102171171B9 (ko) 2021-07-26

Family

ID=7301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651A KR102171171B1 (ko) 2020-02-27 2020-08-27 제습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59789B2 (ko)
KR (1) KR102171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3965B2 (en) 2020-08-28 2024-01-16 Woosungpowertech Co., Ltd. Vehicular lamp capable of dehumidif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8498A (zh) * 2022-03-29 2022-07-0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灯除雾装置
US11674662B1 (en) * 2022-08-31 2023-06-13 Neng-chen Yeh Vehicle lam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1245A (ja) * 2007-07-13 2009-01-29 Valeo Vision 自動車用前照灯システムの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前照灯システム
KR20160122014A (ko) * 2015-04-13 2016-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헤드 램프의 결로 발생 방지 장치
KR20180000550A (ko) * 2016-06-23 2018-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042488B1 (ko) * 2018-06-11 2019-11-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용 램프 모듈
US20190377252A1 (en) * 2016-03-23 2019-12-12 George Erik McMillan Light assembly for a proj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1889B1 (fr) * 2016-05-31 2020-03-06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module lumineux refroidi au moyen d'un generateur d'un flux d'air
CN112097220A (zh) * 2020-09-23 2020-12-18 济南得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半导体制冷与热管双重散热的led大灯灯泡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1245A (ja) * 2007-07-13 2009-01-29 Valeo Vision 自動車用前照灯システムの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前照灯システム
KR20160122014A (ko) * 2015-04-13 2016-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헤드 램프의 결로 발생 방지 장치
US20190377252A1 (en) * 2016-03-23 2019-12-12 George Erik McMillan Light assembly for a projector
KR20180000550A (ko) * 2016-06-23 2018-01-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042488B1 (ko) * 2018-06-11 2019-11-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용 램프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3965B2 (en) 2020-08-28 2024-01-16 Woosungpowertech Co., Ltd. Vehicular lamp capable of dehumid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59789B2 (en) 2022-06-14
KR102171171B9 (ko) 2021-07-26
US20210270442A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171B1 (ko) 제습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CN101865385B (zh) 液冷式led照明装置
EP2733412B1 (en) Vehicular lamp
US8297805B2 (en) Device for cooling an optical module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CN101392882A (zh) 车辆用灯具
KR102015012B1 (ko) 엘이디 가로등에서의 발열제어 기능을 갖는 조명 제어장치
CN209386202U (zh) 灯具单元
US10082285B2 (en) Exterior aircraft light unit
KR102344337B1 (ko) 제습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JP4661740B2 (ja) 車両用led灯具
CN103453502B (zh) 户外led照明设备的散热装置
KR20100063999A (ko) 차량 전조등용 램프
KR101936861B1 (ko) 자동차의 조명모듈의 환기장치
KR102145564B1 (ko) 제습 가능한 차량용 헤드 램프 모듈
CN107731126A (zh) 一种能够太阳能发电的交通指示牌
KR102133896B1 (ko) 제습 가능한 차량용 헤드 램프 모듈
WO2005068255A1 (en) A combined ventilating and illuminating arrangement for a public transport vehicle
KR20090029123A (ko) 자동차 led 헤드 램프 냉각 장치 및 방법
CN110296374A (zh) 优化冷却的配备有微镜矩阵的照明模块
KR102250706B1 (ko) 제습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KR102318536B1 (ko) 에너지 하베스팅 열전소자를 이용한 led투광장치
CN209638927U (zh) 一种可防止起雾汽车车灯
CN109404791B (zh) 一种具有电子散热系统的智能舞台灯
KR20120083126A (ko) 헤드 라이트의 제습용 내부 쿨링 장치
KR20120107235A (ko) 엘이디 광원모듈의 방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엘이디 전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