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510B1 -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510B1
KR102170510B1 KR1020130126191A KR20130126191A KR102170510B1 KR 102170510 B1 KR102170510 B1 KR 102170510B1 KR 1020130126191 A KR1020130126191 A KR 1020130126191A KR 20130126191 A KR20130126191 A KR 20130126191A KR 102170510 B1 KR102170510 B1 KR 10217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page
service page
ser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676A (ko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5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각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DISPLAY CONTO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각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한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 자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들 또한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서비스 기능 중 하나로서, 자신이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위젯(Widget) 등을 모아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예: 홈 화면)를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헌데, 이처럼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페이지가 표시될 때까지, 구성된 서비스페이지 모두를 순차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표시제어장치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한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상기 특정 이동방향과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중복하여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미리보기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표시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한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상기 특정 이동방향과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중복하여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미리보기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각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이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100) 및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각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는 전술한 기술 이외에,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감지부(100), 제어부(200), 및 표시부(300)를 포함하는 표시제어장치의 구성 전체 내지는 그 일부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컫는 것으로서,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터치 센시티브(touch sensitive)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접촉(예: 손가락 터치)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표시제어장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터치 센시티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제어장치에서는 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기능 중 하나로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위젯 등을 모아 하나의 서비스페이지(예: 홈 화면)로서 구성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에서는 상기 서비스페이지를 하나가 아닌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사용자 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헌데,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선,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예: 손가락 터치)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스와이프(Swipe) 동작이 반복되는 것을 감지하여,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해야만 한다.
즉,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구성된 서비스페이지 모두를 순차적으로 표시해야만 하며, 사용자는 자신이 구성한 서비스페이지를 모두를, 스와이프 동작을 통해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스와이프(Swipe)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감지부(100)는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00)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예: 손가락 터치)이 유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동작인 스와이프 동작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감지부(100)는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와 함께 이동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이처럼,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접촉의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것은,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의 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각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사용자 접촉의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을 기초로, 각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표시부(300)로 하여금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거나, 각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접촉이 이동하는 이동방향을 추가로 확인하게 된다.
즉,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부(300)에서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접촉의 이동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표시부(300)로 하여금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접촉의 이동방향이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표시부(300)로 하여금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어, 표시부(300)에서 미리보기페이지를 이미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상기 특정 이동방향과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중복하여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00)는 미리보기페이지를 이미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전에 감지된 동일한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으로 중복하여 이동하는 동작이, 설정 시간 이내로 감지되면, 표시부(300)로 하여금 미리보기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접촉의 이동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표시부(300)로 하여금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접촉이 동일한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으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표시부(300)에서 미리보기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접촉의 이동방향이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여, 표시부(300)로 하여금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접촉이 동일한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으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표시부(300)에서 미리보기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표시부(300)로 하여금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접촉의 이동방향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표시부(300)로 하여금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접촉의 이동방향이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표시부(300)로 하여금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감지부(100)는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예: 손가락 터치)이 유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동작인 스와이프 동작을 감지한다(S100).
이때, 감지부(100)는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와 함께 이동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접촉이 이동하는 이동방향을 추가로 확인한다(S200-S300).
여기서, 제어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어, 표시부(300)에서 미리보기페이지를 이미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상기 특정 이동방향과 동일한 이동방향으로 중복하여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400).
이때, 제어부(200)는 미리보기페이지를 이미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전에 감지된 동일한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으로 중복하여 이동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부(300)에서 표시하도록 한다(S500).
반면, 제어부(200)는 미리보기페이지를 이미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전에 감지된 동일한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으로 중복하여 이동하는 동작이, 설정 시간 이내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표시부(300)로 하여금 미리보기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는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다(S600).
한편,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이동속도로 특정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표시부(300)로 하여금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다음 순서의 서비스페이지, 내지는 이전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한다(S200, S700-S8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페이지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다수의 서비스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각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감지부
200: 제어부
300: 표시부

Claims (13)

  1.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다수의 서비스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는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 미만의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와 관련된 미리보기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특정 속도를 초과하는 이동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상에 표시중인 서비스페이지와 이웃한 순서의 서비스페이지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26191A 2013-10-22 2013-10-22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7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191A KR102170510B1 (ko) 2013-10-22 2013-10-22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191A KR102170510B1 (ko) 2013-10-22 2013-10-22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676A KR20150046676A (ko) 2015-04-30
KR102170510B1 true KR102170510B1 (ko) 2020-10-28

Family

ID=5303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191A KR102170510B1 (ko) 2013-10-22 2013-10-22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5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533A (ko) * 2012-02-24 201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1886753B1 (ko) * 2012-04-05 2018-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676A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7973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ための入力モード間の自動切り替え
KR102113674B1 (ko) 다중 터치를 이용한 객체 선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U26606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пользователя
EP2657831A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201300809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icons across different desktop screens and relate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mprising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CN107077295A (zh) 一种快速分屏的方法、装置、电子设备、显示界面以及存储介质
KR102228335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을 선택하는 방법
KR20090070491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166553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4679485A (zh) 页面元素的控制方法及装置
KR102161061B1 (ko)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0499169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042445B1 (en) Adaptive display of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proximity sensing
CN102681748B (zh) 一种信息处理设备以及信息处理方法
JP5605911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デバイスの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307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인터페이스 방법
KR20150071130A (ko) 휴대단말기에서 스크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376995A (zh) 触控式电子装置及其页面内容存储方法
KR10148579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CN104423548A (zh) 一种控制方法及装置
JP2014238700A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70510B1 (ko) 표시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230210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20100107611A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65387B1 (ko)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