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387B1 -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387B1
KR101165387B1 KR1020100031925A KR20100031925A KR101165387B1 KR 101165387 B1 KR101165387 B1 KR 101165387B1 KR 1020100031925 A KR1020100031925 A KR 1020100031925A KR 20100031925 A KR20100031925 A KR 20100031925A KR 101165387 B1 KR101165387 B1 KR 10116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vement
signal
touch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737A (ko
Inventor
안건준
박경호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0182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135165A/ko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ublication of KR20110081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접촉 신호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 신호가 감지 되는 경우, 기 정의된 부가 기능 또는 화면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기 정의된 부가 기능은 접촉 신호의 감지 및 이동 신호의 감지 각각에 대해 본래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이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TERMINAL UNIT WITH TOUCH SCREEN AND POINTING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 장치의 다변화이다.
휴대폰(Mobile Terminal)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 터치 스크린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많이 채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터치 스크린과 포인팅 디바이스가 하나의 단말기에 장착되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이란 스크린에 센서를 내장하고, 손이나 터치펜을 사용하여 스크린 상의 특정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는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이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손가락을 움직이면 움직인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화면 상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터치패드,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압력 센서 등이 있다.
한편, 휴대용 전자 기기의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기기에 집적화되면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이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 설정이 요구된다. 예컨대 통신 모드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나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의 검색 및 선택, 멀티미디어 모드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 탐색, 재생/정지, 일시 정지 등의 조작 무선 인터넷 접속, 카메라 모드 등에서는 마우스 기능이나 줌 기능(zoom) 등이 요구된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 자체의 기본 설정이나 메뉴 호출 등을 위한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화면 제어 조작을 간소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에 터치 스크린과 포인팅 디바이스가 함께 실장된 휴대 단말기의 경우, 터치 스크린의 입력 및 포인팅 디바이스의 입력을 별개로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UI(User Interface) 환경에서 최적의 호환성을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종래에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화면 상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는 도중 원하는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여 움직임의 변화나 크기를 조절하려면 메뉴 항목들 중 해당 기능의 항목을 일일이 검색하여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이미지를 회전할 경우, 메뉴 항목 중에서 확대 및 축소 메뉴를 선택하거나 회전 메뉴를 일일이 찾아 선택해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는 멀티 터치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멀티 터치 기술의 경우, 터치 스크린 상에 두 개의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좌우로 벌리면 화면이 확대되고 오므리면 화면이 축소되는 기능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단순히 사진 전체의 확대 및 축소 기능을 지원할 뿐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이나 확대 및 축소의 크기를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줌-인(zoom-in)/줌-아웃(zoom-out) 기능을 제공하지만 크기 조절이 자유롭지 못하여 여러 번의 클릭 또는 스위핑 동작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휴대 단말기에서는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제공하지만 이러한 회전 기능은 단말기에 기 설정된 각도 예를 들어 90도, 180도 등의 회전은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의 45도 회전과 같은 회전 각도 및 방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서는 각각의 입력 장치를 통해 메뉴 또는 아이콘과 관련된 기능을 선택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다양한 동작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따른 다양한 화면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화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접촉 신호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 신호가 감지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기 정의된 부가 기능-여기서 부가 기능은 상기 접촉 신호의 감지 및 상기 이동 신호의 감지 각각에 대해 본래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임-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화면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접촉 신호 및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에 따른 이동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촉 신호를 분석하여 접촉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이동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변위를 연산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화면 제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접촉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변위에 대응되는 화면의 변화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화면 상의 이미지를 포인팅 디바이스의 동작 방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화면 상의 이미지에 대한 움직임이나 크기를 조절할 경우,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를 일일이 찾아 선택할 필요 없이 터치 스크린 화면 상에서 터치와 포인팅 디바이스를 함께 구동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미지의 움직임이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기능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회전 기능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기능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가진 터치 스크린(101) 및 포인팅 디바이스(103)를 구비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말한다. 예컨대 노트북, IPTV(Internet Procotol TV), 휴대형 전화, 스마트 폰, UMPC(Ultra Mobile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01), 포인팅 디바이스(103), 통신부(105), 메모리(107) 및 제어부(109)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01)은 단말장치(100)의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 상에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이 장착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01)은 출력을 위한 표시부(미도시함)와 사용자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미도시함)로 구성된다.
표시부는 제어부(109)가 출력하는 데이터,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이미지, 아이콘 및 메뉴 항목 등이 포함된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가 구현하는 기능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풀 브라우징(full browsing), VOD(Vedio on Demand), 맵(Map), 엠피쓰리(MP3) 재생, 메일(Mail) 서비스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터치 패널은 표시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른 접촉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09)에 전달한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 상에 사용자의 터치 위치, 터치 강도, 터치 방향 등에 따른 제1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류 감지 방식, 압력 감지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적용된 방식에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고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그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103)는 터치 스크린(101) 상의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켜 PC(Personal Computer)에서와 동일한 포인팅 기술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103) 위에 손가락(피사체)을 올린 후 손가락을 움직이면 움직인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터치 스크린(101) 상에서 이동한다.
이때, 포인팅 디바이스(103)는 피사체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거나 또는 피사체에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103)는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터치패드,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는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굳이 신체가 아니라도 포인팅 디바이스(103)가 움직임을 파악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른 대체 가능한 모든 물체가 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웹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일반 인터넷 사이트와 동일한 형태로 문서와 동영상을 볼 수 있는 풀 브라우징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메모리(107)는 단말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및 화면 제어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09)는 터치 스크린(101), 포인팅 디바이스(103), 통신부(105), 메모리(107)와 연결되어 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9)는 터치 스크린(101) 및 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각각 감지되는 접촉 신호 및 이동 신호에 따른 기 정의된 기능을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9)가 터치 스크린(101)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접촉 신호를 감지(S101)하고, 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 신호를 감지한다(S103).
이때, 제어부(109)는 접촉 신호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이동 신호가 감지된 경우인지를 판단한다(S105).
S105 단계에서 접촉 신호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이동 신호가 감지된 경우로 판단되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인한다(S107). 그리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매핑되어 설정된 부가 기능을 실행한다(S109). 여기서 부가 기능은 접촉 신호의 감지 및 이동 신호의 감지 각각에 대해 본래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이다.
즉 접촉 신호가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101)에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기능을 실행해야 하나 이동 신호가 함께 감지되면 아이템 선택 기능이 아닌 새로 정의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신호가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101) 상의 터치 지점에서 커서가 생성되어 포인팅 디바이스(103)에서 피사체의 동작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될 수 있다. 혹은 포인팅 디바이스(103)에서 피사체의 동작 방향과 무관하게 터치된 지점에 커서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스크린(101) 상의 이미지를 터치한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03) 상에서 피사체를 움직이면 터치 스크린(101) 상의 커서가 사라지게 될 수 있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9)는 터치 스크린(101)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누름 동작 및 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누름 동작을 감지한다(S201, S203). 여기서, 누름 동작은 화면에 표시된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동작이다.
이때, 제어부(109)는 터치 스크린(101)로부터 접촉 신호가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 동안 감지되는 경우 접촉에 따른 누름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9)는 포인팅 디바이스(103)의 포인팅 입력 방식에 따라 누름 동작을 다르게 판단하는데, 예컨대 접촉 시간, 광량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9)는 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감지되는 이동 신호가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 동안 감지되는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누름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혹은 제어부(109)는 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감지되는 이동 신호가 광량일 경우, 광량이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 수집되면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누름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9)는 S201 단계에서의 누름 동작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S203 단계에서의 이동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205).
이때, 이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누름 동작에 의한 선택 기능을 제외한 기 정의된 부가 기능을 실행한다(S207). 이러한 부가 기능은 이동 신호에 따른 화면 제어 기능일 수 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09)는 터치 스크린(101)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누름 동작이 감지(S301)되면 누름 동작이 기 정의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지를 판단한다(S303). 여기서, 기 정의된 시간은 피사체가 터치 스크린(101)에서 특정 지점에 정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사전에 정의된다.
기 정의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이동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05).
이동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이동 변위를 계산한다(S307). 즉 피사체의 움직임 정보를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움직임에 따른 변위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09)는 S307 단계에서 계산된 이동 변위에 따라 터치 스크린(101) 상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이동시켜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보이지 않던 이미지를 표출한다(S309). 예를 들어, 풀 브라우저 화면의 일부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이동 방향 및 변위값에 대응되도록 풀 브라우저 화면 자체가 이동하는 것이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09)는 터치 스크린(101) 및 포인팅 디바이스(103) 각각으로부터 누름 동작을 감지한다(S401, S403).
그러면, 이러한 누름 동작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인지를 판단한다(S405).
동시에 발생한 경우, 터치 스크린(101)에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부가 기능을 실행한다(S407). 여기서, 새로운 부가 기능은 각각의 누름 동작에 대해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을 말한다. 즉 터치 스크린(101)에서 가능하지 않은 부수적인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터치 스크린(101)과 포인팅 디바이스(103)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웹 페이지가 확대되는 기능일 수 있다.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터치 스크린(101)과 포인팅 디바이스(103)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터치 스크린(101)에 터치된 지점의 지도만 줌-인 하는 기능일 수 있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09)는 터치 스크린(101)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접촉 신호 및 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에 따른 이동 신호를 감지한다(S501, S503).
이때, 제어부(109)는 접촉 신호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이동 신호가 감지되거나 접촉 신호 감지 후 이동 신호가 감지된 경우인지를 판단(S505)하여 해당되는 경우, 접촉 신호를 분석하여 접촉 위치를 연산한다(S507). 그리고 이동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변위를 연산한다(S509).
제어부(109)는 기 설정된 화면 제어 기능을 실행(S511)하여 S507 단계에서 연산된 접촉 위치를 기준으로 S509 단계에서 연산된 이동 변위에 대응되는 화면의 변화를 표시한다(S513).
여기서, S513 단계의 화면의 변화는 화면의 회전, 화면의 확대 및 축소를 포함한 화면 제어에 관련된 기능으로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 별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화면 회전 기능에 관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09)는 이동 변위(S601)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이 곡선을 나타내는 경우(S603), 회전 기능을 실행한다(S605).
제어부(109)는 이동 변위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 방향 및 각도를 연산한다(S607). 그리고 스위핑 동작 방향 및 각도와 대응되게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회전시킨다(S609).
도 8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화면 확대 및 축소 기능에 관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09)는 이동 변위(S701)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이 직선을 나타내는 경우(S703), 이동 변위에 따른 화면의 확대 및 축소 기능을 실행한다(S705).
이때, 제어부(109)는 이동 변위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 속도를 연산한다(S707). 그리고 스위핑 동작 속도에 대응되는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를 검출한다(S709).
제어부(109)는 S709 단계에서 검출한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화면 또는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S711).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구간의 확대 및 축소 기능에 관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09)는 터치 스크린(101)으로부터 동시에 감지한 복수의 접촉 신호에 따른 복수의 접촉 위치를 연산한다(S801).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103)로부터 감지한 이동 신호에 따른 이동 변위를 계산한다(S803).
이때, 제어부(109)는 이동 변위의 계산 결과,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이 기 정의된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을 나타내는 경우(S805), 이동 변위에 따른 화면의 확대 및 축소 기능을 실행한다(S807). 그리고 S801 단계에서 연산된 복수의 접촉 위치를 토대로 소정 크기의 구간을 설정한다(S809).
제어부(109)는 이동 변위에 따른 스위핑 동작 방향 및 변위값에 대응되도록 S809에서 설정된 구간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S811).
이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구체적인 화면 적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10 및 도 13에는 외부에 터치 스크린(101) 및 포인팅 디바이스(103)가 탑재된 단말장치(100)가 개시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01)은 다수의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111)을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기능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의 특정 지점을 일정 시간 누르면 터치 스크린(101)에는 'Hold'가 표시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손가락으로 포인팅 디바이스(103) 위에서 움직이면 터치 스크린(101)에 표시된 화면(111)이 손가락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이동된다. 이때, 화면의 이동은 사방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풀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된 상태라면, 손가락을 오른쪽 방향으로 포인팅 디바이스(103)에서 움직이면, 풀 브라우저 화면 역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터치 스크린(101)의 크기 제약으로 표시되지 않았던 풀 브라우저 화면의 왼쪽 화면이 나타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가 기능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101)의 화면(111) 상의 특정 지점을 누름과 동시에 다른 손가락으로 포인팅 디바이스(103) 위에서 움직이면, 전체 화면(111)에서 터치 지점의 이미지만 부분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RPG 게임을 하는 도중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 다양한 이벤트성 게임 아이템(이미지)(미도시함)이 구현되면 구현된 게임 아이템을 획득할지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데, 원거리에서 게임 아이템의 종류가 잘 보이지 않는다. 이럴 때,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아이템을 확대하여 보고 싶을 경우, 손가락으로 게임 아이템을 터치한 상태로 다른 손가락을 포인팅 디바이스(103)에서 상측 방향으로 스위핑하면, 게임 아이템은 스위핑 이동에 대응하도록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아이템이 아닌 아이템의 주변 위치를 터치하여도 이미지가 확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회전 기능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한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101) 화면(111) 상의 이미지(113)가 구현된 지점에 터치한 상태로 다른 한 손가락을 포인팅 디바이스(103) 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45°각도로 스위핑하면, 이미지(113) 역시 시계 방향으로 45°각도 회전된다.
이때, 터치 스크린(101) 상의 사용자 손가락은 터치 스크린(101) 화면(111) 상의 이미지(113)에 터치한 상태가 아닌, 터치 되고 분리된 상태에서도 포인팅 디바이스(103)의 동작 방향에 따라 이미지의 회전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확대/축소 기능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01) 화면(111) 상에 두 개의 손가락을 터치하면 터치한 지점에 기 정의된 구간(115)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손가락을 포인팅 디바이스(103) 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스위핑하면, 구간(115)에 포함된 화면 영역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이때,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천천히 상측으로 스위핑하면, 스위핑되는 만큼 구간(115)에 포함된 이미지 역시 확대되고, 다시 천천히 하측으로 스위핑하면 스위핑되는 만큼 축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단말장치 101: 터치 스크린
103: 포인팅 디바이스 105: 통신부
107: 메모리 109: 제어부

Claims (13)

  1. 터치 스크린과, 화면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라 발생한 접촉 신호 및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이동 신호가 모두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신호 및 상기 이동 신호가 모두 감지되는 경우, 기 정의된 부가 기능-여기서 부가 기능은 상기 접촉 신호의 감지 및 상기 이동 신호의 감지 각각에 대해 본래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임-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별개의 입력 장치로서 입력 신호로 상기 접촉 신호 및 상기 이동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고, 상기 단말장치의 서로 다른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화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상기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누름 동작-여기서 누름 동작은 화면에 표시된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동작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누름 동작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신호의 감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기 정의된 부가 기능-여기서 부가 기능은 상기 누름 동작에 의한 선택 기능을 제외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부가 기능은,
    상기 이동 신호에 따른 화면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신호의 감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에 따른 누름 동작이 기 정의된 시간동안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정의된 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이동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변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변위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을 이동시켜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보이지 않던 이미지를 표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른 누름 동작-여기서 누름 동작은 화면에 표시된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동작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누름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에 따른 누름 동작 및 상기 움직임에 따른 누름 동작이 동시에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누름 동작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부가 기능-여기서 새로운 부가 기능은 상기 누름 동작 각각에 대해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을 의미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7. 터치 스크린과, 화면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피사체의 접촉에 따라 발생한 접촉 신호 및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에 따라 발생한 이동 신호를 모두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촉 신호를 분석하여 접촉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이동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 변위를 연산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화면 제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접촉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 변위에 대응되는 화면의 변화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별개의 입력 장치로서 입력 신호로 상기 접촉 신호 및 상기 이동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고, 상기 단말장치의 서로 다른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기 설정된 화면 제어 기능은 상기 접촉 신호의 감지 및 상기 이동 신호의 감지 각각에 대해 본래 정의되지 않은 새로운 기능인 화면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 신호를 감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 신호를 감지한 이후, 상기 이동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변위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이 곡선을 나타내는 경우, 회전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이동 변위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 방향 및 각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핑 동작 방향 및 각도와 대응되게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변위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이 직선을 나타내는 경우, 확대 및 축소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변위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 변위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스위핑 동작 속도에 대응되는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13.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동시에 발생한 복수의 접촉 신호에 따른 복수의 접촉 위치가 연산되고, 상기 이동 변위에 따른 피사체의 스위핑 동작이 기 정의된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접촉 위치를 토대로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변위에 따른 스위핑 동작 방향 및 변위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구간에 표시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제어 방법.
KR1020100031925A 2010-01-08 2010-04-07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KR101165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824 2010-01-08
KR1020100001824A KR20100135165A (ko) 2009-06-16 2010-01-08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포인팅장치 제어방법과 이를 적용한 휴대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351A Division KR20110133014A (ko) 2010-01-08 2011-11-17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737A KR20110081737A (ko) 2011-07-14
KR101165387B1 true KR101165387B1 (ko) 2012-07-12

Family

ID=450924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24A KR101165388B1 (ko) 2010-01-08 2010-04-07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KR1020100031925A KR101165387B1 (ko) 2010-01-08 2010-04-07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KR1020110120351A KR20110133014A (ko) 2010-01-08 2011-11-17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24A KR101165388B1 (ko) 2010-01-08 2010-04-07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351A KR20110133014A (ko) 2010-01-08 2011-11-17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165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495A1 (en) * 2011-09-30 2013-04-04 Intel Corporation Mechanism for employing and facilitating a touch panel thumb sensor pad at a compu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3020A1 (en) * 2008-06-12 2009-12-17 Nokia Corporation Text-to-speech user interfac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6809A1 (en) * 2008-04-14 2009-10-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hree-dimensional touch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3020A1 (en) * 2008-06-12 2009-12-17 Nokia Corporation Text-to-speech user interfac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388B1 (ko) 2012-07-12
KR20110081736A (ko) 2011-07-14
KR20110081737A (ko) 2011-07-14
KR20110133014A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0822B2 (en) Touch pad operable with multi-object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5893060B2 (ja) 連続的なズーム機能を提供する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の方法
EP2144147A2 (en) Systems and methods of touchless interaction
KR20100059698A (ko)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제공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27704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bject in user device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49630B1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およびその画面操作処理プログラム
KR2014003383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201500024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zooming action
JP2016151801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41106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方法
KR101403079B1 (ko)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165387B1 (ko) 터치 스크린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TWI439922B (zh) 手持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JP6971573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6654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JP5165624B2 (ja) 情報入力装置、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20151029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22239B2 (ja) 情報処理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29581B1 (ko)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20150060476A (ko) 터치스크린 상의 명령입력영역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58014B1 (ko) 복합 커서 입력 방법
TW201928650A (zh) 縮放螢幕的裝置及方法
KR2009011300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면 크기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28142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