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356B1 -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 Google Patents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356B1
KR102170356B1 KR1020200018219A KR20200018219A KR102170356B1 KR 102170356 B1 KR102170356 B1 KR 102170356B1 KR 1020200018219 A KR1020200018219 A KR 1020200018219A KR 20200018219 A KR20200018219 A KR 20200018219A KR 102170356 B1 KR102170356 B1 KR 10217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plates
plate
scree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윤지섭
서대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20001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평한 시공면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지주의 길이중간에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받침지주를 갖추어 시공면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들사이를 연결하면서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스크린재를 갖추어 물에 부유되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유목이 걸러지는 제1스크린부 ;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들사이에 상기 제1스크린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설치되어 물과 더불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석류를 여과하는 제2스크린부 ; 및 상기 제2스크린부의 전면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여과홀을 관통형성한 곡면 투과판을 갖추어 토석류의 하류 측 흐름을 제어하는 예비 스크린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Debris flow reduction facility part transmission type assembly}
본 발명은 부분 투과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물에 부유되는 유목을 차단하는 상부스크린영역을 형성하면서 토석류에 포함된 토석을 차단하는 하부스크린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유목 및 토석류 차단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현장상황에 맞추어 구성부품의 추가설치 및 분리해제에 의해서 토석류를 차단하고는 불투과기능과 토석류의 흐름을 허락하는 반투과형 및 불투과형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토석류 스크린부를 갖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방댐은 하상구배가 큰 계곡에서 급류가 강바닥을 파고 양쪽 산기슭을 깎아서 산사태를 유발하므로 이를 방지하고 급류를 따라 토사와 암석이 하류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토목 구조물이다.
이러한 산간계곡 등의 수해방지용으로 설치하는 사방댐은 콘크리트 사방댐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저수,저류가 목적인 사방댐으로서 강 하류 쪽에 큰 규모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버트레스 사방댐 및 슬릿 사방댐과 같은 강재 사방댐은 산간계곡의 상류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뿌리가 뽑힌 유목이 떠 내려와 댐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유목이나 암석의 유실에 의한 유로의 변경을 방지하여 인명과 주택 및 농경지에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토석류(土石流)란 오랫동안 풍화작용(風化作用)을 받아 토사와 암석편이 많이 생긴 산사면이 폭우나 장마로 인해 물로 포화되어 그 무게가 마찰력을 지탱하지 못하여 물과 더불어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즉, 장년기(壯年期) 지형 산사면에서 때때로 일어나는 산사태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토석류는 산지 하측에 위치한 거주지 및 토목구조물(도로 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한번 토석류가 발생한 곳에서는 바닥의 암반이 나타나서 새로운 토양이 되어 식물이 무성해질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10-1496954 B1
(특허문헌 2) KR10-1008839 B1
(특허문헌 3) KR10-2037464 B1
특허문헌 1에는, 토석류에 의한 재해방지를 위한 사방댐 구조물로서, 토석류를 저지하여 에너지를 소산시키도록 형성된 걸림 부재와, 걸림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팽창에 의해 걸림 부재를 기립시켜 토석류를 방호하도록 형성된 공압식 기립장치로 이루어지는 사방댐 구조물을 개시함으로써, 평상시에는 하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토석류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토석류에 의한 재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에는, 토석이나 토사 및 유목의 유실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고, 석재채움공간에 채워진 석재에 의해 지지력이 부가됨으로써 강한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복합형 사방댐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들사이를 연결하면서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스크린재를 갖추어 물에 부유되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유목이 걸러지는 제1스크린부와,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들사이에 상기 제1스크린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설치되어 물과 더불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석류를 여과하는 제2스크린부를 포함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공압식 기립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공압설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하천에 기설치된 강재 사방구조물에 적용하고,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 파손시 이를 유지보수하는데 추가 작업 및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2는 서로 이웃하는 주부재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스크린재를 구비함으로써 물과 함께 떠내려오는 유목이나 토석 등이 걸려서 하류측으로 토석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주부재와 버트리스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석재채움공간에 대량의 석재를 채워하며, 이들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류측 및 좌우양측에 수평재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시공시간 및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 시공후 석재채움공간에 채워져 있던 석재의 유실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이를 보수관리 유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3은 관통홀을 복수개 관통형성한 곡면 투과판을 제2스크린부의 상,하부 지지판에 단부를 용접방식으로 고정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설치구조상 곡면투과판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제거하거나 필요에 의해서 재장착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현장에서 구성부품의 설치 및 착탈이 간편하여 보수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고, 여과기능을 구비하는 토석류 스크린부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갖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여건에 따라 부분투과기능을 갖는 구조물을 추가로 장착하여 토석류의 물흐름은 하류 측으로 투과시키고, 토석 일부는 불투과하는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류 측의 저사량에 따라 부분투과형 구조물을 분리해제하여 상류 측에 저사된 토사를 자연스럽게 하류 측으로 유하시킬 수 있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류측에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불투과 및 반투과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에 여과재를 구비하여 하류 측으로 통과하는 물의 수질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는, 수평한 시공면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지주의 길이중간에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받침지주를 갖추어 시공면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들사이를 연결하면서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스크린재를 갖추어 물에 부유되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유목이 걸러지는 제1스크린부 ;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들사이에 상기 제1스크린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설치되어 물과 더불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석류를 여과하는 제2스크린부 ; 및 상기 제2스크린부의 전면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여과홀을 관통형성한 곡면 투과판을 갖추어 토석류의 하류 측 흐름을 제어하는 예비 스크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크린부는 상기 한쌍의 경사지주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결합되도록 체결공을 갖추어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측판과, 상기 한쌍의 측판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하부 지지판의 내측에 상,하단테두리가 고정되고, 복수개의 제1,2관통홀을 관통형성하여 토석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2투과판 및 제1투과판과 제2투과판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예비 스크린부를 통과하는 물을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는 내부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판은 수평판의 양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후방 절곡판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투과판은 상기 전,후방 절곡판과 대응하여 접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는 상,하부연결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에 상,하부 너트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전,후방 절곡판에 관통형성된 상,하부연결공을 통과하는 상,하부 체결부재의 각 단부와 상,하부 너트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예비 스크린부와 제2스크린부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예비 스크린부는 상기 곡면 투과판의 개방된 좌우양측단에 대응배치되어 삽입고정되는 반원단면상의 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외측테두리에 예비 여과재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를 상기 곡면 투과판의 내측으로 대응삽입하고, 상기 차단판의 결합부는 상기 곡면 투과판의 양측단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곡면투과판과 결합되며,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제2스크린부 측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판의 선단에 절곡되어 상기 제2스크린부에 구비되는 내부 여과부가 진출입되도록 측판에 관통형성된 슬릿라인에 대응삽입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포함한다.
삭제
이때, 상기 한쌍의 측판 중 일측 측판에는 내부 여과부를 진입시켜 상기 제1투과판과 제2투과판과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슬릿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지지판은 수평판의 양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2투과판의 각 상,하단테두리가 접하여 용접고정되는 전,후방 절곡판을 갖는 채널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지지판은 수평판의 양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후방 절곡판의 내측에 상기 제1,2투과판의 각 상,하단 테두리가 끼움고정되는 끼움홈을 형성하는 상,하부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지지판은 상기 내부 여과부의 상,하단 테두리가 대응삽입되어 끼움고정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상,하부 삽입재를 서로 마주하는 전방 절곡판과 후방 절곡판과의 사이에 삽입배치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예비 스크린부는 상기 곡면 투과판과 제2스크린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2스크린부 측으로 통과시키는 예비 여과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서로 인접하는 경사지주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평스크린재를 갖는 제1스크린부에 의해서 상부스크린영역을 형성하고, 제1,2투과판 및 내부 여과부를 갖추어 서로 인접하는 경사지주사이에 고정설치되는 제2스크린부와 그 전면에 구비되는 예비 스크린부에 의해서 하부스크린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물에 부유되어 하류측으로 흘러 내려가는 유목을 상부스크린영역인 제1스크린부에 의해서 차단함과 동시에 토석류에 포함된 토석을 하부스크린영역인 예비 스크린부 및 제2스크린부에 의해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홍수나 폭우과 같은 자연재해시 하류측으로 급격하게 흘러내려가는 유목과 토석에 의해서 하류측 구조물이 파손되고 원활한 하천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여과부를 갖는 제2스크린부의 상류측인 전면에 예비 여과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예비 스크린부를 장착함으로써 토석류의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곡면 투과판과 제2스크린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예비 여과재에 의해서 1차로 여과처리한 다음 연속하여 제2스크린부의 제1,2투과판사이에 개재되는 내부 여과부에 의해서 2차로 여과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효율 및 수질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한편, 내부 여과부의 사용수명 및 교체시기를 연장할 수 있다.
내부 여과부를 갖는 제2스크린부에 예비 여과재를 갖는 예비 스크린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하류 측으로 흐르는 물의 오염도 및 토사량에 맞추어 제2스크린부의 상류측인 전면에 예비 스크린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예비 스크린부의 추가 설치시 토석의 하류 측 흐름을 완전 차단하여 불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예비 스크린부의 분리 해제시 토석의 하류 측 흐름을 부분적으로 허락하여 투과 및 반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하천의 치수관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한편, 추가 설치되는 구조물에 구비되는 여과재에 의해서 하류 측으로 통과하는 물의 수질정화정화성능을 높일 수 있고, 관리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상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하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2스크린부와 예비 스크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에 에 구비되는 제2스크린부와 예비 스크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2스크린부와 예비 스크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에 구비되는 제2스크린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에 구비되는 예비 스크린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100)는 도 1 및 도 2a, 도 2b, 도 2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중이 가벼워 물에 부유되어 하류측으로 흘러내려가는 유목과, 물과 더불어 하류측으로 흘려내려가는 토석류를 서로 분리하여 스크린함과 동시에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지지대(110), 제1스크린부(120), 제2스크린부(130) 및 예비 스크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0)는 수평한 시공면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지주(111)를 갖추고, 상기 경사지주의 길이중간 후면에 상단이 연결되어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받침지주(112)를 갖추어 콘크리트 댐구조물의 월류부와 같은 시공면에 고정설치되는 강재구조물이다.
상기 경사지주(111)와 받침지주(112)사이에는 이들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지주(11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류측으로 일정각도 경자진 경사지주(111)의 하부단과 상류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받침지주(112)의 하부단에는 콘크리트 시공면에 구비되는 앵커볼트에 의해서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판(111a,112a)을 각각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대(110)는 물을 저수하면서 유목과 토석류가 물과 더불어 하류측으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천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댐구조물(1)에서 좌우양측 댐어깨(2,2)사이에 물이 월류되도록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월류부(3)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천의 하상에 판상으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시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지주(111), 받침지주(112) 및 연결지주(113)는 대략 H 단면상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파이프상의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린부(120)는 도 1 및 도 2a, 도 2b, 도 2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지지대(110)들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111)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경사지주와 교차하거나 한쌍의 경사지주사이에 양단이 고정되는 복수개의 수평스크린재(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수평스크린재(122)가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사이에서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비중이 가벼워 물에 부유되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유목을 걸러 스크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스크린부(130)는 도 1 및 도 2a, 도 2b, 도 2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에 부유되는 유목을 스크린하는 제1스크린부(1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111)들사이에 상기 수평스크린재(122)와 나란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물과 더불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석류를 여과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스크린부(130)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경사지주(111)와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탁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공(131b,132b)을 갖추어 경사지주(111)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측판(131,132)을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측판(131,132)의 내측면에 좌우양단이 접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수평스크린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하부 지지판(133,134)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판(133,134)의 전,후방 절곡판(133a,133b)에 각 상,하단테두리가 접하여 고정설치되고, 복수개의 제1,2관통홀(135c,136c)을 관통형성하여 토석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2투과판(135,136)을 포함한다.
상기 제1투과판(135)과 제2투과판(136) 사이에는 상기 제1투과판의 제1관통공을 통과하는 일부 토석류가 제2투과판측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반면에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상기 제2투과판의 제2관통공을 통하여 하류측으로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미세한 관통홀을 전체면적에 균일하게 형성한 대략 판상의 내부 여과부(137)를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측판(131,132) 중 일측 측판(132a)에는 대략 판상의 내부 여과부(137)를 진입시켜 상기 제1투과판(135)과 제2투과판(136)과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슬릿라인(132c)을 구비한다.
상기 슬릿라인(132c)을 통하여 진입되어 제1투과판(135)및 제2투과판(136)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내부 여과부(137)는 상기 제1,2투과판(135, 136)에 형성되는 제1,2관통홀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미세관통홀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한 PVC망과 같은 수지망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투과판(135)의 제1관통홀(135c)을 통과하는 일부 토석류 중 물에 포함되는 미세한 크기의 토석은 내부 여과부의 미세관통홀에 의해서 여과되어 차단되는 반면에 토석이 제거된 물은 제2투과판(136)의 제2관통공(136a)을 통하여 하류측으로 통과되어 흘러내려가는 것이다.
상기 경사지주(111)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측판(131,132)에 형성된 체결공(131b,132b)과 대응하는 다른 체결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도도록 대략 사각판상의 고정판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지지판(133,134)은 수평판(133c,134c)의 양측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후방 절곡판(133a,133b,134a,134b)을 갖는 대략 ㄷ단면상의 채널부재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후방 절곡판의 내측면과 상기 제1,2투과판의 각 상,하단테두리가 서로 접하면서 이들이 서로 용접방식으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지지판(133,134)과 상기 제1,2투과판(135,136)은 서로 용접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지지판(133,134)은 수평판(133c,134c)의 양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후방 절곡판의 내측에 상기 제1,2투과판(135,136)의 각 상,하단 테두리가 끼움고정되는 조립홈을 형성하는 상,하부결합부(135a,136a,135b,136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2투과판(135,136)을 스폿용접방식에 의해서 상,하부 지지판에 연결하는 작업을 조립방식으로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지지판(133,13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내부 여과부(137)의 상,하단 테두리가 대응삽입되어 끼움고정되도록 고정홈(137c,137d)을 구비하는 상,하부 삽입재(137a,137b)를 서로 마주하는 전방 절곡판(133a,134b)과 후방 절곡판(133b,134b)과의 사이에 삽입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2투과판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여과부(137)의 수직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유속에 의한 내부 여과부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삽입재(137a,137b)의 고정홈(137c,137d)은 상기 한쌍의 측판 중 일측 측판에 개구형성되어 상기 내부 여과부(137)가 진입되는 슬릿라인(132c)과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상,하부 삽입재(137a,137b)는 상기 곡면 투과판을 상,하부 지지판(133,134)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하는 상,하부 체결부재(138,139)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 체결부재와 서로 대응하는 외부면에 절개부(137c,137d)를 절개형성하거나 관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스크린부(130)와 대응하는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상기 수평스크린재(12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평재(1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스크린부(130)는 상,하측 수평재사이에 위치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스크린부(140)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크린부(130)의 전면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여과홀(142a)을 관통형성한 곡면 투과판(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곡면 투과판(142)과 제2스크린부(13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는 토석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예비 여과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크린부(130)에 구비되는 내부 여과부(137)에서 토석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처리 이전에 상기 예비 스크린부(140)의 예비 여과재(145)에서 1차로 선여과처리함으로써 상기 내부 여과부에서의 여과시 부하를 줄여 내부 여과부의 교체시기 및 사용수명을 길게 연장하는 한편, 전체적인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예비 여과재(145)는 상기 곡면 투과판(142)과 제2스크린부(130)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면 투과판(142)은 상기 상,하부 지지판(133,134)과 대응하여 접하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상,하부연결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에 상,하부 너트부재(138a,139a)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판(133,134)의 전,후방 절곡판(133a,133b,134a,134b)에 관통형성된 상,하부연결공(133d,134d)을 통과하는 상,하부 체결부재(138,139)의 각 단부가 상기 상,하부 너트부재(138a,139a)와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 너트부재(138a,139a)가 상기 상,하부 지지판의 상,하부연결공(133d,134d)을 통하여 상기 곡면 투과판의 상,하부 너트부재(138a,139a)와 나사체결됨으로써 상기 상,하부 체결부재(138,139)의 해체시 상기 예비 스크린부를 제2스크린부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해체할 수 있고, 상기 제2스크린부에 장착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곡면 투과판(142)이 제2스크린부의 상류측인 전면에 호형 단면상으로 구비됨으로써 물과 더불어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석과의 충돌시 충격력을 분산시키면서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구성부품에 대한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고, 구성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곡면 투과판과 제2스크린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예비 여과재에 의해서 토석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여과재(145)는 일정크기의 이물질을 분리하면서 여과된 물을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는 타공체(145a)로 이루어지거나 수질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는 일정량의 수질정화제를 내부수용하는 망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면 투과판(142)의 개방된 좌우양측단에는 상기 예비 여과재(145)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대략 반원단면상의 차단판(143,144)을 대응삽입하여 고정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예비 스크린부(140)는 상기 곡면 투과판(142)의 개방된 좌우양측단에 반원단면상의 차단판(143,144)을 대응삽입하여 용접방식으로 차단판을 곡면 투과판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143,144)의 외측테두리에 예비 여과재(145)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143a,144a)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를 상기 곡면투과판의 내측으로 삽입한 다음, 상기 곡면 투과판의 양측단 관통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하여 조립방식으로 차단판을 곡면 투과판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 투과판의 개방된 좌우양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차단판(143,144)중 일측 차단판에는 상기 제2스크린부(130) 측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판(147)의 선단에 상기 한쌍의 측판 중 일측 측판에 관통형성되어 내부 여과부가 진출입되는 슬릿라인(132a)에 대응삽입되도록 절곡된 절곡부(147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절곡부(147a)에 의해서 내부 여과부가 진출입되는 통로역활을 수행하는 슬릿라인(132c)을 차단하여 별도의 마감부재의 사용없이 간편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100)가 콘크리트 댐구조물(1)의 월류부(3)에 시공되어 설치됨으로써, 물에 부유되어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흘러가는 유목은 서로 인접하는 경사지주(111)들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스크린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평스크린재(122)에 차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과 더불어 토석이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흘러가는 토석류에 포함된 일정크기 이상의 토석은 하부스크린영역을 형성하는 예비 스크린부(140)의 곡면 투과판에 관통형성된 여과홀(142a)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되기 때문에 입도크기가 큰 토석이 하류측으로 그대로 흘러내려가면서 하류측 시설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물에 부유되는 유목은 수평스크린재(122)를 갖는 제1스크린부(120)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부스크린영역에서 하류측으로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차단하고, 물과 더불어 하류측으로 흘러내려가는 토석류에 포함된 다양한 입도크기를 갖는 토석은 상기 제1스크린부의 하부측에 설치된 제2스크린부(13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예비 스크린부(140)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부스크린영역에서 하류측으로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차단하여 토석의 불투과기능을 수행하면서 물만을 하류 측으로 흘려 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예비 스크린부(140)의 전면 상류측에 토석이 적재되어 쌓이는 반면에 토석류의 물은 곡면 투과판의 여과홀을 통하여 제2스크린부 측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곡면 투과판과 제2스크린부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예비 여과재에 의해서 이물질이 1차로 여과되고 수질이 정화될 수 있으며, 상기 예비 스크린부를 통과하는 물은 제2스크린부의 제1,2투과판사이에 개재되는 내부 여과부에 의해서 2차로 여과처리되어 토석류 차단기능과 더불어 수질정화 및 환경오염방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현장조건에 맞추어 토석를 하류 측으로 흐르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스크린부의 전면인 상류 측에 장착된 예비 스크린부를 상,하부 체결부재의 해제에 의해서 제2스크린부의 상,하부 지지판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함으로써 제2스크린부에 구비되는 제1,2투과판의 제1,2관통홀을 통하여 물을 포함하는 토사의 하류측 흐름을 허락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지지대
111 : 경사지주
112 : 받침지주
120 : 제1스크린부
122 : 수평스크린재
130 : 제2스크린부
131,132 : 측판
133,134 : 상,하부 지지판
135,136 : 제1,2투과판
137 : 내부 여과부
140 : 예비 스크린부
142 : 곡면투과판
143,144 : 차단판
145 : 예비 여과재

Claims (10)

  1. 수평한 시공면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지주의 길이중간에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받침지주를 갖추어 시공면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들사이를 연결하면서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스크린재를 갖추어 물에 부유되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유목이 걸러지는 제1스크린부 ;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경사지주들사이에 상기 제1스크린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설치되어 물과 더불어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석류를 여과하는 제2스크린부 ; 및
    상기 제2스크린부의 전면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여과홀을 관통형성한 곡면 투과판을 갖추어 토석류의 하류 측 흐름을 제어하는 예비 스크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크린부는 상기 한쌍의 경사지주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결합되도록 체결공을 갖추어 착탈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측판과, 상기 한쌍의 측판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하부 지지판의 내측에 상,하단테두리가 고정되고, 복수개의 제1,2관통홀을 관통형성하여 토석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2투과판 및 제1투과판과 제2투과판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예비 스크린부를 통과하는 물을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는 내부 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지지판은 수평판의 양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후방 절곡판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투과판은 상기 전,후방 절곡판과 대응하여 접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는 상,하부연결부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에 상,하부 너트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전,후방 절곡판에 관통형성된 상,하부연결공을 통과하는 상,하부 체결부재의 각 단부와 상,하부 너트부재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예비 스크린부와 제2스크린부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예비 스크린부는 상기 곡면 투과판의 개방된 좌우양측단에 대응배치되어 삽입고정되는 반원단면상의 차단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은 외측테두리에 예비 여과재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를 상기 곡면 투과판의 내측으로 대응삽입하고, 상기 차단판의 결합부는 상기 곡면 투과판의 양측단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곡면투과판과 결합되며,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제2스크린부 측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판의 선단에 절곡되어 상기 제2스크린부에 구비되는 내부 여과부가 진출입되도록 측판에 관통형성된 슬릿라인에 대응삽입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측판 중 일측 측판에는 내부 여과부를 진입시켜 상기 제1투과판과 제2투과판과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슬릿라인을 포함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판은 수평판의 양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2투과판의 각 상,하단테두리가 접하여 용접고정되는 전,후방 절곡판을 갖는 채널부재로 구비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판은 수평판의 양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후방 절곡판의 내측에 상기 제1,2투과판의 각 상,하단 테두리가 끼움고정되는 끼움홈을 형성하는 상,하부결합부를 구비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판은 상기 내부 여과부의 상,하단 테두리가 대응삽입되어 끼움고정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상,하부 삽입재를 서로 마주하는 전방 절곡판과 후방 절곡판과의 사이에 삽입배치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비 스크린부는 상기 곡면 투과판과 제2스크린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제2스크린부 측으로 통과시키는 예비 여과재를 포함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KR1020200018219A 2020-02-14 2020-02-14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KR10217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219A KR102170356B1 (ko) 2020-02-14 2020-02-14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219A KR102170356B1 (ko) 2020-02-14 2020-02-14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356B1 true KR102170356B1 (ko) 2020-10-27

Family

ID=7313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219A KR102170356B1 (ko) 2020-02-14 2020-02-14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3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470A (ja) * 1992-04-08 1993-11-02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コンクリートダム取水口に於ける水質浄化装置
JP2004283756A (ja) * 2003-03-24 2004-10-14 Japan Vilene Co Ltd ユニット交換型フィルタ装置
KR102037464B1 (ko) * 2019-01-09 2019-11-26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470A (ja) * 1992-04-08 1993-11-02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コンクリートダム取水口に於ける水質浄化装置
JP2004283756A (ja) * 2003-03-24 2004-10-14 Japan Vilene Co Ltd ユニット交換型フィルタ装置
KR102037464B1 (ko) * 2019-01-09 2019-11-26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174B1 (ko) 2단형 산사태 방호시설
KR100895273B1 (ko)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JP7118709B2 (ja) 堰堤および捕捉体
CN109024146B (zh) 高速公路边坡排水结构
KR102037464B1 (ko)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KR101887359B1 (ko) 복합 스크린 콘크리트 사방댐
KR101794162B1 (ko) 부유물 수집부가 구비된 부유물 거름 시설
KR101581806B1 (ko) 다기능 복합 모듈댐
KR102170356B1 (ko)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US20080308477A1 (en) Cascading storm drain filter
JP4229968B2 (ja) 透過型砂防堰堤
CN211395892U (zh) 一种水利工程道路两旁的给排水系统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101788623B1 (ko) 리모델링으로 홍수 및 토석류 조절기능을 강화한 사방댐
CN209742034U (zh) 一种具有过滤结构的排水边沟
KR102625100B1 (ko) 통수기능이 향상된 계단식 토석 차단구조물
RU2317369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берегов реки
JP7421670B1 (ja) 防護柵
RU2817417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одозабор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216275214U (zh) 一种高速公路桥梁排水结构
JP6392984B2 (ja) 透過型砂防堰堤
CN216237928U (zh) 一种道路公路路基防护结构
US20140138298A1 (en) Grate filtration system
CN220166819U (zh) 一种水利工程维修护坡修筑结构
KR102374923B1 (ko) Lid 기반 빗물 순환형 비점오염 저감 및 관수용 띠 녹지 보호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