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355B1 -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 Google Patents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0355B1 KR102170355B1 KR1020190028845A KR20190028845A KR102170355B1 KR 102170355 B1 KR102170355 B1 KR 102170355B1 KR 1020190028845 A KR1020190028845 A KR 1020190028845A KR 20190028845 A KR20190028845 A KR 20190028845A KR 102170355 B1 KR102170355 B1 KR 1021703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formwork
- bent
- side plates
- sla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의 하부에 슬래브의 하중을 분산하는 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천정면과 나란하도록 하부 지지판을 하부단에 절곡형성하며, 판재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이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를 내측 수직면에 돌출형성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으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하부 지지판 단부가 서로 마주하여 접합고정하면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거푸집부 ; 상기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주철근을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주철근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올려져 상기 접이부와 접하여 지지되는 복수개의 스트럽 철근을 갖추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사이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철근 보강부를 포함한다.Provides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construction purposes.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work assembly for constructing a beam that distributes the load of the slab under the slab, in which a lower support plate is bent at the lower en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slab, and at least one folded so that the plate members overlap each other. A formwork portion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protruding from the inner vertical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and forming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at a certain height while the ends of the pair of lower support plates extending from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are joined and fixed to each othe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and a plurality of stirrup reinforcing bars that ar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olding portion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ar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It includes a reinforcing part inserted into the pouring space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to be filled in the pouring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를 시공하기 위한 무해체식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체적인 조립 및 결합구조가 단순함과 동시에 공장에서 선조립되는 구성부품들간의 결합력을 높이면서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강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한편, 수평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동바리 사용갯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constructing a beam, and in more detail, the overall assembly and coupling structure is simple, and at the same time, the assembly work can be performed easily while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mponents pre-assembled in the factory, and reinforce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estructiv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that can stably fix reinforcing bars and minimize the number of copper bars by stably maintaining horizontality.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건축물을 지지하면서 기초를 이루는 수직한 기둥이 다수 시공되고, 그 각층의 기둥 상부에는 각층을 나눠 천장 또는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가 시공된다.In general, in constructing a concrete building, a number of vertical columns that form the foundation while supporting the building are constructed, and a slab is constructed to form a ceiling or a floor by dividing each floor above the columns of each floor.
이때, 슬래브를 시공함에 앞서서 슬래브에 전해지는 하중을 분담하여 분산하는 한편,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하여 그 슬래브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평한 거더(girder)인 보가 시공되어야 하며, 이러한 보의 안정성은 건축물의 기초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prior to construction of the slab,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lab is distributed and distributed, while a beam, which is a horizontal girder, must be constructed to secure the support of the slab by transferring the load to the column. It can be said to be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한편, 상기와 같이 슬래브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보의 시공은 먼저 수직한 기둥을 시공한 다음, 각각의 기둥은 보로 서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양측 한 쌍의 기둥 상부를 연결하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후에 거푸집을 분리하여 탈형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struction of beams for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slab as described above, vertical columns are first constructed, and then each column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ams.To construct such a beam, a formwork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a pair of columns on both sides is constructed. After installation, concrete was placed in the installed formwork on-site, and the formwork was separated and demolded after curing of the cast concret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거푸집을 이용하여 보를 시공하는 공법은, 구조적으로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양생하기 까지 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거푸집을 지지하는 많은 수의 동바리들을 설치하여 계속 지지하고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 beam using a formwork is structurally weak, so it is continuously supported by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movable bars supporting the formwork at regular intervals under the formwork for constructing the beam until the concrete is cur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space could not be used efficiently because it had to be done.
또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고소에 위치한 거푸집의 설치 및 탈형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높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탈형시 소음 및 비산먼지가 많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이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ormwork and demolding the formwork after curing the poured concrete takes an excessive amount of time,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when installing and demolding the formwork located at a high place is high, as well as noise and scattering when demoulding the formwork.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environment was not good because a lot of dust was generated.
(특허문헌 1) KR10-1009753 B1(Patent Document 1) KR10-1009753 B1
(특허문헌 2) KR1186267 B1 (Patent Document 2) KR1186267 B1
특허문헌 1에는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판, 하부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하단부가 하부판의 일측에 고정되어 하부판의 일측에 세워지고,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비드가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제1측판, 하부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하단부가 하부판의 타측에 고정되어 하부판의 타측에 세워지고,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마주보는 제1비드의 위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비드가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제2측판 및 제1비드 및 제2비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며, 양단부가 수평 방향에 대하여 대응되는 제1비드 및 제2비드 각각에 결합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측판지지부재들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을 제공한다. In Patent Document 1, a lower plat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structe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ar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erect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One or more first bead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The second side plate and the first bead and the second bead, which are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one or more second bead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cing first bead It provides a formwork for a beam structure including one or a plurality of side plate support members which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eads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러나 이로한 종래의 거푸집은 제1,2측판과 하부판간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1,2측판들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판지지부재를 필요로 함과 동시에 상기 측판지지부재의 양단을 제1,2측판부재의 비드에 서로 연결하였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formwork requires a plurality of side plate support members to connect them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spacing between a pair of adjacent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becau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nd the lower plate is weak. At the same time, both ends of the side plate support member were connected to the bead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 members.
이에 따라, 거푸집을 구성하는 전체적인 구성부품수가 많아지고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는 한편, 작업자가 공장에서 거푸집을 선조립하는 공정이 복잡해지고,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Accordingly, the total number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ormwork increases and the overall structure becomes complex, while the process of pre-assembling the formwork in the factory by the operator become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work productivity.
또한, 하부단과 결합되는 제1,2측판이 콘크리트 타설전까지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자립상태가 불가하기 때문에 제1,2측판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지지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해지고 번거로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combined with the lower end cannot stand upright until concrete is placed, a separat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is required, making the construction complex and cumbersome. There was a problem to be made.
이와 더불어, 제1,2측판을 지지하는 거치지지대를 사용하지 않고 제1,2측판과 하부판의 결합부위를 용접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용접 작업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철판이 변형되고 도금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and the lower plate are joined by welding without using a mounting support that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side plates, the iron plate is deformed and the plating is peeled off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the welding operation. Has occurred.
특허문헌 2에는, 열연코일을 롤 포밍하여 일체로 제작한 한쌍의 상부 일측부재 및 상부 타측부재를 열연코일로 롤 포밍하여 제작한 하부부재와 볼트 접합시키고 한 쌍의 상부 일측부재 및 상부 타측부재에 의해 형성된 공간 및 하부 부재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킨 하이브리브 합성보를 개시하고 있다. In Patent Document 2, a pair of upper one side member and the other upper member manufactured by roll forming a hot-rolled coil are bolted to a lower member manufactured by roll forming with a hot-rolled coil, and the pair of upper one member and the upper other member are bonded to each other. Disclosed is a hybrid composite beam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and the lower member to be integra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은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채우는 과정에서 상부 일측,타축부재와 하부부재가 볼트접합하는 부위가 하부판과 상부수평판이 수평하게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기포가 하부판과 상부수평판에 걸려 콘크리트 내부에 잔류하게 되고, 이러한 기포를 별도의 장비에 의해서 제거하는 공정을 수반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성형되는 보내부에 잔류하는 기포에 의해서 보강성 및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into the inner space, such a conventional formwork has a lower plate and an upper horizontal plate horizontally formed at the part where the upper one side, the other shaft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re bolted together, so that bubbles generated during concrete pouring are prevented from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t is caught on the upper horizontal plate and remains inside the concrete, and since the process of removing these bubbles by a separate equipment must be followed, work productivity is lowered, and reinforcement and reliability are lowered by the bubbles remaining in the molded delivery part. There was a problem to mak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인 조립 및 결합구조가 단순함과 동시에 거푸집 구조물과 보강철근 구조물을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합체하는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강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한편, 수평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동바리 사용갯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simplify the overall assembly and coupling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the assembly work in which the formwork structur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re combined at a construction site or a factory.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non-destructiv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that can stably fix the reinforcing bar and minimize the number of copper bars by stably maintaining the horizontal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이전에 선조립되는 거푸집 구조물의 자립기능을 보강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시 내부압에 의해서 거푸집 구조물이 벌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destructiv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that can prevent the formwork from being unfolded or deformed by internal pressure during concrete placement while reinforcing the self-standing function of the formwork pre-assembled before concrete pouring. I want to.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슬래브의 하부에 슬래브의 하중을 분산하는 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천정면과 나란하도록 하부 지지판을 하부단에 절곡형성하며, 판재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이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를 내측 수직면에 돌출형성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으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하부 지지판 단부가 서로 마주하여 접합고정하면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거푸집부 ; 상기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주철근을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주철근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올려져 상기 접이부와 접하여 지지되는 복수개의 스트럽 철근을 갖추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사이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철근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한다.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work assembly for constructing a beam that distributes the load of the slab in the lower part of the slab, the lower support plate is placed in parallel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slab. The ends of a pair of lower support plates extending from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are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that are bent at the ends and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vertical surface of at least one fold processed so that the plates overlap each other. A formwork that forms a mounting portion protruding to a certain height while fixing the joint;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and a plurality of stirrup reinforcing bars that ar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olding portion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ar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It provides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inforcing reinforcing part inserted into the pouring space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filled in the pouring space.
바람직하게, 상기 거푸집부는 서로 마주하는 접이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좌우한쌍의 측판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간격유지용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ormwork may include a connecting bar for maintaining a gap so as to withstand the side pressure of the concrete being poured while maintaining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by connecting both ends to the folding part facing each oth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유지용 연결바는 상기 접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는 연결공에 대응결합되도록 절곡단을 좌우양단에 절곡형성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onnection bar for maintaining the spacing may have bent ends bent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holes formed through the fold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절곡단에는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이탈방지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bent end may include a detachment preventing protrusion so that external detachment from the connection hole is difficult.
바람직하게, 상기 철근 보강부는 복수개의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주철근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접이부에 접하도록 폐단면으로 절곡형성되는 스트럽 철근을 포함하거나 복수개의 하부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주철근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접이부에 접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개방단면으로 절곡형성되는 스트럽 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inforcing bar includes a stirrup reinforcing bar that is bent in a closed section so as to contact the folding portion while fixing the main reinforcing ba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or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main reinforcing ba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ower reinforcing bars. It may include a stirrup reinforcing bar that is bent in an open cross-section that is opened upward so as to contact the folding part.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부와 대응하는 스트럽 철근의 하부에 상기 안착부에 올려져 배치되는 안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하부 지지판의 각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일체로 접합고정되는 한쌍의 수직접합판과, 상기 한쌍의 수직접합판의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이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안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it comprises a seating frame that is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under the stirrup reinforcing bar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s vertically bent upward from each end of a pair of lower support plates facing each other. It may include a pair of vertical bonding plates that are integrally bonded and fixed, and a pair of horizontal seating plates which are horizontally bent from the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joining plates to place the seating frame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프레임은 상기 수평안착판의 단부에 접해지도록 양단에 절곡형성되는 돌출턱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eating frame may include protruding jaws bent at both end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horizontal seating plat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좌우한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거푸집부와, 주철근과 스트럽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철근 보강부를 각각 선조립한 다음 거푸집부의 안착부에 안착프레임에 올려져 배치되도록 철근 보강부를 삽입배치하여 조립함으로써 전체적인 조립 및 결합구조가 단순하면서 구성부품들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철근 보강부를 별도의 결속재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용접방식으로 거푸집부에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장이나 공사현장에서 선조립된 거푸집부와 철근 보강부를 합체하여 조립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업무부하를 줄일 수 있는 한편, 박판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부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overall assembly and connection structure by assembling the formwork consisting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and the reinforcing part consisting of main and stirrup reinforcing bars, respectively, and then inserting and placing the reinforcement part so that it is placed on the seating frame in the seating part of the formwork. It is simple,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mponents, an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fix the reinforcement part with a separate binding material or connect the formwork with a welding method, the pre-assembled formwork and the reinforcement part at the factory or construction si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work productivity by performing the assembly and assembly operation more simply and quickly, and reduce the work load of the operator, while preventing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formwork made of thin plate.
거푸집부를 구성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간격유지용 연결바에 의해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측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및 경화시 거푸집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bar for maintaining the gap that connects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constituting the formwork can sufficiently withstand the side pressure generated during concrete pouring, thereby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formwork during concrete placement and hardening.
좌우한쌍의 측판사이를 접합연결하는 안착부와, 이에 올려져 배치되는 안착프레임에 의해서 슬래브 거푸집과 연결되는 보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수평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보시공용 거푸집 조립체를 지지하는 동바리 사용갯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시공 소요시간을 줄이고, 관리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By stably maintaining the horizontality of the formwork assembly connected to the slab formwork by the mounting part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and the mounting frame mounted thereon, the number of copper bars used to support the formwork assembly for the building construction can be reduced. Because it can be minimiz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reduce maintenance costs.
콘크리의 타설시 발생하는 기포를 자연스럽게 상부로 상승시켜 제거함으로써 성형되는 보의 내부에 기포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별도의 기포제거공정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래브의 하면에 시공되는 보의 시공성 및 강성을 높일 수 있다. Since the bubbles generated when concrete is poured are naturally raised to the top and removed, the occurrence of bubbles inside the formed beam is fundamentally prevented, and a separate bubble removal process can be eliminated. Therefore, the workability of the beam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and You can increase the rigid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되는 거푸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되는 철근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되는 간격유지용 연결바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형태의 철근 보강부와 거푸집부간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를 조립하고 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에서 상부 절곡판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the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work applied to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the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ement part applied to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a connection bar for maintaining a gap applied to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between a reinforcing reinforcement part and a formwork part of another embodiment applied to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E are flow charts for assembling and constructing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ent plate is bent inward in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directly connected', but also'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브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를 슬래브의 하면에 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슬래브에 일체로 연장되어 보를 형성하는 거푸집부(110)와, 상기 거푸집부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철근 보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거푸집부(110)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우합형시 상부로 개방된 대략 ㄷ 단면상의 상부로 개방된 합형구조물을 형성하는 좌우한쌍의 측판(111)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2, and 3, the
이러한 좌우한쌍의 측판(111)은 상기 슬래브의 천정면과 나란하도록 하부 지지판(114)을 하부단에 내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형성하며, 판재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이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112)를 내측 수직면에 돌출형성한다.The left and right pair of
상기 접이부(112)는 후술하는 간격유지용 연결바(115)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공(112a)을 포함한다. The
그리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111)의 상부단에는 상기 슬래브의 천정면과 나란하도록 상부단에 외측으로 수평하게 절곡형성한 상부절곡판(116)을 갖추어 슬래브의 천정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left and
이때, 상기 상부절곡판(116)은 외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여기서, 좌우한쌍의 측판(111)은 1.0 내지 1.2T 의 박판두께를 갖는 열연코일이나 냉연코일과 같이 성형가공이 용이한 금속박판재를 원소재로 하여 롤포밍 공정에 의해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접이부(112)는 내측면에 금속박판재를 롤포밍 성형라인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접이가공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지지판(114)과 상부절곡판(116)도 각각 절곡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롤포밍 성형공정은 금속박판재를 성형하는 공지공정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left and right pair of
이때, 롤 포밍성형되는 접이부(112)는 롤포밍되는 금속판재가 겹쳐져 서로 접해지도록 포개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이되는 금속판재가 틈새를 두고 겹쳐져 포개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측판(111)의 하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하부 지지판(114)은 서로 마주하여 접합고정함과 동시에 일정높이 돌출되어 후술하는 안착프레임(123)이 올려져 배치되는 안착부(113)를 형성한다. In addition, a pair of
여기서, 상기 안착부(113)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하부 지지판(114)의 각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일체로 접합고정되는 한쌍의 수직접합판(113a)과, 상기 한쌍의 수직접합판(113a)의 단부로부터 접이부측으로 수평하게 절곡형성되는 한쌍의 수평안착판(113b)을 포함한다. Here, the
여기서, 상기 하부 지지판(114)의 각 단부에 절곡형성되는 수직접합판(113a)과 수평안착판(113b)도 상기 측판(111)의 내측면에 접이부(112)를 형성하는 롤포밍 공정시 동시에 절곡형성되는 것이다. 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은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상기 하부 지지판의 단부에 절곡형성되는 안착부의 수직접합판간의 상호 접합연결에 의해서 바닥면이 밀폐되고 상부로 개방된 대략 ㄷ 단면상의 거푸집 판체구조물인 거푸집부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is a form-plate structure having a substantially c cross-section open to the top and the bottom surface sealed by mutual joint connection between the vertical joint plates of the seating portion bent at the end of the lower support plate at a construction site or factor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phosphorus form.
또한, 상기 거푸집부(110)는 좌우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측판(111)에서 서로 마주하는 접이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좌우한쌍의 측판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기인하는 측압을 충분히 견디어 거푸집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간격유지용은 연결바(115)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연결바(115)의 양단은 서로 마주하는 접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연결공(112a)에 각각 양단이 각각 대응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이러한 간격유지용 연결바(115)는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양단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공(112a)에 대응삽입되어 연결되는 절곡단(115a)을 포함하거나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공(112a)에 대응삽입되어 연결된 절곡단(115a)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이탈방지용 돌기(115b)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이때, 상기 이탈방지용 돌기(115b)는 상기 연결공(112a)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추단면상의 돌출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공과의 대응결합시 수축변형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간격유지용 연결바(115)는 상기 거푸집부(110)의 좌우한쌍의 측판(111)사이에 상기 철근 보강부(120)가 삽입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들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콘크리트타설시 발생하는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전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상기 철근 보강부(12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상,하부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주철근(121)을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주철근(121)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안착부(113)에 올려짐과 동시에 상기 접이부(112)와 접하여 지지되는 늑골철근재인 스트럽(stirrup)철근(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근골격 구조물이다. The reinforcing
이러한 철근 보강부(120)는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111)사이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에 삽입배치된 다음, 상기 타설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것이다. This
여기서, 상기 주철근(121)은 대략 사각틀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스트럽 철근(122)의 상부에 나란하게 위치고정되는 복수개의 상부철근(121a)과, 상기 스트럽 철근(122)의 하부에 나란하게 위치고정되는 복수개의 하부철근(121b)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ain reinforcing
상기 철근 보강부(12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철근(121a,121b)으로 이루어지는 주철근(121)을 동시에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상,하부재와, 상기 접이부(112)에 접하도록 상기 상,하부재의 양단사이를 연결하는 좌우한쌍의 수직재로 이루어져 폐단면을 갖도록 절곡형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스트럽 철근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철근(121b)으로 이루어지는 주철근(121)을 위치고정하는 하부재와, 상기 접이부에 접하도록 상기 하부재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좌우한쌍의 수직재로 이루어져 상부로 개방된 개방단면을 갖도록 절곡형성되는 ㄷ 형상의 스트럽 철근(1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때, 일정길이를 갖는 하나의 철근재를 이용하여 폐단면을 갖도록 사각틀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스트럽 철근(122)의 상부단 일측 모서리부에는 복수개의 상부철근 중 하나의 철근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절곡형성되는 절곡연결단(122a)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t one corner of 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철근 보강부(120)는 상기 안착부(113)와 대응하는 스트럽 철근의 하부에 상기 안착부(113)에 안정적으로 올려져 배치되는 안착프레임(123)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113)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하부 지지판(114)의 각 단부를 서로 접합하도록 일체로 접합고정되는 한쌍의 수직접합판(113a)과, 상기 한쌍의 수직접합판의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123)이 올려져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안착판(113b)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스트럽 철근(122)의 하부 중앙에 주철근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안착프레임(123)의 좌우양단에는 상기 수평안착판(113b)의 단부에 접해져 위치고정되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형성되는 돌출턱(123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이러한 안착프레임(123)은 상기 주철근과 나란하면서 상기 거푸집부를 구성하는 측판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2개이상의 분할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is
또한, 상기 상,하부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주철근과, 이들을 위치하는 고정하는 스트럽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철근골격 구조물인 철근 보강부(120)는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사전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프레임(123)도 상기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스트럽 철근에 일체로 용접고정되거나 와이어와 같은 결속재로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111)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접이부(112)는 상기 스트럽 철근의 좌우양측 수직재와 동시에 접하도록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접이가공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접이부중 일부 접이부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도록 접이되어 형성되거나 접이갯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이때, 상기 스트럽 철근의 좌우양측 수직재와 대응하는 접이부의 단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 보강부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방지하도록 스트럽 철근의 수직재가 대응삽입되어 배치되는 요홈을 함몰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t the ends of the fold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vertical members of the stirrup reinforcement, a concave groove in which the vertical members of the stirrup reinforcing bars are correspondingly inserted and arranged to minimize and prevent the movement of the reinforcing member during concrete pouring may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거푸집부(110)와 철근 보강부(120)는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각각 선조립된 다음 용접방식이나 결속방식의 적용없이 간편하게 상호 결합되어 합체되는 것이다. Meanwhile, the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한쌍의 측판(111)을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하부 지지판(114)의 각 단부에 절곡형성되는 수직접합판(113a)을 접하여 고정함으로써, 밀폐된 바닥면에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안착부(113)를 형성하면서 상부로 개방된 거푸집부(110)를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선조립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7A,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단면이나 개방단면을 갖도록 절곡된 복수개의 스트럽 철근(122)에 복수개의 주철근을 일체로 고정하고, 스트럽철근에 안착프레임을 일체로 고정한 철근 보강부(120)를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선조립한다. As shown in Figure 7b, a
연속하여, 도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각각 선조립된 거푸집부(110)를 구성하는 좌우한쌍의 측판(111)사이로 철근 보강부(120)를 대응삽입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철근 보강부의 안착프레임(123)이 상기 거푸집부의 안착부(113)에 올려져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철근 보강부의 좌우양측인 스트럽 철근의 좌우양측 수직재는 접이부(112)의 단부에 접하면서 지지되어 거푸집부와 철근 보강부로 이루어지는 보거푸집 조립체(100)를 제작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In succession, as shown in Fig. 7c, by correspondingly inserting and arranging the reinforcing reinforcing
이러한 상태에서, 도 7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측판(111)의 접이부에 형성되는 연결공에 간격유지용 연결바의 양단을 연결함으로써,좌우한쌍의 측판들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측압에 기인하는 거푸집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7D,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ar for maintaining the gap to the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folding portion of the pair of left and
최종적으로, 도 7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거푸집 조립체(100)를 현장에서 슬래브용 거푸집(미도시)과 연결한 다음, 상기 거푸집부의 내부인 타설공간으로 슬래브(S)까지 연장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하면, 슬래브(S)의 하면에서 하중을 분산하는 일체형 보를 시공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Finally, as shown in Fig. 7e, after connecting the
한편, 상기 거푸집부의 내부인 타설공간의 1회의 타설공정에 의해서 일체형 보를 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거푸집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타설되어 경화되는 바닥콘크리트를 선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슬래브의 하부면에 보를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 조립체(100)를 동바리의 상부단에 지지하는 과정에서 선시공된 바닥콘크리트에 의해서 거푸집 조립체의 하부처짐 및 휨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거푸집 조립체의 수평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constructing an integrated beam by one pouring process in the pouring space inside the formwork,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pre-construction of floor concrete that is cast and harden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formwork.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이로 인하여 거푸집 조립체를 지지하는 동바리 사용 및 설치갯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슬래브의 하면에 시공되는 보의 시공성능을 높일 수 있다.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work productivity by minimizing the number of copper bars and installations supporting the formwork assembly, and increase the construction performance of the beam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ab.
이때, 상기 거푸집부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선시공되는 바닥콘크리트는 상기 거푸집부의 안착부와 상기 철근 보강부의 안착프레임을 서로 일체화하도록 상기 스트럽 철근의 하부위치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콘크리트가 타설된 다음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loor concrete pre-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work is harden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sition of the stirrup reinforcing bar so that the mounting part of the formwork and the mounting frame of the reinforcing bar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거푸집부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선시공되는 바닥콘크리트에 의해서 얇은 강판소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조립체(100)의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공사현장이나 공장에서 선시공되는 바닥콘크리트에 의해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슬래브와 연결되는 보를 시공하기 위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줄여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10 : 거푸집부
111 : 측판
112 : 접이부
113 : 안착부
114 : 하부 지지판
116 : 상부 곡판
120 : 철근 보강부
121 : 주철근
121a,121b : 상,하부 철근
123 : 안착프레임
122,124 : 스트럽 철근
S : 슬래브110: formwork
111: side plate
112: folding part
113: seat
114: lower support plate
116: upper curved plate
120: reinforcement part
121: main reinforcement
121a,121b: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123: seating frame
122,124: stirrup rebar
S: slab
Claims (7)
상기 슬래브의 천정면과 나란하도록 하부 지지판을 하부단에 절곡형성하며, 판재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이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를 내측 수직면에 돌출형성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으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하부 지지판 단부가 서로 마주하여 접합고정하면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거푸집부 ;
상기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주철근을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주철근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올려져 상기 접이부와 접하여 지지되는 복수개의 스트럽 철근을 갖추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사이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철근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 보강부는 복수개의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주철근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접이부에 접하도록 폐단면으로 절곡형성되는 스트럽 철근을 포함하거나 복수개의 하부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주철근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접이부에 접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개방단면으로 절곡형성되는 스트럽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In the formwork assembly for constructing a beam that distributes the load of the slab under the slab,
The lower support plate is bent at the lower end so as to be parallel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slab,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protruding from an inner vertical surface of at least one folded portion processed to overlap each other. A formwork for forming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the ends of the pair of lower support plates extending from each other face each other and are fixedly bonde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and a plurality of stirrup reinforcing bars that ar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olding portion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ar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Includes a reinforcement part inserted into the pouring space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filled in the pouring space,
The reinforcing reinforcement portion includes a stirrup reinforcing bar that is bent in a closed cross-s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lding portion while fixing the main reinforcing bar composed of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or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main reinforcing bar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wer reinforcing bars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a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rrup reinforcing bar that is bent in an open cross-section that is open to the top so as to be in contact with.
상기 슬래브의 천정면과 나란하도록 하부 지지판을 하부단에 절곡형성하며, 판재가 서로 포개지도록 접이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이부를 내측 수직면에 돌출형성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을 갖추어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측판으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하부 지지판 단부가 서로 마주하여 접합고정하면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거푸집부 ;
상기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주철근을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주철근을 위치고정하면서 상기 안착부에 올려져 상기 접이부와 접하여 지지되는 복수개의 스트럽 철근을 갖추어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사이에 형성되는 타설공간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철근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와 대응하는 스트럽 철근의 하부에 상기 안착부에 올려져 배치되는 안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하부 지지판의 각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일체로 접합고정되는 한쌍의 수직접합판과, 상기 한쌍의 수직접합판의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이 배치되는 한쌍의 수평안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In the formwork assembly for constructing a beam that distributes the load of the slab under the slab,
The lower support plate is bent at the lower end so as to be parallel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slab,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protruding from an inner vertical surface of at least one folded portion processed to overlap each other. A formwork for forming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the ends of the pair of lower support plates extending from each other face each other and are fixedly bonded;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and a plurality of stirrup reinforcing bars that ar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olding portion while fixing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ar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Includes a reinforcement part inserted into the pouring space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fill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seating frame mounted and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below the stirrup reinforcing bar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vertically bent upward from each end of the pair of lower support plates facing each other to be integrally bonded and fixed, and the seating frame is horizontally bent from the end of the pair of vertical joining plat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horizontal seating plate to be disposed,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osic construction.
상기 안착프레임은 상기 수평안착판의 단부에 접해지도록 양단에 절곡형성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2,
The seating frame includes a protruding jaw bent at both ends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horizontal seating plate.
상기 거푸집부는 서로 마주하는 접이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좌우한쌍의 측판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을 견딜 수 있도록 간격유지용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ormwork part is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olding part facing each other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plates and a connection bar for maintaining the gap to withstand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상기 간격유지용 연결바는 상기 접이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는 연결공에 대응결합되도록 절곡단을 좌우양단에 절곡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on bar for maintaining the spacing is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a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ends are bent at both left and right ends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holes formed through the fold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절곡단에는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이탈방지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시공용 무해체 거푸집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5,
The bent end is a non-decomposable formwork assembly for a boscheo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for preventing separati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escape from the connection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8845A KR102170355B1 (en) | 2019-03-13 | 2019-03-13 |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8845A KR102170355B1 (en) | 2019-03-13 | 2019-03-13 |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9591A KR20200109591A (en) | 2020-09-23 |
KR102170355B1 true KR102170355B1 (en) | 2020-10-27 |
Family
ID=7270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8845A KR102170355B1 (en) | 2019-03-13 | 2019-03-13 |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035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2848A (en) | 2021-04-15 | 2022-10-24 | 염경수 | Self-supporting ring gird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0884B1 (en) * | 2020-09-28 | 2021-06-29 | 고미순 |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
CN116005882B (en) * | 2022-12-03 | 2024-06-04 | 华北水利水电大学 | Anti-deformation reinforced concrete beam |
CN116005945B (en) * | 2022-12-13 | 2024-10-11 | 中建二局安装工程有限公司 | Positioning structure and positioning method for reserved steel bars |
KR102704182B1 (en) * | 2024-02-29 | 2024-09-06 | 청우중공업(주) | Steel composite beam capable of securing fire resistance performan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959B1 (en) * | 2007-06-11 | 2008-12-08 | (주)센벡스 | Tsc beam formed with folded in top flanges |
KR101009753B1 (en) * | 2010-07-21 | 2011-01-19 | (주)동하이엔지 | Beam structural form |
-
2019
- 2019-03-13 KR KR1020190028845A patent/KR10217035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959B1 (en) * | 2007-06-11 | 2008-12-08 | (주)센벡스 | Tsc beam formed with folded in top flanges |
KR101009753B1 (en) * | 2010-07-21 | 2011-01-19 | (주)동하이엔지 | Beam structural for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2848A (en) | 2021-04-15 | 2022-10-24 | 염경수 | Self-supporting ring gir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9591A (en) | 2020-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0355B1 (en) |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 |
JP4823790B2 (en) | Column unit and method of building building using column unit | |
KR101295740B1 (en) | Joint of Steel Column | |
KR101766806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temporary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the modular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558930B1 (en) | Floor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and modular unit using it | |
KR101834006B1 (en) |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 |
KR100648376B1 (en) | Joint of steel concrete column and horizontal membe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844343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hybrid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CN107642104B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sandwich wall and middle laminated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587583B1 (en) | Mega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72991B1 (en) | Pre-assembled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 |
KR101187666B1 (en) | Joint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and joint method of the same | |
KR101735077B1 (en) | Bridge dec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 |
KR101425008B1 (en) | The building slab structure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171061B1 (en) | Modular unit with connector and floor heating plate | |
KR102193713B1 (en) |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 |
KR101872274B1 (en) |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upper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lower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 |
KR20210004289A (en) |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 |
KR101577704B1 (en)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
KR20190001131U (en) | Structure of a single line truss girder integrating insulation | |
KR101055361B1 (en) | Deck construction deck of bridge deck | |
KR102459419B1 (en) | Steel plate type composite girder, hybrid junction framework and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 |
KR102585526B1 (en) | Composite frame with end-buried girder joint | |
JPH10196027A (en) | Deck panel for concrete form | |
KR102586788B1 (en) | Ring column with double-r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