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788B1 - Ring column with double-r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Ring column with double-r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788B1
KR102586788B1 KR1020210094694A KR20210094694A KR102586788B1 KR 102586788 B1 KR102586788 B1 KR 102586788B1 KR 1020210094694 A KR1020210094694 A KR 1020210094694A KR 20210094694 A KR20210094694 A KR 20210094694A KR 102586788 B1 KR102586788 B1 KR 102586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ring piece
piece
outer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2904A (en
Inventor
염경수
고수진
Original Assignee
염경수
고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경수, 고수진 filed Critical 염경수
Publication of KR2022014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7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을 철근콘크리트 구조 내지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구축하기 위해 선조립되는 기둥용 조립 구조체의 링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링컬럼은 수직철근을 고정시키면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내부링편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링편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이격된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외부링편과, 상기 외부링편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피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링편과 외부링편은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긴 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ng column of an assembled structure for a column that is pre-assembled to construct a building column into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r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ring column is a plurality of columns arranged up and down at intervals while fixing vertical reinforcing bars. It consists of an inner ring piece, a plurality of outer ring pieces arranged up and down at intervals with at least some of them horizontally spaced outward from the inner ring piece, and an outer skin plat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the inner ring piece and The outer ring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b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RING COLUMN WITH DOUBLE-RING STRUCTURE}Ring column with doubling structure {RING COLUMN WITH DOUBLE-R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둥을 철근콘크리트 구조 내지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구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선조립되어 자립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기둥용 조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structure for columns that is pre-assembled before pouring concrete to enable the columns of a building to be self-supporting in order to construct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r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전통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기둥 구축은 수직철근과 이를 감싸는 띠철근을 배근하여 철근체를 조립하고, 그 외주면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The construction of a column in a tradition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done by assembling the reinforcing bar body by arranging vertical reinforcing bars and strip reinforcing bars surrounding them, installing a formwork on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n pouring concrete.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방식은 현장에서 철근 배근작업과 거푸집 설치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므로, 현장작업의 과다와 번잡함으로 인하여 공기가 길어질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율도 높다.However, this traditional method requires reinforcement work and form installation work to be done on site, so not only does the construction period take longer due to the excessive and complicated field work, but the rate of safety accidents is also high.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한 현장에서의 철근 배근작업과 거푸집 설치작업을 배제할 수 있도록 공장 등 현장 이외의 장소에서 선조립 구조체를 미리 제작하고,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정위치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만으로 공사를 완료시킴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pre-assembled structures have been manufactured in advance at places other than the site, such as a factory, to eliminate the above-mentioned on-site reinforcement work and formwork installation work, transported to the site, installed in place, and then constructed only by pouring concrete. Efforts are continuing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completing .

그 예의 하나로 도 1에 도시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72991호는 현장에서 재래식 거푸집을 시공함으로써 발생되는 공사량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을 제안한 바 있다.As an example, Patent Publication No. 10-1672991 shown in Figure 1 proposes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to solve problems such as increased construction volume caused by constructing conventional formwork on site.

상기의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주철근(110); 상기 주철근(1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주철근(110)을 결속하는 띠철근(120); 상기 주철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의 제1결합부(131)와, 상기 주철근(110)의 내측과 외측을 감싸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부(13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주철근고정부(132)와, 상기 제1결합부(131)가 주철근(11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주철근고정부(132)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철근고정부(132)와 제1결합부(131)를 연결하는 수평연결부(133) 및 상기 제1결합부(131)가 수평연결부(133)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수평연결부(133)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연결부(133)와 제1결합부(131)를 연결하는 수직연결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부재(130); 및 상기 제1결합부(131)와 맞물리는 제2결합부(141)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다수 마련되어 기둥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기둥의 각 측면을 마감하는 마감패널(140);을 포함하되, 상기 제2결합부(141)는 마감패널(14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상단과 하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결합부(13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감패널(140)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141)는 인접 배치되는 마감패널(140)의 상단에 배치된 제2결합부(141)와 중첩되어 하나의 제1결합부(131)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a concrete pillar includes main reinforcing bars 11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of the pillar; Band reinforcing bars (120)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110) and binding the main reinforcing bars (110); A first coupling portion 131 in the form of a bar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main reinforcing bar, and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main reinforcing bar 110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1, respectively. The main rebar fixing part 132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31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main rebar fixing part 13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rebar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main rebar fixing part 132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re separated from the main rebar fixing part 1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133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13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1 extend upward from the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133 so as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133,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portion ( A vertical connection part 134 is formed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33, and fixing members 130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s of the pilla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41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finishing panels 140 are provided and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to finish each side of the pillar. Includ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protrudes from at least the top and bottom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140 a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1, and the finishing panel 14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disposed at the bottom overlaps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disposed at the top of the adjacent finishing panel 140 and engages with one first coupling portion 131. Do it as

이와 같이 등록번호 10-1672991호의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은 거푸집 기능을 하는 마감패널(140)가 고정부재(130)에 미리 고정 설치되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별도의 거푸집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In this way, the pre-assembled structure for a concrete column of registration number 10-1672991 allows the finishing panel 140, which functions as a formwork, to be fixed and installed in advance on the fixing member 130, thereby omitting separate formwork installation work at the site.

다른 한 편으로, 상기와 같이 선조립되어 현장에 설치된 기둥용 구조체는, 이에 접합되는 보용 구조체가 조립 설치된 후, 복수의 층에 대하여 보용 구조체와 함께 콘크리트가 일괄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공사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지금의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the pillar structure pre-assembled and installed on site as described above increases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by having concrete poured together with the beam structure for multiple layers after the beam structure connected to it is assembled and installed. This is the current trend.

그러나 상기한 등록번호 10-1672991호의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은 마감부재(140)가 설치되는 고정부재(130)가 주철근(110)을 감싸는 주철근고정부(132)만에 의해 상기 주철근(110)에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철근(110)이 그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까지의 시공하중, 예컨대 이에 접합되어야 하는 보용 구조체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자립강도를 기대할 수 없다. However, in the pre-assembled structure for a concrete column of Registration No. 10-1672991, the fixing member 130 on which the finishing member 140 is installed is connected to the main rebar 110 by only the main rebar fixing part 132 surrounding the main rebar 110. Since it is a structure fix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 110, it cannot be expected to have a self-supporting strength that can support the construction load until the concrete poured inside it hardens, for example, the load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nected to it.

이와 더불어 상기한 등록번호 10-1672991호의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은 별도의 내다이아프램 등의 보강부재를 설치하지 않고서는 보용 구조체와의 접합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복수 층을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or concrete columns of registration number 10-1672991 mentioned above is not easy to join with the beam structure without installing separate reinforcing members such as internal diaphragms. Therefore, it is not realistically easy to pour concrete for multiple layers at the same time.

KRKR 10-167299110-1672991 B1B1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철근과 외피판의 설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작성이 뛰어나고, 설치된 수직철근에 높은 자립강성을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보와의 접합이 용이하여 복수 층의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고, 내다이아프램 등의 보강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뛰어난 링컬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installation of vertical reinforcing bars and skin plates can be easily accomplished, so that manufacturability is excellent, and the installed vertical reinforcing bars can have high self-supporting rigidity, as well as connecting beams. We aim to provide a ring column that is easy to join, allowing multiple layers of concrete to be poured, and has excellent constructability as there is no need to install reinforcing members such as internal diaphragm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의 구축을 위하여 내부에 수직철근이 배치되면서 선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철근을 고정시키면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내부링편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링편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이격된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외부링편과, 상기 외부링편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피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링편과 외부링편은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긴 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가 제공된다. 다만 연결보가 위치하는 패널존 외의 부분에 대하여는 내부링편만 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lumn is pre-assembled with vertical reinforcing bars placed inside to construct a column, and a plurality of internal reinforcements are arranged up and down at intervals while fix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It consists of a ring piece, a plurality of outer ring pieces arranged up and down at intervals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m horizontally spaced outward from the inner ring piece, and an outer skin plate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and the inner ring piece and the outer ring piece. A ring column with a doubling structure is provided, which is characterized by a strip shape with a long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only the inner ring piece may be installed in areas other than the panel zone where the connecting beam is located.

이때 내부링편과 외부링편 사이의 전체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에 브릿지스티프너를 전후좌우의 모든 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패널존에서는 그에 위치한 브릿지스티프너 중 적어도 한 쌍을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의 플랜지 폭 내에 위치시켜 연결보에 대한 응력전달영역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tire space between the inner ring piece and the outer ring piece can be spaced out, and bridge stiffeners can be installed symmetrically in all directions front, back, left, and right, and in the panel zone, at least one pair of bridge stiffeners located there can be installed on the connecting beam connected to the column. It can be placed within the flange width to form a stress transfer area for the connecting beam.

또한, 내부링편의 내측 모서리에는 구조적 강성의 확보를 위해 보강수직편을 더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강수직편을 내부링편과 외부링편의 각 면부 사이에 설치된 브릿지스티프너와 연속되도록 각 단부를 내부링편에 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dditional reinforcing vertical pieces can be installed at the inner edge of the inner ring piece to ensure structural rigidity. In this case, each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ring piece so that the reinforcing vertical piece is continuous with the bridge stiffener installed between each side of the inner ring piece and the outer ring piece. It can be attached to .

또한, 패널존에서는 연결보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각각 접합될 수 있도록 상하의 외부링편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하의 외부링편 사이에 연결보의 웨브가 접합될 수 있도록 웨브접합편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이들과는 달리 패널존에 위치한 상하의 각 외부링편이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의 상부플랜지의 상면과 하부플랜지의 하면에 각각 접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anel zone, upper and lower outer ring pieces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connecting beam can be joined respectively, and web connecting pieces can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web of the connecting beam can be bon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outer ring pieces. . Unlike these, the upper and lower outer ring pieces located in the panel zone can be made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of the connecting beam connected to the column, respectively.

아울러, 외부링편 내측의 면부 중앙과 모서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직보강대를 설치함으로써 대형 단면을 가진 링컬럼에서의 외피판을 보강하여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vertical reinforcement bar on at least one of the center and corn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outer skin plate in a ring column with a large cross-section and prevent deformation due to lateral pressure of the concrete.

본 발명의 링컬럼은 수직철근과 내부링편과 외부링편 및 외피판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일체화되고, 이러한 입체적이고 일체적인 구성이 수직철근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됨으로써 높은 강성 및 자립성을 가지게 되므로 복수 층의 콘크리트 동시 타설을 통해 공정의 효율성 향상과 공기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The ring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ertical reinforcing bars, inner ring pieces, outer ring pieces, and outer skin plates integrat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is three-dimensional and integrated structure is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so it has high rigidity and independence, so it can be used simultaneously with multiple layers of concrete. Through pour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또한 본 발명의 링컬럼은 연결보와의 사이에 판상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브릿지스티프너에 의해 응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에 따라 외피판에 의해 폐쇄된 단면의 CFT구조가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수평다이아프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수직철근의 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효율적인 보강을 가능하게 하고, 콘크리트 밀실성 확보를 통한 고품질의 기둥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ring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stress is transmitted by a bridge stiffener in which a plate-shaped member is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connecting beams, so that despite the formation of a CFT structure with a closed cross section by the skin plate, the ring column has a horizontal diamond structure.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fram, vertical reinforcing bars can be freely arranged, enabling efficient reinforcement and building high-quality columns by ensuring concrete tightness.

또한 본 발명의 링컬럼은 주철근인 수직철근을 내부링편에 부착시키고, 외피판을 내부링편과 연결된 외부링편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폐쇄된 단면 내부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링컬럼이 제작되는 것이므로 뛰어난 제작성을 가진 CFT구조를 가지게 한다.In addition, the ring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ng column that can build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side a closed cross section by simply attach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which is the main reinforcing bar, to the inner ring piece and attaching the outer skin plate to the outer ring piece connected to the inner ring piece. Therefore, it has a CFT structure with excellent manufacturability.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링컬럼의 사시도이다.
도 3, 4는 본 발명의 링컬럼을 구성하는 내부링편과 외부링편의 형상 및 배치구조에 관한 실시예들의 각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내부링편에 철근이 부착된 상태의 각 실시예에 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패널존에 설치되는 브릿지스티프너의 작용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7 내지 10은 패널존에 설치되는 외부링편의 구성에 관한 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패널존과 그 외의 부분에 대하여 외부링편과 내부링편의 각 두께를 달리한 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링커럼의 사시도 및 각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15는 패널존에서의 외부링편에 외피판이 설치되는 방식에 관한 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외부링의 면부와 모서리부에 수직보강대가 설치된 실시예의 각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for a reinforced concrete colum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plan views of embodiments of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inner and outer ring pieces constituting the ring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each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attached to the inner ring piece.
Figure 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bridge stiffener installed in the panel zone.
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of each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ring piece installed in the panel zone.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respective thicknesses of the outer ring piece and the inner ring piece are changed for the panel zone and other parts.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part of a linker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ach embodiment of how the outer skin plate is installed on the outer ring piece in the panel zone.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vertical reinforcement bars are installed on the face and corner portions of the outer r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whe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scured or unclear, the description of the known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링컬럼(100)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ring colum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링컬럼(100)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구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기둥 구축이 완료되도록 하는 기둥용 조립 구조체로서, 내부에 수직철근(20)이 배치되어 선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길이는 현장에서의 기둥세우기 1회의 것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하나의 링컬럼에는 연결보(200)가 설치되는 패널존이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다.The ring colum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sembly structure for a column that completes the construction of a column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r a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y pouring concrete inside, and is pre-assembled by placing vertical reinforcing bars 20 therein. It is constructed so that it can be erected, and its length is set based on one pillar erection at the site. Therefore, one ring column may have multiple panel zones where the connecting beams 200 are installed.

이러한 링컬럼(100)은 내부에는 내부링편(10)이 배치되고, 상기 내부링편(10)의 외측으로는 외부링편(30)이 배치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다.This ring column 100 has a double ring structure in which an inner ring piece 10 is disposed inside, and an outer ring piece 30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ring piece 10.

도 3, 4는 상기한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의 형상 및 배치구조에 관한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여기에 수직철근(20)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Figures 3 and 4 show each embodiment of the shape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and Figure 5 shows a portion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installed here. It was done.

내부링편(10)은 수직철근(20)을 용접 등의 수단으로 강하게 고정시키면서 그 접합부에서의 앵커링 작용으로 수직철근(20)을 구속하여 상기 수직철근(20)의 모멘트 저항능력을 증가시킨다.The inner ring piece 10 strongly fixes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by means such as welding and restrains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through an anchoring action at the joint, thereby increasing the moment resistance ability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상기 수직철근(2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링편(10)의 외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링편(10)의 내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수직철근(20)의 둘레에는 띠철근(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ring piece 10 as shown in (a) of FIG. 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ng piece 10 as shown in (b) of FIG. 5. It may be attached to . In addition, if necessary, additional band reinforcing bars (21) may be provided arou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0).

이와 같이 수직철근(20)이 부착되는 내부링편(10)은 다수 개가 기둥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 배치된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inner ring pieces 10 to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0 are attached are arranged continuous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lumn.

내부링편(10)의 내측 모서리에는 보강수직편(1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수직편(11)은 수직철근(20)을 통해 전달된 응력이 내부링편(10)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링편(10)의 구조적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시킨다.A reinforcing vertical piece 11 may be further installed at the inner edge of the inner ring piece 10. The reinforcing vertical piece 11 firmly maintains the structural shape of the inner ring piece 10 by ensuring that the stress transmitted throug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inner ring piece 10.

또한 내부링편(10)의 내측 면부에 스터드(12)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전단합성력을 통해 내부링편(10)과 이와 연결 구성되는 외부링편(30)의 구조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studs 1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ing piece 10, the structural function of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connected to it can be improved through shear composite force with the concrete poured inside. You can.

외부링편(30)은 상기한 내부링편(10)의 수평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때 외부링편(3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링편(10)으로부터 수평 이격된 상태를 가진다.The outer ring piece 30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ring piece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ring piece 30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ing piece 10.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링편(30)의 전체가 내부링편(10)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링편(30)의 일부가 내부링편(10)과 부착됨으로써 내부링편(10)에 부착되지 아니한 외부링편(30)의 일부만이 내부링편(10)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링편(30) 역시 다수 개가 내부링편(10)의 배치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 배치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entire outer ring piece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ing piece 10, or as shown in FIG. 4, a portion of the outer ring piece 3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ring piece 10. Only a portion of the outer ring piece 30 that is not attached to the inner ring piece 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ing piece 10. A plurality of these outer ring pieces 30 are also arranged up and down at predetermined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ring pieces 10.

상기 외부링편(30)의 외면에는 강판으로 구성되는 외피판(50)이 부착된다. 상기 외피판(50)은 순수한 거푸집기능만을 하게 하면서 수직철근(20)과의 일체적 거동을 통해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까지 시공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링컬럼(100)의 자립강성 증대에 기여하게 할 수도 있고, 소요 폭두께비를 만족시킬 수 있는 두께를 적용하여 구조재의 일부로 작용하게 할 수도 있다. 외부링편(30)에 대한 외피판(50)의 부착은 외피판(50)에 용접홀(미도시)을 형성시켜 용접에 의하게 할 수도 있고, 강판용 타카핀을 이용할 수도 있다.An outer skin plate 50 made of steel plat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30. The outer skin plate 50 performs only a pure formwork function and increases the self-supporting rigidity of the ring column 100, which can support the construction load until the concrete poured inside is hardened through integrated behavior wit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It can be made to contribute to, or it can be made to act as part of the structural material by applying a thickness that can satisfy the required width-to-thickness ratio. Attachment of the shell plate 50 to the outer ring piece 30 can be done by welding by forming a weld hole (not shown) in the shell plate 50, or by using a taka pin for steel plates.

이러한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은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긴 띠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은 일체적 거동을 하는 입체적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링컬럼(100)이 수직철근(20)을 통해 전달되는 수직하중은 물론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 측압 등의 수평하중에 대하여도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부링편(30)의 단면은 기둥의 단면 형상에 따라 제한되나, 내부링편(10)은 기둥의 단면 형상과 무관하게 다양한 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사각기둥에 있어서 외부링편(30)은 사각단면으로 구성되어야 하나, 내부링편(10)은 사각과 육각 등의 다각단면 뿐만 아니라 원형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se inner ring pieces 10 and outer ring pieces 30 have a long strip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hav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at behaves as one unit, so that the ring colum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ndling the vertical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as well as the intern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sufficient rigidity to resist horizontal loads such as lateral pressure of concrete placed in the concrete. In addition, the cross-section of the outer ring piece 30 is limited depending 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lumn, but the inner ring piece 10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regardles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lumn. For example, in a square pillar, the outer ring piece 30 must be composed of a square cross-section, but the inner ring piece 10 can be composed of a circular cross-section as well as a polygonal cross-section such as square or hexagon.

도 3에서와 같이 외부링편(30)의 전체가 내부링편(10)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과 사이에 브릿지스티프너(40)가 더 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entire outer ring piece 30 is struct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ring piece 10, a bridge stiffener 40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상기 브릿지스티프너(40)는 판상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6의 (a)(b)에 각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 형상 또는 수직면 형상을 가지도록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과 사이에 설치되며, 후자와 같이 수직면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경우 그 상하폭은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것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idge stiffener 40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member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to have a horizontal or vertical shape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6. , when it is installed to have a vertical plane shape like the latter, it is preferable that its upper and lower widths match that of at least one of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이러한 브릿지스티프너(40)는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들 사이에서의 원활한 응력전달 매체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연결보(200)가 기둥에 접합되는 위치의 패널존에서는, 도 6에서 도면으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다이아프램의 기능을 함으로써, 외피판(50)에 의해 형성된 폐단면 내부에 별도의 수평다이아프램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높은 정도의 모멘트접합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도 6의 (b)에서와 같이 수직면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의 응력전달영역 내에서도 자유로운 수직철근(20)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CFT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This bridge stiffener 40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and functions as a smooth stress transfer medium between them, especially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beam 200 is connected to the column. In the panel zone, as illustrated in FIG. 6, by functioning as an inner diaphragm, a high degree of moment is achiev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horizontal diaphragm inside the closed cross section formed by the outer skin plate 50. It enables joining, and especially when installed to have a vertical plane shape as shown in (b) of FIG. 6, it is possible to have a CFT structure that allows free arrangement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20 even within its stress transfer area.

따라서 상기 브릿지스티프너(40)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와 개소는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200)의 플랜지(210,220) 위치와 크기에 따라 설정된다. 예컨대 패널존에 위치한 브릿지스티프너(40) 중 적어도 한 쌍은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200)의 플랜지(210,220) 폭과 일치하도록 설치하여 보-기둥 접합부에서의 응력전달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게 한다.Therefore, the specific installation location and location of the bridge stiffener 40 are set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flanges 210 and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connected to the column. For example, at least one pair of bridge stiffeners 40 located in the panel zone is installed to match the width of the flanges 210 and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connected to the column, so that stress is clearly transferred at the beam-column joint.

그러나 이들 브릿지스티프너(40)는 링컬럼(100) 단면의 전후좌우 모든 방향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어느 한 방향으로 응력이 쏠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se bridge stiffeners 40 are installed symmetrically in all direction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ing column 100 to prevent stress from being concentrated in one direction.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링편(10)의 내측 모서리에 보강수직편(11)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이때 상기의 보강수직편(11)을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의 각 면부 사이에 설치되는 브릿지스티프너(40)와 연속되게 함으로써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 사이의 응력전달이 명확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 reinforcing vertical piece 11 may be installed at the inner corner of the inner ring piece 1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vertical piece 11 is connected to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 the stress transfer between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can be made clear and more efficient by continuing with the bridge stiffener 40 installed between each surface portion.

연결보(200)가 접합되는 위치의 패널존에서는 상기 연결보(200)의 접합구조에 따라 외부링편(30)의 설치구조를 달리할 수 있다In the panel zone where the connecting beam 200 is joine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outer ring piece 30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joint structure of the connecting beam 200.

도 7 내지 10은 기둥에 대한 연결보(200)의 접합구조와 관련한 패널존에서의 외부링편(30)에 관한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7 to 10 show each embodiment of the outer ring piece 30 in the panel zone related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necting beam 200 to the column.

도 7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패널존에 위치한 외부링편(30) 중 일부, 즉 연결보(200)가 설치되는 면 부분에 위치한 외부링편(30)은 연결보(200)의 상부플랜지(210)와 하부플랜지(220)가 접합될 수 있도록 상하에 각각 설치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some of the outer ring pieces 30 located in the panel zone, that is, the outer ring pieces 30 located on the surface where the connecting beam 200 is installed, are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210 of the connecting beam 200. The lower flanges 220 ar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so that they can be joined.

도 8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도 7의 실시예의 상부측 외부링편(30)과 하부측 외부링편(30) 사이에 연결보(200)의 웨브(230)가 접합될 수 있도록 웨브접합편(31)이 더 구비된다. 그러나 그의 내측에 위치한 상하의 내부링편(10) 사이에는 상기 웨브접합편(31)에 대응하는 구성을 별도로 구비시킬 필요는 없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a web joint piece ( 31) is further provided. However,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web joining piece 31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ner ring pieces 10 located on the inside thereof.

도 9는 패널존 전체를 하나의 외부링편(30)으로 구성시킨 예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외부링편(30)은 상하의 폭이 이에 접합되는 연결보(200)의 상하부플랜지(210,220) 모두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패널존에서는 외부링편(30)의 일부분에 의해 외피판(50)이 구성되므로 이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Figure 9 is an example in which the entire panel zone is composed of one outer ring piece 30. That is, the outer ring piece 30 in this embodiment has an upper and lower width that is large enough to accommodate both the upper and lower flanges 210 and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joined thereto. Therefore, in the panel zone, the outer skin plate 50 is formed by a portion of the outer ring piece 30, so there is no need to install it separately.

이때 그의 내측에 위치한 내부링편(10)까지 그 상하폭을 크게 할 필요는 없으며, 상하의 각 내부링편(10)을 상기한 하나의 외부링편(30) 상하단부에 각각 위치시켜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inner ring pieces 10 located on the inside, an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inner ring pieces 10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ngle outer ring piece 30 described above.

도 10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링컬럼(100)에 연결보(200)를 관통시켜 설치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패널존에 위치한 상하의 각 외부링편(30)은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200)의 상부플랜지(210) 상면과 하부플랜지(220)의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t can be applied when installing the connecting beam 200 through the ring column 100. 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outer ring pieces 30 located in the panel zone are install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connected to the column, respectively.

연결보(200)가 접합되는 패널존에서는 휨모멘트가 가장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패널존에 위치한 외부링편(30)과 내부링편(10)은 그 외의 구간에 위치한 것들보다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rgest bending moment occurs in the panel zone where the connecting beam 200 is join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outer ring pieces 30 and inner ring pieces 10 located in the panel zone to have greater rigidity than those located in other sections.

예컨대, 연결보(200)의 상하부플랜지(210,220)에 각 접합되는 외부링편(30)이 상호 분리된 도 7 또는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상부플랜지(210)와 접합되는 외부링편(30)만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인장응력에 보다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링편(30)에 대응하는 내부링편(10)에 대하여도 그 두께를 증가시켜 응력분담을 통해 패널존에서의 충분히 안정적인 보-기둥의 모멘트 접합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7 or Figure 10 in which the outer ring pieces 30 respectively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s 210 and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least only the outer ring pieces 30 joined to the upper flange 210 are us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it can be made to resist tensile stress more efficiently.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inner ring piece 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ring piece 30 can also be increased to provide a sufficiently stable beam-column moment joint structure in the panel zone through stress sharing.

물론 도 8에서와 같이 상부의 외부링편(30)과 하부의 외부링편(30)이 웨브접합편(31)에 의해 일체화된 경우에는 이들 전체에 대하여 그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패널존에서의 강성증대를 도모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패널존과 그 외의 구간에 대하여 외부링편(30)과 내부링편(10)의 각 두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Of course, as shown in FIG. 8, when the upper outer ring piece 30 and the lower outer ring piece 30 are integrated by the web joint piece 31, the rigidity in the panel zone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piece. It can be promoted. Figure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espective thicknesses of the outer ring piece 30 and the inner ring piece 10 are changed for the panel zone and other sections.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링컬럼(100)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12 shows the ring column 10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링컬럼(100)은 콘크리트 타설로 구축된 기둥의 외면을 콘크리트 마감면으로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외부링편(30)이 설치된 상하의 각 패널존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 외부링편(30)과 이에 부착되는 외피판(50)이 설치되지 않고, 기둥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된 후 제거가 가능하도록 거푸집패널(55)이 설치된다.The ring column 100 of this embodiment allows the outer surface of a pillar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to be composed of a concrete finished surface, and the outer ring piece 30 is located in th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nel zones where the outer ring piece 30 is installed. and the outer skin plate 50 attached thereto are not installed, and the formwork panel 55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removed after the pouring and curing of the column concrete is completed.

그러나 외부링편(30)이 설치되지 않은 상하의 각 패널존 사이에도 내부링편(10)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링편(10)으로 하여금 수직철근(20)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수직철근(20)의 휨모멘트 저항능력을 증가시켜 링컬럼(100)이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시공하중을 충분히 부담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지 않다.However, inner ring pieces 10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nel zones where the outer ring pieces 30 are not installed, and the inner ring pieces 10 restrai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0, thereby reducing the bending moment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0. It is no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resistance capacity is increased so that the ring column 100 can sufficiently bear the construction load even in a state where concrete is not poured.

도 13 내지 15는 패널존에서의 외피판(50)이 설치되는 방식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s 13 to 15 show each embodiment of the method in which the outer skin plate 50 is installed in the panel zone.

패널존에서의 연결보(200)와 외부링편(30)의 상기한 접합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판(50)을 매개로 한 간접 접합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200)의 각 플랜지(210,220)를 외부링편(30)의 외면에 직접 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joining of the connecting beam 20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in the panel zone may be accomplished by an indirect joining method using the outer skin plate 50 as shown in Figure 13, and in Figures 14 and 15. As shown, each flange 210,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may be directly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30.

후자의 경우는 도 15에서와 같이 패널존에 위치한 외부링편(30)의 외면이 패널존 이외의 곳에 위치한 외부링편(30)에 부착된 외피판(50)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하의 외부링편(30)과 그 사이에 위치하게 될 외피판(50)을 미리 일체로 구성시킴으로써 링컬럼(100)에 대한 제작의 용이성을 도모하게 할 수 있다.In the latter case, as shown in Figure 15,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30 located in the panel zone can be configure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kin plate 50 attached to the outer ring piece 30 located in a place other than the panel zone.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outer ring pieces 30 and the outer skin plate 50 to be located between them can be integrated in advance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ring column 100.

본 발명은 수직철근(20)이 부착 설치된 내부링편(10)과 외피판(50)이 부착 설치된 외부링편(30)이 직접 또는 브릿지스티프너(40)를 매개로 하여 일체화되게 함으로써, 수직철근(20)으로 하여금 시공하중을 지지하는 수직부재로 작용하게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링편(10)과 일체로 거동하는 외부링편(30)을 내부에서 앵커링함으로써 외부링편(30)에 부착된 외피판(50)이 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inner ring piece 10, to which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is attached, and the outer ring piece 30, to which the outer skin plate 50 is attached, directly or via the bridge stiffener 40, thereby form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20. ) to act as a vertical member supporting the construction load, and on the other hand, to anchor the outer ring piece 30, which operates integrally with the inner ring piece 10, from the inside, thereby attaching the outer skin plate to the outer ring piece 30 ( 50) prevents deformation due to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oncrete placed inside it.

그러나 구축하고자 하는 기둥의 단면이 매우 큰 경우에는 상기한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의 일체적 결합에 의한 구조만으로는 그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측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However,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column to be built is very large, the structure formed by the integral combination of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cannot stably support the lateral pressure of the concrete poured therein.

따라서 외부링편(30) 내측의 면부 중앙과 모서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직보강대(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6은 외부링편(30)의 면부 중앙과 모서리부 모두에 수직보강대(60)를 적용시키는 것에 관하여 도 7, 8에서 각 예시한 링컬럼(100)을 예로 하여 도시한 것이다.Accordingly, a vertical reinforcing bar 6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enter and corn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30. FIG. 16 shows the application of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60 to both the center and corner portions of the outer ring piece 30 using the ring column 100 illustrated in FIGS. 7 and 8 as an example.

상기 수직보강대(60)는 앵글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띠형상의 외부링편(30)은 수직보강대(60)의 설치를 매우 용이하게 한다.The vertical reinforcement bar 60 may be an angle member, and the strip-shaped outer ring piece 30 makes installation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bar 60 very easy.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s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is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0; 내부링편 11; 보강수직편
12; 스터드 20; 수직철근
21; 띠철근 30; 외부링편
40; 브릿지스티프너 50; 외피판
55; 거푸집패널 60; 수직보강대
100; 링컬럼 200; 연결보
210; 상부플랜지 220; 하부플랜지
230; 웨브
10; Inner ring piece 11; Reinforcement vertical piece
12; stud 20; vertical rebar
21; Band rebar 30; Outer ring
40; Bridge stiffener 50; skin plate
55; form panel 60; vertical reinforcement
100; ring column 200; connecting beam
210; upper flange 220; Lower flange
230; web

Claims (11)

기둥의 구축을 위하여 내부에 수직철근(20)이 배치되면서 선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철근(20)을 고정시키면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내부링편(10)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링편(10)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이격된 상태에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외부링편(30)과, 상기 외부링편(30)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피판(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은 상하방향으로의 폭이 긴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링편(10)과 외부링편(30)의 각 면부 사이에 브릿지스티프너(40)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링편(10)의 내측 모서리에는 보강수직편(11)이 설치되되, 상기 브릿지스티프너(40)는 보강수직편(11)과 연속되도록 각 단부가 내부링편(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
In order to build a column, it is pre-assembled with vertical reinforcing bars 20 placed inside, a plurality of inner ring pieces 10 arranged up and down at intervals while fix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2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ring pieces 10 are located inside the column.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outer ring pieces 30 arranged up and down at intervals while being horizontally spaced outward from the ring piece 10, and an outer skin plate 50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30,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are formed in a strip shape with a long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 bridge stiffener 40 is installed between each surface portion of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outer ring piece 30, and a reinforcing vertical piece 11 is installed on the inner edge of the inner ring piece 10, and the bridge stiffener ( 40) is a ring column with a double 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end is attached to the inner ring piece (10)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reinforcing vertical piece (11).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패널존에 위치한 브릿지스티프너(40) 중 적어도 한 쌍은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200)의 플랜지(210,220) 폭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
According to paragraph 1,
A ring column with a double ring structure, wherein at least one pair of bridge stiffeners (40) located in the panel zone is installed to match the width of the flanges (210,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connected to the colum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패널존에 위치한 외부링편(30) 중 일부는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200)의 상부플랜지(210)와 하부플랜지(220)가 각각 접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
According to paragraph 1,
Some of the outer ring pieces 30 located in the panel zone are rings with a double 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stalled so that the upper flange 210 and lower flange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connected to the column can be respectively connected. column.
제6항에 있어서,
패널존에 위치한 상하의 외부링편(30) 사이에는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200)의 웨브(230)가 접합될 수 있도록 웨브접합편(3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
According to clause 6,
A ring column with a doub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web joint piece (31)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outer ring pieces (30) located in the panel zone so that the web (230) of the connecting beam (200) connected to the column can be joined. .
제1항에 있어서,
패널존에 위치한 상하의 각 외부링편(30)은 기둥에 접합되는 연결보(200)의 상부플랜지(210)의 상면과 하부플랜지(220)의 하면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upper and lower outer ring pieces 30 located in the panel zone has a doub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20 of the connecting beam 200 connected to the column, respectively. ring column with
제1항에 있어서,
패널존에 위치한 외부링편(30)의 외면은 패널존 이외의 구간에 위치한 외부링편(30)에 부착된 외피판(50)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
According to paragraph 1,
A ring column with a double 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30) located in the panel zone is configure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kin plate (50) attached to the outer ring piece (30) located in a section other than the panel z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링편(30) 내측의 면부 중앙과 모서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직보강대(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
According to paragraph 1,
A ring column with a double 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vertical reinforcement bar (6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enter and corn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iece (30).
제1항에 있어서,
외부링편(30)이 설치된 각 패널존의 사이에는 외부링편(30)과 외피판(50)이 설치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거 가능한 거푸집패널(5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링 구조를 가진 링컬럼.
According to paragraph 1,
A ring column with a double 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formwork panel 55 that can be removed without the outer ring piece 30 and the outer skin plate 50 installed is installed between each panel zone where the outer ring piece 30 is installed. .
KR1020210094694A 2021-04-15 2021-07-20 Ring column with double-ring structure KR1025867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9415 2021-04-15
KR1020210049415 2021-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904A KR20220142904A (en) 2022-10-24
KR102586788B1 true KR102586788B1 (en) 2023-10-10

Family

ID=8380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694A KR102586788B1 (en) 2021-04-15 2021-07-20 Ring column with double-r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7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46B1 (en) * 2013-01-15 2014-03-07 이창남 Semi-rigid joint member of panel zone
KR101448163B1 (en) * 2013-04-26 2014-10-07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Centrifugal molding PC column structure with steel beam joint
KR102077751B1 (en) * 2019-06-14 2020-02-14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Connection sructure between steel column and long span steel gir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226A (en) * 1996-12-06 1998-09-05 이리형 Connecting device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joint (1)
KR20010028920A (en) * 1999-09-28 2001-04-06 김헌출 Join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KR101672991B1 (en) 2016-01-25 2016-11-04 박정희 Pre-assembled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46B1 (en) * 2013-01-15 2014-03-07 이창남 Semi-rigid joint member of panel zone
KR101448163B1 (en) * 2013-04-26 2014-10-07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Centrifugal molding PC column structure with steel beam joint
KR102077751B1 (en) * 2019-06-14 2020-02-14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Connection sructure between steel column and long span steel gi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904A (en)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736B1 (en) Shear reinforcement with dual anchorage function each up and down
KR20130012898A (en) Joint of steel column
KR100648376B1 (en) Joint of steel concrete column and horizontal membe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19067B1 (en) Fabricated Column Structure with Jointing Structure of the Beam
KR102104382B1 (en) Steel beam, composite column, and joint structure of the same
KR102586788B1 (en) Ring column with double-ring structure
KR101050166B1 (en) Slab module and knock-down type modular construction of use it
KR101050167B1 (en) Precasted slab module and knock-down type modular construction of use it and method of the same
KR101946500B1 (en) Hinged connected CFT column
KR20180073201A (en)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1173097A (en) Structure of precast composite beam
JP6574336B2 (en) Steel-fram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buildings using the same
KR20220142848A (en) Self-supporting ring girder
KR20220126001A (en)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G beam form
JPS5922814Y2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external wall semi-finished product
KR20090093540A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form-less method
JP3043938B2 (en) Joint structure between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steel beams
JP2758208B2 (en) Joint method between column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JPH04368528A (en) Frame construction using void beam
JP2001214516A (en) Structure for fixing pedestal part of rectangular steel pipe column
KR102550675B1 (en) Concrete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method of concrete member using the same
KR101457796B1 (en) Hybrid Structures Using Steel Framework and Precast Concrete Slab
KR102585526B1 (en) Composite frame with end-buried girder joint
JP6248470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existing frame
KR20230020325A (en) Self-supporting column with ring ins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