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010B1 -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Google Patents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9010B1 KR102169010B1 KR1020190075396A KR20190075396A KR102169010B1 KR 102169010 B1 KR102169010 B1 KR 102169010B1 KR 1020190075396 A KR1020190075396 A KR 1020190075396A KR 20190075396 A KR20190075396 A KR 20190075396A KR 102169010 B1 KR102169010 B1 KR 1021690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concrete
- gaebion
- gabion
- retaining wall
- concrete sleep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일 뿐만아니라, 균일한 폐콘크리트 침목 사용에 따른 채움 작업의 용이성 및 깔끔한 외관을 갖는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망눈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직선의 폐콘크리트 침목이 적층된 것으로 구성된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이 마련되고, 상기 개비온은 복수로 적층되어 옹벽을 구성하며, 상기 폐콘크리트 침목에는 상,하 관통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폐콘크리트 침목을 일체화시킨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적층된 개비온간 폐콘크리트 침목을 서로 결합하여 개비온을 일체화시키며, 상기 결합수단은 스터드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은 단차진 계단 형태로 구축되며, 상기 스터드볼트는 맨 하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에서부터 맨 상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까지 결합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제공되되, 상기 개비온은, 단면의 형태가 사각인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직선의 폐콘크리트 침목이 적층된 채움재를 포함하는 사각 형태의 개비온과, 상기 사각 형태의 개비온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망운이 형성되되 단면의 형태가 삼각인 망체와,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갖는 폐콘크리트 침목이 서로 상,하로 반전되어 단면의 형태가 삼각인 망체 내부에 적층된 채움재를 포함하는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포함하며, 상기 옹벽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기준으로 사각 형태의 개비온은 옹벽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통해 절곡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 침목 개비온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망눈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직선의 폐콘크리트 침목이 적층된 것으로 구성된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이 마련되고, 상기 개비온은 복수로 적층되어 옹벽을 구성하며, 상기 폐콘크리트 침목에는 상,하 관통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폐콘크리트 침목을 일체화시킨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적층된 개비온간 폐콘크리트 침목을 서로 결합하여 개비온을 일체화시키며, 상기 결합수단은 스터드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은 단차진 계단 형태로 구축되며, 상기 스터드볼트는 맨 하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에서부터 맨 상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까지 결합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제공되되, 상기 개비온은, 단면의 형태가 사각인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직선의 폐콘크리트 침목이 적층된 채움재를 포함하는 사각 형태의 개비온과, 상기 사각 형태의 개비온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망운이 형성되되 단면의 형태가 삼각인 망체와,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갖는 폐콘크리트 침목이 서로 상,하로 반전되어 단면의 형태가 삼각인 망체 내부에 적층된 채움재를 포함하는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포함하며, 상기 옹벽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기준으로 사각 형태의 개비온은 옹벽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통해 절곡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 침목 개비온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절개지, 하천변 등에는 침수로 인해 경사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시공이 간편한 개비온(Gabion) 등의 구조물을 설치한다. 이러한 옹벽형 개비온은 아연도금 철선 또는 그 위에 PVC 코팅을 한 철선을 이용하여 다각형의 망눈(통공)을 가진 망체로 만들고, 그 내부에 조약돌 또는 깬돌 등의 채움재를 채워서 설치한 옹벽시설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형 개비온은 망체의 어느 부위가 절단되더라도 전체적으로 붕괴되지 않고, 여러 형태의 침하를 견딜 수 있으며, 망체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 채움재의 공극을 통하여 주변의 물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고, 풀이나 나무 등이 자랄 수 있어서 친환경 시공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옹벽형 개비온은 아연도금 철선 또는 그 위에 PVC 코팅을 한 철선을 이용하여 다각형의 망눈을 가진 망체로 만들고, 그 내부에 조약돌 또는 깬돌 등의 채움재를 채움으로써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에는 각각 종래의 개비온 공법에 의하여 계단식으로 축조된 옹벽(10)의 측단면도와, 종래 개비온(1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개비온 공법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을 이용하여 제작한 격자형 개비온(10)에 소정 크기의 채움재(조약돌, 깬돌 등)를 채우고, 채움재가 채워진 상기 개비온(10)을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 또는 수직하게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개비온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개비온(10)은 채움재로써 조약돌이나 깬돌 등이 제공되므로, 채움재의 형태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망눈과 채움재간 크기를 고려해야하고 개비온 덮개가 덮일 수 있도록 채움재 채움을 고려해야 하는 등 개비온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둘째, 채움재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깬돌 및 조약돌은 자연석인바 채석하기 쉽지 않으며, 나아가 자연을 훼손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채움재 가격 및 인건비가 높아 경제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하여 채움재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규격화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채움재 배치가 용이하고 경제성이 높은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망눈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직선의 폐콘크리트 침목이 적층된 것으로 구성된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이 마련되고, 상기 개비온은 복수로 적층되어 옹벽을 구성하며, 상기 폐콘크리트 침목에는 상,하 관통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폐콘크리트 침목을 일체화시킨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적층된 개비온간 폐콘크리트 침목을 서로 결합하여 개비온을 일체화시키며, 상기 결합수단은 스터드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은 단차진 계단 형태로 구축되며, 상기 스터드볼트는 맨 하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에서부터 맨 상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까지 결합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제공되되, 상기 개비온은, 단면의 형태가 사각인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직선의 폐콘크리트 침목이 적층된 채움재를 포함하는 사각 형태의 개비온과, 상기 사각 형태의 개비온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망운이 형성되되 단면의 형태가 삼각인 망체와,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갖는 폐콘크리트 침목이 서로 상,하로 반전되어 단면의 형태가 삼각인 망체 내부에 적층된 채움재를 포함하는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포함하며, 상기 옹벽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기준으로 사각 형태의 개비온은 옹벽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통해 절곡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 침목 개비온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개비온의 채움재로 폐콘크리트 침목이 활용됨으로써, 재활용측면에서의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즉, 폐콘크리트 침목 폐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으며 폐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규격화된 폐콘크리트 침목을 절단하여 망체 안에 균일하게 적층함으로써 개비온의 채움재 작업이 완료되는데, 이는 망체 안에 채움재 채움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채움재 작업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비온의 외관을 깔끔하게 함으로써 옹벽 시공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폐콘크리트 침목 양 단부에 체결공을 타공하고, 그 체결공을 통과하여 적층된 폐콘크리트 침목을 엮어 일체화할 수 있으며, 개비온을 이용한 옹벽 구성시 개비온 상,하 방향으로 폐콘크리트 침목의 타공을 대응시켜 결합시킴으로써 옹벽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폐콘크리트 침목 사용에 따른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비온을 이용해 옹벽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비온의 망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해 구축한 옹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비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비온을 이용해 구축한 옹벽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비온의 망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을 이용해 구축한 옹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비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비온을 이용해 구축한 옹벽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이하, '개비온'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개비온은 경사면 유실 방지를 위한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옹벽의 유닛구성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100)와, 채움재(200)와, 결합수단(300)을 포함한다.
망체(100)는 개비온의 외관을 구성하고, 채움재(2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망체(100)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망눈(통공)이 형성된 육면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망체(100)는 금속의 철사나 와이어 등을 격자 형태로 엮어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망체(100)는 내부 공간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덮개(1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상 망체(100)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채움재(200)는 망체(100)의 내부에 채움되어 중량물로서의 개비온을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폐콘크리트 침목으로 제공된다. 콘크리트 침목은 사용 기간이 오래될 수록 노화되어 사용 수명에 한계가 있다. 상기 콘크리트 침목은 선로 구성을 위해 수많은 양으로 제공되고 있고, 수많은 양의 콘크리트 침목이 수명이 다하여 폐기 처분될 경우 상당한 폐기 처분 비용이 발생하는 등 처리 비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콘크리트 침목(200)에 대한 재활용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개비온의 채움재로 제공하고자 한다.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채움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폐콘크리트 침목(200)은 망체(100)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된다. 이후, 균일하게 절단된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망체(100)의 내부 공간에 적층시킨다. 이때, 폐콘크리트 침목(200)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망체(100)의 내부에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다. 동일한 크기의 망체(100)마다 폐콘크리트 침목(200)이 적층되므로 채움재 수요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망체(100) 내부에 적층된 폐콘크리트 침목(200)은 깔끔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개비온 전체 외관을 깔끔하게 제공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개비온(10)은 채움재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뷸규칙한 형태의 조약돌이나 깬돌 등으로 제공되어 망체 내부 공간에 수용됨에 따라, 작업자의 채움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망체 상방으로 채움재가 솟아나오지 않도록 채움재를 골라 사용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일정한 형태로 규격화된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사용하기 때문에 망체(100) 내부에 순차적으로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쌓기만 하면 되므로 채움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복수의 폐콘크리트 침목(200)은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체(100) 내부에서 폐콘크리트 침목(200)이 각각 유동되지 않도록 서로 결합해놓음으로써 개비온 이동시 안정적일 수 있으며, 나아가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미리 결합하여 일체화된 조립체 모듈로 만들어 놓을 수 있으므로 개비온 제작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로 토막난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미리 폐콘크리트 침목(200)의 양단부 또는 폐콘크리트 침목(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체결공(210)을 형성시켜 놓는다. 상기 체결공(210)은 후술하는 너트 체결을 위해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300)은 복수로 절단된 폐콘크리트 침목(200) 즉, 채움재를 결합하여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수단(300)은 복수의 폐콘크리 침목(20))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무방하나, 볼트(310)와 너트(3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310)는 스터드볼트임이 바람직하며 폐콘크리트 침목(200)의 체결공(210)을 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개비온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제작된 망체(100)가 제공된다. 망체(100)는 기성품일 수 있으며, 옹벽 구축 설계를 고려하여 새로 제작할 수 있다. 작업자는 덮개(110)를 회동하여 망체(100) 내부를 개방하고, 채움재(200) 채움 작업을 준비한다.
작업자는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망체(100) 내부 공간에 한 개씩 수용하면서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적층시킨다. 이때, 맨 하방의 폐콘크리트 침목(200)에는 결합수단(300)인 스터드볼트(310)가 결합된 상태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너트(320)를 이용해 스터드볼트(310)의 하단부를 맨 하방의 폐콘크리트 침목(200) 체결공(210)에 체결시켜 놓는다. 이에 따라, 스터드볼트(310)는 폐콘크리트 침목(20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다른 폐콘크리트 침목(200)들은 스터드 볼트(310)에 체결공(210)이 통과되면서 적층된다. 폐콘크리트 침목(200) 적층 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맨 상방의 폐콘크리트 침목(200)의 체결공(210)을 통해 노출된 스터드볼트(310)에 너트(320)를 체결함으로써 망체(100) 내부에 채움재(200) 채움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한 일련의 폐콘크리트 침목(200) 채움 작업은 복수의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미리 결합하여 조립체 모듈로 마련해놓은 후, 그 조립체 모듈을 한 번에 망체(100) 내부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즉, 망체(100) 외부에서 결합수단(300)을 이용해 폐콘크리트 침목(200)을 결합하여 일체화시켜 놓은 후, 장비를 이용하여 일체화된 폐콘크리트 침목(200) 모듈을 망체(100) 내부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개비온 제작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개비온을 이용해 옹벽을 구축하는 작업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개비온의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복수의 개비온을 적층하면서 옹벽(W)을 구축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스터드볼트(310)를 개비온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개비온 상방으로 돌출된 스터드볼트(310)에 상방으로 이웃하는 개비온의 폐콘크리트 침목(220) 체결공(210)을 결합시킨다. 복수의 폐콘크리트 침목(200) 중 일부의 폐콘크리트 침목(220)은 결합수단(300)을 통해 상방으로 이웃하는 개비온의 폐콘크리트 침목(220)과 결합됨으로써, 옹벽(W)을 구성하는 복수의 개비온들은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옹벽(W)은 단차진 계단 형태로 구축되며, 상기 스터드볼트(3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하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220)에서부터 맨 상단의 폐콘크리트 침목(220)까지 결합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일체형의 스터드 볼트(310)는 적층된 개비온을 서로 용이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개비온이 서로 일체화됨에 따라 옹벽(W)은 더욱 견고하게 구축될 수 있으며, 구조적 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개비온을 이용한 옹벽 구축시, 옹벽 라인이 직선이 아니라 라운드진 경우, 연이어 설치된 개비온 사이에 간격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개비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개비온은 옹벽 구축시 유격이 발생한 부위를 채우는 역할을 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120)는 삼각 형태로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망체(120)와 폐콘크리트 침목(220)의 단면은 삼각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망체(120) 안의 폐콘크리트 침목(220)은 복수로 제공되며, 망체(120) 안에서 적층된다. 폐콘크리트 침목(220)의 적층 형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120)의 형태에 대응된다. 즉, 각 삼각 형태의 폐콘크리트 침목(220)은 서로 상,하로 반전되어 적층되면서 망체(120)의 형태에 대응되는 삼각의 적층 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폐콘크리트 침목(220)은 개비온 채움재로서, 삼각 형태로 제공된다. 정확하게는 폐콘크리트 침목(220)의 단면은 삼각형태로 제공된 것이다. 통상 폐콘크리트 침목(200)의 단면이 사각 형태임을 감안할 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220)은 절단을 통해 삼각 형태로 제공된다.
삼각 형태의 폐콘크리트 침목(220)은 망체(120)의 내부에 적층되어 개비온으로 제공하고, 그 개비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개비온 사이에 개재되어 옹벽을 구축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은 채움재 채움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채움 작업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비온은 옹벽을 구축할 때 이웃하는 개비온과의 폐콘크리트 침목 간 결합을 통해 옹벽의 구조적 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폐콘크리트 침목 폐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재활용측면에서의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120 : 망체 110 : 덮개
200,220 : 채움재(폐콘크리트 침목) 210 : 체결공
300 : 결합수단 310 : 볼트(스터드볼트)
320 : 너트 W : 옹벽
200,220 : 채움재(폐콘크리트 침목) 210 : 체결공
300 : 결합수단 310 : 볼트(스터드볼트)
320 : 너트 W : 옹벽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복수의 망눈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직선의 폐콘크리트 침목이 적층된 것으로 구성된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이 마련되고,
상기 개비온은 복수로 적층되어 옹벽을 구성하며,
상기 폐콘크리트 침목에는 상,하 관통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폐콘크리트 침목을 일체화시킨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적층된 개비온간 폐콘크리트 침목을 서로 결합하여 개비온을 일체화시키며,
상기 결합수단은 스터드볼트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은 단차진 계단 형태로 구축되며, 상기 스터드볼트는 맨 하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에서부터 맨 상단의 개비온 폐콘크리트 침목까지 결합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제공되되,
상기 개비온은,
단면의 형태가 사각인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직선의 폐콘크리트 침목이 적층된 채움재를 포함하는 사각 형태의 개비온과,
상기 사각 형태의 개비온 사이에 개재되며, 복수의 망운이 형성되되 단면의 형태가 삼각인 망체와, 삼각 형태의 단면을 갖는 폐콘크리트 침목이 서로 상,하로 반전되어 단면의 형태가 삼각인 망체 내부에 적층된 채움재를 포함하는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포함하며,
상기 옹벽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기준으로 사각 형태의 개비온은 옹벽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삼각 형태의 개비온을 통해 절곡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면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콘크리트 침목 개비온을 이용한 옹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396A KR102169010B1 (ko) | 2019-06-25 | 2019-06-25 |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396A KR102169010B1 (ko) | 2019-06-25 | 2019-06-25 |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9010B1 true KR102169010B1 (ko) | 2020-10-23 |
Family
ID=7303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5396A KR102169010B1 (ko) | 2019-06-25 | 2019-06-25 |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901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73101A (ja) * | 1996-04-08 | 1997-10-21 | Nishiyama:Kk | 軌道用沈下防止枕木 |
KR20040091390A (ko) * | 2003-04-21 | 2004-10-28 | 길인환 | 돌망태용 식생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KR100719355B1 (ko) | 2007-02-26 | 2007-05-22 | (주)대호철망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 옹벽용 개비온 |
KR100760950B1 (ko) * | 2006-11-24 | 2007-09-2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테트라포드 망태를 이용한 해안 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이를 통해 제작된 해안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
KR20090049648A (ko) * | 2007-11-14 | 2009-05-19 | 주식회사 도영엔지니어링 | 폐피씨 침목을 이용한 인공어초 |
KR101860018B1 (ko) * | 2016-04-05 | 2018-05-24 | 주식회사 지을 |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
-
2019
- 2019-06-25 KR KR1020190075396A patent/KR1021690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73101A (ja) * | 1996-04-08 | 1997-10-21 | Nishiyama:Kk | 軌道用沈下防止枕木 |
KR20040091390A (ko) * | 2003-04-21 | 2004-10-28 | 길인환 | 돌망태용 식생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KR100760950B1 (ko) * | 2006-11-24 | 2007-09-2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테트라포드 망태를 이용한 해안 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이를 통해 제작된 해안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
KR100719355B1 (ko) | 2007-02-26 | 2007-05-22 | (주)대호철망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 옹벽용 개비온 |
KR20090049648A (ko) * | 2007-11-14 | 2009-05-19 | 주식회사 도영엔지니어링 | 폐피씨 침목을 이용한 인공어초 |
KR101860018B1 (ko) * | 2016-04-05 | 2018-05-24 | 주식회사 지을 | 침목이 구비된 식생매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310092Y (zh) | 石笼网 | |
KR101246268B1 (ko) |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 |
JP6186031B1 (ja) | ハニカム擁壁 | |
KR101394208B1 (ko) |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 |
JP6192763B1 (ja) |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 |
KR100536620B1 (ko) | 어소 및 옹벽용 블록 | |
KR101378203B1 (ko) |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69010B1 (ko) |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친환경 개비온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
KR101802351B1 (ko) |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 |
KR101633853B1 (ko) | 토압 저항력과 구조 일체화가 개선된 옹벽 시공용 친환경 개비블럭 | |
KR100481160B1 (ko) | 옹벽용 블록 | |
KR100864813B1 (ko) | 함체형 타공철판 유니트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 구조 및그 축조방법 | |
JP5232530B2 (ja) | 小口止め型枠 | |
KR101490212B1 (ko) | 측면이 보강된 개비온 | |
KR101276567B1 (ko) | 사면보강용 식생옹벽 | |
KR200486017Y1 (ko) | 에코 식생블록 | |
KR101625949B1 (ko) |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게비온 구조물 | |
KR102153322B1 (ko) |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 |
KR101204308B1 (ko) | 통나무 돌바구니 | |
KR20120067482A (ko) | 식생 생육이 가능한 개비온 | |
KR102087905B1 (ko) | 옹벽용 섬유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 |
KR20170029713A (ko) |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 |
KR100371808B1 (ko) | 하천 제방의 생태보호환경 조성용 식생구 | |
KR101518007B1 (ko) | 친환경 식생 메쉬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39400B1 (ko) |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