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75B1 - 굴곡 방범셔터 - Google Patents

굴곡 방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75B1
KR102166675B1 KR1020190124999A KR20190124999A KR102166675B1 KR 102166675 B1 KR102166675 B1 KR 102166675B1 KR 1020190124999 A KR1020190124999 A KR 1020190124999A KR 20190124999 A KR20190124999 A KR 20190124999A KR 102166675 B1 KR102166675 B1 KR 10216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ail
moving
shaft fixing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riority to KR102019012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굴곡 방범셔터는, 천정부 및 바닥부에 형성되고, 굴곡진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굴곡진 경로상에 위치하거나 일측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방범창 바디; 및 상기 방범창 바디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이동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의 이동방향측 선행지점과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상기 롤러부가 회동하기 위한 기동력을 제공하는 기동 롤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닫이식 굴곡형 방범셔터에 있어서 방향 전환을 위한 기동부를 구비함으로써 방범셔터의 이동을 위한 롤러부의 굴곡방향으로의 회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곡 방범셔터{Anti bandit shutter with round rail}
본 발명은 굴곡 방범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곡진 건물 또는 매장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굴곡구조의 레일 상에 설치되는 방범셔터에 관한 것이다.
셔터는 좁고 긴 복수 개의 슬랫을 수평으로 대고 이들을 상하로 서로 맞물려 제작되는 셔터커텐을 문틀 상부에 위치한 축에 감아 올려 여닫는 철제문으로, 방화·방연·방풍·차음·방범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셔터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건물의 개구부 형상에 따라 일정한 너비를 갖고 상하로 수직 이동되면서 가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입면 계획에 의하여 개구부의 형상이 절곡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일정한 너비를 갖는 셔터를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1997-0004544호에는 셔터가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개구부의 형상이 절곡되거나 굴곡지게 형성된 곳에 설치될 수 있도록 미닫이식 셔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미닫이식 셔터장치는 상하측에 안내요홈이 요설된 안내레일에 고정구와 내로울러가 축착된 행거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 통상의 미닫이식 셔터 장치에 있어서, 요환부를 갖는 지주골조에 돌환부 및 돌조를 갖는 셔터 스레이트를 상호 교호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미닫이식 방범셔터의 경우 레일 등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 셔터의 이동이 정상적으로 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레일의 굴곡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도 용이하게 레일이 진입하고, 시일이 지남에 따라 이물질이 끼는 경우라도 레일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미닫이식 굴곡형 방범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곡 방범셔터는, 천정부 및 바닥부에 형성되고, 굴곡진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굴곡진 경로상에 위치하거나 일측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방범창 바디; 및 상기 방범창 바디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이동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의 이동방향측 선행지점과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상기 롤러부가 회동하기 위한 기동력을 제공하는 기동 롤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방범창 바디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여 상기 제1 지지부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 상을 이동하는 이동롤러가 고정되는 축 고정부; 상기 축 고정부로부터 상기 롤러부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축 고정부; 및 상기 보조 축 고정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기동 롤러축;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롤러는 상기 기동 롤러축에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축 고정부는 상기 축 고정부로부터 T 자 형상의 분기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축 고정부의 분기된 양 단부측에는 상기 기동 롤러축 및 상기 기동 롤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축 고정부는 탄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 중 상기 바닥부에 위치하는 레일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돌출된 형상의 돌출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롤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돌출 가이드부가 개재된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기동 롤러는 상기 레일부 중 굴곡 부분에 진입 시 상기 돌출 가이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에 회전을 위한 기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동 롤러는 상기 레일부 중 직선 부분에서 상기 돌출 가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 중 상기 천정부에 위치하는 레일부는 상기 이동 롤러가 거치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T자형 단면형상을 갖는 홈이 상기 레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롤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동하고, 상기 기동 롤러는 상기 레일부 중 굴곡 부분에 진입 시 상기 T자형 단면형상의 측벽과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에 회전을 위한 기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정부에 위치하는 레일부의 T자형 단면형상의 상부면에는 상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제2 돌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롤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돌출 가이드부가 개재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축 고정부는 상기 롤러부의 양 이동 방향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기동 롤러축 및 상기 기동 롤러는 상기 각각의 보조 축 고정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범창 바디는 사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구면을 가로지르는 창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닫이식 굴곡형 방범셔터에 있어서 방향 전환을 위한 기동부를 구비함으로써 방범셔터의 이동을 위한 롤러부의 굴곡방향으로의 회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굴곡형 방범셔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롤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제2 롤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롤러부의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롤러부의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롤러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변환 상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롤러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굴곡형 방범셔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굴곡형 방범셔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곡 방범셔터(10)는 기존의 직선형 건물 개구부 또는 건물 내 점포의 경계에 구비되어 방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굴곡 방범셔터(10)는 천정부(20) 및 바닥부(30) 사이에 일정한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35)를 따라 펼쳐지거나 일측으로 모아져서 경계라인을 개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천정부(20)와 바닥부(30)는 건물의 천정 및 바닥면에 직접 레일(35)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별도의 부재를 천정 및 바닥면에 설치한 후 롤러부의 이동을 위한 구성들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천정부(20) 및 바닥부(30)에는 각각 서로 상응하는 굴곡진 이동경로를 따라 레일부(35)가 형성된다. 다만, 천정부(20) 및 바닥부(30)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범창은 사각형의 방범창 바디(50) 및 방범창 바디(50)의 내부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창살(55)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다양한 방범창들이 적용될 수 있다. 방범창 바디(5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롤러부(100)가 구비되며, 롤러부(100)가 레일부(35)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방범창은 레일부(35)를 따라 이동하여 굴곡진 경로상에 위치하거나 일측으로 이동하여 경계면을 개방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롤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제2 롤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1 롤러부의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 롤러부의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방범창 상부에 위치하는 롤러부(100A, 이하 제1 롤러부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롤러부(100A)는 제1 지지부(110), 제2 지지부(120), 축 고정부(125), 이동 롤러(135) 및 기동 롤러(145)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10)는 체결부(115)를 통하여 방범창 바디에 고정된다. 체결부(115)는 나사 체결방식 이외에도 다양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지지부(110)의 상부에는 지지축(113)이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축(113)은 제2 지지부(120)를 관통하여 수용되며, 제2 지지부(1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제2 지지부(120)의 상부에는 축 고정부(125)가 구비된다. 축 고정부(125)는 이동 롤러축(130)에 이동 롤러(135)가 고정되도록 구비한다. 축 고정부(125)의 일측에는 보조 축 고정부(127)가 구비된다. 보조 축 고정부(127)는 T자형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분기 된 단부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동 롤러축(140a)이 구비된다. 기동 롤러축(140)의 상부에는 기동 롤러(145)가 각각 구비된다. 기동 롤러(1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롤러(135)와는 축이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동 롤러(135)가 하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한다면, 기동 롤러(145)는 측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기동 롤러(145)는 롤러부(100A)의 이동방향 측으로 연장된 보조 축 고정부(127)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동 롤러(145)는 레일부가 곡선 구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이동 롤러(135)에 앞서 진행방향 측의 레일부와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접촉에 의하여 이동 롤러(135) 및 제2 지지부(120)가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초기 기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기동 롤러(145)는 레일의 상태에 따라 이동 롤러(135)에 지속적인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은 아니며, 이동 방향 측의 레일 상태에 따라 이동 롤러(135)에 앞서 레일과 접촉하면서 이동 롤러(135)가 레일부와 접촉할 때의 각도를 줄이거나 접촉 각도에 의하여 이동 롤러(135)가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즉, 기동 롤러(145)는 이동 롤러(135)에 레일 상태에 따른 초기 회동력을 잠시 제공하여 레일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기동 롤러(145)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레일부의 최소 회전 반경이 작을수록 보조 축 고정부(127)의 진행방향측으로의 길이가 짧아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측 롤러부(100B)는 앞서 설명한 천정부 측 롤러부(100A)와는 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기동 롤러축(140b)의 방향이 하향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나머지 구성부들은 앞서 설명한 도 2의 롤러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천정부의 레일부는 단면 형상이 T자형인 홈형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동 롤러(135)는 내부 홈에 거치되어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기동 롤러(145)들은 T자단면형 홈의 양 측벽에 접촉하여 이동 경로에 따른 굴곡 지점에서의 회전 기동력을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구비되는 레일부(35)는 경로를 따라 돌출된 돌출 가이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가이드부, 즉 레일부(35)는 한 쌍의 이동 롤러(135)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롤러부(100B)의 경로에 따른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이 때 기동 롤러(145)는 돌출 가이드부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일부의 굴곡 상태에 따라 이동 롤러(135)에 회전 기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이러한 돌출 가이드부 구조는 천정부에 형성된 레일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T자단면형 홈의 상부면에 이와 같은 돌출구조를 형성하고 이동롤러(135) 사이에 이러한 제2 돌출 가이드부(미도시)를 따라 이동 롤러(135)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동 롤러(145)는 제2 돌출 가이드부에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롤러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변환 상태도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롤러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보조 축 고정부(127) 및 기동 레일(145)은 레일부(100A`)의 이동방향의 전후 양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방범창이 레일을 이동하여 경계선을 차단하거나 역으로 개방하는 경우 양쪽 모두에 대해서 회전 기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보조 축 고정부(127)는 탄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보조 축 고정부(127)의 진행 방향 측 길이가 길더라도 레일부의 작은 회전 반경부분에도 진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7과 대칭적 구조를 구비하는 도 9의 바닥부 측 레일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기동 롤러(145)는 레일부가 직선 구간인 경우에는 레일부와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간격을 부여함으로써 곡선 구간에 진입하는 경우에도 기동 롤러(145)가 접촉하는 타이밍을 늦추어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골곡 방범셔터
20: 천정부
30: 바닥부
35: 제2 레일부
50: 방범창 바디
100, 100A, 100B, : 롤러부
110: 제1 지지부
113: 지지축
115: 체결부
120: 제2 지지부
125: 축 고정부
127: 보조 축 고정부
130: 이동 롤러축
135: 이동 롤러
140a, 140b: 기동 롤러축
145: 기동 롤러

Claims (12)

  1. 천정부 및 바닥부에 형성되고, 굴곡진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굴곡진 경로상에 위치하거나 일측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방범창 바디; 및
    상기 방범창 바디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이동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레일부의 이동방향측 선행지점과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상기 롤러부가 회동하기 위한 기동력을 제공하는 기동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방범창 바디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축을 수용하여 상기 제1 지지부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 상을 이동하는 이동롤러가 고정되는 축 고정부;
    상기 축 고정부로부터 상기 롤러부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축 고정부; 및
    상기 보조 축 고정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기동 롤러축;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롤러는 상기 기동 롤러축에 결합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굴곡 방범셔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축 고정부는 상기 축 고정부로부터 T 자 형상의 분기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축 고정부의 분기된 양 단부측에는 상기 기동 롤러축 및 상기 기동 롤러가 각각 구비되는 굴곡 방범셔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축 고정부는 탄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굴곡 방범셔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 중 상기 바닥부에 위치하는 레일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돌출된 형상의 돌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굴곡 방범셔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롤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돌출 가이드부가 개재된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기동 롤러는 상기 레일부 중 굴곡 부분에 진입 시 상기 돌출 가이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에 회전을 위한 기동력을 제공하는 굴곡 방범셔터.
  7. 제6항에 있어서,
    기동 롤러는 상기 레일부 중 직선 부분에서 상기 돌출 가이드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굴곡 방범셔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 중 상기 천정부에 위치하는 레일부는 상기 이동 롤러가 거치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T자형 단면형상을 갖는 홈이 상기 레일부를 따라 형성되는 굴곡 방범셔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롤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이동하고,
    상기 기동 롤러는 상기 레일부 중 굴곡 부분에 진입 시 상기 T자형 단면형상의 측벽과 접촉하여 상기 롤러부에 회전을 위한 기동력을 제공하는 굴곡 방범셔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에 위치하는 레일부의 T자형 단면형상의 상부면에는 상부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제2 돌출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롤러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돌출 가이드부가 개재된 상태로 이동하는 굴곡 방범셔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축 고정부는 상기 롤러부의 양 이동 방향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기동 롤러축 및 상기 기동 롤러는 상기 각각의 보조 축 고정부에 구비되는 굴곡 방범셔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 바디는 사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구면을 가로지르는 창살을 포함하는 굴곡 방범셔터.
KR1020190124999A 2019-10-10 2019-10-10 굴곡 방범셔터 KR10216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99A KR102166675B1 (ko) 2019-10-10 2019-10-10 굴곡 방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99A KR102166675B1 (ko) 2019-10-10 2019-10-10 굴곡 방범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75B1 true KR102166675B1 (ko) 2020-10-16

Family

ID=7303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999A KR102166675B1 (ko) 2019-10-10 2019-10-10 굴곡 방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684Y1 (ko) * 2003-11-20 2004-02-05 동우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도어의 안내롤러장치
JP2012172445A (ja) * 2011-02-23 2012-09-10 Toko Shutter Kk 折畳み式横引きシャッ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684Y1 (ko) * 2003-11-20 2004-02-05 동우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도어의 안내롤러장치
JP2012172445A (ja) * 2011-02-23 2012-09-10 Toko Shutter Kk 折畳み式横引きシャッタ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8338B1 (en) Door apparatus for an automatic door or semi-automatic door
US9267326B2 (en) Drive assisted roller assembly for rolling door
JPH0228660B2 (ko)
US20170101818A1 (en) Roller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way
JP2016028182A (ja) 止水パネルの取付構造
KR20190046771A (ko) 커버 부재를 가지는 슬라이딩 벽 장치
HUP9903057A2 (hu) Mennyezetre nyíló, szekcionált kapu különösen alacsony csapómagasságokhoz
KR102166675B1 (ko) 굴곡 방범셔터
GB2219618A (en) Sliding door
JP6570838B2 (ja) 防水シャッター
JP4888332B2 (ja) 引戸の施工方法、及び引戸ユニット
US7174943B2 (en) Curtain hoisting clutch apparatus
US10968682B2 (en) Reversible door frame threshold, and door system including same
KR101893401B1 (ko) 단열 및 방풍용 미서기창호
JPH0415898Y2 (ko)
RU2005141215A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дверного полотна с выталкивателем
JP6999476B2 (ja) 建具
KR101606751B1 (ko) 풍지 겸용 추락방지 구조를 구비한 미서기창호
US20240052690A1 (en) Universal seal for a movable barrier
EP0991844B1 (en) Improved closure system
KR102296953B1 (ko) 내풍압 단열 셔터
JP3168332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障害物検知装置
JP3301746B2 (ja) 横引きシャッター
KR0124246Y1 (ko) 스토퍼 기능을 가지는 경첩
RU2169247C2 (ru) Система с передвижным элемент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