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03B1 -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03B1
KR102166603B1 KR1020190048076A KR20190048076A KR102166603B1 KR 102166603 B1 KR102166603 B1 KR 102166603B1 KR 1020190048076 A KR1020190048076 A KR 1020190048076A KR 20190048076 A KR20190048076 A KR 20190048076A KR 102166603 B1 KR102166603 B1 KR 10216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ug
flow path
sock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95A (ko
Inventor
안수진
송태훈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영
Publication of KR2020000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5Check-valves or non-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5Fluid distribution for refueling vehicle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호 착탈 가능한 소켓부 및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소정 길이로 중공 형성되고 일단에서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타단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부와 체결 가능한 복수개의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부; 상기 복수개의 잠금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재조립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조립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Break Away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 및 대기환경오염의 문제와 더불어 언젠가는 고갈될 수밖에 없는 유한한 자원이라는 이유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태양광, 풍력 등 각종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수소는 그 자체로 무한에 가까운 에너지 자원으로서 환경오염이 없으며, 연료전지의 출현으로 전기에너지로 전환이 쉽다는 장점 때문에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최근 연료전지의 실용화 추세에 따라 청정에너지원으로서 가치를 가지고 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연료전지 시스템을 통해 수소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제조하고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산업은 내연기관에서 친환경차로의 패러다임변화에 따라 친환경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전기차의 밧데리 충전시간이 길다는 현재까지 기술의 한계에 당면해 있으며, 그에 따라 수소차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수소연료전지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합동으로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여 지난 2015년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 정부보조금과 수소차 가격인하 등을 통해 현재 5천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는 수소차를 2018년 3천만원대 후반, 2020년 3천만원대 초반 수준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수소차 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수소차 9천대, 2030년 까지 63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며, 수소차보급과 함께 수소 스테이션(Hydrogen station)은 2020년까지 80개소, 2030년 까지 520개소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차의 최초 도입단계에서는 35 Mpa로 수소를 충전하는 차량 및 충전 시스템으로 시작 하였으나, 1회 충전으로 더욱 장거리 운행을 가능케 하기 위해 70 MPa 로 충전되는 차량이 개발되어 있으며, 수소 충전시스템도 그에 따라 더욱 고압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수소 스테이션에서는 매우 높은 압력의 수소를 취급하기 때문에 시설의 견고함과 안전관리기술들이 요구되며, 특히 충전 중 차량의 발진상황 발생 시 충전소의 Dispenser 및 기반시설 등의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라는 안전장치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는 수소 스테이션의 Dispenser와 차량을 연결하는 충전호스사이에 설치되어 충전 중 차량이 움직이는 등 외력이 가해지면 분리가 되고 수소공급 관로의 내부 체크밸브가 작동하여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유사 브레이크 어웨이 구조와 결합된 구조의 예시 이다.
지금까지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동하는 차량의 방향에 따라 분리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서 실제 사용 환경에서 정밀하게 분리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설계 전략이 필요하고, 분리된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의 끝단은 지면 및 주변 물체와 충돌시 내부 체크밸브의 파손에 의한 가스누출 및 폭발사고 예방을 위해 2차적인 안전시스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정기 또는 수시로 안전장치를 점검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 보급과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관련 성능인증기준과 검사제도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7851호 (2015.09.2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전 중 차량 발진 등의 분리상황 또는 작동검사 상황 등에서의 플러그부와 소켓부 분리 시 작업자 한 명으로도 언제든지 용이하게 플러그부 및 소켓부를 재조립할 수 있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조립 간 작업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는 바, 반복 사용 및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가 가능한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부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플러브부와 소켓부 상호 간의 분리여부를 센싱하고, 분리 상태에 대한 신호를 통해 충전기 내부에 가스공급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시켜서 가스 누출에 의한 2차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체크밸브 형상 개선을 통해 소켓부와 플러그부 분리 시 수소 가스 누출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켓부와 플러그부 분리 시 소켓부 낙하로 인한 파손 및 구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착탈 가능한 소켓부 및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소정 길이로 중공 형성되고 일단에서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타단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부와 체결 가능한 복수개의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부; 상기 복수개의 잠금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재조립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조립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조립 조작부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이 삽입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 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 일단이 접촉 지지된 조작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slide pin)은 상기 조작 캠부가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이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 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점차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의 상기 조작 캠부 측 말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을 따라 상기 피스톤부 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 홈 내에 안착 지지 가능하다.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부 및 상기 플러그부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적외선 센서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센싱부와 대면하도록 위치된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가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소켓부 간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외부의 충전시설로 가스 공급 중단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부의 제1 내부 유로와 밀착 가능한 제1 유로 개폐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 유로를 차단 가능한 제1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부의 제2 내부 유로와 밀착 가능한 제2 유로 개폐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부 유로를 차단 가능한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 개폐면 및 상기 제2 유로 개폐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 축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부는, 일단이 상기 소켓부와 체결 가능한 플러그 본체; 및 소정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충전 중 차량 발진 등의 분리상황 또는 작동검사 상황 등에서의 플러그부와 소켓부 분리 시 작업자 한 명으로도 언제든지 용이하게 플러그부 및 소켓부를 재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재조립 간 작업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는 바, 반복 사용 및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내부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플러브부와 소켓부 상호 간의 분리여부를 센싱하고, 분리 상태에 대한 신호를 통해 충전기 내부에 가스공급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시켜서 가스 누출에 의한 2차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체크밸브 형상 개선을 통해 소켓부와 플러그부 분리 시 수소 가스 누출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켓부와 플러그부 분리 시 소켓부 낙하로 인한 파손 및 구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의 재조립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를 일측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의 재조립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를 타측에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의 재조립 조작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의 센싱부 및 반사부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의 보호 커버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는 상호 착탈 가능한 소켓부(10) 및 플러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소켓부(10)는 유체(바람직하게는 수소 가스) 충전시설에서 인출된 호스의 말단과 연결될 수 있고, 플러그부(20)는 차량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의 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외부 충전시설에서 공급된 유체는 소켓부(10) 및 플러그부(20)를 통해 차량 등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소켓부(10)는 소정 길이로 중공 형성되고 일단에서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하우징부(110), 하우징부(110)의 타단에 위치되고 플러그부(20)와 체결 가능한 복수개의 잠금부재(121)를 포함하는 잠금부(120), 하우징부(110) 내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잠금부재(121)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는 피스톤부(130) 및 피스톤부(130)를 하우징부(110)의 일측(플러그부(20)의 반대 측)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소켓부(10)는 하우징부(110)의 일측에 위치된 필터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부(150)는 충전시설에서 공급되어 플러그부(20) 측으로 유동되는 유체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여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10)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링 형상의 고정부재(140)가 결합 위치될 수 있고, 스프링부(190)의 길이 방향 일단(플러그부(20) 측 말단)은 고정부재(140)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부(190)의 타단은 피스톤부(130)의 일부와 접촉 지지되어 피스톤부(130)를 하우징부(110)의 타측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피스톤부(130)는 스프링부(190)의 타단과 접촉 지지되는 링 형상의 걸림부(1311)를 포함하는 제1 피스톤(131) 및 제1 피스톤(131)과 함께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를 파지하는 제2 피스톤(1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피스톤(131)은 스프링부(190)에 의해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는 가압 지지된 제2 피스톤(132)에 의해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피스톤(131) 및 제2 피스톤(132) 각각은 중공 형성되어 내부로 충전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잠금부(120)는 잠금부재(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 잠금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는 잠금커버(122)에 외주면이 접촉 지지된 상태로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20)는 일단이 소켓부(10)와 체결 가능한 플러그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본체(210)의 일측은 잠금커버(122)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플러그 본체(210)의 일측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가 파지 가능한 걸림 홈(2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 각각의 플러그부(20) 측 말단에는 걸림 홈(211) 내에 위치되어 플러그 본체(210)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는 걸림 턱(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는 플러그 본체(210)를 파지한 상태로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 각각의 플러그부(20) 반대 측 말단은 제2 피스톤(132)의 외주면 일부에 파지될 수 있고, 제2 피스톤(132)에 대한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잠금커버(122)와 제2 피스톤(132)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피스톤(132)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내부 유로(1321)가 형성될 수 있고, 소켓부(10)는 제1 내부 유로(1321)를 차단 가능한 제1 체크밸브(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2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 형성될 수 있고, 플러그 본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제2 내부 유로(21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부(20)는 제2 내부 유로(212)를 차단 가능한 제2 체크밸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크밸브(170)는 제1 밸브 스프링(172)에 의해 플러그부(20) 측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고, 제2 체크밸브(220)는 제2 밸브 스프링(222)에 의해 소켓부(10) 측으로 가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크밸브(170) 및 제2 체크밸브(220) 각각의 대면하는 방향 말단은 상호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러그 본체(210)가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에 의해 파지되어 플러그부(20) 및 소켓부(10)가 조립된 경우, 제1 체크밸브(170) 및 제2 체크밸브(220) 각각은 제1 밸브 스프링(172) 및 제2 밸브 스프링(222) 각각을 압축하며 상호 접촉 지지될 수 있고, 제1 내부 유로(1321) 및 제2 내부 유로(212) 각각은 개방되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유체 충전 중 차량 발진 등의 이유로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의 분리 여부가 결정되는 기준 힘(스프링부(190)의 장력에 대응되는 힘) 이상의 인장력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에 작용되는 경우, 플러그부(20)는 피스톤부(130)를 가압 지지하는 스프링부(190)의 탄성력을 이겨내며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타측(소켓부(1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시에,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는 일단이 제2 피스톤(132)에 파지된 바, 잠금커버(122)의 외측으로 이동되며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제1 체크밸브(170) 및 제2 체크밸브(220) 각각은 제1 밸브 스프링(172) 및 제2 밸브 스프링(222) 각각에 의해 가압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내부 유로(1321) 및 제2 내부 유로(212) 각각은 차단될 수 있고, 내부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부(10) 및 플러그부(20) 상호 간이 완전히 분리된 경우, 피스톤부(130) 및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는 스프링부(190)에 의해 다시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될 수 있는 재조립 조작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재조립 조작부(160)의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피스톤부(130)는 하우징부(110)의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131) 및 제2 피스톤(132)이 이동됨에 따라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 역시 하우징부(110)의 타측(플러그부(20) 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는 잠금커버(122)의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돌출되어 개방된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 사이에 플러그 본체(210)를 삽입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의 플러그부(20) 및 소켓부(10)를 다시 조립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의 재조립 조작부(160)의 분해 사시도를 일측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의 재조립 조작부(160)의 분해 사시도를 타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의 재조립 조작부(16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재조립 조작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이 삽입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 캠부(161) 및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 일단이 접촉 지지된 조작 지지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slide pin)은 조작 캠부(161)가 회전 조작됨에 따라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 각각은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작 캠부(161)를 관통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 각각은 조작 캠부(161)의 길이 방향 중심 축(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중심 축에 대응)에 대해 소정 반경 이격되어 편축으로 위치되는 바, 조작 캠부(161)가 중심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 역시 조작 캠부(161)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작 지지부(163)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이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16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1631)은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 중심 축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부(110)의 중심 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점차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 각각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1631) 각각에 접촉 지지될 수 있고, 조작 캠부(161)가 소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드 핀(162)은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회동되며 경사 지지면(1631)을 따라 하우징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경사 지지면(1631)을 따라 하우징부(110)의 타측으로 이동된 슬라이드 핀(162)의 타단은 제1 피스톤(131)을 하우징부(110)의 타측으로 가압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조작 지지부(163)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1631)의 조작 캠부(161) 측 말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기 홈(16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기 홈(163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1631)에서 슬라이드 핀(162)이 최대로 이동(하우징부(110)의 타측으로)되는 조작 캠부(161) 측 말단부에서 소정 깊이 함입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1631)을 따라 피스톤부(130) 측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은 적어도 하나의 대기 홈(1632) 내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대기 홈(1632) 각각에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162) 각각은 원주 방향 회동이 일부 제한될 수 있고, 제1 피스톤(131)의 이동에 따라 압축된 스프링부(190)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제1 피스톤(131)의 회귀 및 조작 캠부(161)의 중심 축에 대한 회전이 다소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소정 깊이는 사용자의 조작 캠부(161) 회전 조작으로 충분히 슬라이드 핀(162)을 대기 홈(1632) 내에서 이탈시킬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조작 캠부(161)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추가 회전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드 핀(162)을 대기 홈(1632) 내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스프링부(190)의 가압 복원력으로 인해 제1 피스톤(131) 및 슬라이드 핀(162)은 다시 하우징부(110)의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는 사용자가 조작 캠부(161)를 단순 회전 조작함으로써 별도의 도구 없이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를 개방할 수 있고, 플러그부(20)를 소켓부(10)와 다시 조립시킬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조작 캠부(161) 회전 시 경사 지지면(1631)을 따라 이동된 슬라이드 핀(162)은 대기 홈(1632) 내에서 안착 지지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조작 캠부(161)를 지속적으로 회전 조작시킬 필요 없이 개방된 상태로 대기된 복수 개의 잠금부재(121) 내에 플러그부(20)를 삽입 및 재조립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재조립 편의성 및 작업 효율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의 센싱부(180) 및 반사부(230)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상호 조립된 상태의 플러그부(20) 및 소켓부(10)의 조립 위치를 보호 커버부(240)를 제외한 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소켓부(10)는 소켓부(10)와 플러그부(20) 간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센싱부(180)는 적외선 센서로 형성될 수 있고, 잠금부(1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20)는 센싱부(180)와 대면하도록 위치된 반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센싱부(180)는 잠금커버(122) 외주면에 위치될 수 있고, 반사부(230)는 플러그 본체(210)의 외주면 일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230)는 잠금커버(122)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소정 반경의 외주면을 구비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반사부(230)의 소정 반경은 센싱부(180)의 하우징부(110) 중심 축에 대한 반경 거리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싱부(180)는 반사부(230)의 일면과 대면할 수 있고, 센싱부(180)에서 조사된 적외선은 반사부(230)의 일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부(20) 및 소켓부(10)가 분리됨에 따라 반사부(230)는 센싱부(180)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센싱부(180)에서 발산된 적외선이 반사부(230)를 통해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간이 변경되거나 반사되지 않는 경우를 감지함으로써 센싱부(180)는 플러그부(20)와 소켓부(10)의 분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센싱부(180)가 플러그부(20)와 소켓부(10) 간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외부의 충전시설로 유체 공급 중단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플러그부(20)와 소켓부(10)가 분리되는 경우 센싱부(180)는 즉시 이를 감지하여 유체 공급 중단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전시설 내부의 유체공급 밸브를 자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고, 소켓부(10)의 제1 체크밸브(170)를 통한 유체 누출 차단에 더해 충전시설 자체의 유체공급 밸브를 차단하는 바, 이중의 안전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유체 누출에 의한 화재나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제1 체크밸브(170)에는 제1 내부 유로(1321)와 밀착될 수 있는 제1 유로 개폐면(17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체크밸브(220)에는 제2 내부 유로(212)와 밀착될 수 있는 제2 유로 개폐면(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유로 개폐면(171)은 제1 체크밸브(170)의 외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플러그부(20) 분리 시 제1 내부 유로(1321)의 내주면과 밀착됨으로써 제1 내부 유로(1321)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 개폐면(221)은 제2 체크밸브(220)의 외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소켓부(10) 분리 시 제2 내부 유로(212)의 내주면과 밀착됨으로써 제2 내부 유로(212)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켓부(10) 및 플러그부(20)가 분리되어 제1 체크밸브(170) 및 제2 체크밸브(220)가 이동되고 제1 내부 유로(1321) 및 제2 내부유로가 차단되는 경우, 제1 체크밸브(170)는 제1 유로 개폐면(171)을 통해 제1 내부 유로(1321)를 차단할 수 있고, 제2 체크밸브(220)는 제2 유로 개폐면(221)을 통해 제2 내부 유로(212)를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제1 유로 개폐면(171) 및 제2 유로 개폐면(221)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부(110)의 중심 축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유로 개폐면(171) 및 제2 유로 개폐면(221) 모두 하우징부(110)의 중심 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체크밸브(170) 또는 제2 체크밸브(220)와 제1 내부유로 또는 제2 내부 유로(212) 간의 중심 축이 일치되지 않더라도, 제1 유로 개폐면 및 제2 유로 개폐면(221)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바, 제1 내부 유로(1321) 및 제2 내부 유로(212)의 차단이 용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1)의 보호 커버부(2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플러그부(20)는 소정 탄성을 구비하고 플러그 본체(21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 커버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호 커버부(240)는 플러그 본체(210) 외면에 금속 링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보호 커버부(240)는 플러그 본체(210)의 소켓부(10) 측 일측 외주면 및 반사부(23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플러그부(20)와 소켓부(10)가 조립된 상태에서 잠금커버(122)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보호 커버부(240)는 반사부(230)보다 큰 직경의 내주면을 구비한 실린더 형상의 충격 흡수부(241) 및 충격 흡수부(241)의 길이 방향 일측 말단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날개부(242)는 충격 흡수부(241)의 플러그 본체(210) 반대 측 말단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날개부(242) 각각은 충격 흡수부(241)와 직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날개부(242)는 상호 인접한 두 개의 날개부(242) 사이에 형성된 절개 홈(2421)에 의해 구분될 수 있고, 상술한 절개 홈(2421)은 충격 흡수부(24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러그부(20)와 소켓부(10)의 결합 부위가 외부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플러그부(20) 및 소켓부(10) 간의 분리 시 플러그부(20)가 약 2m 높이에서 낙하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날개부(242) 각각은 충격 흡수부(24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폴딩(fol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부(20)와 소켓부(10)의 분리로 보호 커버부(240) 역시 소켓부(1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복수 개의 날개부(242) 중 어느 하나는 센싱부(180)와 접촉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복수 개의 날개부(242)는 충격 흡수부(241)에 대해 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 센싱부(180)와 접촉된 날개부(242)는 외측으로 폴딩될 수 있고, 날개부(242)와 센싱부(180)의 간섭 없이 플러그부(20) 및 소켓부(1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플러그부(20)와 소켓부(10) 재조립 시에도 날개부(242)는 내측으로 폴딩될 수 있는 바, 날개부(242)와 소켓부(10) 간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재조립 될 수 있다.
한편, 보호 커버부(240)는 내열성화 내후성이 좋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10 : 소켓부
110 : 하우징부
120 : 잠금부
121 : 잠금부재
1211 : 걸림 턱
122 : 잠금커버
130 : 피스톤부
131 : 제1 피스톤
1311 : 걸림부
132 ; 제2 피스톤
1321 : 제1 내부 유로
140 : 고정부재
150 : 필터부
160 : 재조립 조작부
161 : 조작 캠부
162 : 슬라이드 핀
163 : 조작 지지부
1631 : 경사 지지면
1632 : 대기 홈
170 : 제1 체크밸브
171 : 제1 유로 개폐면
172 : 제1 밸브 스프링
180 : 센싱부
190 : 스프링부
20 : 플러그부
210 : 플러그 본체
211 : 걸림 홈
212 : 제2 내부 유로
220 : 제2 체크밸브
221 : 제2 유로 개폐면
222 : 제2 밸브 스프링
230 : 반사부
240 : 보호 커버부
241 : 충격 흡수부
242 : 날개부
2421 : 절개 홈

Claims (9)

  1. 상호 착탈 가능한 소켓부 및 플러그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소정 길이로 중공 형성되고 일단에서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타단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부와 체결 가능한 복수개의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잠금부;
    상기 복수개의 잠금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한 재조립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조립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재조립 조작부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이 삽입 위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 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의 일단이 접촉 지지된 조작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은 상기 조작 캠부가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조작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이 접촉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 축과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 점차 경사지게 형성된,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의 상기 조작 캠부 측 말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 지지면을 따라 상기 피스톤부 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 홈 내에 안착 지지 가능한,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부 및 상기 플러그부의 분리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적외선 센서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센싱부와 대면하도록 위치된 반사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플러그부와 상기 소켓부 간의 분리를 감지하는 경우,
    외부의 충전시설로 유체 공급 중단의 신호를 전달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소켓부의 제1 내부 유로와 밀착 가능한 제1 유로 개폐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내부 유로를 차단 가능한 제1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부의 제2 내부 유로와 밀착 가능한 제2 유로 개폐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내부 유로를 차단 가능한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 개폐면 및 상기 제2 유로 개폐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부의 중심 축 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된,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일단이 상기 소켓부와 체결 가능한 플러그 본체; 및
    소정 탄성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 커버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KR1020190048076A 2018-06-29 2019-04-24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KR102166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149 2018-06-29
KR20180075149 2018-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95A KR20200002595A (ko) 2020-01-08
KR102166603B1 true KR102166603B1 (ko) 2020-10-16

Family

ID=6915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076A KR102166603B1 (ko) 2018-06-29 2019-04-24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7047A1 (en) * 2021-10-05 2023-04-13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Detector of breakaway and emergency detachable coupling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338B1 (ko) * 2020-08-28 2022-08-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브레이크어웨이 디바이스
KR102374487B1 (ko) 2020-09-14 2022-03-15 주식회사 화영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12B1 (ko) * 2006-12-08 2008-06-12 (주)덕양에너젠 균일한 분리력을 갖는 브레이크 어웨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116A (ko) * 2008-01-31 2009-08-05 (주)덕양에너젠 연료충전 커플러의 실린더 어셈블리
KR20100115503A (ko) * 2009-04-20 2010-10-28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주유기 관리 시스템
DE102013100483A1 (de) 2013-01-17 2014-07-17 Andreas von Keitz Nottrennkupp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12B1 (ko) * 2006-12-08 2008-06-12 (주)덕양에너젠 균일한 분리력을 갖는 브레이크 어웨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7047A1 (en) * 2021-10-05 2023-04-13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Detector of breakaway and emergency detachable coupling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95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603B1 (ko)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US6367499B2 (en) Safety valve
CN103782444B (zh) 电池组灭火装置
EP2411249B1 (fr) Generateur de gaz pour coussin gonflable de securite automobile
FR3004595A1 (fr) Systeme de commande de l'operation de charge d'un vehicule electrique et/ou hybride
US20100252608A1 (en) Pneumatic nail gun
CN107620860B (zh) 一种手持式燃料电池汽车加氢枪
KR101534746B1 (ko) 차량의 연료전지 복합 밸브
US9821652B2 (en)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fuel filler opening
EP3473551A1 (en) Seal system for variable geometry gaps in aircraft systems
NZ596418A (en) Rotationally locked cartridge connecting system
US20090095373A1 (en) Fuel intake assembly for filling a vehicle tank with diesel fuel
KR101866288B1 (ko) 유체제어부를 구비한 체크밸브
CN208793635U (zh) 适用于汽车燃油蒸发排放系统的碳罐截止阀
RU2714623C2 (ru) Комплект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внешних потребителей
CN108980367A (zh) 一种适用于汽车燃油蒸发排放系统的碳罐截止阀
KR20200113555A (ko) 차량의 수냉식 배터리용 드레인 밸브
CN113324171B (zh) 一种加氢枪
CN113324170A (zh) 一种手持式加氢枪
JP6199300B2 (ja) ケーブル装置
CN214232485U (zh) 灭火弹抛射装置
CN115962415A (zh) 一种储氢器阀门保护罩及安装方法
US10106031B1 (en) Fuel tank joint
CN115139833A (zh) 用于电动车辆的充电接口装置及电动车辆
US11629820B2 (en) Liquefied hydrogen fil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