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487B1 -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487B1
KR102374487B1 KR1020200117554A KR20200117554A KR102374487B1 KR 102374487 B1 KR102374487 B1 KR 102374487B1 KR 1020200117554 A KR1020200117554 A KR 1020200117554A KR 20200117554 A KR20200117554 A KR 20200117554A KR 102374487 B1 KR102374487 B1 KR 10237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ed connection
connection pipe
box body
breaka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진
이승준
홍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영
Priority to KR102020011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 스테이션의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분리력(분리작동) 시험과, 기밀성 시험을 정기 또는 수시로 실시할 수 있는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박스 내부에, 고정용 프레임,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에 걸린 분리력을 감지하는 로드셀,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에 분리력을 인가하기 위한 수동형 분리력 인가부,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기밀성 시험을 위한 기밀성 시험 배관부, 상기 로드셀, 상기 압력계, 상기 온도계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외부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TEST APPARATUS FOR BREAK-AWAY UNIT}
본 발명은 수소 스테이션의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분리력과 기밀성을 정기적 혹은 수시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 및 대기환경오염의 문제와 더불어 언젠가는 고갈될 수밖에 없는 유한한 자원이라는 이유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태양광, 풍력 등 각종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수소는 그 자체로 무한에 가까운 에너지 자원으로서 환경오염이 없으며, 연료전지의 출현으로 전기에너지로 전환이 쉽다는 장점 때문에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최근 연료전지의 실용화 추세에 따라 청정에너지원으로서 가치를 가지고 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연료전지 시스템을 통해 수소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제조하고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산업은 내연기관에서 친환경차로의 패러다임변화에 따라 친환경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전기차의 밧데리 충전시간이 길다는 현재까지 기술의 한계에 당면해 있으며, 그에 따라 수소차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수소연료전지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합동으로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여 지난 2015년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 정부보조금과 수소차 가격인하 등을 통해 현재 5천만원대에 구입할 수 있는 수소차를 2018년 3천만원대 후반, 2020년 3천만원대 초반 수준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수소차 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수소차 9천대, 2030년 까지 63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며, 수소차보급과 함께 수소 스테이션(Hydrogen station)은 2020년까지 80개소, 2030년까지 520개소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차의 최초 도입단계에서는 35 MPa로 수소를 충전하는 차량 및 충전 시스템으로 시작하였으나, 1회 충전으로 더욱 장거리 운행을 가능케 하기 위해 70 MPa로 충전되는 차량이 개발되어 있으며, 수소 충전시스템도 그에 따라 더욱 고압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수소 스테이션에서는 매우 높은 압력의 수소를 취급하기 때문에 시설의 견고함과 안전관리기술들이 요구되며, 특히 충전 중 차량의 발진상황 발생 시 충전소의 디스펜서(Dispenser) 및 기반시설 등의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이라는 안전장치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은 수소 스테이션의 디스펜서(Dispenser)와 차량을 연결하는 충전호스 사이에 설치되어 충전 중 차량이 움직이는 등 외력이 가해지면 분리가 되고 수소공급관로의 내부 체크밸브가 작동하여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예시로서의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지금까지는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분리 동작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정상작동 유무를 사전에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작동불가시 디스펜서(Dispenser) 파손에 의한 가스누출 및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시스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안전시스템은 정기 또는 수시로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을 점검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02595호 (2020. 1. 8)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7851호 (2015.09.23) "비상 분리형 커플링" 한국등록특허 제10-0837312호 (2008. 6. 4) "균일한 분리력을 갖는 브레이크 어웨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소 스테이션의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분리력(분리작동) 시험과, 기밀성 시험을 정기 또는 수시로 실시할 수 있는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본체와 상기 박스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박스 덮개와 상기 박스 덮개가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박스 덮개와 상기 박스 본체를 잠그는 잠금부재와 상기 박스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스 덮개가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닫은 상태에서 휴대 가능한 휴대용 박스 ; 상기 박스 본체에 내장되는 고정용 프레임 ;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분리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일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용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는 로드셀 ;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고정용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나사 지지대와, 상기 회전나사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나사와, 상기 회전나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나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핸들과, 일측이 상기 회전나사와 나사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중간부를 파지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회전나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나사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파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동형 분리력 인가부 ;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기밀성 시험을 위하여, 상기 고정용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마련되는 고정형 연결 배관,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연결되는 압력계,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연결되는 온도계,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연결되는 압력 공급용 밸브,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연결되는 벤트용 밸브, 일단이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렉서블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밀성 시험 배관부 ; 상기 로드셀, 상기 압력계, 상기 온도계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하는 제어부 ;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 상기 제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외부 출력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수소 스테이션의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분리력(분리작동) 시험과, 기밀성 시험을 정기 또는 수시로 매우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로서의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가 닫힌 상태의 사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가 열리고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이 장착된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의 개념도,
도 7은 도 6의 PC 프로그램에서 분리력 시험을 기록관리하는 화면의 예시,
도 8은 도 3의 PC 프로그램에서 기밀성 시험을 기록관리하는 화면의 예시.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가 닫힌 상태의 사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가 열리고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이 장착된 상태의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이 장착된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의 PC 프로그램에서 분리력 시험을 기록관리하는 화면의 예시이며, 도 8은 도 3의 PC 프로그램에서 기밀성 시험을 기록관리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는, 휴대용 박스(100), 고정용 프레임(210), 로드셀(220), 수동형 분리력 인가부(230), 기밀성 시험 배관부(240), 제어부(2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휴대용 박스(100)는 휴대가 가능한 형태이며, 손잡이 등이 달려있다.
휴대용 박스(100)는, 크게 박스 본체(110)와 박스 덮개(120)로 이루어진다.
박스 본체(11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내부에 각종 장치들이 마련된다.
박스 덮개(120)는 박스 본체(1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박스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한다.
본 휴대용 박스(100)는, 박스 덮개(120)가 박스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닫은 상태에서 휴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박스 본체(110)에는 잠금부재(111)와 손잡이(112) 등이 마련된다.
잠금부재(111)는 박스 덮개(120)가 박스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닫은 상태에서 박스 덮개(120)와 박스 본체(110)를 잠근다.
손잡이(112)는 박스 덮개(120)와 박스 본체(110)를 잠근 상태에서 본 휴대용 박스(100)를 휴대하여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박스 본체(110)의 내부에 각종 장치들이 마련되며, 각종 장치의 고정을 위하여 박스 본체(110)에 고정용 프레임(210)이 내장된다.
고정용 프레임(210)에 고정 마련되는 로드셀(load cell, 220)은,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의 분리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의 일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드셀(220)은,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에 걸리는 분리력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수동형 분리력 인가부(230)는, 한 쌍의 회전나사 지지대(231), 회전나사(232), 핸들(233), 파지구(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동형 분리력 인가부(230)는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에 수동으로 분리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회전나사 지지대(231)는,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고정용 프레임(210)에 고정 마련된다.
회전나사(232)는 양 단부가 한 쌍의 회전나사 지지대(23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나사(232)의 일단부에는 회전나사(232)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핸들(233)이 마련된다.
회전나사(232)에 파지구(234)가 결합된다.
파지구(234)는 일측이 회전나사(232)와 나사 결합되며 타측이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의 중간부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나사(232)가 회전하면 파지구(234)와 회전나사(232)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파지구(234)는 회전나사(232)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다.
이와 같이 회전나사(232)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볼 스크류 결합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핸들(233)을 회전시키면 회전나사(232)의 회전에 따라 파지구(234)가 회전나사(232)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일단이 로드셀(220)에 고정된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에 분리력을 인가할 수 있다.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의 기밀성 시험을 위하여 고정용 프레임(210)에 기밀성 시험 배관부(240)가 마련된다.
기밀성 시험 배관부(240)는 고정형 연결 배관(241)과, 압력계(242)와, 온도계(243)와, 압력 공급용 밸브(244)와 벤트용 밸브(245)와, 플렉서블 배관(24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형 연결 배관(241)은, 고정용 프레임(210)의 내부에 고정 마련된다.
고정형 연결 배관(241)은 700MPa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그 재질을 SUS316L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형 연결 배관(241)에 압력계(242), 온도계(243), 압력 공급용 밸브(244), 벤트용 밸브(245)가 각각 연결된다.
압력계(242)는 고정형 연결 배관(24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온도계(243)는 고정형 연결 배관(24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 공급용 밸브(244)는 외부로부터 기밀성 시험을 위한 가스의 공급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압력 공급용 밸브(244)에 의하여 수소스테이션 디스펜서로부터 700MPa의 가스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고정형 연결 배관(241) 및 플렉서블 배관(246)을 포함하는 기밀성 시험 배관부(240)는 700MPa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벤트용 밸브(245)는, 기밀성 시험 중에는 닫히며, 기밀성 시험 후 고정형 연결 배관(241) 내부의 시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플렉서블 배관(246)은, 일단이 고정형 연결 배관(24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플렉서블 배관(246)은 본 장치에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을 안착시킨 후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에 시험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고정형 연결 배관(241)과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압력 공급용 밸브(244)와 벤트용 밸브(245)를 조작하여 기밀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플렉서블 배관(246)이 아직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로드셀(220), 압력계(242), 온도계(243)의 측정 데이터는 제어부(250)로 입력되며 제어부(250)는 측정 데이터에 대하여 분석한다.
제어부(250)는 로드셀(220), 압력계(242), 온도계(243)의 측정 데이터에 대하여 합부 판정이 가능하다.
특히 본 제어부(250)는 압력계(242)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값을 온도계(243)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값에 의하여 수치 보완하여 합/부 판정의 정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어부(250)는 측정 데이터를 제어부(25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에는 알람부(252)가 마련되어 시험에 따른 각종 알람(합부 판정 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측정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외부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외부 출력부는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하여 측정 데이터를 외부의 PC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의 PC는 이를 전송받아 내장된 전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시험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고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휴대용 작동검사장치는 분리 감지 센서의 작동 여부도 함께 시험할 수 있다.
분리력 시험 :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은, 분리력 300 ~ 600 N이내에서 분리되어야 하며, 수동형 분리력 인가부(230)의 핸들(233) 조작에 의하여 분리력을 인가하며, 그 인가되는 분리력의 값을 로드셀(220)로 감지하여 제어부(250)는 분리력 값 및 그 합/부 판정을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알람부(252)로 표시하거나 데이터 외부 출력부를 통하여 외부의 PC의 프로그램에서 그 측정값을 점검하고 합/부에 대한 판정과 그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PC에 내장된 프로그램에서 분리력 시험을 기록관리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경우에 따라 분리력 시험을 하면서 분리 감지 센서의 작동 여부를 함께 시험할 수 있다.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 자체에 IR SENSOR 등과 같이 분리 감지 센서가 마련되는 경우 분리 감지 센서 또한 제어부(250)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의 분리 발생시 분리 감지 센서의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고 그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기밀성 시험 :
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를 통하여,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10)의 기밀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밀성 시험에 대한 기록을 관리하고 합/부 판정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6의 PC에 내장된 프로그램에서 기밀성 시험을 기록관리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본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여 충전소에서 정기적인 검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며, 기존에 일상 충전소에서 검사가 불가능했던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작동검사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작동검사장치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
100 : 휴대용 박스
110 : 박스 본체 111 : 잠금 부재
112 : 손잡이
120 : 박스 덮개
210 : 고정용 프레임
220 : 로드셀
230 : 수동형 분리력 인가부 231 : 회전나사 지지대
232 : 회전나사 233 : 핸들
234 : 파지구
240 : 기밀성 시험 배관부 241 : 고정형 연결 배관
242 : 압력계 243 : 온도계
244 : 압력 공급용 밸브 245 : 벤트용 밸브
246 : 플렉서블 배관
250 : 제어부 251 : 디스플레이부
252 : 알람부

Claims (1)

  1. 상면이 개방된 박스 본체와 상기 박스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박스 덮개와 상기 박스 덮개가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박스 덮개와 상기 박스 본체를 잠그는 잠금부재와 상기 박스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스 덮개가 상기 박스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닫은 상태에서 휴대 가능한 휴대용 박스 ;
    상기 박스 본체에 내장되는 고정용 프레임 ;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분리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일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용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는 로드셀 ;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고정용 프레임에 고정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나사 지지대와, 상기 회전나사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나사와, 상기 회전나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나사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핸들과, 일측이 상기 회전나사와 나사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중간부를 파지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회전나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나사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파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동형 분리력 인가부 ;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기밀성 시험을 위하여, 상기 고정용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마련되는 고정형 연결 배관,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연결되는 압력계,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연결되는 온도계,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연결되는 압력 공급용 밸브,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연결되는 벤트용 밸브, 일단이 상기 고정형 연결 배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렉서블 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밀성 시험 배관부 ;
    상기 로드셀, 상기 압력계, 상기 온도계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하는 제어부 ;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
    상기 제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외부 출력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KR1020200117554A 2020-09-14 2020-09-14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KR10237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54A KR102374487B1 (ko) 2020-09-14 2020-09-14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54A KR102374487B1 (ko) 2020-09-14 2020-09-14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487B1 true KR102374487B1 (ko) 2022-03-15

Family

ID=8081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54A KR102374487B1 (ko) 2020-09-14 2020-09-14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4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12B1 (ko) 2006-12-08 2008-06-12 (주)덕양에너젠 균일한 분리력을 갖는 브레이크 어웨이
KR20120058784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측정 장치
KR20150107851A (ko) 2013-01-17 2015-09-23 케이츠 안드레아스 폰 비상 분리형 커플링
KR101783783B1 (ko) * 2016-07-13 2017-10-10 디케이락 주식회사 Lng 벙커링용 안전 분리형 커플러의 시험 장치
KR20200002595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화영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KR20210001297A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화영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작동검사장치
KR20210000530U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안전밸브용 압력기록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12B1 (ko) 2006-12-08 2008-06-12 (주)덕양에너젠 균일한 분리력을 갖는 브레이크 어웨이
KR20120058784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연비 측정 장치
KR20150107851A (ko) 2013-01-17 2015-09-23 케이츠 안드레아스 폰 비상 분리형 커플링
KR101783783B1 (ko) * 2016-07-13 2017-10-10 디케이락 주식회사 Lng 벙커링용 안전 분리형 커플러의 시험 장치
KR20200002595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화영 브레이크 어웨이 장치
KR20210001297A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화영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작동검사장치
KR20210000530U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안전밸브용 압력기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3100B (zh) 阀用耐压检查装置和其检查方法、以及氢气检测单元
EP3715698B1 (en) Hydrogen gas dispenser inspecting device
CN110383032B (zh) 用于天然气的便携式水分分析仪
CN102840982A (zh) 陶瓷轴承寿命验证试验装置
KR101756153B1 (ko) 파우치형 2차 전지의 시험 장치
JP7165303B2 (ja) 電池パックのリーク検査方法およびリーク検査装置
JP7398010B2 (ja) 筐体の漏洩検知方法及び漏洩検知システム
KR102374487B1 (ko)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휴대용 작동검사장치
CN104299845B (zh) 一种不用拆卸就能直接校验的气体密度继电器
CN110823119A (zh) 基于视觉-激光复合测量的高压实验舱测量系统
Cebolla et al. GASTEF: The high pressure gas tank testing facility of th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CN216284157U (zh) 非金属密封垫片的氦气密封性检测装置
CN110441039A (zh) 一种用于氢气循环疲劳测试的防爆环境模拟系统
KR20210001297A (ko) 브레이크 어웨이 유닛의 작동검사장치
CN114061855B (zh) 一种核电厂安全壳贯穿件密封性试验操作系统及方法
CN112879070B (zh) 一种立风井防爆门性能仿真测试方法
CN210513039U (zh) 一种视觉-激光复合测量的高压实验舱测量系统
CN202614897U (zh) 样品盒
CN209356375U (zh) 一种橡胶o型圈腐蚀测试装置
KR102095255B1 (ko) 사고 분석 시스템
KR102035058B1 (ko) 승강운동을 하는 수소실린더모듈이 구비된 이동식 수소 평가 검사 설비장치
JP7011286B2 (ja) ガス漏れ検査システム及びガス漏れ検査方法
CN212931890U (zh) 罐车内置式安全阀在线校验装置
CN117629894B (zh) 一种可调谐半导体激光多气体检测设备
CN205301157U (zh) 一种多功能气体检测实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