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097B1 -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 Google Patents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097B1
KR102165097B1 KR1020200037369A KR20200037369A KR102165097B1 KR 102165097 B1 KR102165097 B1 KR 102165097B1 KR 1020200037369 A KR1020200037369 A KR 1020200037369A KR 20200037369 A KR20200037369 A KR 20200037369A KR 102165097 B1 KR102165097 B1 KR 10216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entry
movable part
pressing piece
ent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주
Original Assignee
이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주 filed Critical 이한주
Priority to KR102020003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B08B1/002
    • B08B1/007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5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involving cleaning of the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장치를 이용한 계단청소방법으로서, 청소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청소영역에 청소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청소장치를 운용하여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단계; 및 유체처리장치로 상기 청소장치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장치는, 상부에 탑승석(2a')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바퀴(2b')와 세척수단(2c')이 구비되는 몸체부(2')와, 상기 몸체부(2')에 탑승한 탑승자의 상기 바퀴와 상기 세척수단(2c')에 대한 조작을 위한 조작부(3')를 포함하는 청소장치를 이용한 계단청소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대상영역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여 위생환경을 개선하고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장치 자체에 대한 세척을 통하여 세척 전후 과정에서 보다 청결한 위생관리가 가능한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CLEANING METHOD FOR USING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영역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여 위생환경을 개선하고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장치 자체에 대한 세척을 통하여 세척 전후 과정에서 보다 청결한 위생관리가 가능한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내외의 바닥 등에는 주기적인 청소를 통해 위생을 청결하게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때문에 다양한 청소장비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대사영역에 대한 청소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렇게 반복적인 청소수단 사용으로 대상영영역의 위생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나, 정작 청소장비에 대한 부분에서는 그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 관리하는 것이 등한시 되었다. 때문에 청소장비를 운용하는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물론 청소장비 주변에 인접하는 자들에게도 건강에 해를 끼칠 수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9371호
본 발명은 대상영역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여 위생환경을 개선하고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장치 자체에 대한 세척을 통하여 세척 전후 과정에서 보다 청결한 위생관리가 가능한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으로서, 청소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청소영역에 청소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청소장치를 운용하여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단계; 및 유체처리장치로 상기 청소장치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장치는, 상부에 탑승석(2a')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바퀴(2b')와 세척수단(2c')이 구비되는 몸체부(2')와, 상기 몸체부(2')에 탑승한 탑승자의 상기 바퀴와 상기 세척수단(2c')에 대한 조작을 위한 조작부(3')를 포함하는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으로서, 청소장치에 대한 위생관리를 위하여 효과적인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크기의 대형화 또는 소형화를 통해 단독 또는 다수대로 구비되는 청소장치에 대한 맞춤별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과정에 있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세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주변 환경에 미치는 해(예: 소음, 충격, 진동 등)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청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이용한 청소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4는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유체처리장치에 일부 구성이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청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이용한 청소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으로서, 청소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청소영역에 청소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청소장치를 운용하여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단계; 및 유체처리장치로 상기 청소장치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장치는 상부에 탑승석(2a')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바퀴(2b')와 세척수단(2c')이 구비되는 몸체부(2')와, 상기 몸체부(2')에 탑승한 탑승자의 상기 바퀴와 상기 세척수단(2c')에 대한 조작을 위한 조작부(3')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4는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처리장치(A)를 구성함에, 전후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구동장치가 내설된 유체처리장치 본체(2)를 구성하되 일측 유체처리장치 본체(2)의상부에는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작동스위치(2a)가 설치되어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간에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의 회전을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간의 이격 거리는 대상물의 폭 보다 다소 넓게 형성하여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사이에 대상물 충분히 진입하여 위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간의 상측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축 회전하는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를 수직으로 나란히 마주하여 설치하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서로 대칭되도록 “ㄷ”자 형태로서 구성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가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를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나누어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축 회전시켜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사이에 대상물가 위치한 상태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터널식 또는 이동식 유체처리장치에 비해 세척 공간의 활용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로부터 수직으로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의 대상물를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사이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대상물를 중앙에 두고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양측으로 스윙하면서 중앙에 대상물가 위치하게 되므로 부딪침에 전혀 간섭없이 회전과 함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구동장치가 설치된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로부터 축회전되게 결합하여 버블(거품) 세제수 및 물 세척수를 공급받아 고압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8)을 장착되게 구성한다.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내식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서 각각“ㄷ”자 형태로서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좌,우측 노즐분사대(4)(6) 내에는 사각 내지 둥근 안내바(10)를 빙둘러 고정 설치하고 안내바(10)에 분사노즐(8)이 장착된 고정편(12)이 볼트로서 체결되게 구성하여 줌으로서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내측에 다수의 분사노즐(8)이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안내바(10)를 따라 분사노즐(8)의 위치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안내바(10)에 체결되는 고정편(12)에는 분사노즐(8)이 결합하도록 함에 분사노즐(8)이 고정편(12) 상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좌,우측 노즐분사대(4)(6) 내에 장착되는 분사노즐(8)에는 외부의 고압펌프(미도시)와 연결하되 세제수 및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제수 호스(8a)와 세척수 호스(8b)가 각각 연결되게 구성하여 이를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의 제어 작동에 의하여 분사노즐(8)을 통해 버블 세제수와 세척수를 순차적으로 고압펌프의 작동에 의해 고압으로서 분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양측으로 회전시켜 대상물 세척토록 함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내측에는 다수의 근접센서(14)를 장착하여 대상물와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도록 하여 줌으로서 대상물 세척시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회전작동에 따른 부딪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한편 상기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에 축 결합하여 양측으로 회전하는 구동장치를 구성함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내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지지하여 양측으로 회전작동하도록 구동축(16)과 피동축(18)을 통해 축 지지하도록 연결하고, 구동축(16)과 피동축(18)에 각각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가 장착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노즐분사대(6)가 서로 연동하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의 일측 구동축(16)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감속모터(20)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감속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를 감속 회전시켜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의 회전이 비교적 저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구동축(16) 상에는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감지봉(22)을 더 구비하여 감지봉(22)이 구동축(16)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리밋스위치(22a)와의 접촉에 의하여 구동축(16)과 피동축(18)에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회전각도를 제어해 주도록 한다. 또한 피동축(18) 상에는 링크대(24)를 축 결합하여 구성하되, 링크대(24)는 일측에 설치된 가스 쇽 업소버(26)와 연결되게 결합하여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가 서로 맞물려 회전시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회전케하는 감속모터(20)의 구동력을 가스 쇽 업소버(26)가 완화시켜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좌,우측노즐분사대(4)(6)가 정역회전시 서로 무게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체처리장치(A)는 구동장치가 장착된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에 축 결합하도록 하며 수직으로 마주하는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구비하여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사이로 대상물를 진입되게 한 후, 대상물를 중심으로 수직상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양측으로 펼쳐지듯이 회전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대상물를 중앙에 두고 바깥으로 회전시 내측에 갖는 분사노즐(8)들이 대상물의 상면, 측면, 전,후면에 위치되게 이동하면서 표면 전체에 걸쳐 버블(거품) 세제수 또는 세척수를 고압으로서 골고루 분사하여 세척의 효율을 보다 높이도록 한다.
도 11a 내지 도 14는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내지 도 14는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다수의 분사노즐(8)이 내측에 장착된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포함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유체처리장치 본체(111); 상기 몸체(110)의 타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유체처리장치 본체(112); 상기 제1 유체처리장치 본체(111)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연장체(113); 상기 제2 유체처리장치 본체(112)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연장체(114); 상기 제1 연장체(113)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1 연장체(11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유체처리장치 본체(1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1 가동부(121); 상기 제2 연장체(114)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2 연장체(114)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유체처리장치 본체(112)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2 가동부(122);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부(130);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부(140); 일측에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가 일측에 수용되어 연동되며 타측에 상기 우측 노즐분사대(6)가 수용되어 연동되며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와 상기 우측노즐분사대(6)사 상호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도록 구동시키는 연동몸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일측 단부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1 수용공간(S1)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 진입모듈(13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2 수용공간(S2)매개로 장착되는 제2 진입모듈(133)과, 양측에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이 연동되며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1 가동모듈(13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제1 진입축(1321a)과, 상기 제1 진입축(13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1 가압편(13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1 수용공간(S1)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1 돌출구동부(1321c)를 포함하는 제1 고정체(1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상에서 상기 제1 진입축(13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1 내장가압편(1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편(1321b)은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장가압편(1211)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제2 진입축(1331a)과 상기 제2 진입축(13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2 가압편(13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2 수용공간(S2)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2 돌출구동부(1331c)를 포함하는 제2 고정체(13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상에서 상기 제2 진입축(13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2 내장가압편(12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편(1331b)은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장가압편(1212)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3 수용공간(S3)매개로 장착되는 제3 진입모듈(14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4 수용공간(S4)매개로 장착되는 제4 진입모듈(143)과, 양측에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이 연동되며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2 가동모듈(141)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제3 진입축(1421a)과 상기 제3 진입축(14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3 가압편(14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3 수용공간(S3)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3 돌출구동부(1421c)를 포함하는 제3 고정체(14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3 수용공간(S3)상에서 상기 제3 진입축(14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3 내장가압편(1213)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편(1421b)은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장가압편(1213)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며,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제4 진입축(1431a)과 상기 제4 진입축(14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4 가압편(14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4 수용공간(S4)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4 돌출구동부(1431c)를 포함하는 제4 고정체(143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4 수용공간(S4)상에서 상기 제4 진입축(14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4 내장가압편(1214)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편(1431b)은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장가압편(1214)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일측 단부에 제1-1 영역체(L11)와, 상기 제1-1 영역체(L1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는 제1-2 연장영역체(L12)와, 상기 제1-1 영역체(L1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1-3 연장영역체(L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와 상기 제1-3 연장영역체(L13)에는 상기 제1 고정체(132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의 복수로 구비되는 제1 수용공간(S1)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일측 단부에 제2-1 영역체(L21)와, 상기 제 2-1 영역체(L2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는 제2-2 연장영역체(L22)와, 상기 제2-1 영역체(L2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3 연장영역체(L23)가 구비된다.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와 상기 제2-3 연장영역체(L23)에는 상기 제2 고정체(133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가동부(122)의 복수로 구비되는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일측 단부에 제3-1 영역체(L31)와, 상기 제3-1 영역체(L3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는 제3-2 연장영역체(L32)와, 상기 제3-1 영역체(L3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3 연장영역체(L33)가 구비되며,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와 상기 제3-3 연장영역체(L33)에는 상기 제3 고정체(142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에 복수로 구비되는 제3 수용공간(S3)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일측 단부에 제4-1 영역체(L41)와, 상기 제4-1 영역체(L4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는 제4-2 연장영역체(L42)와, 상기 제4-1 영역체(L4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4-3 연장영역체(L43)가 구비된다.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와 상기 제4-3 연장영역체(L43)에는 상기 제4 고정체(143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가동부(122)에 복수로 구비되는 제4 수용공간(S4)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1-1 연장영역체(L11)와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는 상기 제1-1 영역체(L1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고정체(1321)가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1 연장영역체(L21)와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는 상기 제2-1 영역체(L2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체(1331)가 상기 제2 수용공간(S2)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1 연장영역체(L31)와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는 상기 제3-1 영역체(L3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3 고정체(1421)가 상기 제3 수용공간(S3)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1 연장영역체(L41)와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는 상기 제4-1 영역체(L4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4 고정체(1431)가 상기 제4 수용공간(S4)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제1 가동부(121)는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모터기반의 전동슬라이더(미도시)를 베이스로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를 진퇴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동부(121)는 내부에 전동식 피스톤실린더 모듈(미도시)을 단수 또는 복수로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를 진퇴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가동부(122)는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모터기반의 전동슬라이더를 베이스로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를 진퇴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동부(122)는 내부에 전동식 피스톤실린더 모듈을 단수 또는 복수로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를 진퇴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부(130)와,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부(140)와,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가 일측에 수용되어 연동되는 제1 구조부(152)와,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우측 노즐분사대(6)가 수용되어 연동되는 제2 구조부(153)와, 상기 제1 구조부(152)와 상기 제2 구조부(153)를 내부에 수용하여 양측으로 진퇴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와 상기 우측노즐분사대(6)사 상호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도록 진퇴 구동시키는 제3 구조부(151)를 포함하는 연동몸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5에 유체처리장치에 일부 구성이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편 노즐의 위치나 형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술한 내용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과 유사한 부분은 생략하고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전술한 내용과 이하 기술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도면 전체의 비율과 크기 등은 개략적으로 표시되었으므로 도면의 비율과 크기로만 한정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본 명세서는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베이스패널(210)과, 상기 제1 가동부(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연장부(211)와, 상기 베이스패널(210)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211)를 수용한채 상기 제1 구동부(130) 및 상기 제2 구동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동에 대응하여 일정범위로 유동시키거나 상방과 하방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 받침유동부(212)와, 상기 제2 가동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연장부(213)와, 상기 베이스패널(210)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연장부(213)를 수용한채 상기 제1 구동부(130) 및 상기 제2 구동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동에 대응하여 일정범위로 유동시키거나 상방과 하방으로 승하강시키는 제2 받침유동부(214)와, 소정의 가이드플레이트(215)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211)에 외삽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1 연장부(211)에 비틀림힘을 가하여 상기 제1 연장부(211)를 홀딩되도록 하기위한 제1 동작모드 구동이 가능한 제1 외삽부(216)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연장부(213)에 외삽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장부(213)에 비틀림힘을 가하여 상기 제2 연장부(213)를 홀딩되도록 하기위한 제2 동작모드 구동이 가능한 제2 외삽부(217)와, 상기 베이스패널(2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부(218)와, 상기 구동축부(218)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 유동되는 유동축부(219)와, 상기 유동축부(219)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의 저면부로 연동되는 제1 연동축부(221)와 상기 유동축부(219)의 일측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의 저면부로 연동되는 제2 연동축부(222)와 상기 유동축부(219)의 타측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의 저면부로 연동되는 제3 연동축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중앙의 공간부에 수용된 유체처리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동축부(219)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는 상기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2 연장부(213)에 대한 일정한 회전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제1 외삽부(216)는, 상부에 제1-1 완충패널(224)이 구비되며 하부에 제1-2 완충패널(225)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외삽부(217)는, 상부에 제2-1 완충패널(226)이 구비되며 하부에 제2-2 완충패널(227)이 구비된다.
한편, 제1 받침유동부(212)와 상기 제2 받침유동부(214)는, 상기 제1 외삽부(216)와 상기 제2 외삽부(217)가 각기 상기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2 연장부(213)에 대하여 회전에 기반하는 가압힘을 가하지 않는 릴리즈 상태에서 상기 각기 상기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2 연장부(213)를 하강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1-1 완충패널(224)과 상기 제2-1 완충패널(226)은, 상기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2 연장부(213)의 하강 구동시, 각기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하부에 접촉되어 완충을 수행하며 상기 제1-2 완충패널(225)과 상기 제2-2 완충패널(227)은 각기 상기 제1 받침유동부(212)와 상기 제2 받침유동부(214)에 접촉되어 완충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일단부 상면에서 출몰되는 제1 상부돌기부(2101)와, 일단부 하면에서 출몰되는 제1 하부돌기부(2102)와, 타단부 상면에서 출몰되는 제2 상부돌기부(2103)와, 타단부 하면에서 출몰되는 제2 하부돌기부(2104)가 구비되며,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제1 파지모듈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타단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제2 파지모듈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파지모듈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1-1 세로몸체부(228)와, 상기 제1-1 세로몸체부(228)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1 가로몸체부(229)와, 상기 제1-1 가로몸체부(229)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돌기부(2101)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가압하는 제1-1 장착구(231)와, 상기 제1-1 세로몸체부(228)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1-2 가로몸체부(230)와, 상기 제1-2 가로몸체부(2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하부돌기부(2102)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가압하는 제1-2 장착구(23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파지모듈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2-1 세로몸체부(232)와, 상기 제1-1 세로몸체부(228)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1 가로몸체부(233)와, 상기 제2-1 가로몸체부(233)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돌기부(2103)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가압하는 제2-1 장착구(234)와, 상기 제2-1 세로몸체부(232)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2 가로몸체부(235)와, 상기 제2-2 가로몸체부(235)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하부돌기부(2104)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가압하는 제2-2 장착구(2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장착구(231)는 상기 제1-1 가로몸체부(229)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1 상부돌기부(2101)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2 장착구(231)는 상기 제1-2 가로몸체부(230)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1 하부돌기부(2102)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장착구(234)는 상기 제2-1 가로몸체부(233)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2 상부돌기부(2103)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2-2 장착구(236)는 상기 제2-2 가로몸체부(235)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2 하부돌기부(2104)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하부에 구비되는 하방돌출구조부(241)와, 상기 하방돌출구조부(241)의 일측에서 제1 접촉구(242)가 구비된 제1 푸시바(243)를 구동시켜 상기 제1-2 가로몸체부(230)와 상기 제1-2 장착구(231)를 누르는 제1 누름구조부와, 상기 하방돌출구조부(241)의 타측에서 제2 접촉구(244)가 구비된 제2 푸시바(245)를 구동시켜 상기 제2-2 가로몸체부(235)와 상기 제2-2 장착구(236)를 누르는 제2 누름구조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방돌출구조부(241)는 하부에 지면부에 삽입 고정되는 지면고정돌기부(2411)가 구비되어 물리적 충격에 따른 유동에 의하여 지면에 대한 미끄럼방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 몸체부
2a' : 탑승석
2b' : 바퀴
2c' : 세척수단
3' : 조작부

Claims (6)

  1.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으로서,
    청소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청소영역에 청소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
    청소장치를 운용하여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단계; 및
    유체처리장치로 상기 청소장치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장치는,
    상부에 탑승석(2a')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바퀴(2b')와 세척수단(2c')이 구비되는 몸체부(2')와, 상기 몸체부(2')에 탑승한 탑승자의 상기 바퀴와 상기 세척수단(2c')에 대한 조작을 위한 조작부(3')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다수의 분사노즐(8)이 내측에 장착된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포함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세척기 본체(111)와,
    상기 몸체(110)의 타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세척기 본체(112)와,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연장체(113)와,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연장체(114)와,
    상기 제1 연장체(113)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1 연장체(11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연장체(114)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2 연장체(114)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2 가동부(122)와,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부(130)와,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부(140)와,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가 일측에 수용되어 연동되는 제1 구조부(152)와,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우측 노즐분사대(6)가 수용되어 연동되는 제2 구조부(153)와, 상기 제1 구조부(152)와 상기 제2 구조부(153)를 내부에 수용하여 양측으로 진퇴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와 상기 우측노즐분사대(6) 상호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도록 진퇴 구동시키는 제3 구조부(151)를 포함하는 연동몸체(150)를 포함하는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일측 단부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1 수용공간(S1)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 진입모듈(132)과, 일측 단부 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2 수용공간(S2)매개로 장착되는 제2 진입모듈(133)과, 양측에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이 연동되며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1 가동모듈(13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제1 진입축(1321a)과, 상기 제1 진입축(13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1 가압편(13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1 수용공간(S1)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1 돌출구동부(1321c)를 포함하는 제1 고정체(1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상에서 상기 제1 진입축(13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1 내장가압편(1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편(1321b)은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장가압편(1211)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며,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제2 진입축(1331a)과 상기 제2 진입축(13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2 가압편(13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2 수용공간(S2)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2 돌출구동부(1331c)를 포함하는 제2 고정체(13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상에서 상기 제2 진입축(13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2 내장가압편(12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편(1331b)은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장가압편(1212)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3 수용공간(S3)매개로 장착되는 제3 진입모듈(14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4 수용공간(S4)매개로 장착되는 제4 진입모듈(143)과,
    양측에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이 연동되며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2 가동모듈(141)을 포함하는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제3 진입축(1421a)과 상기 제3 진입축(14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3 가압편(14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3 수용공간(S3)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3 돌출구동부(1421c)를 포함하는 제3 고정체(14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3 수용공간(S3)상에서 상기 제3 진입축(14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3 내장가압편(1213)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편(1421b)은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장가압편(1213)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제4 진입축(1431a)과 상기 제4 진입축(14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4 가압편(14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4 수용공간(S4)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4 돌출구동부(1431c)를 포함하는 제4 고정체(14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4 수용공간(S4)상에서 상기 제4 진입축(14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4 내장가압편(1214)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편(1431b)은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장가압편(1214)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KR1020200037369A 2020-03-27 2020-03-27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KR102165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69A KR102165097B1 (ko) 2020-03-27 2020-03-27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69A KR102165097B1 (ko) 2020-03-27 2020-03-27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097B1 true KR102165097B1 (ko) 2020-10-13

Family

ID=7288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369A KR102165097B1 (ko) 2020-03-27 2020-03-27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0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371B1 (ko) 1996-08-19 1999-07-15 김영환 원자외선용 감광막과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140135746A (ko) * 2012-02-16 2014-11-26 테난트캄패니 빠른 분리 스퀴지 조립체를 구비한 표면 정비 차량
JP2017001550A (ja) * 2015-06-11 2017-01-05 株式会社ダイフク 洗浄装置、それを用いた洗車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371B1 (ko) 1996-08-19 1999-07-15 김영환 원자외선용 감광막과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140135746A (ko) * 2012-02-16 2014-11-26 테난트캄패니 빠른 분리 스퀴지 조립체를 구비한 표면 정비 차량
JP2017001550A (ja) * 2015-06-11 2017-01-05 株式会社ダイフク 洗浄装置、それを用いた洗車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3689B (zh) 一种智能洗碗机器人
CN109381945A (zh) 一种建筑施工保护用高效除尘装置
CN101406890B (zh) 缸筒内腔清洗装置
EP1935308A3 (en) Cleaning Robot with Corner Cleaning Unit
US20070246088A1 (en) Automatic, touchless, exterior rollover vehicle wash machine and system
CN105310605B (zh) 地面清扫机
CN205270183U (zh) 电杆清洗装置及电杆清洗车
CN213378303U (zh) 一种油田管道清洗装置
CN210643869U (zh) 一种真空吸附式越障玻璃清洗机器人
KR102165097B1 (ko) 청소장치를 이용한 바닥청소방법
CN110171398A (zh) 一种自动洗车装置
CN1389189A (zh) 肩背式按摩装置
CN105832243A (zh) 一种可拆卸式自动擦窗机
CN103801540B (zh) 立体洗瓶机及洗瓶方法
KR102165098B1 (ko)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
CN112676071B (zh) 一种钢管自动喷漆装置
CN111282891B (zh) 一种石化开采用探头清洗装置
CN108125644A (zh) 一种高效水杯清洗器及其工作方法
US7971594B2 (en) Pendulum-type wheel washer
CN211324819U (zh) 用于餐厅的洗碗机
CN108636852B (zh) 一种长颈水龙头清洁设备
CN109013620B (zh) 一种汽车挡风玻璃不良水印的清洗装置
CN103921550B (zh) 腰线机
CN112474221B (zh) 一种集成卫浴产品表面冷喷涂加工工艺
CN105996936A (zh) 一种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