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008B1 -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008B1
KR102165008B1 KR1020180064422A KR20180064422A KR102165008B1 KR 102165008 B1 KR102165008 B1 KR 102165008B1 KR 1020180064422 A KR1020180064422 A KR 1020180064422A KR 20180064422 A KR20180064422 A KR 20180064422A KR 102165008 B1 KR102165008 B1 KR 10216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al character
input
character input
user terminal
inpu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175A (ko
Inventor
한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한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한도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Priority to KR102018006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00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특수문자 입력이 가능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가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된 후에도,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METHOD, USER TERMINAL AND PROGRAM FOR PROVIDING ALWAYS-ON SPECIAL CHARACTER INPUT INTERFACE}
본 발명은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지정키가 입력되어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호출된 경우,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수문자 입력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PC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숫자, 영자, 한글 이외의 기호를 의미하는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자음 문자를 입력한 후, 키보드의 한자키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자음 문자에 대응되는 특수문자 그룹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호출하게 되며, 호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특수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자음키 및 한자키 조합을 통해 호출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1개의 특수문자를 선택 완료하는 즉시 사라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복수의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여러 번 호출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특수문자를 편리하게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호출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특수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상시 유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특수문자 입력이 가능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가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된 후에도,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지정키 및 상기 제2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ME(Input Method Editor)를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특수문자 입력을 종료시키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특수문자 입력이 가능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가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된 후에도,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결합되어, (a)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가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된 후에도,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호출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특수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상시 유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및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및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한 모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메모리부(120),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다양한 그래픽 및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단일 또는 복수의 텍스트 입력 필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다양한 문자들을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입력장치를 통해 소정의 지정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호출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부에 구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이거나, 별도의 장치(키보드, 마우스 등)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외부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나 특정 위치에 터치 입력 수단(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이 닿으면, 그 터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시 표시되도록 지원하며, 상기 상시 표시 기능을 실행시키는 지정키를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업로드 되어 있는 외부 서버 또는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서버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본 발명의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소정의 지정키가 입력될 시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제1 지정키가 입력될 시,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특수문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으며, 상기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단일 자음 문자인 "ㅁ"이 입력될 수 있으며, 이후 '한자키'가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는 상기 "ㅁ"에 대응되는 특수문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상기 제1 지정키와 함께 제2 지정키가 더 입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문자 "ㅁ"이 입력될 수 있으며, 이후 '한자키'와 'Ctrl키'가 함께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시, 사용자 단말기(100)의 IME(Input Method Editor)가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는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특수문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정키 입력을 통해 호출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특수문자 리스트 중 1개의 특수문자가 선택될 시 해당 특수문자가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라지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의 입력을 통해 호출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제공되는 특수문자 리스트 중 1개의 특수문자가 선택되어 해당 특수문자가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되더라도 사라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해당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특수문자가 선택되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의 조합을 통해 호출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특수문자 입력을 종료시키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예를 들면, 'ESC키' 입력 등)되기 전까지 상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1번의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호출만으로도 복수의 특수문자를 입력 가능한 바, 사용자의 특수문자 입력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 메모리부(120) 및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 메모리부(120) 및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130)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시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사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텍스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텍스트 입력 필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사용자로부터 문자 "ㅁ"을 입력 받을 수 있다(S201).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제1 지정키가 입력될 수 있으며(S202a), 이에 따라 상기 "ㅁ"에 대응되는 특수문자 리스트를 표시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특수문자 리스트에 포함되는 특수문자 중 "#"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202b).
상기 S202b 단계가 수행된 결과, 텍스트 입력 필드에 "#"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S202b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사라질 수 있다(S202c).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201 단계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가 함께 입력될 수도 있다(S202d).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IME(Input Method Editor)가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S201 단계에서 입력된 "ㅁ"에 대응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되는 특수문자 중 "#"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202e).
이때, 텍스트 입력 필드에는 상기 S202e 단계에서 선택된 "#"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S202e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라지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에 특수문자 입력을 종료시키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S202a 단계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제1 지정키만을 입력하여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였을 시, 해당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특수문자를 선택하게 되면, S202c 단계와 같이 특수문자가 입력됨과 동시에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사라지게 되므로, 또 다른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S201 내지 S202c 단계를 반복해야 한다는 불편을 겪어야만 한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202d 단계와 같이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를 함께 입력하여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호출하게 되면, S202f 단계와 같이 특수문자 입력이 완료되어도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사라지지 않은 채 유지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또 다른 특수문자들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호출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특수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상시 유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메모리부
130 :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
140 : 제어부

Claims (7)

  1. 사용자 단말기가 복수의 특수문자 입력이 가능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제1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한 후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키는 단계;
    (b)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상기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상기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ME(Input Method Editor)를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변경하여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가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된 후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특수문자 입력을 종료시키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문자는 자음이고,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자음에 대응하는 한자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하는 특수문자는 한자 외의 문자로 구성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복수의 특수문자 입력이 가능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제1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한 후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키고,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상기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상기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ME(Input Method Editor)를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변경하여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가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된 후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특수문자 입력을 종료시키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특수문자 입력기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인, 사용자 단말기.
  7. 사용자 단말기에 결합되어,
    (a)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제1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의 문자에 대응되는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를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한 후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종료시키는 단계;
    (b)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상기 소정의 문자가 입력된 후 상기 제1 지정키 및 제2 지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ME(Input Method Editor)를 상기 특수문자 입력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변경하여 상기 소정 문자에 대응되는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특정 특수문자가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된 후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특수문자 입력을 종료시키는 소정의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가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제1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인, 프로그램.
KR1020180064422A 2018-06-04 2018-06-04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10216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422A KR102165008B1 (ko) 2018-06-04 2018-06-04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422A KR102165008B1 (ko) 2018-06-04 2018-06-04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175A KR20190138175A (ko) 2019-12-12
KR102165008B1 true KR102165008B1 (ko) 2020-10-13

Family

ID=6900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422A KR102165008B1 (ko) 2018-06-04 2018-06-04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156B1 (ko) * 2020-11-05 2022-12-02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글자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8423B2 (ja) * 2012-09-21 2016-03-22 富士通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145A (ko) * 2005-02-28 2006-08-31 (주)드림위즈 입력 키 세트를 이용한 문자 입력모드 변환 시스템 및 변환방법
KR20110088310A (ko) * 2010-01-28 2011-08-03 박태운 하날글 문자입력 방법
CN105425977A (zh) * 2015-06-11 2016-03-23 周连惠 一种特殊符号输入法及输入法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8423B2 (ja) * 2012-09-21 2016-03-22 富士通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175A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842B1 (ko) 연속적인 제스쳐 입력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키보드들
Mascetti et al. TypeInBraille: a braille-based typing application for touchscreen devices
US20120019540A1 (en) Sliding Motion To Change Computer Keys
KR101441200B1 (ko) 유동형 자판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의 유동형 자판 표시 방법
JP2012230718A (ja) スマートソフトキーボード
JP2015503149A (ja) 適応的な入力言語切り換え
KR102260949B1 (ko)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300805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문자 편집 방법.
KR102165008B1 (ko)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US201402233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floating keys in a portable device
EP29909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KR20140131070A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30045B1 (ko)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102145264B1 (ko)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102250609B1 (ko) 한자 목록 우선순위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190956B1 (ko) 한자 연속 변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431329B1 (ko) 한글자판 선택 가능한 통합 가상키보드 제공 방법
KR20160070515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5228180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35168A (ja) 文字入力装置
KR102042140B1 (ko) 편리한 특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특수 문자 입력 방법,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기
KR101452191B1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가상 키보드 터치 인식 영역 조정 방법
KR102199974B1 (ko)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70112838A (ko) 한글 복모음이 완성형으로 배정된 키보드
CN106886354A (zh) 一种触控电子设备及其多输入集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