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936B1 -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 Google Patents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936B1
KR102164936B1 KR1020180049924A KR20180049924A KR102164936B1 KR 102164936 B1 KR102164936 B1 KR 102164936B1 KR 1020180049924 A KR1020180049924 A KR 1020180049924A KR 20180049924 A KR20180049924 A KR 20180049924A KR 102164936 B1 KR102164936 B1 KR 10216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per
clip
center
central
l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5737A (ko
Inventor
이보인
최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옴니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옴니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옴니메디칼
Priority to KR102018004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9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having at least one proximally pointing needle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e.g. for suturing trocar puncture wounds starting from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61B2017/0488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 클립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겸자공의 중심축선과 동축 상에 배치되고, 그 겸자공의 형성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선단에 상기 결손부위의 일측을 집을 수 있는 중심 클립부가 마련되어 있는 중심 클리퍼; 상기 중심 클리퍼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클리퍼와 예각을 형성하는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선단에 상기 중심 클립부와 함께 상기 결손부위의 일측을 집을 수 있게 하는 제1클립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클리퍼; 및 상기 중심 클리퍼의 타측(상기 내시경의 선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클리퍼보다 먼 위치에 형성)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클리퍼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클리퍼와 반대측에 위치되며, 선단에 상기 결손부위의 타측을 집을 수 있게 하는 제2클립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2클리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Double clip for giant ligation area suture}
본 발명은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넓은 범위의 거대결손부위와 천공된 신체부위를 효과적으로 봉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내시경 시술중에 출혈이 발생된 신체조직을 지혈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한편,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대장 또는 위 등에서 발생한 종양 등을 제거하는 수술 전 시술부위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조직을 결찰하는 클립(1)과,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클립을 밀어낼 수 있고 그 클립을 통한 신체조직의 클립핑을 가능하게 하는 클립건(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립건은, 구강 또는 항문 등을 통해 인체내로 삽입되는 내시경 또는 삽입관을 따라 체내로 삽입되어 특정한 부위까지 이동하고, 외부에서 조작되는 조작와이어 등에 의하여 클립(1)을 클립건 밖으로 밀게 된다.(도 2의 (b) 참조)
이때 클립 선단의 클립암(3)은 이격된 상태에서 벌어진 신체조직(결손부위)을 감싸게 되고, 와이어의 당김현상으로 인해 그 클립암이 오무라들면서 클립건에서 분리되어 결손부위를 결찰하게 된다.(도 2의 (a) 및 (b) 참조)
이들 도면에 도시된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클립의 클립암이 한 쌍으로만 이루어지고 결손부위를 동시에 감싸며 결찰시킴으로써, 넓은 범위의 거대결손부위를 봉합할 수 없으며 신속한 지혈이 어렵고, 천공된 신체부위를 봉합하기 어려워 수술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3353호 「내시경용 클립 장치, 클립 및 내시경용 처리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범위의 거대결손부위를 봉합할 수 있으며 신속한 지혈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천공된 신체부위를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도록 하는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은, 인체 기관이나 조직의 출혈이 발생한 결손부위에 내시경 겸자공을 통해 접근한 후 그 결손부위를 결찰시켜 주기 것으로, 상기 겸자공의 중심축선과 동축 상에 배치되고, 그 겸자공의 형성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선단에 상기 결손부위의 일측을 집을 수 있는 중심 클립부가 마련되어 있는 중심 클리퍼; 상기 중심 클리퍼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클리퍼와 예각을 형성하는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선단에 상기 중심 클립부와 함께 상기 결손부위의 일측을 집을 수 있게 하는 제1클립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1클리퍼; 및 상기 중심 클리퍼의 타측(상기 내시경의 선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클리퍼보다 먼 위치에 형성)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클리퍼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클리퍼와 반대측에 위치되며, 선단에 상기 결손부위의 타측을 집을 수 있게 하는 제2클립부가 마련되어 있는 제2클리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클리퍼가 관통되고, 그 중심 클리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중심 클립부와 제1클립부 간의 사잇각을 가장 크게 형성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중심 클립부와 제1클립부를 가장 가깝게 접근시키는 제2위치와, 상기 중심 클립부와 제2클립부를 가장 가깝게 접근시키는 제3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중심 클리퍼의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중심 클리퍼와 제1클리퍼 간의 제1결찰 및 상기 제1결찰 이후 상기 제2클리퍼에 의한 제2결찰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 클립부는, 상기 제1클리퍼의 제1클립부와 제2클리퍼의 제2클립부 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메인 클립부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클리퍼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 작동부재를 상기 제3위치로 이동시키기 이전에 일시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위치와 제3위치 사이에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중심 클리퍼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 작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은, 중심 클리퍼가 내시경 겸자공의 중심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고 겸자공의 형성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제1클리퍼가 그 중심 클리퍼와 예각을 형성하는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선단에 제1클립부를 구비하여 결손부위의 일측을 집고, 제2클리퍼가 제1클리퍼와 반대측에 위치되며 선단에 제2클립부를 구비하여 결손부위의 타측을 집을 수 있음으로써, 넓은 범위의 거대결손부위를 봉합할 수 있으며 신속한 지혈이 가능하고, 천공된 신체부위를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중심 클리퍼와 제1클리퍼 간의 제1결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중심 클리퍼와 제2클리퍼 간의 제2결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가 거대 결손부위가 봉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에 채용된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중심 클리퍼와 제1클리퍼 간의 제1결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중심 클리퍼와 제2클리퍼 간의 제2결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가 거대 결손부위가 봉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은, 인체 기관이나 조직의 출혈이 발생한 결손부위에 내시경 겸자공을 통해 접근한 후 그 결손부위를 결찰(ligation)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중심 클리퍼(100), 제1클리퍼(200), 제2클리퍼(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 클리퍼(100)는 내시경(10) 겸자공의 중심축선과 동축 상에 배치되고 그 겸자공의 형성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중심 클리퍼(100)는 선단에 중심 클립부(101)를 구비함으로써 결손부위(S)의 일측을 집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중심 클리퍼(100)는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클리퍼(300)의 위치이동으로 서로 결찰되고, 그 제1클리퍼(200)가 집게 방식으로 결손부위(S)를 집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클리퍼(200)는, 중심 클리퍼(100)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 중심 클리퍼(100)와 예각을 형성하는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클리퍼(200)는 선단에 제1클립부(20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중심 클리퍼(100)와 함께 결손부위(S)의 일측을 집을 수 있다.
상기 제1클리퍼(200)의 제1클립부(201)는, 그 제1클리퍼(2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서 중심 클립부(101)를 향해 절곡 형성됨으로써, 제1클리퍼(200)와 중심 클리퍼(100)가 서로 근접될 때 결손부위(S)의 일측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집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제2클리퍼(300)는, 중심 클리퍼(100)의 타측에 연결되고 그 중심 클리퍼(10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클리퍼(200)와 반대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클리퍼(300)는, 선단에 제2클립부(30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중심 클리퍼(100)와 함께 결손부위(결손부위)(S)의 타측을 집을 수 있다.
상기 제2클리퍼(300)의 제2클립부(301)는, 제2클리퍼(3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에서 중심 클립부(101)를 향해 절곡 형성됨으로써, 제2클리퍼(300)와 중심 클리퍼(100)가 서로 근접될 때 결손부위(S)의 타측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집을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제2클리퍼(300)는, 내시경(10)의 선단을 기준으로 하여 제1클리퍼(200)보다 먼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 클리퍼(100)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클리퍼(100)와 집게 방식으로 동작됨으로써, 천공된 신체조직이나 거대결손부위를 효과적으로 봉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은, 중심 클리퍼(100)가 내시경 겸자공의 중심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고 겸자공의 형성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제1클리퍼(200)가 그 중심 클리퍼(100)와 예각을 형성하는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선단에 제1클립부(201)를 구비하여 결손부위(S)의 일측을 집고, 제2클리퍼(300)가 제1클리퍼(200)와 반대측에 위치되며 선단에 제2클립부(301)를 구비하여 결손부위(S)의 타측을 집을 수 있음으로써, 넓은 범위의 거대결손부위를 봉합할 수 있으며 신속한 지혈이 가능하고, 천공된 신체부위를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는 작동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재(400)는, 중심 클리퍼(100)가 관통되고 그 중심 클리퍼(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제1클리퍼(200)와 제2클리퍼(300)가 상기 중심 클리퍼(100)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접근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작동부재(400)는 중심 클리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진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 클립부(101)와 제1클립부(201) 간의 사잇각을 가장 크게 형성시킨다.
상기 작동부재(400)는, 중심 클리퍼(100)를 따라 상기 중심 클립부(101) 측으로 이동되어 제2위치에 배치되어, 그 중심 클립부(101)와 제1클립부(201)를 가장 가깝게 접근시킴으로써, 결손부위의 일측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한다.(도 6의 (b) 참조)
아울러, 상기 작동부재(400)는 상기 중심 클립부(101) 측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를 지나 제3위치에 배치되어, 중심 클립부(101)와 제2클립부(301)를 가장 가깝게 접근시킴으로써, 결손부위의 일측이 집힌 상태에서 결손부위의 타측을 집을 수 있게 하여 거대 결손부위(S)를 봉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도 6의 (c) 및 (d)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400)는, 중심 클리퍼(100)의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중심 클리퍼(100) 및 제1클리퍼(200) 간의 제1결찰과, 그 제1결찰 이후에 제2클리퍼(300) 및 중심 클리퍼(100)에 의한 제2결찰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중심 클리퍼(100)의 중심 클립부(101)는 상기 제1클리퍼(200)의 제1클립부(201)와 제2클리퍼(300)의 제2클립부(301) 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메인 클립부(101)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결찰과 제2결찰 시 제1클립부(201) 및 제2클립부(301) 간의 가압력을 증대시켜 적은 힘으로도 결손부위(S)를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하고, 봉합을 위한 수술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을 도출한다.
본 실시예는, 내시경 겸자공이 거대 결손부위(거대 결손부위)(S)에 접근되면(도 6의 (a) 참조), 작동부재(400)가 제2위치에 배치되어 중심 클리퍼(100)와 제1클리퍼(200)를 통해 그 거대 결손부위(S)의 일측을 집게 하고(도 6의 (b) 참조), 시술자에 의해 거대 결손부위(S)의 타측으로 이동된 이후 작동부재(400)가 제3위치에 배치되어 제2클리퍼(300)와 중심 클리퍼(100)를 통해 거대 결손부위(S)의 타측을 집어서 그 결손부위를 결찰함(도 6의 (c) 및 (d) 참조)으로써, 넓은 범위의 거대결손부위를 봉합할 수 있으며 신속한 지혈을 가능하게 하고, 천공된 신체부위를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게 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에 채용된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스토퍼(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스토퍼(500)는 작동부재(400)가 배치되는 제2위치와 제3위치 사이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중심 클리퍼(100)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작동부재(400)를 제3위치로 이동시키기 이전에 일시적으로 위치 고정시킨다.
상기 스토퍼(500)는, 중심 클리퍼(10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중심 클리퍼(100)와 제2클리퍼(300)가 연결된 부근에 마련되고, 작동부재(400)가 제2위치에서 위치 고정되게 함으로써, 중심 클립부(101)와 제1클립부(201)의 제1결찰 상태를 유지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도 7의 (a) 및 (b) 참조)
이후, 상기 작동부재(400)는 스토퍼(500)를 지나 제3위치로 이동되어 제2클립부(301)와 중심 클립부(101)의 제2결찰 상태를 유지시킨다.(도 7의 (c) 참조)
한편, 상기 스토퍼(500)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중심 클리퍼(100)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 작동부재(400)가 상기 제2위치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 및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항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 내시경 100: 중심 클리퍼
101: 중심 클립부, 메인클립부들 200: 제1클리퍼
201: 제1클립부 300: 제2클리퍼
301: 제2클립부 400: 작동부재
500: 스토퍼

Claims (5)

  1. 인체 기관이나 조직의 출혈이 발생한 결손부위에 내시경 겸자공을 통해 접근한 후 그 결손부위를 결찰시켜 주기 것으로,
    상기 겸자공의 중심축선과 동축 상에 배치되고, 그 겸자공의 형성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선단에 상기 결손부위의 일측을 집을 수 있는 중심 클립부가 마련되어 있는 중심 클리퍼;
    상기 중심 클리퍼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클리퍼와 예각을 형성하는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선단에 상기 중심 클립부와 함께 상기 결손부위의 일측을 집을 수 있게 하는 제1클립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 클리퍼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클리퍼;
    상기 중심 클리퍼의 타측(상기 내시경의 선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클리퍼보다 먼 위치에 형성)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클리퍼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클리퍼와 반대측에 위치되며, 선단에 상기 결손부위의 타측을 집을 수 있게 하는 제2클립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 클리퍼 및 제1클리퍼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제2클리퍼;
    상기 중심 클리퍼가 관통되고, 그 중심 클리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중심 클립부와 제1클립부 간의 사잇각을 가장 크게 형성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중심 클립부와 제1클립부를 가장 가깝게 접근시키는 제2위치와, 상기 중심 클립부와 제2클립부를 가장 가깝게 접근시키는 제3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중심 클리퍼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 작동부재를 상기 제3위치로 이동시키기 이전에 일시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위치와 제3위치 사이에 마련되고 중심 클리퍼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중심 클리퍼의 제1위치에서 제3위치로 순차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중심 클리퍼와 제1클리퍼 간의 제1결찰 및 상기 제1결찰 이후 상기 제2클리퍼에 의한 제2결찰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제1결찰 이후에 제2결찰이 임의로 이루어지지 않고 시술자의 요구되는 시점에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클립부는, 상기 제1클리퍼의 제1클립부와 제2클리퍼의 제2클립부 측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메인 클립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클리퍼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한 작동부재가 상기 제2위치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마련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KR1020180049924A 2018-04-30 2018-04-30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KR10216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24A KR102164936B1 (ko) 2018-04-30 2018-04-30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24A KR102164936B1 (ko) 2018-04-30 2018-04-30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37A KR20190125737A (ko) 2019-11-07
KR102164936B1 true KR102164936B1 (ko) 2020-10-13

Family

ID=6857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924A KR102164936B1 (ko) 2018-04-30 2018-04-30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9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7668A1 (en) 2009-09-25 2011-03-31 Lindsay Gordon Devices for approximating tissue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60228108A1 (en) * 2015-02-05 2016-08-1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riple pronged cl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7668A1 (en) 2009-09-25 2011-03-31 Lindsay Gordon Devices for approximating tissue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2016025932A (ja) 2009-09-25 2016-02-1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組織を接近させるデバイス
US20160228108A1 (en) * 2015-02-05 2016-08-1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riple pronged cl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37A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1174B1 (en) Hemostatic clip
US8206401B2 (en) Endoscope cutting and retrieving snare instrument
US5445638A (en) Bipolar coagulation and cutting forceps
US20160310144A1 (en) Atrial-appendage ligation surgical tool
EP1598019A2 (en) Treatment system for living tissues
JPH09289989A (ja) クリップ装置
JP2002503510A (ja) 同軸の針及び切断係蹄
US6767348B2 (en)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JP2007325830A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システム
US20160310155A1 (en) Atrial-appendage ligation surgical tool and atrial appendage ligation system
KR102164936B1 (ko) 거대결손부위 봉합용 이중클립
US20130296955A1 (en) Suture device
US11083483B2 (en) Tissue excision instrument
CN104434252B (zh) 末端执行器、外科手术器械和荷包钳
KR101296359B1 (ko) 점막하 절제용 내시경 처치구
WO2021009835A1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0342594A (ja) 内視鏡用突設爪型処置具
KR20190012652A (ko) 오버튜브
US10617410B2 (en) Suturing device having needle capture capabilities
JP4382914B2 (ja) スネア型切開切除具
US20220133290A1 (e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nd usage method thereof
JPS6243693B2 (ko)
KR102609326B1 (ko) 외과용 클립 어플라이어
US11896216B2 (en) Method for closing wound
JP7300174B2 (ja) 内視鏡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