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865B1 -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865B1
KR102164865B1 KR1020200028827A KR20200028827A KR102164865B1 KR 102164865 B1 KR102164865 B1 KR 102164865B1 KR 1020200028827 A KR1020200028827 A KR 1020200028827A KR 20200028827 A KR20200028827 A KR 20200028827A KR 102164865 B1 KR102164865 B1 KR 102164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oint
points
preset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경일
Original Assignee
(주)한컴인텔리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컴인텔리전스 filed Critical (주)한컴인텔리전스
Priority to KR102020002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건물 내의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FIRE CONTROL SYSTEM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FIRE AND ESTIMATING THE POINT OF I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물 내의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가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화재 발생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형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물 내부가 복잡하여 조난자들이 쉽게 건물 밖으로 탈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고, 구조대가 건물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어려워서 큰 인명 피해를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건물 내의 화재 발생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소방 대원들이 건물 내의 화재 발생 위치까지 도달하는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 기존에는 CCTV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와 화재 발생 지점을 파악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방식은 건물 관리자들이 CCTV를 항상 모니터링하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화재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존재하고, CCTV가 설치되지 않은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 지점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온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이 출시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센서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 건물 내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와 화재 발생 지점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발화 지점 또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 등을 활용하여 건물 내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와 화재 발생 지점을 보다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건물 내의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 순서별 센서 데이터를 연산하여 화재 발생 지점을 분석하고, 화재의 확산 현황을 파악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소방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의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가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는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 각각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저장부,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임계 온도 확인부,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와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연기 발생량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씩 연쇄적으로 획득함으로써, n개의 온도와 n개의 연기 발생량을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산출한 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측정 벡터를 생성하는 측정 벡터 생성부,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와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연산하는 유클리드 거리 연산부, 상기 연산된 유클리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화재 발생 감지부 및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화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의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가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 각각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와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연기 발생량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씩 연쇄적으로 획득함으로써, n개의 온도와 n개의 연기 발생량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산출한 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측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와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유클리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물 내의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대형 화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지점을 분석하고 화재의 확산 현황을 파악하여 최적의 소방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110)는 위치 정보 저장부(111), 임계 온도 확인부(112), 정보 생성부(113), 측정 벡터 생성부(114), 유클리드 거리 연산부(115), 화재 발생 감지부(116) 및 화재 정보 출력부(117)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건물(100) 내에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이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건물(100)은 도 1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구역별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로 구성되며,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각각에는 온도 센서(121, 122, 123, 124) 및 연기 감지 센서(131, 132, 133, 134)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110)의 위치 정보 저장부(111)에는 건물(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각각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위치 정보 저장부(111)에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지점들 위치 정보
지점 1(101) 위치 정보 1
지점 2(102) 위치 정보 2
지점 3(103) 위치 정보 3
지점 4(104) 위치 정보 4
임계 온도 확인부(112)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지점(101, 102, 103, 104)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정보 생성부(113)는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와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연기 발생량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씩 연쇄적으로 획득함으로써, n개의 온도와 n개의 연기 발생량을 생성한다.
측정 벡터 생성부(114)는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산출한 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측정 벡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시간을 '5분'이라고 하고, 상기 임계 온도를 '섭씨 60도'라고 하며, 상기 제1 지점을 '지점 1(101)'이라고 하고, 상기 제2 시간을 '5초'라고 하고, 'n=5'라고 가정하자.
이때, 임계 온도 확인부(112)는 상기 제1 시간인 '5분' 간격으로,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인 '온도 센서 1(121)', '온도 센서 2(122)', '온도 센서 3(123)', '온도 센서 4(124)'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인 '섭씨 60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이후, 정보 생성부(113)는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중 어느 하나인 '지점 1(101)'에 구비된 '온도 센서 1(121)'로부터 획득된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인 '섭씨 60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임계 온도인 '섭씨 60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점 1(101)'에 구비된 '온도 센서 1(121)'을 통해 측정되는 온도와 '지점 1(101)'에 구비된 '연기 감지 센서 1(131)'을 통해 측정되는 연기 발생량을 상기 제2 시간인 '5초' 간격으로 5개씩 연쇄적으로 획득함으로써, '섭씨 61도, 섭씨 61.5도, 섭씨 62도, 섭씨 62도, 섭씨 63도'와 같은 5개의 온도와 '20mg/m3, 21mg/m3, 21.5mg/m3, 21.5mg/m3, 22mg/m3'과 같은 5개의 연기 발생량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측정 벡터 생성부(114)는 상기 5개의 온도인 '섭씨 61도, 섭씨 61.5도, 섭씨 62도, 섭씨 62도, 섭씨 63도'의 평균 값과 상기 5개의 연기 발생량인 '20mg/m3, 21mg/m3, 21.5mg/m3, 21.5mg/m3, 22mg/m3'의 평균 값을 각각 '섭씨 61.9도', '21.2mg/m3'과 같이 산출한 후 상기 5개의 온도의 평균 값인 '61.9'와 상기 5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인 '21.2'를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측정 벡터를 '[61.9 21.2]'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유클리드 거리 연산부(115)는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와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연산한다.
여기서, 유클리드 거리란 두 개의 벡터가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두 벡터 간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0024504023-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D는 유클리드 거리, Ai와 Bi는 두 벡터에 포함되어 있는 i번째 성분들을 의미한다. 보통, 두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가 작을수록 두 벡터는 유사한 벡터라고 볼 수 있고, 두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가 클수록 두 벡터는 비유사한 벡터라고 볼 수 있다.
화재 발생 감지부(116)는 상기 연산된 유클리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
화재 정보 출력부(117)는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위치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가 '[61.9 21.2]'로 생성되었다고 하고,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를 '[63 23]'이라고 하며, 상기 기준 거리를 '2.5'라고 하고, 상기 제1 지점을 '지점 1(101)'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유클리드 거리 연산부(115)는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인 '[61.9 21.2]'와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인 '[63 23]'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상기의 수학식 1에 따라 '2.1095'와 같이 연산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화재 발생 감지부(116)는 상기 연산된 유클리드 거리인 '2.1095'가 상기 기준 거리인 '2.5' 이하인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지점인 '지점 1(101)'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지점 1(101)'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화재 정보 출력부(117)는 상기 표 1과 같은 위치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지점 1(101)'의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1'을 확인한 후 '지점 1(101)'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지점 1(101)'의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1'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110)는 위치 정보 저장부(111)에 건물(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해 둔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121, 122, 123, 124)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와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연기 발생량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n개씩 연쇄적으로 획득함으로써, n개의 온도와 n개의 연기 발생량을 생성하며,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산출한 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측정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와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연산된 유클리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며, 위치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110)는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는 화재 발생 감지부(116)에 의해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n개의 온도와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 간의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연산한 후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화재 심각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관 계수는 2개의 연속형 변수 간의 연관성에 대한 측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20024504023-pat00002
여기서, R은 변수 x의 n개 자료 (x1, ..., xn)와 변수 y의 n개 자료 (y1, ..., yn) 간의 상관 계수,
Figure 112020024504023-pat00003
는 x1, ..., xn의 평균,
Figure 112020024504023-pat00004
는 y1, ..., yn의 평균을 의미한다. 보통, R이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는 양의 상관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고, R=0일 때 두 변수 간의 선형적인 연관성은 없다고 볼 수 있으며, R이 -1에 가까울수록 음의 상관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상기 제1 지점을 '지점 1(101)'이라고 하고, 'n=5'라고 하며, 상기 5개의 온도를 '섭씨 61도, 섭씨 61.5도, 섭씨 62도, 섭씨 62도, 섭씨 63도'라고 하고, 상기 5개의 연기 발생량을 '20mg/m3, 21mg/m3, 21.5mg/m3, 21.5mg/m3, 22mg/m3'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화재 발생 감지부(116)에 의해 상기 제1 지점인 '지점 1(101)'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는 상기 5개의 온도인 '섭씨 61도, 섭씨 61.5도, 섭씨 62도, 섭씨 62도, 섭씨 63도'와 상기 5개의 연기 발생량인 '20mg/m3, 21mg/m3, 21.5mg/m3, 21.5mg/m3, 22mg/m3' 간의 상관 계수를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0.934'와 같이 연산한 후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인 '0.934'에 기초하여 화재 심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는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상기 제1 기준치는 0초과, 1미만의 크기를 갖는 값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높음 단계'로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상기 제2 기준치는 -1초과, 0미만의 크기를 갖는 값임)미만의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낮음 단계'로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상기 제2 기준치 이상, 상기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보통 단계'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화재 정보 출력부(117)는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에 의해 상기 화재 심각도가 산출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와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를 '0.934'라고 하고, 제1 기준치를 '0.5'라고 하며, 제2 기준치를 '-0.5'라고 가정하는 경우,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는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인 '0.934'가 제1 기준치인 '0.5'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화재 심각도를 '높음 단계'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화재 정보 출력부(117)는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에 의해 상기 화재 심각도가 '높음 단계'로 산출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와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인 '화재 심각도 높음'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110)는 온도와 연기 발생량이 함께 증가하는 상관 관계를 갖는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산출함으로써, 소방 안전 관리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110)는 발화 지점 추정부(119) 및 발화 지점 정보 출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화 지점 추정부(119)는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제1 시점(상기 제1 시점은 화재 발생 감지부(116)에서 최초로 화재가 감지된 시점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중 둘 이상의 지점들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전원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중 온도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최초로 오프(OFF) 상태로 확인되는 지점을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한다.
발화 지점 정보 출력부(120)는 상기 추정 발화 지점이 결정되면, 위치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발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대기 시간을 '3분'이라고 하고,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을 '1분'이라고 하며, 도 1에서 상기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중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최초로 화재 발생이 감지된 지점을 '지점 3(103)'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지점 3(103)'에서 화재가 최초로 감지된 시점인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대기 시간인 '3분' 동안 '지점 2(102)'와 '지점 4(104)'에서 추가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지점 2(102), 지점 3(103), 지점 4(104)'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발화 지점 추정부(119)는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인 '1분' 동안 '지점 2(102), 지점 3(103), 지점 4(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인 '온도 센서 2(122)', '온도 센서 3(123)', '온도 센서 4(124)', '연기 감지 센서 2(132)', '연기 감지 센서 3(133)', '연기 감지 센서 4(134)'의 전원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인 '1분'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인 '지점 2(102), 지점 3(103), 지점 4(104)' 중 '지점 2(102)'에 구비된 '연기 감지 센서 2(132)'의 전원이 최초로 오프 상태로 확인되었다고 가정하는 경우, 발화 지점 추정부(119)는 '지점 2(102)'를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발화 지점 추정부(119)를 통해 '지점 2(102)'가 상기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되면, 발화 지점 정보 출력부(120)는 상기 표 1과 같은 위치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발화 지점인 '지점 2(102)'에 대한 위치 정보인 '위치 정보 2'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발화 지점 추정부(119)는 특정 대기 시간 내에 둘 이상의 지점에서 화재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로 인해서 최초로 전원이 오프되는 센서가 구비된 지점을 발화 지점으로 추정함으로써, 소방 대원들이 발화 지점으로 즉시 출동하도록 하여 화재가 더 크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발화 지점 추정부(119)는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모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중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최초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인 것으로 감지된 지점을 상기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최초로 화재 발생이 감지된 지점을 '지점 3(103)'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인 '1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인 '지점 2(102), 지점 3(103), 지점 4(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인 '온도 센서 2(122)', '온도 센서 3(123)', '온도 센서 4(124)', '연기 감지 센서 2(132)', '연기 감지 센서 3(133)', '연기 감지 센서 4(134)'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발화 지점 추정부(119)는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인 '지점 2(102), 지점 3(103), 지점 4(104)' 중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최초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인 것으로 감지된 지점인 '지점 3(103)'을 상기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발화 지점 추정부(119)는 둘 이상의 지점에서 동시에 화재가 감지되었을 때, 특정 모니터링 시간 동안 화재로 인해서 센서의 전원이 오프되는 지점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최초로 화재 발생이 감지된 지점을 발화 지점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의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가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 각각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저장부를 유지한다.
단계(S220)에서는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S230)에서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와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연기 발생량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씩 연쇄적으로 획득함으로써, n개의 온도와 n개의 연기 발생량을 생성한다.
단계(S240)에서는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산출한 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측정 벡터를 생성한다.
단계(S250)에서는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와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연산한다.
단계(S260)에서는 상기 연산된 유클리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
단계(S270)에서는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n개의 온도와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 간의 상관 계수를 연산한 후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화재 심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270)에서는 상기 화재 심각도가 산출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와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 심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상기 제1 기준치는 0초과, 1미만의 크기를 갖는 값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높음 단계'로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상기 제2 기준치는 -1초과, 0미만의 크기를 갖는 값임)미만의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낮음 단계'로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상기 제2 기준치 이상, 상기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보통 단계'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시점(상기 제1 시점은 단계(S260)를 통해 최초로 화재가 감지된 시점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둘 이상의 지점들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전원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중 온도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최초로 오프 상태로 확인되는 지점을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발화 지점이 결정되면,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발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모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중 단계(S260)를 통해 최초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인 것으로 감지된 지점을 상기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111: 위치 정보 저장부 112: 임계 온도 확인부
113: 정보 생성부 114: 측정 벡터 생성부
115: 유클리드 거리 연산부 116: 화재 발생 감지부
117: 화재 정보 출력부 118: 화재 심각도 산출부
119: 발화 지점 추정부 120: 발화 지점 정보 출력부
100: 건물
101, 102, 103, 104: 복수의 지점들

Claims (12)

  1. 건물(100) 내의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121, 122, 123, 124) 및 연기 감지 센서(131, 132, 133, 134)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가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110)에 있어서,
    상기 건물(100)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각각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저장부(111);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121, 122, 123, 124)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임계 온도 확인부(112);
    상기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와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연기 발생량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씩 연쇄적으로 획득함으로써, n개의 온도와 n개의 연기 발생량을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113);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산출한 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측정 벡터를 생성하는 측정 벡터 생성부(114);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와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연산하는 유클리드 거리 연산부(115);
    상기 연산된 유클리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화재 발생 감지부(116);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n개의 온도와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 간의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연산한 후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화재 심각도를 산출하는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 및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화재 정보 출력부(117)
    를 포함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심각도 산출부(118)는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 상기 제1 기준치는 0초과, 1미만의 크기를 갖는 값임 -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높음 단계'로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 상기 제2 기준치는 -1초과, 0미만의 크기를 갖는 값임 - 미만의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낮음 단계'로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상기 제2 기준치 이상, 상기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보통 단계'로 산출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화재 발생 감지부(116)에서 최초로 화재가 감지된 시점임 - 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지점들(101, 102, 103, 104) 중 둘 이상의 지점들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전원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중 온도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최초로 오프(OFF) 상태로 확인되는 지점을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하는 발화 지점 추정부(119); 및
    상기 추정 발화 지점이 결정되면,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111)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발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발화 지점 정보 출력부(120)
    를 더 포함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 지점 추정부(119)는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모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중 상기 화재 발생 감지부(116)를 통해 최초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인 것으로 감지된 지점을 상기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6. 건물 내의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의 감지가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 각각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저장부를 유지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복수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어느 하나의 지점인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와 상기 제1 지점에 구비된 제1 연기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연기 발생량을 미리 설정된 제2 시간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씩 연쇄적으로 획득함으로써, n개의 온도와 n개의 연기 발생량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산출한 후 상기 n개의 온도의 평균 값과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의 평균 값을 성분으로 갖는 2차원의 측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의 측정 벡터와 미리 설정된 화재 발생 판단 기준 벡터 간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유클리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n개의 온도와 상기 n개의 연기 발생량 간의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연산한 후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에 기초하여 화재 심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화재 심각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심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치 - 상기 제1 기준치는 0초과, 1미만의 크기를 갖는 값임 -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높음 단계'로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치 - 상기 제2 기준치는 -1초과, 0미만의 크기를 갖는 값임 - 미만의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낮음 단계'로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상관 계수가 상기 제2 기준치 이상, 상기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화재 심각도를 '보통 단계'로 산출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제1 시점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통해 최초로 화재가 감지된 시점임 - 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둘 이상의 지점들에서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미리 설정된 전원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 내에서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중 온도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최초로 오프(OFF) 상태로 확인되는 지점을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 발화 지점이 결정되면,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추정 발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의 전원이 모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지점들 중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통해 최초로 화재가 발생한 지점인 것으로 감지된 지점을 상기 추정 발화 지점으로 결정하는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제6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28827A 2020-03-09 2020-03-09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64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27A KR102164865B1 (ko) 2020-03-09 2020-03-09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27A KR102164865B1 (ko) 2020-03-09 2020-03-09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865B1 true KR102164865B1 (ko) 2020-10-13

Family

ID=7288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827A KR102164865B1 (ko) 2020-03-09 2020-03-09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8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9558A (zh) * 2020-12-18 2021-04-16 国网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火灾处理方法及装置
CN113852875A (zh) * 2021-08-27 2021-12-28 太原市高远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双加密物联网网关控制器
KR102614893B1 (ko) * 2022-11-22 2023-12-15 정희섭 다중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69A (ko) * 2017-08-17 2019-02-27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101978745B1 (ko) * 2018-09-05 2019-05-15 정희섭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랙 내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진화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8798B1 (ko) * 2019-05-03 2019-10-31 장정환 연기 감지 센서를 이용한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69A (ko) * 2017-08-17 2019-02-27 와이테크 주식회사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101978745B1 (ko) * 2018-09-05 2019-05-15 정희섭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랙 내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진화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8798B1 (ko) * 2019-05-03 2019-10-31 장정환 연기 감지 센서를 이용한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9558A (zh) * 2020-12-18 2021-04-16 国网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火灾处理方法及装置
CN113852875A (zh) * 2021-08-27 2021-12-28 太原市高远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双加密物联网网关控制器
CN113852875B (zh) * 2021-08-27 2024-02-27 太原市高远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双加密物联网网关控制器
KR102614893B1 (ko) * 2022-11-22 2023-12-15 정희섭 다중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865B1 (ko) 화재 발생 감지와 발화 지점의 추정이 가능한 화재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322658B2 (en) Automated fire and smoke detection, isolation, and recovery
KR101638613B1 (ko) 차량용 네트워크의 침입 탐지 시스템(ids) 및 그 제어방법
KR101978745B1 (ko) 복수의 적재공간들을 갖는 창고용 랙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랙 내의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진화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1369B1 (ko) 퍼지논리를 이용한 지능형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217219B1 (ko) 실내 공간에 대한 긴급 상황의 통보가 가능한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1689344B1 (en) Fire location detection and estimation of fire spread through image processing based analysis of detector activation
KR102343555B1 (ko) 건물 내에서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TW201241794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s of image capturing device
CN112685247B (zh) 基于Zabbix监控系统的告警抑制方法及监控系统
KR20200082823A (ko) 비화재보 방지 기능을 가지는 IoT 화재 감지 장치
KR102328929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위한 화재 관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67915B1 (ko) 자체 냉각이 가능한 화재 구역 투입용 로봇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U171908U1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управляющего сигнала
CN112750270B (zh) 基于激光传感器的烟雾报警方法、装置及设备
US20170330390A1 (en) Structural damage detection
KR20220103572A (ko) 무인 매장에서의 출입 고객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인 매장 출입 고객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7855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위험 상황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14893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0052527A (ja) 危機対応評価装置、危機対応評価方法、および、危機対応評価プログラム
JP7298694B2 (ja) 異常検出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07456B (zh) 物联网平台非法攻击监测方法
Raboud et al. FIERAsystem Occupant Response (OCRM) and Occupant Evacuation (OEVM) Models Theory Report
KR102176174B1 (ko) 애완견에 대한 공격성 예측이 가능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stari et al. Fire detection system on surveillance videos using faster reg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high buildings evac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