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930B1 - 주조 코어 - Google Patents

주조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930B1
KR102162930B1 KR1020197031561A KR20197031561A KR102162930B1 KR 102162930 B1 KR102162930 B1 KR 102162930B1 KR 1020197031561 A KR1020197031561 A KR 1020197031561A KR 20197031561 A KR20197031561 A KR 20197031561A KR 102162930 B1 KR102162930 B1 KR 10216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re
segments
casting
cast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718A (ko
Inventor
마티아스 바란쯔케
인고 스타우드트
Original Assignee
네마크 에스.에이.비.드 씨.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마크 에스.에이.비.드 씨. 브이. filed Critical 네마크 에스.에이.비.드 씨. 브이.
Publication of KR2019012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3Multipart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12Accessories
    • B22C21/14Accessories for reinforcing or securing moulding materials or cores, e.g. gaggers, chaplets, pins,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8Installation of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 형상이 중공형 바디이며, 주물사와 바인더 그리고 물성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로 형성되는 혼합물로 구성된 몰딩 재료로 성형되는 주조 코어(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1)는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주조 코어(1)가 적어도 2개의 하위-세그먼트들(9-17)로 분할되어 있고, 견고한-잠금 방식으로 서로가 상호 작용하는 성형 요소들(27a-30b)이 서로의 위에서 또는 이들의 에지 측 근방에서 인접하게 서로에 대해 이웃하게 배치되며, 성형 요소들을 통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하위-세그먼트들(9-17)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LR, UR)으로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결과로 달성된다.

Description

주조 코어
본 발명은 중공형 몸체의 기본 형태를 갖는 주조 코어에 관한 것이다. 주조 코어는 주물사와 바인더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주조 코어의 물성을 설정하기 위해 첨가되는 첨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구성된 몰딩 재료로 성형된다.
삭제
여기서 해당 유형의 주조 코어는 금속 용융물로 제작되는 주조 부품의 주조-관련 제조에 사용된다. 주조 부품 각각에서, 주조 코어는 채널 또는 챔버와 같은 캐비티(cavity)를 형성한다. 이들 캐비티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실제 사용 중에 유체는 캐비티를 통해 흐른다.
베이스팅 재료가 응고된 후, 주조 부품으로부터 주조 코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조 코어는 소위 "로스트 코어"로 삽입된다. 제조를 위해, 전술한 방식으로 혼합된 성형 재료 혼합물이 고압으로 코어 슈팅 장치의 주형 캐비티 내로 도입된다(shot). 성형 재료의 유동성, 슈팅 압력 및 코어를 제조하기 위해 제공된 기계의 몰드 캐비티 내로 주형 재료가 도입되는 위치들은, 코어 입자가 특별히 미세한 경우에도 주형이 완전히 충전될 수 있도록 매칭된다. 코어를 슈팅한 후, 코어들이 코어 슈팅 기계로부터 제거되고 금속 용융물이 배출될 때 발생되는 응력을 주형이 견딜 수 있도록, 열을 가하거나 반응 가스와의 가스 처리에 의해 코어가 경화된다.
안쪽에 주조 코어에 의해 이러한 채널 및 캐비티가 형성되는 주조 부품의 전형적인 예는, 작동 중에 냉각되어야 하는 구동 기계용 하우징이다. 이러한 기계 하우징에, 소위 "냉각 덮개(cooling sheaths)", 즉 에너지 대사의 결과로 작동 중에 열이 발생하는 기계 영역을 둘러싸는 채널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계 중요 영역의 최적 관통을 보장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작은 치수로 최대 냉각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주조 코어에 의해 각 경우에 형성된 채널 표면의 품질에 대한 최고의 요건이 설정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유형의 주조 코어를 제조할 때의 특별한 과제는, 주조 코어가 일반적으로 솔리드 바디를 형성하지 않고 주조 코어의 여러 지점에서 단절되어 벽들이 미세하게 분할된(break-down) 구조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안쪽에 다량의 코어 재료들이 수집되어 있으며, 대형의 두꺼운 트랙, 미세하게 분산된 웹, 큰 가교 및 다른 섬세하게 요소를 형성하는 섬을 포함할 수 있다. 주조 코어의 원주 방향으로 폐쇄된 기본 구조가 단면이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이기 때문에, 이렇게 미세하게 분할된 주조 코어의 경우, 상당한 노력을 해야만 코어 슈팅 기계에서 코어들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언더컷 및 장애물(breakthrough)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코어로부터 코어 슈팅 기계의 성형 구성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슬라이더 구조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복잡한 기계와 관련된 높은 비용 외에도, 이러한 복잡성으로 인해 여기서 문제가 되는 유형의 주조 코어를 대량생산 기술적으로, 신속하게 시계열로 제조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US 2011/204205 A1호로부터 터빈 블레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주조 코어가 공지되어 있다. 이 주조 코어는 예를 들어 세라믹 입자들과 적당한 바인더가 혼합된 몰딩 재료로 성형된다. 이 경우, 주조 코어는 가장자리 측에서 견고한-고정 방식으로 서로 상호 작용하는 성형 요소들을 구비하는 2개의 서브-세그먼트로 구성된다. 2개의 서브-세그먼트들은 상기 성형 요소들을 통해 서로 인접하며,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서브-세그먼트들은 공간 상의 두 방향 즉 세그먼트들의 외부와 수직으로 정렬된 방향과 세그먼트들을 가로지르게 정렬된 세그먼트들의 길이 방향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EP 1 857 198 A1호에 의해 공지된 주조 코어는 몰딩 재료로 성형된 서브-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된 서브-세그먼트들 위에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는 돌기와 리세스를 통해 견고한-고정 방식으로 서브-세그먼트들이 체결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배경에 대하여, 기본 형태가 중공형 몸체에 상당하는 주조 코어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목적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적어도 청구항 제1항에 적시되어 있는 특징들을 구비하는 주조 코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일반적인 발명의 사상으로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는 기본 형상이 중공형 바디이며, 주물사와 바인더 그리고 물성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로 형성되는 혼합물로 구성된 몰딩 재료로 성형되는 주조 코어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 코어는 적어도 2개의 하위-세그먼트들로 분할되어 있고, 견고한-잠금 방식으로 서로가 상호 작용하는 성형 요소들이 서로의 위에서 또는 이들의 에지 측 근방에서 인접하게 서로에 대해 이웃하게 배치되며, 성형 요소들을 통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하위-세그먼트들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는 단품(one piece)으로 제작되기보다는 둘 이상의 하위-세그먼트들로 구성된다. 개별 세그먼트들 각각이 더 이상 캐비티를 구획(delimit)하지 않기 때문에, 개별 세그먼트들은 단순하게 설계된 코어 툴을 구비하는 통상적인 코어 슈팅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위-세그먼트들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중공형 바디를 표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복잡한 슬라이더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하위-세그먼트들은 또한 많은 돌파구(breakthrough) 등으로 세밀하게 설계되면, 그들의 구획된 공간에서의 연장부로 인해 상당히 튼튼하다(hard-wearing). 이는 하위-세그먼트들이 복잡하지 않게 장착되고, 주조 코어를 조립하게 운송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주형 전체를 조립하는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 조립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견고한-고정 방식(positive-locking manner)으로 상호 작용하는 성형 요소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주조 몰드의 하위-세그먼트들이 그들의 상대 위치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주조 코어를 조립할 때에 하위-세그먼트들이 용이하게 그들의 올바른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견고한-고정 커플링을 통해, 주조 공정에서 용탕이 부하를 받으며 주조 몰드 내로 주입되어 주조 코어 내로 침투하는 동안에도 하위-세그먼트들은 그들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조 몰드의 경우, 견고한-고정 방식으로 성형 요소들이 서로가 결합되어 있는 영역에서 하위-세그먼트들이 서로에 대해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하위-세그먼트들의 견고한 유지가 지지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또는 이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를 다른 주조 코더들 또는 각 주조 몰드의 몰딩 파트에 체결하는 데에 성형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성형 요소들을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편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성형 요소들을 통해 본 발명의 따른 주조 코어의 이웃하는 하위-세그먼트들이 적어도 한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없게 견고하게 잠김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성형 요소들을 돌출부로 설계하고, 하위-세그먼트들을 서로에 대해 견고한-고정 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하위-세그먼트들을 주조 몰드 내에서 사이드 코어 같은 성형 파트 및 주조 코어 주위의 코어들에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조 몰드를 간단하게 자동화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탈형(demoulding) 후, 하위-세그먼트들의 상호 견고한-고정 방식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 몰딩 파트로 형성된 돌출부들은 최종 주조 파트에서 주형을 나타내는 캐비티, 채널 등에 이어지는 개구들을 표현한다. 이들 개구들은 이어서 사용되는 정지부에 의해 밀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또는 용접 또는 용접 작업에서 첨가제를 사용하는 다른 방식에 의해 견고한-고정 방식으로 주조 파트의 주위 소재에 연결될 수 있다.
밀봉하기 전에, 서로 만나는 2개의 하위-세그먼트들 사이의 이음부 내에 침투되는 금속 용융물로 형성되어 존재할 수 있는 웹을 트림하는 데에 돌출부들로 표현된 개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릴 또는 밀링 같이 적당한 기계가공 툴이 각 개구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 코어는 길이 방향으로 마주하는 두 단부들을 구비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형 실린더의 기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하위-세그먼트들은, 주조 코어가 원통형의 환상 방식으로 설계되는 경우에 하위-세그먼트들 사이에 놓이는 분할 이음부들에 의한 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러나 해당 하위-세그먼트들이 고리 모양이 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하위-세그먼트가 주조 몰드의 다른 하위-세그먼트들과 서로 분리되게 할 수도 있다. 주조 코어가 하위-세그먼트들 사이에 분할 이음부들의 대응 경로를 제공하는 경우, 주조 몰드의 모든 하위-세그먼트들에 있어서 이러한 고리 모양의 디자인이 유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전기-작동식 드라이브 기계의 냉각 덮개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의 전형적인 디자인은, 본 발명에 따라 주조 코어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주위를 사행하는 방식으로 연장하는 스트립으로 주조 코어가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 걸쳐 설계되는 주조 코어에 의해 달성된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의 하위-세그먼트들 사이의 분할 이음부의 경로는, 주조 파트 내에 캐비티, 채널 등을 표현하기 위해 벽 영역 내에 제공되는 구조물의 경로와 구조에 따라 선택된다. 이 경우, 2개의 이웃하는 하위-세그먼트들 사이의 분할 이음부는 적어도 주조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섹션들에서 연장하거나 또는 적어도 주조 코어의 원주 방향으로 섹션들에서 연장할 수 있다. 물론 분할 이음부는 그 경로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즉 분할 이음부는 주조 코어의 길이 방향의 섹션 위에서 그리고 원주 방향의 다른 섹션들 위에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전환이 계속될 수 있다. 특히 주조 코어의 형상이 원통형의 중공형 바디인 경우, 별개의 평면이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하위-세그먼트들 사이에서 주조 코어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연장하는 것이 편의롭다는 점이 판명되었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 리세스가 쐐기, 콘 또는 셸-절반 모양의 오목부(indentation)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이 쐐기 또는 반원형 또는 콘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정밀하게 서로 체결되어야 하는 하위-세그먼트들은, 주조 코어를 조립할 때에 셀프-센터링하는 방식으로 견고한-고정 방식으로 서로가 상호 작용하는 그들의 성형 요소들을 통해 상대 위치를 찾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핵심 개념은 기본 형상이 중공형 바디를 나타내는 복잡한 형상의 주조 코어를 하위-세그먼트들로 나누는 것이다. 상기 하위-세그먼트들의 디자인이 더 이상 공간에서 폐쇄되어 있지 않고, 적당하게 설계된 성형 요소들을 통해 주조 코어 내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서, 모든 경우에서 주조 파트 내에서 주조 코어에 의해 캐비티, 채널 등이 정밀하게 형성되어서, 하위-세그먼트가 더욱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핵심 개념에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 제조를 위한 방법은 적어도 다음 작업 단계들을 제공한다.
a) 주조 코어의 하위-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하위-세그먼트는 서로에 대해 공간상에서 분리되어 있고, 하위-세그먼트는 주물사와 바인더 그리고 필요에 따라 그 물성을 설정하기 위해 부가되는 첨가제로 이루어진 몰딩 재료로부터 물리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성형되는, 하위-세그먼트 제조 단계;
b) 주조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공간상에서 서로 분리되어 제작된 하위-세그먼트를 서로 접합하는 단계.
"공간상에서 서로 분리(spatially separated)" 및 "물리적으로 서로 독립(physically independently)"은 본 맥락에서 하위-세그먼트들 각각에 있어서, 모든 경우에 코어 슈팅 기계에 하나의 적당한 몰드 캐비티가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는 하위-세그먼트들 각각에 대해 몰드 캐비티가 제공되는 코어 슈팅 박스 내에서 하위-세그먼트들의 실제 성형이 함께 그리고 동시에 이루어질 중요한 가능성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 변형 예는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구성될 수 있는 한 세트의 하위-세그먼트들을 각각 비용 효율적이며 시간-절약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위에서 바라 본 주조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주조 코어의 단면도 A이다.
도 3은 코어 슈팅 박스 하부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예시적 실시형태들을 제시하는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조 코어(1)의 기본 형상은 원통형 중공 바디이며, 이에 따라 주조 코어(1)의 하부 단면(SU)으로부터 상부 단면(SO)까지 길이 방향(LR)으로 연장하는 내부(IR)를 획정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그 자체로 이미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성형 모래 및 유기 또는 무기 바인더와 혼합된 몰딩 재료로 성형된 주조 코어(1)는 차량 구동장치로 기능하는 전기 모터용 하우징 내의 냉각수 덮개를 나타낸다. 차량 구동장치는,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주조 몰드에서 주조되며, 예를 들어 코어 패킷으로 구성되고, 예컨대 통상적인 알루미늄 주조 재료와 같은 경금속 용융물로 제작된다.
주조 코어(1)의 원주방향 벽(2)은 주조 코어(1)의 종축선(LX) 주위를 순환하는 고리모양 세그먼트-형상의 환형 섹션(3)과 사행 섹션(meander section)(4)으로 형성된다.
특정 두께를 구비하는 스트립 방식으로 형성된 환형 섹션(3)은, 반경 방향(RR)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최종 하우징 내에서 유입 개구를 나타내는 돌출부(5)로부터 시작하여, 대략적으로 주조 코어(1) 둘레의 3/4 정도만큼 연장한다.
사행 섹션(4)의 시작부는 환형 섹션(3)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사행 섹션(4)의 와인딩(6)은, 모든 경우에서, 와인딩(6)의 종방향 섹션(7)이 종축선(LX)과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사행 섹션(4)은 환형 섹션(3)의 말단부에서 시작하여 주조 코어(1)에 의해 획정되는 내부(IR) 둘레를 환형 섹션(3)의 반대 방향으로 사행 섹션(4)의 시작부에 이웃하는, 종방향 섹션(7')의 말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사행 섹션의 말단부에 도달할 때가지 연장한다. 그 곳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8)는, 최종 하우징에서, 주조 코어(1)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수 덮개의 배출 개구를 형성한다.
주조 코어(1)는 9개의 하위-세그먼트들(9-17)로 분할되어 있다. 제1 하위-세그먼트(9)는 돌출부(5)로부터 시작하여 환형 섹션(3) 길이의 절반에 걸쳐 연장한다. 제2 하위-세그먼트(10)는 환형 섹션(3)의 두 번째 절반을 차지한다. 모든 경우에서, 제3 내지 제9 하위-세그먼트들(11-17)은 대략적으로 사행 섹션(4) 길이의 1/7 정도만큼 연장하되, 제9 하위-세그먼트(17)는 사행 섹션(4)의 다른 하위-세그먼트들(11-16)보다 사행 섹션(4)의 말단부에 이르는 종방향 섹션 주위에서 더 길다.
하위-세그먼트들(9, 10; 10, 11; 11, 12; 12, 13; 13, 14; 14, 15; 15, 16; 16, 17)이 서로에 대해 인접하고 있는 (도 1에서는 분할 이음부들(18-24)이 보임) 분할 이음부들은, 모든 경우에서, 길이 방향(LR)으로 제1 섹션(25)에서 그리고 원주 방향(UR)으로 이웃하는 섹션(26)에서 연장하고, 섹션들(25, 26) 사이에 g여성되는 각도는 90도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섹션(25)의 정렬은 길이 방향(LR)으로 하나의 성분을 가지고, 원주 방향(UR)으로 하나의 성분을 가지며, 섹션(26)의 정렬은 길이 방향(LR)으로 하나의 성분을 가지고, 원주 방향(UR)으로 하나의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이음부(18-24)에서 서로가 만나는 하위-세그먼트들(9-16)의 에지 측을 연결하는 각각의 분할 이음부(18-24) 영역에서, 성형 요소(27a, 27b, 28a, 28b, 29a, 29b, 30a, 30b)가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돌출부 형태로 설계된다. 분할 이음부(18-24)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성형 요소들(27a-30b)의 쌍들(27a, 27b, 28a, 28b, 29a, 29b, 30a, 30b)에서, 모든 경우에서, 하나의 성형 요소(27a, 28a, 29a, 30a)가 돌출부 길이(LV)에 걸쳐 연장하는 하나의 리세스(31)를 구비하되, 그 형상은 단면이 원의 3/4에 상당하는 노치 형상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경우에서 성형 요소(27a, 28a, 29a, 30a)에 할당되는 성형 요소(27b, 28b, 29b, 30b)는 3/4 원형에 맞는 쐐기형 단면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경우에서, 성형 요소(27b, 28b, 29b, 30b)가 할당되는 성형 요소(27a, 28a, 29a, 30a)의 리세스(31)를 채워서, 성형 요소 쌍들(27a, 27b, 28a, 28b, 29a, 29b, 30a, 30b)로 형성되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들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원형이 된다.
모든 경우에서, 하위-세그먼트들(9-17) 위에 제공되어 있는 성형 요소들(27a-30b)과 분할 이음부들(18-24)의 영역 내에서 서로의 위에서 인접하는 성형 요소들의 에지 측을 통해, 하위-세그먼트들(9-17)이 원주 방향(UR)과 길이 방향(LR)으로 견고한-잠금 방식(positive-locking manner)으로 고정되어, 하부 단부면(SU) 위에서 원주 방향(UR)과 길이 방향(LR)으로의 상대 이동이 방지된다.
환상 코어(1)를 제작하기 위해, 도 3에서 하부(40)가 제시되어 있는 코어 슈팅 박스가 제공된다. 다만 명료함을 위해 명세서에서는 코어 슈팅 박스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다. 코어 슈팅 박스는, 2개의 동일한 환형 코어(1)를 위해 하위-세그먼트들(9-17)이 그 안에서 샷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 상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2 세트의 몰드 캐비티(49-57)가 대응 방식으로 코어 슈팅 박스의 하부(40)에 형성된다. 관련된 코어 슈팅 박스의 상부는 도시하지 않았다. 코어 박스를 슈팅한 후, 2 세트의 하위-세그먼트들(9-17)이 주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샷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들은 2개의 환형 코어(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 구성은 주조 코어(1)가 각 주조 몰드 내에 세팅되기 전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하위-세그먼트들(9-17)이 각 주조 몰드 내에 형성되어 그 안에 제공되는 주조 코어(1)를 형성할 수 있다.
1 주조 코어(foundry core)
2 주조 코어(1)의 원주 방향 벽(circumferential wall)
3 환형 섹션(annular section)
4 사행 섹션(meander section)
5 돌출부(projection)
6 와인딩(winding)
7, 7' 길이 방향 섹션(longitudinal section)
8 돌출부(projection)
9-17 하위-세그먼트(sub-segment)
18-24 분할 이음부(separating joint)
25 길이 방향(LR)으로 연장하는 분할 이음부 섹션
26 원주 방향(UR)으로 연장하는 분할 이음부 섹션
27a-30b 성형 요소(forming element)
31 리세스(recess)
40 코어 박스 하부 파트(core box lower part)
49-57 몰드 캐비티(mould cavity)
IR 주조 코어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LR 주조 코어(1)의 길이 방향
LV 돌출부 길이
UR 주조 코어(1)의 원주 방향
RR 반경 방향
SU 주조 코어(1)의 하부 단부
SO 주조 코어(1)의 상부 단부
LX 주조 코어(1)의 종축선

Claims (11)

  1. 주조 코어로,
    상기 주조 코어(1)는 주물사와 바인더 그리고 물성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로 형성되는 혼합물로 구성된 몰딩 재료로 성형되고,
    주조 코어(1)는 적어도 2개의 하위-세그먼트들(9-17)로 분할되어 있고, 견고한-잠금 방식으로 서로가 상호 작용하는 성형 요소들(27a-30b)이 서로의 위에서 또는 이들의 에지 측 근방에서 인접하게 서로에 대해 이웃하게 배치되며, 성형 요소들을 통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는 하위-세그먼트들(9-17)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LR, UR)으로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고,
    2개의 단부들(SO, SU)이 길이 방향(LR)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게 길이 방향(LR)으로 연장하는 중공형 실린더의 기본 형상을 구비하며,
    주조 코어(1)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IR) 주위에 사행하는 형상으로 연장하는 스트립으로 적어도 하나의 섹션(4)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하위-세그먼트들(9-17)이 적어도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하위-세그먼트들의 성형 요소들(27a-30b)의 영역에서 견고한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코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할 이음부들(18-24)이 적어도 주조 코어(1)의 길이 방향(LR) 섹션에서 2개의 이웃하는 하위-세그먼트들(9-17)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코어.
  4. 제2항에 있어서,
    분할 이음부들(18-24)이 주조 코어(1)의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서로가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하위-세그먼트들(9-17)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코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할 이음부들(18-24)이 주조 코어(1)의 원주 방향(UR)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이웃하는 하위-세그먼트들(9-17)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코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형 요소들(27a-30b)로 제1 하위-세그먼트(9-17)의 에지 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2 하위-세그먼트(9-17)의 에지 측에 상기 제1 하위-세그먼트(9-17)의 돌출부를 채우는 리세스(31)가 형성되어, 성형 요소들을 통해 이웃하는 하위-세그먼트(9-17)가 적어도 일 방향(LR, UR)으로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코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형 요소들(27a-30b)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로 형성되고, 그 돌출부를 통해 이웃하는 하위-세그먼트(9-17)가 적어도 일 방향(LR, UR)으로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 코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7031561A 2017-03-29 2018-03-28 주조 코어 KR102162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6775.2A DE102017106775A1 (de) 2017-03-29 2017-03-29 Gießker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7106775.2 2017-03-29
PCT/IB2018/000316 WO2018178762A1 (de) 2017-03-29 2018-03-28 Giessker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718A KR20190128718A (ko) 2019-11-18
KR102162930B1 true KR102162930B1 (ko) 2020-10-08

Family

ID=6210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561A KR102162930B1 (ko) 2017-03-29 2018-03-28 주조 코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43255B2 (ko)
EP (1) EP3600718B1 (ko)
JP (1) JP6677862B1 (ko)
KR (1) KR102162930B1 (ko)
CN (1) CN110461499B (ko)
DE (1) DE102017106775A1 (ko)
MX (1) MX2019011689A (ko)
WO (1) WO2018178762A1 (ko)
ZA (1) ZA201906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5853A1 (de) * 2017-04-06 2018-10-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ernpaket
LU502349B1 (de) 2022-06-24 2024-01-09 Nemak Sab De Cv Gießform zur Herstellung eines aus einer Leichtmetalllegierung gebildeten Gusstei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4205A1 (en) 2010-02-25 2011-08-25 Ahmed Kamel Casting core for turbine engine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018A (en) 1976-10-19 1978-06-06 Deere & Company Casting methods with composite molded core assembly
US5295530A (en) * 1992-02-18 1994-03-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ngle-cast, high-temperature, thin wall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03053478A (ja) * 2001-08-13 2003-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消失模型鋳造法
US7172012B1 (en) * 2004-07-14 2007-02-0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Investment casting
US7438117B2 (en) * 2006-01-19 2008-10-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ylinder block casting bulkhead window formation
US20070221359A1 (en) * 2006-03-21 2007-09-2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materials for attaching casting cores
GB2455560B (en) * 2007-12-14 2009-12-16 Rolls Royce Plc Core for casting
US8215372B2 (en) * 2008-10-17 2012-07-10 Brp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umable-pattern casting
DE102010047952A1 (de) * 2010-10-08 2012-04-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häuses, insbesondere eines Gehäuses eines Turboladers
DE102010054496B4 (de) * 2010-12-14 2020-06-18 Volkswagen Ag Durch Gießen hergestelltes Elektromotorgehäuseteil für einen Elektromotor
JP2015044217A (ja) * 2013-08-28 2015-03-12 本田金属技術株式会社 中子成形装置
DE102014102724A1 (de) * 2013-12-03 2015-06-03 Nemak Linz Gmbh Verfahren zum gießtechnischen Erzeugen von Gussteilen aus einer Metallschmelz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4205A1 (en) 2010-02-25 2011-08-25 Ahmed Kamel Casting core for turbine engine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06775A1 (de) 2018-10-04
CN110461499B (zh) 2021-01-29
ZA201906398B (en) 2023-05-31
CN110461499A (zh) 2019-11-15
JP2020512937A (ja) 2020-04-30
JP6677862B1 (ja) 2020-04-08
EP3600718B1 (de) 2020-09-16
US10843255B2 (en) 2020-11-24
WO2018178762A1 (de) 2018-10-04
US20200316677A1 (en) 2020-10-08
KR20190128718A (ko) 2019-11-18
MX2019011689A (es) 2019-11-28
EP3600718A1 (de)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001B2 (en) Synthetic model casting
KR102162930B1 (ko) 주조 코어
JP2011092996A (ja) 機械工作用工具及び機械工作方法
CN103567384A (zh) 制造转子的方法
US201301680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railcar coupler locks
CN112041102A (zh) 用于制造填充熔体的铸模的方法以及铸模
CN103240398B (zh) 用于生产中空铝压铸产品的方法
JP6018795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
CN109332585B (zh) 一种链轮砂型以及利用链轮砂型浇注链轮的方法
US10766066B2 (en) Device for shooting a foundry core
GB2090181A (en) Manufacturing a Blade or Vane for a Gas Turbine Engine
KR101988388B1 (ko) 풀몰드 주조방식을 이용한 주강제품 제조방법
US10363600B2 (en) Mold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housings
CN106182822A (zh) 具有半封闭或封闭内腔的非金属复合材料产品模具及工艺
EP3059030B1 (en) Bondcasting process using investment and sand casting
JP2015077632A (ja) 成型品の製造方法、金型、およびブレード構造体
RU269934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ерамического стержня
JP6354543B2 (ja) ダイカスト鋳造装置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JP2019188426A (ja) 中子一体型鋳型製造方法、鋳物の製造方法、及び中子一体型鋳型
CN114126781B (zh) 用于生产消失的铸造型芯的方法
CN113695520B (zh) 一种出口泵体生产工艺
CN107427905A (zh) 用于形成能够在燃气涡轮发动机中使用的部件的压铸系统
JP2016220544A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2006055868A (ja) 鋳造方法および鋳造用金型
JP2021146387A (ja) 鋳造装置及び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