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695B1 -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695B1
KR102162695B1 KR1020190108208A KR20190108208A KR102162695B1 KR 102162695 B1 KR102162695 B1 KR 102162695B1 KR 1020190108208 A KR1020190108208 A KR 1020190108208A KR 20190108208 A KR20190108208 A KR 20190108208A KR 102162695 B1 KR102162695 B1 KR 10216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alcium carbonate
cemen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951A (ko
Inventor
강현진
박만석
김병환
Original Assignee
세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6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3After-treatment of removed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18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2/00C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7/00 - C04B11/00
    • C04B12/005Geopolymer cements, e.g. reaction products of aluminosilicates with alkali metal hydroxides or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olog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고로슬래그 20 내지 30중량부, CO2 포집 탄산칼슘 5 내지 15중량부, 알칼리 활성화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Concre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시멘트 일부를 이산화탄소(CO2) 포집 탄산칼슘 및 슬래그로 대체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강도저하 없이 강도저하 없이 PC 침목의 성능을 확보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산화탄소(CO2) 포집물의 영구적인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저감이 글로벌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문제는 산업 전반에 걸쳐 해결해야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높은 발전소 및 시멘트·콘크리트 산업에서 온실가스 문제는 필수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이에 시멘트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산업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산업부산물을 시멘트 대체재로써 활용한 다양한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유용하게 활용되는 추세이며,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은 온실감축 이외에도 환경보존,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어 지속가능한 건설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사회전반에 걸친 급속한 발전은 교량, 도로, 철도 및 항만 등의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수요를 다량으로 창출하였으며, 콘크리트는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구조재료로서 안전성 및 내구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대형화, 고층화 및 장대화 됨에 따라 콘크리트 단면은 복잡해지고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을 밀실하게 채우지 못하거나 과도한 다짐으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 등의 문제점이 나타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성능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킨 고유동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고유동 콘크리트는 높은 유동성과 충전성 및 균질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굵은골재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결합재량이 사용되며 이로 인한 콘크리트 수화열 상승, 크리프 및 수축, 콘크리트 제조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점 뿐만 아니라 높은 강도 발현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통강도수준의 콘크리트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최근 발전소에서는 배출되는 온실가스 중 CO2를 직접반응을 시켜 포집하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CO2 포집물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발생된 포집물은 대부분 매립되거나 방치됨에 따라 발생된 포집물을 활용 또는 저장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55039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CO2 포집물을 포함하도록 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강도저하가 없어 충분히 PC 침목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함)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고로슬래그 20 내지 30중량부, CO2 포집 탄산칼슘 5 내지 15중량부, 알칼리 활성화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CO2 포집 탄산칼슘은 분말도는 10,000∼15,000cm2/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알칼리 활성화제는 포타슘실리케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소듐실리케이트 80 내지 120중량부, 증류수 80 내지 120중량부, 리튬실리케이트 5 내지 15중량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록시에틸섬유소 0.2 내지 3중량부, 이산화바나듐 0.2 내지 3중량부가 더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멘트 일부를 이산화탄소(CO2) 포집 탄산칼슘 및 슬래그로 대체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강도저하 없이 PC 침목의 성능을 확보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산화탄소(CO2) 포집물의 영구적인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고로슬래그 20 내지 30중량부, CO2 포집 탄산칼슘 5 내지 15중량부, 알칼리 활성화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시멘트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강도저하 없이 PC 침목의 성능을 확보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산화탄소(CO2) 포집물의 영구적인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고로슬래그는 그 분말도 2,500~9,000cm2/g인 것이 바람직 한 바, 이는 고로슬래그의 분말도가 2,500cm2/g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성이 작아 강도발현에 불리하고, 분말도가 9,000cm2/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성이 커서 초기강도 발현에 유리할 수 있지만, 수화열의 발생을 제어할 수 없고, 시공성이 다소 저하되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말도가 높은 고로슬래그를 사용함에 따라 접촉하는 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수화반응이 빨라지고, 조기강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으나, 수화열이 증가됨에 따라 유동성이 저하되는 단점 또한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로슬래그는 물과 접한 직후 슬래그파우더에서 Ca2 - 가 용출되고, 표면에 투과성이 나쁜 부정형의 ASH6의 피막이 형성되어 슬래그 입자 속으로 물의 침투 및 슬래그 입자로부터의 이온의 용출이 억제되기 때문에 자체만으로는 수화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알칼리 활성화제가 첨가되도록 하여 상기 고로슬래그의 반응성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발전 배출가스인 CO2를 CaO와 직접 반응을 통하여 포집된 CO2 포집물 즉 CO2 포집 탄산칼슘이 첨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CO2 포집 탄산칼슘의 분말도가 10,000∼15,000cm2/g 인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고분말도의 CO2 포집 탄산칼슘이 배합되도록 하여 PC 침목용 콘크리트로서 강도가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CO2 포집 탄산칼슘은 사용량에 따라 콘크리트의 유동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응결시간이나 초기 강도 및 장기 강도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저하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배합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CO2 포집 탄산칼슘이 첨가되도록 하여 일반적인 PC침목용 콘크리트 제조시 결합재 사용량에 비해 15 ∼20% 감소시킴에도 불구 강도가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CO2 포집 탄산칼슘은 상기에서 언급한 배합범위에서 고로슬래그 함량에 따라 최대 및 최소 첨가량이 결정되도록 한다. 즉 하한은 고로슬래그의 첨가량이 최대 첨가량일 경우 상대적으로 강도발현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한은 고로슬래그가 최소 첨가량일 경우 점성 확보를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로슬래그 등의 첨가에 의한 온도균열, 건조수축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성외에도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수산화알루미늄 및 디노닐 나프틸 술폰산 암모늄염 혼합물 1 내지 3중량부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수산화알루미늄 및 디노닐 나프틸 술폰산 암모늄염은 중량비로 60:40 내지 80:20으로 혼합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시멘트 수화반응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삼산화알루미늄과 물로 분해가 되는 것이다. 즉 수화열을 저감시켜 온도균열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수산화알루미늄의 첨가에 의해 온도균열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수산화알루미늄은 열을 흡수함과 동시에 삼산화알루미늄과 물로 분해되어 이렇게 생성된 물이 페이스트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산화알루미늄에 더하여 디노닐 나프틸 술폰산 암모늄이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고로슬래그는 물과 접한 직후 슬래그에서 Ca2 - 가 용출되고, 표면에 투과성이 나쁜 부정형의 ASH6의 피막이 형성되어 수화반응의 진행을 방해하게 되는데 상기 디노닐 나프틸 술폰산 암모늄은 용출된 이온(Ca2 -)이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디노닐 나프틸 술폰산 암모늄염에 의한 수분흡수를 통해 용출된 물 자체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수산화알루미늄 및 디노닐 나프틸 술폰산 암모늄염 혼합물의 첨가로 강도 및 내구성 저하없이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알칼리 활성화제는 포타슘실리케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소듐실리케이트 80 내지 120중량부, 증류수 80 내지 120중량부, 리튬실리케이트 5 내지 15중량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튬실리케이트는 시멘트 수화반응시 생성되는 수산화칼슘과 반응을 통하여 규산칼슘수화물을 생성시키며, 생성된 규산칼슘수화물은 미세기공에 충진되어 결국 밀실한 페이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압축강도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CO2 포집 탄산칼슘이 첨가되도록 함에 따라 고유동성이 확보되나 강도면에서 저분체로 인한 불리한 효과가 발현될 수 있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리튬실리케이트가 첨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포타슘실리케이트, 소듐실리케이트, 리튬실리케이트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배합됨이 타당하다. 즉 상기 조성들이 타 조성과 안정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록시에틸섬유소 0.2 내지 3중량부, 이산화바나듐 0.2 내지 3중량부가 더 배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섬유소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수성 성분의 폴리머 에멀젼을 통해 피막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물에 상기 하이드록시에틸섬유소가 분산된 상태에서 도포 등이 되어 수분증발에 따라 폴리머 필름을 형성시킴으로써 시멘트 입자 표면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시킨다. 즉 이러한 하이드록시에틸섬유소에 의해 수분증발을 방지함으로써 모세관현상에 의한 균열 등을 제어하여 강도보상의 기능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수분증발에 의한 유동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산화바나듐(VO2)은 특정 온도 이상에서 전기저항이 감소하여 투광성이 감소하는 광학적 물성 변화를 이용하여, 열변성 물질로서 사용한다. 상기 이산화바나듐은 상온에 비교적 근접한 온도인 70(상전이 온도)에서 반도체에서 도체로 전기적인 특성이 변화하는데, 반도체 영역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라 부(negative)의 전기저항 특성을 나타내고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온도 증가에 따라 지수적으로 전기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산화바나듐이 더 첨가됨에 의해 전기저항을 감소시켜 적외선차단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타설후 양생과정에서 적외선에 노출되는 경우 성질변환 등에 의해 압축강도에 나쁜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바나듐(VO2)의 첨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하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험에서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배합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콘크리트 배합시험은 실내 배합시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에 적용된 콘크리트의 배합비율은 하기 표 1에 도시되고 있다.
Figure 112019090168929-pat00001
각각의 시료에 대한 압축강도 실험결과가 도 1에 도시되고 있다. 상기 첨가제는 하이드록시에틸섬유소와 이산화바나듐이 각각 중량비로 1:1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비교예와 대비 압축강도면에서 충분히 PS침목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시멘트 혼입량을 거의 반으로 줄여도 강도저하가 거의 없을 정도의 성능이 발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2가 실시 예 1에 비해 압축강도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는 바, 이는 하이드록시에틸섬유소의 첨가에 의해 수분증발을 방지함으로써 모세관현상에 의한 균열 등을 제어하여 강도보상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장기강도를 측정하는 경우 이산화바나듐에 의한 적외선차단효율에 의해 더욱 우수한 강도가 발현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고로슬래그 20 내지 30중량부, CO2 포집 탄산칼슘 5 내지 15중량부, 알칼리 활성화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CO2 포집 탄산칼슘은 분말도는 10,000∼15,000c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알칼리 활성화제는 포타슘실리케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소듐실리케이트 80 내지 120중량부, 증류수 80 내지 120중량부, 리튬실리케이트 5 내지 15중량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되어 상기 고로슬래그의 반응성을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하이드록시에틸섬유소 0.2 내지 3중량부, 이산화바나듐 0.2 내지 3중량부가 더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190108208A 2019-09-02 2019-09-02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62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08A KR102162695B1 (ko) 2019-09-02 2019-09-02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208A KR102162695B1 (ko) 2019-09-02 2019-09-02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66 Division 2018-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951A KR20190106951A (ko) 2019-09-18
KR102162695B1 true KR102162695B1 (ko) 2020-10-07

Family

ID=6807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208A KR102162695B1 (ko) 2019-09-02 2019-09-02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60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에이씨이 이산화탄소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처리 시스템
KR20230003917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웰스톤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침강성 탄산칼슘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977B1 (ko) * 2021-10-01 2022-05-10 (주)자연과환경 이산화탄소 포집물을 이용한 친환경 블록 조성물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549A (ja) * 1992-12-28 1994-07-19 Sumitomo Cement Co Ltd 高強度コンクリート用セメント組成物
KR100755039B1 (ko) 2006-12-26 2007-09-06 대실종합건설 주식회사 초속경형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71380B1 (ko) * 2012-08-09 2014-03-07 주식회사 아워엠알오 탄소와 lcc의 저감을 위한 단섬유 시멘트 복합재료
KR101423131B1 (ko) * 2013-01-09 2014-07-2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 유동층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비산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혼화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97550B1 (ko) * 2016-05-12 2018-10-31 (주)넥트 이산화탄소(co2) 포집 탄산칼슘을 활용한 고인성·고내구성 보수·보강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160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에이씨이 이산화탄소 고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처리 시스템
KR20230003917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웰스톤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침강성 탄산칼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951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695B1 (ko)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온실가스 저장 pc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66003B1 (ko) 무시멘트 결합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블록
CN105218011A (zh) 一种锚固砂浆及其使用方法
KR101877317B1 (ko)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저분체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KR101227379B1 (ko) 내화 및 단열 성능이 우수한 친환경 내화재 조성물
KR101468899B1 (ko)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KR101365974B1 (ko) 고점도 콘크리트용 혼화제
KR10177450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균열제어형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내구성 보수방법
CN104909620A (zh) 一种含有半干法脱硫灰的保温砂浆及制备方法
CN112341040A (zh) 一种混凝土抗裂防水剂及其制备方法
KR101364149B1 (ko) 도로 및 공항포장 부분단면 보수용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 조성물
JPH09241050A (ja) 骨材複合材料
CN108774016A (zh) 用于混凝土的双源膨胀剂及其制备方法
KR101468898B1 (ko) 초속경 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WO2018216829A1 (ko) 이산화탄소 포집 탄산칼슘이 포함된 저분체 고유동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56563B1 (ko) 화재로 인한 콘크리트 건물의 열화 정도를 신속 판별하기 위한 감온변색 가능한 무기 결합재 및 이의 양생 방법
CN108751765A (zh) 一种磷酸盐水泥缓凝剂及其使用方法
KR870001543B1 (ko) 분말 방수제
KR101631476B1 (ko) 그라우팅 약액 조성물 제조방법
KR101814122B1 (ko)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KR101888359B1 (ko) 칼슘 플로라이트 제련부산물을 이용한 증기 양생용 고강도 혼합재 조성물
KR20220136591A (ko) 고강도 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구비하는 증기양생 콘크리트 조성물
Salam Effect of steel fiber and silica fume on hardened concret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KR20210009946A (ko) 칼슘카바이드 슬러지를 활용한 자기수축 및 탄산화 저감 무시멘트 모르타르
KR102100959B1 (ko) 이온 공급 혼화제와 개질 라텍스를 활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