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525B1 - 냄비 뚜껑 - Google Patents

냄비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525B1
KR102162525B1 KR1020190097424A KR20190097424A KR102162525B1 KR 102162525 B1 KR102162525 B1 KR 102162525B1 KR 1020190097424 A KR1020190097424 A KR 1020190097424A KR 20190097424 A KR20190097424 A KR 20190097424A KR 102162525 B1 KR102162525 B1 KR 10216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opening
guide opening
stopp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보라코리아
김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보라코리아, 김준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보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9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은, 냄비의 상면에 위치되어 냄비를 폐쇄할 수 있는 뚜껑 몸체; 뚜껑 몸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회전되어 뚜껑 몸체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회전 몸체; 및 회전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회전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냄비 뚜껑{pod lid}
본 발명은 냄비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냄비의 내부 압력과 스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냄비 뚜껑에 관한 것이다.
냄비는 음식물을 끓이거나 삶는 데에 사용되는 조리 도구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끓이거나 삶기 위하여, 음식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냄비는 가열된다. 가열되는 냄비에서 음식물은 끓어 스팀의 양 및 내부 압력은 점점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음식물은 끓어 냄비에서 흘러 넘칠 수도 있고, 냄비에서 흘러 넘친 음식물은 냄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냄비 안에서 음식물이 끓어오를 때, 사용자는 냄비 뚜껑을 냄비로부터 분리하여 음식물이 냄비에서 넘칠 지를 확인하고 냄비에서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게 된다. 또한, 음식물이 끓어 오르는 상태에서 냄비 뚜껑이 냄비로부터 분리되면, 냄비는 열손실로 인한 에너지를 낭비하고, 음식물의 조리 시간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냄비로부터 냄비 뚜껑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냄비에서 스팀의 양 및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냄비 뚜껑에 대한 필요가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냄비 뚜껑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열되는 냄비에 위치된 상태에서 냄비의 내부 압력 및 스팀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냄비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냄비 뚜껑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열되는 냄비의 열효율을 향상시켜 음식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냄비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냄비 뚜껑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은, 냄비의 상면에 위치되어 냄비를 폐쇄할 수 있는 뚜껑 몸체; 뚜껑 몸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회전되어 뚜껑 몸체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회전 몸체; 및 회전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회전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뚜껑 몸체의 상면에는 장착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장착 공간의 내측면에는 회전 샤프트가 위치되고 회전 샤프트 주위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며, 회전 몸체는 장착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고, 가이드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장착 공간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샤프트는 장착 공간의 내측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회전 몸체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몸체는, 회전 몸체의 하면에 위치되고 장착 공간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며, 가이드 개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폐 몸체; 및 개폐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개폐 몸체의 일종단 근처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되, 회전 몸체는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어 장착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돌기는 가이드 개구에 삽입되며, 회전 몸체는 회전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시키고, 개폐 몸체에 의해 가이드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의 일종단면에 접촉될 때 가이드 개구는 개폐 몸체에 의해 폐쇄되고, 가이드 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돌기는 가이드 개구를 일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되고, 개폐 몸체는 가이드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가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돌기는 일종단면을 향하여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되고, 개폐 몸체는 가이드 개구를 폐쇄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몸체는, 회전 몸체의 중앙으로부터 회전 몸체의 가장자리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몸체의 하면에서는 오목하고 회전 몸체의 상면에서는 볼록하며, 가이드 돌기 근처에 위치되는 유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가이드 개구가 개폐 몸체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 몸체는 가이드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의 개방된 부분은 유동 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뚜껑 몸체는, 가이드 개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 개구를 사이에 두면서 상호 간에 마주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에 삽입되어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상호 간에 마주하는 가이드 스토퍼들의 간격은 가이드 돌기의 폭보다 작고,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는 가이드 스토퍼들 사이에 위치될 때,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스토퍼들은 상호 간에 멀어지면서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 점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는 스토퍼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스토퍼 공간은 가이드 개구에 연결되고 가이드 스토퍼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스토퍼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토퍼 공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스토퍼 몸체; 및 스토퍼 공간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스토퍼 몸체에 연결되어, 스토퍼 몸체의 일부를 가이드 개구에 돌출시키는 스토퍼 탄성부를 포함하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는 스토퍼 몸체들 사이에 위치될 때, 스토퍼 몸체들은 가이드 돌기에 의해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점점 스토퍼 공간에 삽입되고 스토퍼 탄성부를 압축시키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스토퍼 탄성부는 신장되어 스토퍼 몸체의 일부를 점점 가이드 개구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 공간의 입구는 스토퍼 몸체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냄비 뚜껑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가열되는 냄비에 위치된 상태에서 냄비의 내부 압력 및 스팀의 양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2) 가열되는 냄비의 열효율이 향상되어 음식물의 조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냄비 뚜껑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100)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100)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 뚜껑(100)은 뚜껑 몸체(101), 회전 몸체(102) 및 손잡이(103)를 포함하고, 냄비(미도시됨)를 폐쇄하도록 위치되어, 가열되는 냄비의 내부 압력 및 스팀의 양을 조절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뚜껑 몸체(101)는 냄비의 상면에 위치되어 냄비를 폐쇄한다. 여기서, 뚜껑 몸체(101)는 냄비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냄비가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기에, 본 실시예의 뚜껑 몸체(101)는 일반적인 냄비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냄비의 상면에 대응하는 다양한 판 형상, 예를 들어, 삼각형 판 형상, 사각형 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뚜껑 몸체(101)의 상면에는 장착 공간(101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장착 공간(101a)은 후술될 회전 몸체(102)의 회전을 고려하여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장착 공간(101a)의 내측면에는 회전 샤프트(111)가 위치되고 가이드 개구(101b)가 형성된다.
회전 샤프트(111)는 장착 공간(101a)의 내측면의 중앙에 위치된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111)는 장착 공간(101a)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회전될 수도 있다.
가이드 개구(101b)는 장착 공간(101a)의 내측면에서 회전 샤프트(111) 주위에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개구(101b)는 일정한 곡률을 갖고, 회전 샤프트(111)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한편, 뚜껑 몸체(101)의 하면에는 삽입 테두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테두리(113)는 뚜껑 몸체(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뚜껑 몸체(10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뚜껑 몸체(101)가 냄비의 상면에 위치될 때, 삽입 테두리(113)는 냄비의 상면에 삽입되고, 뚜껑 몸체(101)의 하면은 냄비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 몸체(102)는 뚜껑 몸체(101)의 상면에 위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몸체(102)는 장착 공간(101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회전 샤프트(111)에 연결되어 장착 공간(1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회전 몸체(102)는 장착 공간(10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샤프트(111)에 의해 장착 공간(101a)의 내측면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회전 샤프트(111)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몸체(102)는 회전되어, 뚜껑 몸체(101)의 일부분, 특히 가이드 개구(101b)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몸체(102)는 개폐 몸체(121) 및 가이드 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몸체(121)는 회전 몸체(102)의 하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개폐 몸체(121)는 가이드 개구(10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몸체(102)가 장착 공간(1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개폐 몸체(121)는 가이드 개구(101b)에 대응하도록 장착 공간((101a)의 내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01b)는 개폐 몸체(12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01b)가 개폐 몸체(121)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102)가 회전 샤프트(111)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 몸체(121)는 이동하여 가이드 개구(101b)를 개방시킬 수 있다. 가이드 개구(101b)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102)가 회전 샤프트(111)를 축으로 하여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 몸체(121)는 이동하여 가이드 개구(101b)를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몸체(102)의 일방향 회전은 시계 방향 회전일 수도 있고, 반시계 방향 회전일 수도 있다.
가이드 돌기(123)는 개폐 몸체(12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123)는 개폐 몸체(121)의 일종단 근처에 위치된다. 회전 몸체(102)가 장착 공간(1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개폐 몸체(123)가 가이드 개구(101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개구(101b)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개구(101b)가 개폐 부재(121)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때,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개구(101b)에 삽입되고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에 접촉된다(도 3(a) 참조). 여기서, 회전 몸체(10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101b)는 개폐 몸체(121)에 의해 개방된다(도 3(b) 참조). 한편,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의 타종단면에 접촉되면, 가이드 개구(101b)는 완전히 개방되고, 회전 몸체(102)는 더 이상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다.
한편, 가이드 개구(101b)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102)가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개구(101b)의 타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을 향하여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101b)는 개폐 몸체(121)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에 접촉되면, 가이드 개구(101b)는 완전히 폐쇄되고, 회전 몸체(102)는 더 이상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다.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개구(101b)에 삽입되어 회전 몸체(102)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101b)와 조합하여 회전 몸체(102)의 회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개구(101b)에서 가이드 돌기(123)의 위치는 개폐 몸체(121)에 의한 가이드 개구(101b)의 개방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이드 개구(101b)의 개방 정도는 증가되는 반면에,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에 근접할수록 가이드 개구(101b)의 개방 정도는 감소된다.
회전 몸체(102)의 일부에는 유동 가이드부(10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동 가이드부(102a)는 원형 판 형상의 회전 몸체(102)의 중앙으로부터 회전 몸체(102)의 가장자리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몸체(102)의 하면에서는 오목하고 회전 몸체(102)의 상면에서는 볼록하다. 또한, 유동 가이드부(102a)는 가이드 돌기(123) 근처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유동 가이드부(102a)는 회전 몸체(102)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이드 개구(101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개구(101b)가 개폐 부재(121)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도록,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개구(101b)에 삽입되고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에 접촉될 때, 유동 가이드부(102a)는 가이드 개구(101b)에 대응되지 않도록 위치된다(도 3(a) 참조). 여기서, 회전 몸체(10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으로부터 멀어져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101b)는 개폐 몸체(121)에 의해 개방되며, 유동 가이드부(102a)는 점점 가이드 개구(101b)에 대응되도록 위치된다(도 3(b) 참조). 한편,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의 타종단면에 접촉되면, 가이드 개구(101b)는 완전히 개방되고, 가이드 개구(101b)의 전체가 유동 가이드부(102a)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동 가이드부(102a)는 개방된 가이드 개구(101b)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102a)는 뚜껑 몸체(101)의 장착 공간(101a)의 가장자리와 회전 몸체(102)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가장 넓은 간격을 형성한다. 냄비로부터 발생된 스팀은 가이드 개구(101b)를 통과하여 회전 몸체(102)의 하면에서 오목한 유동 가이드부(102a)에 유입되어 가장 넓은 간격을 갖는 뚜껑 몸체(101)의 장착 공간(101a)의 가장자리와 회전 몸체(102)의 가장자리 사이를 통과할 수 있어, 용이하게 냄비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손잡이(103)는 회전 몸체(102)의 상면에 위치된다. 손잡이(103)는 회전 몸체(1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손잡이(103)는 회전 몸체(102)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회전 몸체(102)의 상면에 위치된다. 사용자는 손을 손잡이(103)와 회전 몸체(102)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 삽입한 상태로 손잡이(103)를 이용하여 회전 몸체(1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잡이(103)를 이용하여 냄비 뚜껑(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냄비 뚜껑(100)의 뚜껑 몸체(101)는 냄비를 폐쇄하도록 냄비의 상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뚜껑 몸체(101)의 가이드 개구(101b)는 회전 몸체(102)의 개폐 몸체(12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몸체(102)의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개구(101b)에 삽입되어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냄비 뚜껑(100)은 냄비를 폐쇄하여, 가열되는 냄비에 담긴 음식물을 원활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냄비가 가열됨에 따라, 냄비에서 스팀의 양은 증가되고 내부 압력도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몸체(102)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개구(101b)를 개방시키도록 개폐 몸체(121)를 이동시킨다. 가이드 돌기(123)는 개폐 몸체(121)에 의해 가이드 개구(101b)의 일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101b)는 점점 개방된다. 가이드 개구(101b)의 개방 정도는 회전 몸체(102)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개구(101b)에서 가이드 돌기(123)의 위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0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스팀의 양은 조절되어 냄비의 내부 압력도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냄비 뚜껑(100)은 냄비에서 스팀의 양 및 내부 압력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냄비 뚜껑(100)은 냄비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냄비에서 스팀의 양 및 내부 압력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에, 가열되는 냄비의 개방으로 인한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냄비 뚜껑(100)은 가열되는 냄비의 열효율을 향상시켜 냄비에서 가열되어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몸체(102)에는 유동 가이드부(102a)가 형성되되, 유동 가이드부(102a)는 회전 몸체(102)의 중앙으로부터 회전 몸체(102)의 가장자리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몸체(102)의 하면에서는 오목하고 회전 몸체(102)의 상면에서는 볼록하다. 회전 몸체(10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이드 개구(101b)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가이드 개구(101b)는 유동 가이드부(102a)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스팀은 개방된 가이드 개구(101b)를 통과할 수 있고, 사용자는 회전 몸체(102)에서 볼록한 유동 가이드부(102a)를 통해 냄비 뚜껑(100)에서 스팀이 배출되는 부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회전 몸체(102)를 회전시키면서 배출되는 스팀으로 인해 화상을 입지 않도록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은 유동 가이드부(102a)에 의해 가장 넓은 간격을 갖는 회전 몸체(102)와 뚜껑 몸체(101) 사이를 통해 배출될 수 있어, 냄비의 외부로 손쉽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냄비 뚜껑(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냄비 뚜껑(100)의 뚜껑 몸체(101)에는 가이드 스토퍼(1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 스토퍼(11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 스토퍼(115)는 가이드 개구(101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개구(101b)의 내측면에 점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스토퍼(115)는 한 쌍씩 가이드 개구(101b)를 사이에 두면서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에 삽입되어 가이드 개구(101b)의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돌기(123)가 상호 간에 마주하는 한 쌍의 가이드 스토퍼(115)에 대응되지 않도록 위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가이드 스토퍼(115)는 가이드 개구(101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고, 가이드 스토퍼(115)들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돌기(123)의 폭보다 작다(도 4(a) 참조).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스토퍼(115)에 접촉되어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가이드 스토퍼(115)는 가이드 돌기(12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회전 몸체(102)가 회전되어,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하여 상호 간에 마주하는 한 쌍의 가이드 스토퍼(115)들 사이에 위치될 때, 가이드 스토퍼(115)들은 가이드 돌기(123)에 접촉되어 상호 간에 멀어지면서 가이드 개구(101b)의 내측면에 점점 삽입될 수 있다(도 4(b) 참조). 여기서, 가이드 돌기(123)가 위치되는 가이드 스토퍼(115)들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돌기(123)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 돌기(123)는 가이드 스토퍼(115)들의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회전 몸체(102)의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스토퍼(115)는 스토퍼 몸체(115a) 및 스토퍼 탄성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스토퍼(115)를 위하여 뚜껑 몸체(101)에는 스토퍼 공간(101c)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공간(101c)은 가이드 스토퍼(115)에 대응하도록 가이드 개구(101b)의 내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스토퍼 공간(101c)은 가이드 개구(101b)에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 몸체(115a)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토퍼 공간(101c)에 위치된다. 여기서, 스토퍼 몸체(115a)는 스토퍼 공간(101c)에서 이동가능하고, 스토퍼 몸체(115a)의 일부는 스토퍼 공간(101c)의 입구를 통과하여 가이드 개구(101b)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몸체(115a)의 직경은 스토퍼 공간(101c)의 입구보다 크다. 이로 인해, 스토퍼 몸체(115a)는 스토퍼 공간(101c)의 입구 가장자리에 접촉될 수 있어, 스토퍼 공간(101c)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스토퍼 탄성부(115b)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스토퍼 공간(101c)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스토퍼 몸체(115a)에 연결된다. 여기서, 스토퍼 탄성부(115b)는 스토퍼 몸체(115a)의 일부를 가이드 개구(101b)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 몸체(102)가 회전되어,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하여 상호 간에 마주하는 한 쌍의 스토퍼 몸체(115a)들 사이에 위치될 때, 가이드 돌기(123)에 대응되도록 위치된 스토퍼 몸체(115a)들은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스토퍼 공간(101c)에 점점 삽입되고 스토퍼 탄성부(115b)를 압축시킨다. 여기서, 가이드 돌기(123)는 스토퍼 몸체(115a)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회전 몸체(102)의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가이드 개구(10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23)가 가이드 개구(101b)의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된 스토퍼 탄성부(115b)는 신장되어 가이드 돌기(123)에 대응되도록 위치되었던 스토퍼 몸체(115a)들을 가이드 개구(101c)로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스토퍼 몸체(115a)의 일부는 점점 가이드 개구(101b)에 위치되고, 스토퍼 몸체(115a)들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돌기(123)의 폭보다 작아도록 복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스토퍼(115)는 스팀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가이드 개구(101b)에서 가이드 돌기(123)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냄비 뚜껑(100)은 개폐 몸체(121)에 의한 가이드 개구(101b)의 개방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냄비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냄비 뚜껑
101: 뚜껑 몸체
101a: 장착 공간
101b: 가이드 개구
111: 회전 샤프트
102: 회전 몸체
121: 개폐 몸체
123: 가이드 돌기
103: 손잡이

Claims (10)

  1. 냄비의 상면에 위치되어 냄비를 폐쇄할 수 있는 뚜껑 몸체;
    뚜껑 몸체의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위치되고, 회전되어 뚜껑 몸체의 일부분을 개폐하는 회전 몸체; 및
    회전 몸체의 상면에 위치되어 회전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뚜껑 몸체의 상면에는 장착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장착 공간의 내측면에는 회전 샤프트가 위치되고 회전 샤프트 주위에 일정한 곡률을 갖는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며,
    회전 몸체는 장착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고, 가이드 개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회전 몸체는,
    회전 몸체의 하면에 위치되고 장착 공간의 내측면 상에 위치되며, 가이드 개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폐 몸체; 및
    개폐 몸체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개폐 몸체의 일종단 근처에 위치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회전 몸체는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어 장착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돌기는 가이드 개구에 삽입되며,
    회전 몸체는 회전 샤프트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시키고, 개폐 몸체에 의해 가이드 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장착 공간은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 샤프트는 장착 공간의 내측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회전 몸체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의 일종단면에 접촉될 때 가이드 개구는 개폐 몸체에 의해 폐쇄되고,
    가이드 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돌기는 가이드 개구를 일종단면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되고, 개폐 몸체는 가이드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가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가이드 돌기는 일종단면을 향하여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되고, 개폐 몸체는 가이드 개구를 폐쇄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 몸체는,
    회전 몸체의 중앙으로부터 회전 몸체의 가장자리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몸체의 하면에서는 오목하고 회전 몸체의 상면에서는 볼록하며, 가이드 돌기 근처에 위치되는 유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가이드 개구가 개폐 몸체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 몸체는 가이드 개구를 개방하도록 이동하고, 가이드 개구의 개방된 부분은 유동 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뚜껑 몸체는,
    가이드 개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 개구를 사이에 두면서 상호 간에 마주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에 삽입되어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상호 간에 마주하는 가이드 스토퍼들의 간격은 가이드 돌기의 폭보다 작고,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는 가이드 스토퍼들 사이에 위치될 때,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 스토퍼들은 상호 간에 멀어지면서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 점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는 스토퍼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스토퍼 공간은 가이드 개구에 연결되고 가이드 스토퍼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가이드 스토퍼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토퍼 공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스토퍼 몸체; 및
    스토퍼 공간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스토퍼 몸체에 연결되어, 스토퍼 몸체의 일부를 가이드 개구에 돌출시키는 스토퍼 탄성부를 포함하되,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를 따라 이동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는 스토퍼 몸체들 사이에 위치될 때, 스토퍼 몸체들은 가이드 돌기에 의해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점점 스토퍼 공간에 삽입되고 스토퍼 탄성부를 압축시키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 개구의 내측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스토퍼 탄성부는 신장되어 스토퍼 몸체의 일부를 점점 가이드 개구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스토퍼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10. 제8항에 있어서,
    스토퍼 공간의 입구는 스토퍼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뚜껑.
KR1020190097424A 2019-08-09 2019-08-09 냄비 뚜껑 KR102162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24A KR102162525B1 (ko) 2019-08-09 2019-08-09 냄비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424A KR102162525B1 (ko) 2019-08-09 2019-08-09 냄비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525B1 true KR102162525B1 (ko) 2020-10-06

Family

ID=7282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424A KR102162525B1 (ko) 2019-08-09 2019-08-09 냄비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5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755A1 (en) * 2002-10-25 2004-04-29 Richard Graus Multi-functional lid for cookware
KR20120115088A (ko) * 2011-04-07 2012-10-17 베엠에프 붸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아게 뚜껑
KR101304964B1 (ko) * 2013-01-04 2013-09-06 주식회사 로이첸 구조가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한 조리용기뚜껑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KR20170114765A (ko) * 2016-04-06 2017-10-16 김진용 방향제용 발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755A1 (en) * 2002-10-25 2004-04-29 Richard Graus Multi-functional lid for cookware
KR20120115088A (ko) * 2011-04-07 2012-10-17 베엠에프 붸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아게 뚜껑
KR101304964B1 (ko) * 2013-01-04 2013-09-06 주식회사 로이첸 구조가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한 조리용기뚜껑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KR20170114765A (ko) * 2016-04-06 2017-10-16 김진용 방향제용 발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1650B (zh) 一种三明治压制机和烤架的组合装置
US20070029316A1 (en) Microwavable grill
KR100760821B1 (ko) 오븐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US11796177B2 (en) Chimney vent cap
US6619192B2 (en) Frying pan
KR20120005488U (ko) 로스터의 구이판 조립체
KR102162525B1 (ko) 냄비 뚜껑
KR101225101B1 (ko) 전기 압력밥솥
KR102208782B1 (ko) 회전형 석쇠
KR200395285Y1 (ko) 보조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KR101519883B1 (ko) 프라이팬
KR20000007813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개방장치
KR200439944Y1 (ko) 냄비 손잡이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CN208551348U (zh) 一种改进结构的锅盖
KR102395657B1 (ko) 냄비 뚜껑
KR200383385Y1 (ko) 압력밥솥의 잠금장치
KR101165368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KR102121053B1 (ko) 조리 장치
KR200349862Y1 (ko) 전자레인지용 회전트레이
CN208640441U (zh) 烹饪器具
KR200472341Y1 (ko) 기름 또는 이물질 배출 구조를 구비한 구이판
KR20090113976A (ko)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CN210871149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