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492B1 -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492B1
KR102162492B1 KR1020190036379A KR20190036379A KR102162492B1 KR 102162492 B1 KR102162492 B1 KR 102162492B1 KR 1020190036379 A KR1020190036379 A KR 1020190036379A KR 20190036379 A KR20190036379 A KR 20190036379A KR 102162492 B1 KR102162492 B1 KR 10216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et
repelling
repellent
oil
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준석
조용선
김용관
정원화
정혜성
손기동
김지수
우찬진
왕승준
박정은
엄재구
이숙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임 오일(thyme oil), 레몬그라스 오일 및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의 식물정유와 저농도(0.01~1 중량%)의 DEET(N,N-diethyl-m-tolu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타임 오일(thyme oil), 레몬그라스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의 식물정유와 함께 0.01~1 중량%의 DEET를 함유하여 참진드기 기피능 및 기피지속의 효과를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DEET 기피제와 동등하게 나타내면서도 단회독성, 피부자극, 안점막 자극 및 농약 잔류량 평가에서 안전성이 우수하여 낮은 부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기피물질인 화학성분이 인체 및 동·식물에 위해성이 있고, 천연기피물질은 화학성분보다 기피효과 및 지속시간이 낮아서 국내에서 허가 취소가 된 문제점을 해소하는 새로운 저독성의 기피능이 우수한 참진드기 기피제를 제공하는 상업적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Composition of tick repellent agent}
본 발명은 흡혈성 절지동물인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과 동물에게 감염병을 매개하거나 흡혈에 의해 불쾌감, 스트레스 및 빈혈 등을 일으키는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흡혈성 절지동물의 하나인 참진드기는 각종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을 흡혈하여 감염병을 전파시키거나 직접적인 흡혈로 수면방해, 체중감소 및 빈혈 등의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동물이며, 털진드기, 물렁진드기, 모기, 파리, 등에, 빈대, 응애 등과 같이 사람 및 동물에 많은 감염성 병원체를 매개하여 질병을 일으킨다.
최근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참진드기 종은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개피참진드기(H. flava), 일본참진드기(Ixodes nipponensis), H. japonica, H. phasiana, 뭉뚝참진드기(Amblyomma testudinarium), I. turdus, I. persulcatus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들 참진드기들은 인수공통병원체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참진드기매개뇌염 바이러스(tick-borne encephalitis virus), 라임병의 병원체인 Borrelia spp. 아나플라스마증의 원인체인 Anaplasma phagocytophilum, 에를리키아의 원인체인 Ehrlichia chaffeensis, 리케치아증의 원인체인 Rickettsia spp., 바토넬라증의 원인체인 Bartonella spp., 바베시아증의 원인체인 Babesia spp. 등을 사람 또는 동물에 매개한다.
살충제는 독성으로 인해 사람과 동물 및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보다 안전한 기피제를 사용하여 질병을 전파시키는 매개체인 참진드기를 차단하는 것이 적절한 수단으로 알려졌다. 1950년대부터 기피제로 개발되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기합성 기피제인 DEET(N,N-diethyl-m-toluamide)는 7% 이상 및 15%-50%까지 고농도로 제품화가 되어 있다. DEET는 모기를 포함한 다양한 곤충들에 대한 기피능을 인정받고 있다(McCabe, E.T. et al., Insect repellents, III. N, m-diethylamides.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 493-498, 1954). 그러나 고농도의 DEET는 우수한 효과만큼 불쾌한 냄새, 플라스틱이나 고무 손상, 중추신경계 억제, 피부염 유발, 포유동물 DNA 손상 등 다양한 부작용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tz, T.M., J.H. Miller, and A.A. Hebert, Insect repellents: historical perspectives and new developments. J. Am. Acad. Dermatol. 58: 865~871, 2008).
또 다른 유기합성 기피제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30037호는 히드라지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유해 절지동물-방제제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012547호는 1,2,4-티아디아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절지동물 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79851호는 절지동물 방제용 치환 벤즈아미드를 개시하고 있다.
최근 인체 및 동물에 대해 안전성이 확보된 친환경적인 참진드기 기피제 소재로서 식물체 정유를 이용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식물체 정유는 유기합성 기피제에 비하여 참진드기에 대한 유효성이 낮고, 기피 지속력도 떨어지며, 많은 양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천연기피물질은 기피 효능에 있어서 법적인 기준치인 기피율 95% 이하이고 지속시간이 떨어져 국내에서 시판 허가가 취소된 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 상용화되어 유통되는 참진드기 기피제는 DEET 등의 인위적인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부작용이 국내외 연구진을 통해 밝혀졌으며, 많은 나라에서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기존에 유통되는 화학기피물질의 인체 및 동·식물에 대한 위해성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DEET와 동등한 참진드기 기피 효능과 기피 지속 시간을 갖는 새로운 참진드기 기피제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타임 오일(thyme oil), 레몬그라스 오일 및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의 식물 정유와 저농도의 DEET(N,N-diethyl-m-toluamide)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이 참진드기에 대하여 우수한 기피 효과가 있고, 특정 비율로 혼합 사용시 기피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사람 및 동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승인으로서 인용한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3903호 (2001.12.01)
본 발명의 목적은 참진드기에 대하여 우수한 기피능 및 지속력과 안전성이 확보된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참진드기 기피능 및 기피 지속력은 DEET와 동등하게 나타내면서도 인체나 동식물에 대해 독성이 적어 안전한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임 오일(thyme oil), 레몬그라스 오일 및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의 식물정유와 저농도(0.01~1 중량%)의 DEET(N,N-diethyl-m-tolu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흡혈성 절지동물인 참진드기에 대한 기피능을 갖는 천연 및 합성 화합물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4종의 천연물질의 각 농도별 참진드기 기피율 실험을 수행하였고, 기피율이 높게 측정된 상위 3종의 혼합물질별 기피율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소량의 DEET와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상승작용(기피율 증가)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자들은 3종의 천연 식물정유와 저농도의 DEET(N,N-diethyl-m-toluamide) 혼합액이 흡혈 절지동물인 참진드기에 대한 기피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타임 오일(thyme oil), 레몬그라스 오일 및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의 식물정유와, DEET(N,N-diethyl-m-tolu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DEET를 0.01~1 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정유는 흡혈성 절지동물인 참진드기에 대한 기피활성을 갖고 DEET(N,N-diethyl-m-toluamide)와 함께 사용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며, 동물과 사람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0.01~1 중량%의 저농도 DEET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식물정유와의 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에 의해 20 내지 50 중량%의 DEET를 함유하는 시판용 참진드기 기피제와 동등한 기피능과 지속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타임 오일(thyme oil) 1 중량%, 레몬그라스 오일 0.5 중량% 및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0.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올리브 오일 및 포도씨유(grape seed oi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올리브 오일 및 포도씨유(grape seed oil)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맞추기 위한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정유와 DEET(N,N-diethyl-m-toluamide)의 혼합비는 상호 혼합성 및 기피력의 극대화를 고려하여 중량비로 8:1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에 있어서,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흡혈성 절지동물은 포유류 또는 조류의 피부로부터 혈액 또는 체액을 취하여 살아가는 참진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참진드기과에 해당하는 다양한 종의 참진드기인 작은소피참진드기,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뭉뚝툭참진드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사용 목적이나 적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첨가제나 부형제 또는 담체를 더 포함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또는 담체는 사용 용이성, 경제성, 제형 또는 기피능과 기피시간의 증진을 위한 통상의 물질일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향료, 유화제, 알콜류, 분산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의 제형은 에어로졸제, 펌프 스프레이제, 과립제, 분제, 산제, 미립제, 캡슐제, 연고제, 크림제, 비드제, 정제, 엑스제, 유동엑스제, 로션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크림제, 펌프 스프레이제 또는 에어로졸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흡혈성 절지동물들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에 직접 분산 또는 산포하거나, 사람 또는 가축을 포함하는 포유류 또는 조류의 피부에 직접 사용하거나, 의류, 가방, 밴드, 텐트 등의 생활용품이나 실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흡혈성 절지동물인 참진드기가 주로 서식하는 지역에 적용시에는 공기 중에 직접 분산시키거나 산포하여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건물 내와 같이 일정 공간에 적용하는 경우, 기피제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다공성 담체를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포유류나 조류의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경우, 적당량을 피부에 도포 또는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경우, 자극성이 없거나 있더라도 피부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적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생활용품에 적용할 때에는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을 담지한 캡슐을 제조하여 생활용품의 재료인 옷감이나 천, 밴드 제조 시 또는 플라스틱류에 직접 혼입 가공함으로써 캡슐이 마찰에 의해 터질 때 담지된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이 공기 중으로 발산하여 기피력을 나타내거나 또는 직접 혼입되어 있다가 공기 중으로 서서히 방출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기피능 및 기피 지속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므로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참진드기 기피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in vitro warm plate) 진드기 기피효력 시험법에서 96.47%의 기피율 및 약 193분의 기피효력 지속시간을 나타내었고, 안전성 평가에서는 실험동물을 활용한 단회독성시험, 피부독성 및 안점막 자극시험 모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농약잔류검사에서도 농약성분에 대해 모두 음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이 나타내는 96.47%의 참진드기 기피율은 50%의 DEET를 함유하고 있는 상용 기피제의 평균 기피율인 98.47%에 가까운 우수한 효과였다.
본 발명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은 타임 오일(thyme oil), 레몬그라스 오일 및 티트리 오일의 식물정유와 함께 0.01~1 중량%의 DEET를 함유하여 참진드기 기피능 및 기피지속의 효과를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DEET 기피제와 동등하게 나타내면서도 단회독성, 피부자극, 안점막 자극 및 농약 잔류량 평가에서 안전성이 우수하여 낮은 부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기피물질인 화학성분이 인체 및 동·식물에 위해성이 있고, 천연기피물질은 화학성분보다 기피효과 및 지속시간이 낮아서 국내에서 허가 취소가 된 문제점을 해소하는 새로운 저독성의 기피능이 우수한 참진드기 기피제를 제공하는 상업적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NP1의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를 나타내는 꺽은선 그래프이다.
도 2는 NP1의 농도별 기피효과 점수 종합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 3은 NP2의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를 나타내는 꺽은선 그래프이다.
도 4는 NP2의 농도별 기피효과 점수 종합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 5는 NP3의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를 나타내는 꺽은선 그래프이다.
도 6은 NP3의 농도별 기피효과 점수 종합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 7은 NP4의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를 나타내는 꺽은선 그래프이다.
도 8은 NP4의 농도별 기피효과 점수 종합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 9는 NP1 내지 NP4의 후보물질별, 농도별 기피효과 점수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10은 NP1 내지 NP3의 혼합물질별(DEET 무첨가),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를 나타내는 꺽은선 그래프이다.
도 11은 NP1 내지 NP3의 혼합물질별(DEET 무첨가) 기피효과 점수 종합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 12는 DEET를 첨가한 NP1 내지 NP3의 혼합물질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를 나타내는 꺽은선 그래프이다.
도 13은 DEET를 첨가한 NP1 내지 NP3의 혼합물질별 기피효과 점수 종합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 14는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in vitro warm plate) 장치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15는 도 14의 장치를 이용한 참진드기 기피효과 실험을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16은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NP1 2%의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17은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NP1 5%의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18은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NP 컴파운드의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19는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NP 컴파운드와 DEET 0.01%의 혼합물의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20은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NP 컴파운드와 DEET 0.1%의 혼합물의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21은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NP 컴파운드와 DEET 1%의 혼합물의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22는 도 16 내지 도 21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NP 컴파운드의 기피효력 지속시간을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23은 도 16 내지 도 21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NP 컴파운드의 기피율을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SNUNPD-1의 1차, 2차 및 3차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27 내지 도 29는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DEET 20%의 1차, 2차 및 3차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를 이용한 상용기피제(50% DEET)의 1차, 2차 및 3차 기피효과실험 결과이다.
도 33은 SNUNPD-1의 기피효력 지속시간을 DEET 20% 및 DEET 50%(상용화된 제품)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34는 SNUNPD-1의 기피율을 DEET 20% 및 DEET 50%(상용화된 제품)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35는 야외현장 기피실험에서 실험군별 참진드기 부착률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이다.
도 36 내지 도 41은 SNUNPD-1을 처리하고 0, 24시간, 72시간 후 실험동물 1 내지 6의 피부반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2는 SNUNPD-1에 대한 잔류농약 시험결과보고서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들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대한 기피능 평가
1. 기피유용물질 연구를 위한 참진드기
흡혈성 절지동물들은 흡혈할 숙주를 탐색하거나 흡혈행동을 활발히 보이는 환경이 다르다. 본 발명자들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는 질병매개 참진드기 종인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를 진드기 검정을 위한 대표종으로 선정하였다.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약충은 경기도 강화도 일대에서 채집한 야외 계통을 이용하였다. 참진드기는 야외에서 채집하여 수분을 미리 공급해 둔 탈지면이 든 바이알에 넣어 실험실로 이동시켰다. 이들을 온도 26±2℃, 상대습도 70±5%, 명암을 16:8시간으로 하여 생장챔버(Growth chamber) 내에서 유지하였다. 참진드기는 실험 전 활력이 양호한 개체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2. 기피효과 실험결과
가. 틱 클라이밍 테스트(Tick climbing test)
참진드기가 높은 곳으로 향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기피제 효과실험을 진행하였다. 여과지(filter paper)에 각각의 후보물질 및 상용되는 기피제를 100㎕씩 균일하게 도포하고 10분 정도 건조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준비된 여과지를 50ml 코니컬 튜브(cornical tube)의 위쪽에 고정하고 각 튜브에 작은소피참진드기 약충을 10 마리씩 바닥에 넣어 주사침으로 공기구멍을 뚫어놓은 뚜껑을 닫고 측정을 시작하였다. 처음 1시간 동안 10분 단위로 참진드기의 위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측정점수는 튜브를 10등분하여 바닥지점 1점, 여과지지점 10점으로 각 위치의 참진드기 수를 곱하여 계산하였다(낮은 점수일수록 기피효과는 높음). 실험이 끝난 후 참진드기는 폐기하였다.
(1) 각 후보물질의 농도별 기피효과 측정
타임(이하, NP1이라 함), 레몬그라스(이하, NP2라 함), 티트리 오일(이하, NP3라 함) 및 쿤제아(Kunzea)(이하, NP4라 함)의 천연물질 4종에 대해 0.01 중량% 0.1 중량%, 1 중량%, 2 중량%, 5% 중량 농도(이하, %로 표시된 함량은 중량%를 의미함)에서 각각 기피효과를 틱 클라이밍 테스트(Tick climbing test)를 통해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20% DEET를 사용하였으며,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DW)를 사용하였다. 천연물질들은 ㈜ 네이쳐프러스(서울시 서초구 소재)에서 구입하였고, DEET는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에서 구입하였다(CAS RN:134-62-3, 제품번호:D0097). 10분 단위로 점수를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각각의 물질별, 농도별로 결과를 비교하였다.
(가) NP1
NP1은 5% 농도에서 가장 높은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기피효과점수를 측정하였을 때 5% 농도에서 17.67점의 기피점수를 나타냈으며, 동일한 실험에서 DEET 20%는 13.00점의 기피점수를 나타내었다(표 1, 도 1 및 도 2).
NP1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
샘플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NP1 0.01% 42 74 78 87 89 96
NP1 0.1% 52 76 80 90 93 94
NP1 1% 41 40 40 39 45 63
NP1 2% 26 22 23 20 20 16
NP1 5% 21 21 24 15 13 12
DEET 20% 12 17 15 14 10 10
DW 56 82 95 98 98 97
(나) NP2
NP2는 2% 농도에서 16.67, 5% 농도에서 17.00점의 기피점수를 나타내었다. 동일한 실험에서 DEET 20%는 20.17점의 기피효율을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인 DEET 20% 보다 NP2에서 더 좋은 기피효과를 보인 것은 참진드기 개체의 활력에 따른 오차로 판단된다(표 2, 도 3 및 도 4).
NP2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
샘플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NP2 0.01% 67 66 85 94 92 93
NP2 0.1% 59 86 70 77 73 75
NP2 1% 78 58 21 16 20 19
NP2 2% 29 23 11 13 14 10
NP2 5% 25 11 25 20 11 10
DEET 20% 26 20 18 18 20 19
DW 21 72 76 65 86 89
(다) NP3
NP3은 2% 농도에서 23.83점의 기피점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DEET 20%와 유사한 기피효과였다. 하지만 1% 이하의 농도에서는 급격하게 기피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도 5 및 도 6).
NP3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
샘플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NP3 0.01% 53 58 97 91 92 92
NP3 0.1% 21 50 74 87 90 88
NP3 1% 38 30 83 59 70 71
NP3 2% 34 32 42 12 12 11
NP3 5% 27 25 35 16 10 10
DEET 20% 19 17 14 15 15 17
DW 59 78 94 92 91 90
(라) NP4
NP4에서는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25점 이하의 기피점수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다른 물질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기피효율을 나타내었으며 5%의 고농도에서도 기피하지 않는 참진드기(Tick climbing test에서 위로 올라가는 참진드기)가 다수 존재하였다(표 4, 도 7 및 도 8).
NP4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
샘플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NP4 0.01% 28 45 45 57 56 58
NP4 0.1% 29 54 52 57 60 60
NP4 1% 24 41 42 43 44 45
NP4 2% 17 27 36 38 39 37
NP4 5% 14 26 31 31 31 31
DEET 20% 17 21 20 16 17 15
DW 28 58 57 83 81 80
(마) 종합결과
전체적으로 높은 기피점수를 나타낸 물질은 NP1이었다. 양성대조군(DEET 20%)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기피효과를 보여준 물질은 NP2이지만, 낮은 농도에서는 좋은 기피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NP4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에서 2%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기피효과를 보여주었다(도 9).
(2) 혼합물질(Mixed compounds)의 기피효과 측정
유의적인 기피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생각되는 NP1, NP2, NP3을 혼합하였을 때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두 물질간 혼합을 통해 기피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세 물질의 혼합 및 낮은 농도의 DEET 배합을 통한 기피효과를 확인하였다.
(가) 물질 혼합 실험 (DEET 무첨가)
NP1, NP2, NP3 중 각각 두 물질을 같은 농도로(1%) 혼합하여 기피효과를 확인하였다. NP1과 NP3을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은 기피효율(29.33점)을 나타내었으며, NP2와 NP3을 혼합하였을 때 효율(43.17점)이 낮았다(표 5, 도 10 및 도 11).
혼합물질별,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
샘플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NP1 1% + NP2 1% 51 47 44 40 36 31
NP1 1% + NP3 1% 38 25 31 29 28 25
NP2 1% + NP3 1% 55 45 44 37 41 37
DEET 20% 36 23 24 20 18 18
DW 73 80 80 79 82 81
(나) 물질 혼합 실험(DEET 첨가)
NP1, NP2, NP3 세 물질을 혼합하였을 때(NP1 1%, NP2 0.5%, NP3 0.5%)와 소량의(0.01~1%) DEET를 추가로 배합하였을 때 기피효과를 확인하였다. DEET를 소량 첨가하였을 때와 아니었을 때의 기피효율은 약 10점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DEET 1%를 첨가하였을 때는 약 13.17점으로 높은 기피효율을 나타내었으며 DEET 0.1% 첨가에서도 13.33점으로 비슷한 효율을 보여주었다(표 6, 도 12 및 도 13).
DEET를 첨가한 혼합물질별, 농도별, 시간별 기피효과 점수
샘플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NP1 1% + NP2 0.5% + NP3 0.5% 46 66 72 73 74 75
NP1 1% + NP2 0.5% + NP3 0.5% + DEET 0.01% 72 80 82 82 81 83
NP1 1% + NP2 0.5% + NP3 0.5% + DEET 0.1% 75 88 89 91 92 92
TNP1 1% + NP2 0.5% + NP3 0.5% + DEET 1% 71 91 89 92 92 93
나.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 테스트 ( in vitro warm plate test)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한 진드기 기피 효과시험법(도 14 및 도 15)으로 본 실시예에서 실험을 통해 기피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물질을 선별, 혼합하여 실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에서 음성대조군(50% 에탄올)에 대한 실험도 동시에 진행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한 번 실험에 사용된 참진드기는 다음 실험에 탈락시켰으며, 모든 실험에 새로운 참진드기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12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물질별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매뉴얼에 따른 기피효력지속시간(CPT)과 기피율을 측정하였다. 매뉴얼에 따르면 기피제로써 허가를 위한 최소 기피율은 95% 이상으로 명시되어 있다.
(1) NP1 및 천연물질 혼합물의 기피효과
(가) NP1 2%, NP1 5%
후보물질 중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던 NP1을 이용하여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in vitro warm plate) 진드기 기피효력 시험법의 예비 실험을 진행하였다. NP1 2%에서 기피효력 지속시간은 30분 이내이고 기피율은 61.96%로 측정되었으며, NP1 5%에서 기피효력 지속시간은 120분 이상, 기피율은 100%로 측정되었다(도 16 및 도 17).
(나) NP1 1% + NP2 0.5% + NP3 0.5% (NP 컴파운드)
틱 클라이밍 테스트(Tick climbing test)에서 기피효과가 높게 평가된 물질들에 대하여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in vitro warm plate)를 이용한 진드기 기피효력시험을 통해 기피율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의 혼합된 물질에서 먼저 기피율을 측정하였으며, 소량의 DEET를 배합하였을 때의 기피효과도 확인하였다. 틱 클라이밍 테스트(Tick climbing test)에서 확인하였던 세 후보물질의 혼합물(NP 컴파운드)의 참진드기에 대한 기피효과를 측정하였다. 기피효력 지속시간은 35분으로 측정되었으며, 기피율은 87.29%로 확인되었다(도 18).
(다) NP 컴파운드 + DEET 0.01%
NP 컴파운드에 DEET 0.01%를 배합한 혼합물의 기피효력 지속시간은 65분, 기피율은 93.04%로 측정되었다(도 19).
(라) NP 컴파운드 + DEET 0.1%
NP 컴파운드에 DEET 0.1%를 배합하였을 때, 기피효력 지속시간은 95분, 기피율은 95%로 측정되었다(도 20).
(마) NP 컴파운드 + DEET 1%
NP 컴파운드에 DEET 1%를 배합하였을 때, 기피효력 지속시간은 95분, 기피율은 96.67%로 측정되었다(도 21).
(바) 기피효력지속시간 및 기피율 비교
NP1 2%, NP1 5%, NP 컴파운드, NP 컴파운드에 DEET를 0.01%, 0.1%, 1% 혼합하였을 때, 각각의 기피효력 지속시간(CPT)과 기피율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피효력 지속시간은 NP1 5%에서 120분으로 가장 길었으며, NP 컴파운드에 DEET 1% 및 0.1%를 각각 배합한 혼합물에서 95분으로 동일하였고, NP1 2%에서 30분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도 22). 기피율은 NP1 5%에서 100%로 가장 높았으며, NP 컴파운드에 DEET 1%, 0.1%를 배합한 혼합물에서 각각 95%, 96.67%로 95% 이상의 기피율을 나타내었다. NP1 2%에서는 61.96%로 실험군 중 가장 낮은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도 23).
(2) 천연기피물질 혼합물의 선정 및 기피효과
전술한 바와 같은 실험결과를 토대로 천연물질들을 혼합한 기피물질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물질의 조합은 가장 높은 기피율을 보여준 NP1 (1%), NP2 (0.5%), NP3 (0.5%) 및 1%의 DEET를 혼합한 물질이었으며, 동량의 부형제와 혼합하여 조합하였다. 조합한 물질명은 SNUNPD-1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조합된 물질인 본 발명의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이하, SNUNPD-1이라 함), 양성대조군(에탄올 용매 내 20% DEET), 음성대조군(50% 에탄올) 및 기존에 사용되는 상용기피제를 인비트로 웜 플레이트(in vitro warm plate) 진드기 기피효력 시험법을 통해 시험하였다. 4가지 물질의 시험은 3회씩 반복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기피효력 지속시간을 확인할 때까지 지속되었으며, 최장 4시간 동안 관찰되었다. 2시간 이내에 기피효력지속시간이 확인될 경우 2시간까지 관찰을 계속하였다. 모든 실험 과정 중 음성대조군(50% 에탄올)에서는 기피행동을 보이는 참진드기가 존재하지 않았다.
(가) SNUNPD-1
본 실시예에서 제작한 SNUNPD-1에서는 3회의 실험 중 평균 약 193분의 기피효력지속시간을 나타내었다. 기피효력 지속시간 동안에는 평균적으로 96.47%의 기피율을 나타내었다. 총 기피행동 관찰시간 동안(4시간)에는 91.67%의 기피율을 나타내었다(도 24, 도 25 및 도 26).
(나) DEET 20% (에탄올 용매 내)
DEET 20%를 에탄올에 용해한 양성대조군은 약 26분의 기피효력 지속시간을 나타내었다. 기피효력지속시간 동안 기피율은 평균 96.76%이었으며, 총 시험시간 동안(2시간) 기피율은 평균 47.22%를 나타내었다. DEET 20%에서 짧은 시간 내에 급격하게 기피효력을 잃는 이러한 현상은 빠른 증발이 원인일 것으로 추측된다(도 27, 도 28 및 도 29).
(다) 상용기피제(DEET 50% 성분 포함)
DEET 50%를 함유하는 것으로 표기된 상용기피제 1종은 3회차의 실험에서 모두 240분 이상의 기피효력 지속시간을 나타내었다. 총 시험시간 동안 평균 기피율은 98.47%이었다(도 30, 도 31 및 도 32).
(라) SNUNPD-1의 기피효력지속시간 및 기피율 비교
SNUNPD-1과 DEET 20%(에탄올 용매 내) 및 DEET 50%(상품)에서 각각의 기피효력 지속시간(CPT) 및 기피율을 비교하였다. 기피효력 지속시간은 DEET 50%에서 240분으로 가장 높았으며 SNUNPD-1에서 193분, DEET 20%에서 26분으로 각각 측정되었다(도 33). 기피율은 DEET 50%에서 98.47%로 가장 높았으며, DEET 20%에서 96.76%, SNUNPD-1에서 96.47%로 측정되어 세 실험군 모두 95% 이상의 기피율을 나타내었으며 서로 간 기피율에는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도 34).
(3) SNUNPD-1의 적용방법
SNUNPD-1에 글리세린, 70% 에탄올, 100% 에탄올 등 어쥬번트(adjuvant)를 사용하여 적용하였을 때 유의적인 기피효과 및 기피효력 지속시간의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연물질과 같은 농도의 베이스 오일(base oil) 및 증류수에 잘 희석되기 위한 유분산제(Dispersant oil)를 부형제로 사용하여 기피효과를 측정하였다.
다. 야외현장 기피실험
실제 자연환경에서 SNUNPD-1의 기피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천(음성대조군)으로 만든 발 토시를 착용하여 참진드기 서식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1분 동안 참진드기의 부착을 유도하여 그 수를 측정하였다. 10회의 부착 실험결과 왼쪽 다리에서 평균 7.90마리, 오른쪽 다리에서 평균 8.70마리로 측정되었다(표 7). 그 후 20% DEET(자체 제작), 50% DEET(상용품), SNUNPD-1을 각각 10회씩 실험하였다. 왼쪽 다리의 토시에 각각의 물질을 처리하였으며, 오른쪽 다리의 토시는 무처리의 대조군으로 실험하였다. 20% DEET를 처리한 실험에서 왼쪽(물질 처리군)은 평균 2.30마리, 오른쪽(대조군)은 평균 3.40마리로 측정되었으며(표 8), 50% DEET를 처리한 실험에서 왼쪽(물질 처리군)은 평균 2.40마리, 오른쪽(대조군)은 평균 4.10마리로 측정되었다(표 9). SNUNPD-1을 처리한 실험에서는 왼쪽(물질 처리군)은 평균 2.30마리, 오른쪽(대조군)은 평균 3.80마리로 측정 되었다(표 10).
실험군 모두에서 대조군 보다 처리군에 부착한 평균 참진드기 수가 평균 약 1.5마리 정도 적게 측정되었다. 물질을 처리한 실험에서는 20% DEET, 50% DEET, SNUNPD-1에서 각각 평균 5.7마리, 6.5마리, 6.1마리의 참진드기가 부착되었으며, 양측에 물질을 처리하지 않고 실험하였을 때 평균 16.6마리의 참진드기가 부착되었으므로, 기피용 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약 10마리의 참진드기가 덜 부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음성대조군의 야외현장 기피실험 결과
음성대조군 시험회차 참진드기 수 (No. of ticks)
왼쪽 다리 오른쪽 다리
1 8 5
2 7 6
3 9 7
4 8 15
5 7 12
6 12 16
7 9 8
8 11 4
9 3 8
10 5 6
평균 7.90 8.70
20% DEET의 야외현장 기피실험 결과
20% DEET
시험회차
참진드기 수 (No. of ticks)
왼쪽 다리 (처리) 오른쪽 다리 (무처리 대조군)
1 1 7
2 2 5
3 6 2
4 3 1
5 0 2
6 1 5
7 2 4
8 1 1
9 6 4
10 1 3
평균 2.30 3.40
50% DEET의 야외현장 기피실험 결과
50% DEET 시험회차 참진드기 수 (No. of ticks)
왼쪽 다리 (처리) 오른쪽 다리 (무처리 대조군)
1 4 2
2 2 5
3 1 4
4 3 5
5 3 0
6 1 12
7 3 4
8 3 1
9 1 4
10 3 4
평균 2.40 4.10
SNUNPD-1의 야외현장 기피실험 결과
SNUNPD-1 시험회차 참진드기 수 (No. of ticks)
왼쪽 다리 (처리) 오른쪽 다리 (무처리 대조군)
1 3 3
2 4 4
3 3 4
4 1 4
5 3 13
6 0 1
7 1 3
8 1 1
9 5 3
10 2 2
평균 2.30 3.80
야외현장 기피실험에서 실험군별로 물질을 처리한 부분에 부착한 참진드기 수와 처리하지 않은 부분에 부착한 참진드기 수의 10회 평균치를 통해 부착률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음성대조군에서의 부착률이 90.80%로 가장 높았으며, 20% DEET에서 67.65%, SNUNPD-1에서 60.53%, 50% DEET에서 58.54%로 각각 부착률을 나타내었다. SNUNPD-1은 50% DEET와 비교하여 참진드기 부착률에 있어서 약 2%의 차이를 나타냈지만 20% DEET 보다는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35).
라. 천연유용물질 SNUNPD-1의 안전성평가 결과
본 실시예에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물질인 SNUNPD-1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에는 단회독성시험, 피부자극시험 및 안점막자극시험이 포함되었다. 또한 시험물질에서 잔류농약의 성분검출을 시도하였다. 각 실험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단회독성시험(랫드에서 기피제의 단회 정맥투여 독성시험)
(가) 임상증상 및 폐사율
전 시험기간 동안 발생한 폐사 개체는 없었다. 시험물질 투여 후 임상증상 관찰에서 시험물질 16% 농도 투여군(G3)의 암수 모든 개체에서 시험물질 투여 직후 운동실조증(ataxia) 증상이 관찰되었고, 수컷 1수를 제외한 모든 개체에서 침울(depression) 증상이 관찰되었다. 시험물질 32% 투여군(G4)의 암수 모든 개체에서 시험물질 투여 직후, 침울(depression) 및 운동실조증(ataxia)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수컷 1수를 제외한 모든 개체에서 동공확장 증상이 관찰되었다. 해당 증상들은 고용량 군에서 증상의 정도가 심하고 지속 시간이 오래 가는 양상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역적으로 일정 시간 이후 소실되었다(표 11).
Figure 112019032195330-pat00001
(나) 체중
시험 기간 동안 비히클 대조군(vehicle control)(G1)과 대비하여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체중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표 12).
Figure 112019032195330-pat00002
(다) 사료섭취량
사료섭취량은 비히클 대조군(vehicle control)(G1) 대비 시험물질 32% 투여군(G4) 수컷에서 1일째에 유의적인 섭취량 감소가 확인되었고(p<0.01), 시험물질 16% 투여군(G3) 수컷에서 14일째에 유의적인 섭취량 감소가 확인되었다(p<0.05). 그 외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표 13).
Figure 112019032195330-pat00003
(라) 부검 시 육안 소견 확인
부검 시 육안 소견 확인 시 비히클 대조군(G1)의 암컷 1수에서 신장의 색변화(pale brown)가 확인되었고, 시험물질 8% 투여군(G2)의 수컷 2수 및 암컷 4수에서 신장의 색변화(pale brown)가 확인되었다. 시험물질 16% 투여군(G3)의 수컷 5수에서 비장의 표면 변화, 1수에서 비장 종대 및 2수에서 신장의 색변화 (pale brown)가 확인되었고, 암컷 1수에서 비장 종대 및 3수에서 신장의 색변화 (pale brown)가 확인되었다. 시험물질 32% 투여군(G4)의 수컷 5수에서 비장의 표면 변화, 3수에서 비장 종대 및 3수에서 신장의 색변화(pale brown)가 확인되었고, 암컷 4수에서 비장 종대 및 3수에서 신장의 색변화(pale brown)가 확인되었다(표 14).
Figure 112019032195330-pat00004
(마) 단회독성시험의 고찰 및 결론
본 실시예에서의 시험은 시험물질인 기피제의 단회 정맥투여 시 나타나는 독성반응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전 시험기간 동안 폐사 개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임상 증상의 경우 시험물질의 중용량 투여군 대부분의 개체에서 시험물질 투여 직후, 침울 및 운동실조증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고용량 투여군 대부분의 개체에서 시험물질 투여 직후, 침울, 운동실조증 증상 및 동공확장 증상이 관찰되었다. 해당 증상들은 중용량 대비 고용량 군에서 그 양상이 더 심해지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나, 가역적인 것으로 이후 소실되었다. 체중 측정에서는 전 시험 기간동안 비히클 대조군(G1)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료 섭취량의 경우 시험물질 16% 투여군(G3) 및 시험물질 32% 투여군(G4) 수컷의 일부 기간에 유의적인 섭취량 감소가 확인되었다. 부검 시 육안 소견 관찰에서 시험물질 8% 투여군(G2) 일부와 시험물질 16% 투여군(G3) 및 시험물질 32% 투여군(G4)의 대부분 개체에서 신장과 비장에 색 변화 및 외형 변화 등의 이상소견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시험물질을 단회로 정맥 투여 시 폐사 개체는 없었으며, 16%와 32% 투여 직후에 침울, 운동실조증 증상 및 동공확장 등의 증상을 유발하였고, 8%, 16% 및 32%에서 부검 시 신장 및 비장의 육안적 변화 소견이 관찰되었다.
(2) 토끼를 이용한 SNUNPD-1의 피부자극 평가시험
(가) 일반증상 및 체중변화
피부자극시험에서 시험물질 적용에 따른 일반증상과 폐사개체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시험개시대비 증체량은 0.1kg 정도로 미약한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시험물질의 적용에 따른 체중 감소나 임상증상에서 특이사항은 관찰되지 않았다(표 15).
피부자극시험 중 토끼의 체중 변화(단위: kg)
Animal ID Hour(s) after application Increase
0 24 72
1 3.4 3.4 3.4 0.0
2 3.5 3.4 3.5 0.0
3 3.5 3.4 3.5 0.0
4 3.4 3.4 3.4 0.0
5 3.6 3.5 3.5 -0.1
6 3.6 3.5 3.5 -0.1
Mean 3.50 3.43 3.47 -0.03
SD 0.1 0.1 0.1 0.1
(나) 경시적 피부 자극성 평가
첩포 제거 후 24시간 및 72시간 피부반응을 모니터링한 결과 관찰기간동안 시험물질(SNUNPD-1) 및 대조물질(Vehicle)의 홍반과 부종수준은 모든 관찰시점에서 "0"으로 피부자극성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16).
Figure 112019032195330-pat00005
(다) 적용부위 관찰 및 자극성의 판정
피부자극시험에서 첩포 24, 72시간째 찰과영역과 비찰과영역의 피부반응 평가결과, 시험물질(SNUNPD-1)및 대조물질(Vehicle)의 모든 적용부위에 홍반 및 부종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반응평가표에 점수화로 산출한 결과, 피부자극지수(P.I.I.; Primary Irritation Index)는 시험물질(SNUNPD-1) 및 대조물질(Vehicle) 모두 "0"으로 비자극물질로 평가되었다(도 36 내지 도 41).
(라) 피부자극시험의 고찰 및 결론
본 실시예에서는 수컷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 6수를 이용하여 제모된 등피부에 시험물질(SNUNPD-1)과 대조물질(Vehicle)을 1일 간 도포 및 첩포 후 홍반 및 부종의 피부자극성 발생여부를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 24시간 전에 토끼 등 부위의 털을 제모하고, 시험물질 및 대조물질을 6마리 토끼의 찰과와 비찰과 피부에 직접 적용하고 비자극성 테이프로 고정 후 24시간 폐쇄 첩포시켰다. 시험기간 동안 시험물질 및 대조물질 적용에 따른 임상증상 (유연, 설사, 행동이상 등) 및 폐사개체 발생은 없었으며 평균 증체량은 시험초기대비 0.1kg으로 경미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시험물질 적용에 따른 스트레스에 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첩포 제거 후 24시간 및 72시간 피부반응을 모니터링한 결과 관찰기간동안 시험물질(SNUNPD-1) 및 대조물질(Vehicle) 모두 홍반과 부종 반응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시험방법으로 시험한 결과, 피부자극지수(P.I.I.)값은 시험물질(SNUNPD-1) "0", 대조물질(Vehicle) "0"으로서 비자극물질 평가되었으며, 시험기간동안 폐사개체나 임상증상에서 특이사항은 관찰되지 않았다.
(3) NZW 토끼를 이용한 안점막 자극시험
(가) 일반증상 및 사망률
시험물질의 적용에 기인한 이상증상이나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나) 체중변화
체중측정 결과, 시험물질 적용 후 시험물질 적용에 따른 체중변화는 없었다.
(다) 적용부위의 관찰
시험물질 투여 후 1일, 2일, 3일, 4일 및 7일에 각각 각막, 홍채 및 결막에 대한 안구병변 등급을 점수로 표시한 결과 모든 동물에서 어떠한 이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안구병변등급표에 따라 판정한 결과, 시험물질 적용 후 7일 동안 평균안자극지수(MOI)를 산출하여, 평균안자극지수 중 최고치인 급성안자극지수(AOI)를 산출한 결과 0.0으로 평가되었다(표 17).
(라) 안점막 자극시험의 고찰 및 결론
시험물질 SNUPD-1에 대한 안자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9마리의 NZW(New Zealand White)계 수컷 토끼에 시험물질을 1회 처치한 후 7일 동안의 사망률, 일반증상 및 체중변화와 처치 후 1일, 2일, 3일, 4일 및 7일째의 국소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시험기간 중 시험물질의 적용에 의한 사망동물 및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변화에서 모든 동물은 정상적인 체중증가를 보였으며, 홍채와 각막에서는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험물질의 급성안자극지수는 0.0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NZW계 토끼에 있어서 SNUNPD-1의 안점막 적용은 적용 후 각막, 홍채 및 결막에 어떠한 이상도 유발하지 않았고, 또한 급성안자극지수가 0.0이므로 본 발명의 시험물질은 무자극성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112019032195330-pat00006
(4) 농산물 잔류농약 시험
식품공전 시험법의 다중농약 다성분 분석법(제2법)에 따라 본 발명의 시험물질에 대한 잔류농약 분석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결과 총 268종의 시험항목에 대해서 성분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2).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에 있어서,
    타임 오일(thyme oil), 레몬그라스 오일 및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의 식물정유와, DEET(N,N-diethyl-m-tolu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DEET 1 중량%, 타임 오일(thyme oil) 1 중량%, 레몬그라스 오일 0.5 중량% 및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0.5 중량%를 함유하는,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올리브 오일 및 포도씨유(grape seed oil)를 더 포함하는,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이 적용되는 참진드기는 작은소피참진드기,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또는 뭉뚝참진드기 중 적어도 1종인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KR1020190036379A 2019-03-28 2019-03-28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KR10216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379A KR102162492B1 (ko) 2019-03-28 2019-03-28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379A KR102162492B1 (ko) 2019-03-28 2019-03-28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492B1 true KR102162492B1 (ko) 2020-10-06

Family

ID=7282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379A KR102162492B1 (ko) 2019-03-28 2019-03-28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4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106A (ja) * 1993-11-12 1995-05-30 Shiseido Co Ltd 刺咬性害虫忌避剤
KR200253903Y1 (ko) 2001-07-19 2001-12-01 김신판 해충 퇴치용 필름
JP2007502860A (ja) * 2003-04-24 2007-02-15 ヴァンダービルト ユニバースィティ 昆虫を防除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WO2008101131A1 (en) * 2007-02-14 2008-08-21 Nonits Llc Essential oil compositions for killing or repelling ectoparasites and pest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2014201581A (ja) *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大阪製薬 衛生害虫忌避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106A (ja) * 1993-11-12 1995-05-30 Shiseido Co Ltd 刺咬性害虫忌避剤
KR200253903Y1 (ko) 2001-07-19 2001-12-01 김신판 해충 퇴치용 필름
JP2007502860A (ja) * 2003-04-24 2007-02-15 ヴァンダービルト ユニバースィティ 昆虫を防除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WO2008101131A1 (en) * 2007-02-14 2008-08-21 Nonits Llc Essential oil compositions for killing or repelling ectoparasites and pest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2014201581A (ja) *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大阪製薬 衛生害虫忌避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의 자연환경 내감염실태조사 및 참진드기 기피제 개발을 위한 유용물질연구(Ⅱ)’, 국립환경과학원 (2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15776T2 (de) Auf terpenen basierende pestizide behandlung zum ausrotten von terrestrischen arthropoden, unter einbeziehen von, unter anderem, läusen, lauseiern, milben und ameisen
EP2849564B1 (en) Control and repellency of mosquitoes
US20130164361A1 (en) Enhanced formulation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est control
CN101861095A (zh) 有害生物控制组合物以及使用所述组合物的方法和产品
US20010055628A1 (en) Natural oils having a synergistic effect as a pesticide
JPH02500436A (ja) N,n‐ジアルキルアルカンアミドを含む組成物とその用途
CN105123699B (zh) 一种含有百里香酚和吡丙醚的杀螨杀虫组合物
WO2008124882A1 (en) Organic pest repellent
KR102162492B1 (ko) 참진드기 기피제 조성물
CN102484994B (zh) 苦参碱和氯虫苯甲酰胺的增效组合物
CN101700034B (zh) 一种杀虫剂组合物
EP3583848B1 (en) Hematophagous arthropod repellent composition
Abd-Alla et al. Study of potential activity of clove oil 10% emulsifiable concentrate formulation on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WO2024066031A1 (zh) 一种2甲4氯钠盐和杀虫双的除草杀虫组合物
CN104642373A (zh) 一种含氯氟氰虫酰胺和高效氯氟氰菊酯的杀虫剂组合物
Lina et al. Safety and effectiveness of mixed plant extracts formulation against cabbages pests under field conditions
US2639259A (en) Insecticides
DE102009014667A1 (de) Repellierend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Anwendung auf Lebewesen
Hemalath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EG-cinnamon essential oil nanoparticles and their application as an insecticidal agent
CN104705318B (zh) 一种含有松脂酸钠和螺虫乙酯的杀虫组合物
JP2006508957A (ja) 害虫を防除するための組合せ生成物
WO2019170267A1 (de) Lithium-verbindungen zur bekämpfung von milben, die von teilen der menschlichen oder warmblüterischen haut leben
KR100819691B1 (ko) 집먼지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US8841343B2 (en) Composition for repelling mosquitoes
US20240164383A1 (en) Azadirachtin for seed dressing of field c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