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398B1 -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398B1
KR102162398B1 KR1020190066720A KR20190066720A KR102162398B1 KR 102162398 B1 KR102162398 B1 KR 102162398B1 KR 1020190066720 A KR1020190066720 A KR 1020190066720A KR 20190066720 A KR20190066720 A KR 20190066720A KR 102162398 B1 KR102162398 B1 KR 10216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terminal
board
conn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희
김도경
김두희
Original Assignee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9006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83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component, e.g. micro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는 스피커의 단자에 결합하는 터미널; 일단을 통해 상기 터미널에 고정되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스피커 주변으로 설치되는 기판에 탄력적으로 눌려져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speaker and board}
전기적 신호전달을 목적으로 스피커와 기판 사이를 접속시키는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와 기판 사이는 리드와이어와 커넥터를 통해 접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 리드와이어는 일단이 스피커 단자 쪽에 용접되고, 리드와이어의 타단은 커넥터를 통해 기판에 연결된다.
커넥터는 암수가 리드와이어와 기판 쪽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끼움방식으로 상호 체결되어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구조에서는 암수 커넥터 중 하나와 리드와이어를 스피커 쪽에 설치하고, 암수 커넥터 중 다른 하나를 기판 쪽에 설치한 상태에서 암수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기 때문에, 스피커와 기판을 접속시키는 작업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스피커와 기판을 접속시키는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는 스피커의 단자에 결합하는 터미널; 일단을 통해 상기 터미널에 고정되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스피커 주변으로 설치되는 기판에 탄력적으로 눌려져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단자에 결합하여 접속되는 단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단자에 끼움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단자결합부가 상기 단자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기판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과 접속부재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는 한 쌍의 상기 터미널을 일체로 연결하는 터미널바디; 한 쌍의 상기 접속부재를 한 쌍의 상기 터미널에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터미널 바디에 결합하는 접속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바디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터미널에 접촉하도록 안착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캡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부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인출공에 걸리도록 일단부의 직경이 확장된 코일스프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는 스피커 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피커 주변으로 설치되는 기판을 스피커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되므로, 스피커와 기판을 접속시키는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가 채용된 스피커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와 스피커를 분리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장치의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스피커장치의 본체와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는 스피커(3) 및 기판(4)과 함께 스피커장치(1)에 채용되어 스피커(3)와 기판(4) 사이를 신호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접속시킬 수 있다.
스피커장치(1)는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호 접속되는 스피커(3)와 기판(4)을 구비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 스피커장치(1)는 청각적 차량 경고 시스템(AVAS: Acoustic Vehicle Alert System)에 채용될 수 있다.
청각적 차량 경고 시스템은 주행소리가 적은 차량에 충분한 주행음을 제공하여 보행자에게 차량의 접근을 인식시키는데 이용되는 소리발생시스템을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장치(1)는 스피커(3) 및 기판(4)과, 스피커(3)와 기판(4) 사이를 접속시키는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와,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은 본체(6)와 커버(7)를 포함하고,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를 통해 접속되는 스피커(3)와 기판(4)은 상호 결합하는 본체(6)와 커버(7) 사이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본체(6)와 커버(7) 사이가 결합되기 전에 기판(4)은 커버(7)에 결합하고, 스피커(3)는 본체(6)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4)은 본체(6)와 커버(7)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피커(3) 상부가 되는 스피커(3)의 일단부 외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3a와 4a는 스피커(3)와 기판(4)을 본체(6)와 커버(7)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공을 가리키고, 미설명 부호 6a와 7a는 본체(6)와 커버(7) 사이의 결합을 위해 양쪽에 각각 마련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가리킨다. 체결공(3a,4a)에는 볼트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는 터미널(10)과 접속부재(20)를 구비하여 스피커(3)와 기판(4) 사이를 접속시킨다.
터미널(10)은 스피커(3)에 마련되는 단자(3b)에 결합하여 접속되고, 접속부재(20)는 터미널(10)과 한 몸을 이루도록 터미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4)과 접속하도록 마련된다.
단자(3b)는 한 쌍이 스피커(3)의 저부 둘레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터미널(10)과 접속부재(20)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어 기판(4)과 한 쌍의 단자(3b) 사이를 접속시킨다.
접속부재(20)는 일단을 통해 터미널(10)에 고정되어 접속되고, 타단이 스피커(3) 주변으로 설치되는 기판(4)에 탄력적으로 눌려져 접속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는 스피커(3) 쪽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스피커(3) 주변으로 설치되는 기판(4)을 스피커(3)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되고, 이때 기판(4) 쪽에는 스피커(3)와 기판(4)의 접속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는 스피커(3)와 기판(4)의 접속에 따른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터미널(10)은 단자(3b)에 결합하여 접속되는 단자결합부(11), 접속부재(20)를 접속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판부(12), 단자결합부(11)와 지지판부(1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를 스피커(3)에 쉽게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자결합부(11)는 끼움방식으로 단자(3b)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단자결합부(11)는 클립형태로 마련되어 단자(3b)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접속부재(20)는 단자결합부(11)가 단자(3b)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4)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기판(4) 쪽에 별도의 설치작업이 없이도 스피커(3)와 기판(4) 사이가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를 통해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접속부재(20)의 돌출방향은 기판(4)의 위치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또 접속부재(20)는 일단부가 기판(4)에 탄력적으로 눌려져 접속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스프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판부(12)는 접속부재(20)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평판형태로 마련되고, 연결부(13)는 지지판부(12)와 단자결합부(11) 사이를 연결하는 긴 막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단자(3b)에 결합하는 단자결합부(11)의 결합방향과, 지지판부(12)에 지지되는 접속부재(20)의 지지방향을 고려했을 때, 지지판부(12)와 연결부(13) 사이는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는 한 쌍의 터미널(10)을 일체로 연결하는 터미널바디(30)와, 한 쌍의 접속부재(20)를 한 쌍의 터미널(10)에 접속시키기 위해 터미널바디(30)에 결합하는 접속캡(40)을 더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터미널바디(30)는 사출성형 되고, 한 쌍의 터미널(10)은 터미널바디(30)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터미널바디(30)에 인서트 되어 터미널바디(3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터미널(10)을 절연 상태에서 한 몸으로 연결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터미널바디(30)의 형상이나, 터미널바디(30)와 터미널(10) 사이의 결합방식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터미널바디(30)는 한 쌍의 터미널(10)의 지지판부(12)가 함께 인서트 되는 몸체(31)와, 양쪽 터미널(10)의 연결부(13)가 인서트 되도록 몸체(3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양쪽 터미널(10)의 연결부(13)가 각각 인서트 되도록 연장부(32)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단자결합부(11)는 연장부(32)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는 스피커(3)에 고정된 상태에서 터미널바디(30)의 몸체(31)가 스피커(3) 상부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가 스피커(3)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자결합부(11)가 단자(3b)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31)는 스피커(3) 상부 외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몸체(31)에는 한 쌍의 접속부재(20)가 양쪽의 터미널(30)에 접촉하도록 안착하는 한 쌍의 안착홈(31a)이 마련될 수 있다.
안착홈(31a)은 몸체(31)에 인서트 된 지지판부(22)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마련되고, 접속부재(20)는 일단부가 안착홈(3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판부(12)에 접촉됨에 따라 터미널(10)에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접속캡(40)은 한 쌍의 접속부재(20)가 몸체(31)에 안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안착홈(31a)을 덮도록 몸체(31)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31)와 접속캡(40)의 양측에는 터미널바디(10)에 접속캡(40)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31b)과 걸림홈(41)이 마련될 수 있다.
접속캡(40)에는 한 쌍의 안착홈(31a)에 대응하는 한 쌍의 인출공(42)이 마련되고, 접속캡(40)이 몸체(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접속부재(20)의 타단부는 인출공(42)을 통해 접속캡(40) 외부로 돌출하도록 인출될 있다.
접속부재(20)는 일단부의 직경이 확장된 코일스프링 형태로 마련되어 인출공(42)에 걸리는 일단부를 통해 몸체(31)와 접속캡(4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를 이용한 스피커(3)와 기판(4)의 접속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는 단자결합부(11)가 단자(3b)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스피커(3)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는 터미널(10)이 결합된 터미널바디(30)를 먼저 스피커(3)에 고정시킨 후 접속부재(20)와 접속캡(40)을 터미널바디(30)에 조립하거나, 전체적으로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스피커(3)에 한 번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가 설치된 스피커(3)는 본체(6)에 결합되고, 이 상태의 본체(6)에는 기판(4)이 결합된 커버(7)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7)의 결합과정에서 기판(4)은 스피커(3)의 상부로 위치하게 되면서 한 쌍의 접속부재(20)를 눌려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접속부재(20)는 탄력적으로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판(40)과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피커(3)와 기판(4) 사이는 하우징(5)의 조립과정에서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2)를 통해 상호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 스피커장치 2: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3: 스피커 4: 기판
5: 하우징 6: 본체
7: 커버 10: 터미널
11: 단자결합부 12: 지지판부
13: 연결부 20: 접속부재
30: 터미널바디 31: 몸체
31a: 안착홈 32: 연장부
40: 접속캡 42: 인출공

Claims (5)

  1. 스피커의 단자에 결합하는 터미널;
    일단을 통해 상기 터미널에 고정되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스피커 주변으로 설치되는 기판에 탄력적으로 눌려져 접속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과 접속부재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터미널을 일체로 연결하는 터미널바디;
    한 쌍의 상기 접속부재를 한 쌍의 상기 터미널에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터미널 바디에 결합하는 접속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바디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터미널에 접촉하도록 안착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캡은,
    상기 접속부재의 타단부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인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인출공에 걸리도록 일단부의 직경이 확장된 코일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단자에 결합하여 접속되는 단자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결합부는,
    상기 단자에 끼움방식으로 결합하는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결합부가 상기 단자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기판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6720A 2019-06-05 2019-06-05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KR10216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20A KR102162398B1 (ko) 2019-06-05 2019-06-05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20A KR102162398B1 (ko) 2019-06-05 2019-06-05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398B1 true KR102162398B1 (ko) 2020-10-06

Family

ID=7282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720A KR102162398B1 (ko) 2019-06-05 2019-06-05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3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069Y1 (ko) * 2000-01-28 2000-07-15 명태성 마이크로 커넥터
KR20010098836A (ko) * 2000-04-24 2001-11-08 나까스기 로쿠로 전자 장치용 스피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069Y1 (ko) * 2000-01-28 2000-07-15 명태성 마이크로 커넥터
KR20010098836A (ko) * 2000-04-24 2001-11-08 나까스기 로쿠로 전자 장치용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27377A1 (en) Imaging device
JP499917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1222454A (ja) 電子部品
US10333246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connector
US6579132B2 (en) Electrical contact
CN108140974B (zh) 端子
WO2001003246A1 (fr) Connecteur pour cartes avec contact a la masse
JP4246131B2 (ja) 電線と素子内蔵ユニットとの接続構造
JP7125653B2 (ja) コネクタ
US20150056861A1 (en) Modul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e and mating connector
KR102162398B1 (ko)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JP2012164520A (ja) 中継コネクタ
JP3493907B2 (ja) バルブソケット
KR100823344B1 (ko) 커넥터 장착구조
JP2009004290A (ja) コネクタ装置及びクリップ
US20210194166A1 (en) Connector Assembly
JP7381523B2 (ja) 電気接続箱
KR101693024B1 (ko)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CN110970775B (zh) 同轴开关
JP4597750B2 (ja) 雌型の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US9379496B2 (en) Connector with electronic component holding portion
JP2002367696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200448593Y1 (ko) 커넥터
JP4871628B2 (ja) コネクタ
CN210296791U (zh) 一种带有插针件的安全接插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