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222B1 -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222B1
KR102162222B1 KR1020200094491A KR20200094491A KR102162222B1 KR 102162222 B1 KR102162222 B1 KR 102162222B1 KR 1020200094491 A KR1020200094491 A KR 1020200094491A KR 20200094491 A KR20200094491 A KR 20200094491A KR 102162222 B1 KR102162222 B1 KR 10216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ngine
wheel
hybrid motorcyc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886A (ko
Inventor
안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모터스
안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모터스, 안정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모터스
Priority to KR102020009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2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by batteries charg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휠, 모터휠과 타이어를 구비하는 후방휠, 조향장치, 시트 및 키박스가 설치되는 바디와, 배터리와, 및 엔진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스위치 On 신호가 발생하는 입력단계와, 상기 배터리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와, 상기 배터리로 상기 모터휠를 구동시키는 구동단계, 및 키스위치 Off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METHOD OF DRIVE CONTROL FOR HYBRID MOTORCYCLE }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 동력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모터 동력만으로 구동하는 방식을 도입한 신개념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는 도심 내에서의 우편 배달, 음식 배달, 물품 배달 등의 물적 운송 목적 또는 출퇴근 등의 인적 운송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오토바이는 동력원으로 내연 엔진, 그 가운데서도 특히 2사이클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여 왔다. 2사이클 가솔린 엔진은 큰 출력 및 토크로 인하여 모터사이클이 가파른 언덕을 손쉽게 오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가솔린 엔진은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가속 시에 엔진에서 큰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아파트, 주택가 등의 주거 지역이나 인구 밀집지역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오토바이는 공기의 오염 및 소음 발생을 야기시키는 내재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연엔진과 전기모터(모터휠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양자의 구동 변환을 통한 동력 변환 메커니즘을 적용한 하이브리드 오토바이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9644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모터휠이 바디(차체) 측에 직결되어 있어 모터휠의 진동 또는 덜컥거림이 시트 쪽으로 직접 전달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내연엔진이 반드시 모터휠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제어 방법을 적용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29644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휠이 바디(차체)가 아닌 엔진에 직결되어 있어 모터휠의 진동 또는 덜컥거림이 시트 측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을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배터리의 전기로만 모터휠을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연료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전방휠, 모터휠과 타이어를 구비하는 후방휠, 조향장치, 시트 및 키박스가 설치되는 바디와, 배터리와, 및 엔진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으로서, 키스위치 On 신호가 발생하는 입력단계; 상기 배터리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 상기 배터리로 상기 모터휠를 구동시키는 구동단계; 및 키스위치 Off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상기 엔진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휠이 장착되는 후방휠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휠브라켓은, 상기 엔진 측을 향하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엔진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개별적으로 결합홀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방결합돌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측 단부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후방휠이 상호 간의 사이에 축 결합 설치되도록 각각 설치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휠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제 1 판단단계에서 상기 배터리가 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없이 상기 배터리로 상기 모터휠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모터휠이 바디(차체)가 아닌 엔진에 직결되어 있어 모터휠의 진동 또는 덜컥거림이 시트 측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엔진을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배터리의 전기로만 모터휠을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연료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엔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휠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도시된 엔진 및 휠브라켓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의 순서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엔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휠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도시된 엔진 및 휠브라켓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의 순서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바디(100)와, 배터리(300)와, 엔진(700), 및 후방휠브라켓(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전방휠(110)과, 후방휠(120)과, 조향장치(130)와, 시트(140)와, 키박스(200)와, 모터컨트롤러(400)와, 제 1 엔진컨트롤러(500), 제 2 엔진컨트롤러(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기 공지된 오토바이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바디(100)는, 상기 전방휠(110)과, 상기 후방휠(120)과, 상기 조향장치(130)와, 상기 시트(140) 및 상기 키박스(200)가 설치되는 차체를 의미한다. 이 밖에도 기 공지된 오토바이의 부품(브레이크, 램프 등)이 상기 바디(100)에 더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기 공지된 부품의 기능 등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명료한 설명을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후방휠(120)은, 상기 배터리(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휠(121) 및 상기 모터휠(121)을 감싸는 타이어(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배터리(300)는, 상기 후방휠(120), 보다 상세히는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엔진(700) 및 기타 부품(램프 등)을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300)는, 충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300)는, 도 2에서와 같이 운전자의 발이 놓이는 위치인 중앙바디(100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배터리(300)는,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상기 바디(100)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 개소가 서로 다른 위치에 나뉘어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엔진(700)은, 연료 기반으로 구동되되 상기 배터리(300)를 충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엔진(700)은, 상기 전방휠(110)보다 상기 후방휠(120)에 인접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엔진(700)은, 상기 전방바디(100a)가 아닌 후방바디(100c)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엔진(700)은 구조적인 공간 확보를 위하여 중앙바디(100b)의 내측 공간 일부를 차지하며 상기 후방바디(100c)의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엔진(700)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개별적으로 결합홀(701a)을 구비하는 복수의 후방결합돌출부(70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700)은, 상기 배터리(300)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발전기(710), 및 상기 제 2 엔진컨트롤러(6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발전기(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엔진(700)은, 종래와 달리, 구동계(상기 모터휠(121))와 직접 물려있지 않기 때문에 스타트 모터 없이도 시동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즉, 상기 엔진(700)은, 종래와 달리, 발전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휠브라켓(800)은, 상기 엔진(700)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휠(120)이 장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후방휠브라켓(800)은, 상기 엔진(700) 측을 향하는 대향면(810a)을 가지며 상기 엔진(700)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개별적으로 결합홀(811a)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방결합돌출부(811)를 구비하는 베이스부(810)와, 상기 베이스부(810)의 좌우 측 단부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부(820), 및 상기 한 쌍의 아암부(820)의 단부(구체적으로는 후방 측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후방휠(120)이 상호 간의 사이에 축 결합 설치되도록 각각 설치홈(830a)을 구비하는 한 쌍의 휠설치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방휠브라켓(800)은, 상기 베이스부(810)와 상기 한 쌍의 아암부(820)의 절곡 부분 내측에 개재되어 구조적인 강성 확보를 도모하게 하는 보강부(8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810), 상기 한 쌍의 아암부(820), 및 상기 한 쌍의 휠설치부(830)는 판 형으로 구비되어, 상측에서 바라본 경우, 대략 'ㄷ'형태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810), 상기 한 쌍의 아암부(820), 상기 한 쌍의 휠설치부(830), 상기 보강부(840)는 스틸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호 간 용접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엔진(700)의 상기 복수의 후방결합돌출부(701)의 결합홀(701a)과 상기 후방휠브라켓(800)의 상기 복수의 전방결합돌출부(811)과 결합홀(811a)은 상호 매칭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후방휠브라켓(800)은 상기 복수의 후방결합돌출부(701)의 결합홀(701a)과 상기 복수의 전방결합돌출부(811)의 결합홀(811a)을 볼트(1) 결합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엔진(7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후방휠(120)은 브레이크 등의 부품과 함께 상기 한 쌍의 휠설치부(830)의 설치홈(830a)에 축 결합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모터휠(121)은, 모터휠-바디(차체)가 직결되는 구조였던 종래의 기술과 달리, 상기 후방휠브라켓(800)을 매개로 상기 엔진(700)에 직결(본 발명의 명세서에서의 직결의 의미는 모두 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된다. 즉, 상기 모터휠(121)은, 쇼크업소버를 제외하고, 상기 바디(100)와 연결되지 않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상기 모터휠(121)이 상기 바디(100)가 아닌 상기 엔진(700)에 직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휠(121)의 진동 또는 지면에서 전달되는 덜컥거림이 상기 바디(100)로 직접 전달되지 않아 상기 시트(140)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덜컥거림의 정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킨다.
상기 모터 컨트롤러(400)는, 상기 모터휠(12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컨트롤러(400)는, 상기 모터휠(121)의 전류량 제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속도 조절, 급발진 방지, 모터 과열 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모터 컨트롤러(400)는, 상기 조향장치(130)에 설치되는 핸들 액셀레이터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모터 컨트롤러(40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바디(100a)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 밖에도,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상기 바디(100)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는, 상기 배터리(300)의 방전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엔진(700)을 구동시켜 상기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는,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n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배터리(300)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엔진(70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700)의 방전 기준값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최적화된 전력 효율을 위하여 실험적으로 설정된 범위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는, 상기 배터리(300)가 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시키고, 상기 배터리(300)가 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시키는 한편 상기 엔진(700)을 구동시켜 상기 제 1 발전기(710)가 상기 배터리(300)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발전기(720)가 상기 제 2 엔진컨트롤러(6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엔진(7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발전기(710)는 상기 배터리(300)에 약 70V의 발전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발전기(710)는 상기 제 2 엔진컨트롤러(600)에 약 12V의 발전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감압 또는 승압 장치 사용을 최소화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는,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ff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배터리(300)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는,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ff 신호가 전달되면 그 동작 수행을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수행을 종료하는 방식은 상기 배터리(300)의 각 구성에의 전원 공급을 일제히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는, 도 2에서와 상기 중앙바디(100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 밖에도,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상기 바디(100)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상기 엔진(700)을 상기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상기 배터리(300)의 전기로만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연료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상기 제 2 엔진컨트롤러(600)는, 상기 엔진(7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엔진컨트롤러(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작동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엔진(700)이 최적의 성능으로 작동하도록 최적의 연료 분사량, 점화 시기, 연료 분사 시기 및 공기량 등을 계산하여 액추에이터 기반으로 인젝터, 점화 코일 등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엔진컨트롤러(600)는, 도 2에서와 상기 중앙바디(100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 밖에도,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상기 바디(100)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모터휠이 바디(차체)가 아닌 엔진에 직결되어 있어 모터휠의 진동 또는 덜컥거림이 시트 측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키고, 엔진을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배터리의 전기로만 모터휠을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연료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입력단계(S10), 제 1 판단단계(S20), 구동단계(S30) 및 제 2 판단단계(S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이하, 보다 간명한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를 '상기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로 기재한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휠(110), 상기 모터휠(121)과 상기 타이어(122)를 구비하는 상기 후방휠(120), 상기 조향장치(130), 상기 시트(140) 및 상기 키박스(200)가 설치되는 상기 바디(100)와, 상기 배터리(300)와, 및 상기 엔진(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상기 후방휠브라켓(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상기 모터컨트롤러(400)와,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 및 상기 제 2 엔진컨트롤러(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입력단계(S10)는, 키스위치 On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단계(S10)는,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n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로, 상기 입력단계(10)가 수행되면, 상기 배터리(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 구성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제 1 판단단계(S20)는, 상기 배터리(300)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판단단계(S20)는,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가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n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배터리(300)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단계(S30)는,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시키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단계(S30)는,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가 상기 배터리(300)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터휠(121)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엔진(700)을 구동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단계(S30)는, 상기 제 1 판단단계(S20)에서 상기 배터리(300)가 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300)의 충전없이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S3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단계(S30)는,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가 상기 배터리(300)가 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단계(S30)는, 상기 제 1 판단단계(S20)에서 상기 배터리(300)가 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시키는 한편, 상기 엔진(700)을 구동시켜 상기 배터리(300)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엔진(700)의 제어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엔진(70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3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단계(S30)는,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가 상기 배터리(300)가 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시키는 한편 상기 엔진(700)을 구동시켜 상기 제 1 발전기(710)가 상기 배터리(300)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발전기(720)가 상기 제 2 엔진컨트롤러(6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엔진(7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게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상기 엔진(700)을 상기 배터리(300)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상기 배터리(300)의 전기로만 상기 모터휠(121)을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연료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뿐 아니라, 상기 배터리(300)의 실시간 충전을 통해 그 사용 기간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상기 제 2 판단단계(S40)는, 키스위치 Off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판단단계(S40)는,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ff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로,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가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ff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상기 제 2 판단단계(S40)에서 키스위치 Off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상기 제 1 판단단계(S20)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가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ff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배터리(300)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상기 제 2 판단단계(S40)에서 키스위치 Off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수행을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상기 제 1 엔진컨트롤러(500)가 상기 키박스(200)에서 사용자에 의한 키스위치 Off 신호가 전달되면 그 동작 수행을 종료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 수행을 종료하는 방식은 상기 배터리(300)의 각 구성에의 전원 공급을 일제히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은 모터휠이 바디(차체)가 아닌 엔진에 직결되어 있어 모터휠의 진동 또는 덜컥거림이 시트 측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키고, 엔진을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배터리의 전기로만 모터휠을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연료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토바이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 볼트
100: 바디 100a: 전방바디
100b: 중앙바디 100c: 후방바디
110: 전방휠 120: 후방휠
121: 모터휠 122: 타이어
130: 조향장치 140: 시트
200: 키박스
300: 배터리
400: 모터컨트롤러
500: 제 1 엔진컨트롤러
600: 제 2 엔진컨트롤러
700: 엔진 701: 후방결합돌출부
701a: 결합홀 710: 제 1 발전기
720: 제 2 발전기
800: 후방휠브라켓 810: 베이스부
810a: 대향면 811: 전방결합돌출부
811a: 결합홀 820: 아암부
830: 휠설치부 830a: 설치홈
840: 보강부
S10: 입력단계
S20: 제 1 판단단계
S30: 구동단계
S40: 제 2 판단단계

Claims (1)

  1. 전방휠, 모터휠과 타이어를 구비하는 후방휠, 조향장치, 시트 및 키박스가 설치되는 바디와, 배터리와, 및 엔진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으로서,
    키스위치 On 신호가 발생하는 입력단계;
    상기 배터리의 방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
    상기 배터리로 상기 모터휠를 구동시키는 구동단계; 및
    키스위치 Off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오토바이는,
    상기 엔진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휠이 장착되는 후방휠브라켓;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휠브라켓은,
    상기 엔진 측을 향하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엔진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개별적으로 결합홀을 구비하는 복수의 전방결합돌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측 단부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아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단부에 개별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후방휠이 상호 간의 사이에 축 결합 설치되도록 각각 설치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휠설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제 1 판단단계에서 상기 배터리가 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없이 상기 배터리로 상기 모터휠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KR1020200094491A 2020-07-29 2020-07-29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KR102162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91A KR102162222B1 (ko) 2020-07-29 2020-07-29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91A KR102162222B1 (ko) 2020-07-29 2020-07-29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477A Division KR102162221B1 (ko) 2019-03-05 2019-03-05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886A KR20200107886A (ko) 2020-09-16
KR102162222B1 true KR102162222B1 (ko) 2020-10-06

Family

ID=7266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91A KR102162222B1 (ko) 2020-07-29 2020-07-29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2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095A (ja) * 2004-03-19 2005-09-2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取付構造
JP2006271040A (ja) * 2005-03-22 2006-10-05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ハイブリッド車両
KR100778902B1 (ko) 2007-02-01 2007-11-22 조시기 하이브리드 전동 스쿠터와 그 제어방법
JP2009196545A (ja) * 2008-02-22 2009-09-03 Tetsuo Sugioka ハイブリッド駆動方式の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44B1 (ko) 2009-03-31 2009-12-04 경대호 하이브리드 모터사이클
KR20150031794A (ko) * 2013-09-16 2015-03-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부스트 시스템이 적용된 하이브리드 트랙터의 부스터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3095A (ja) * 2004-03-19 2005-09-29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取付構造
JP2006271040A (ja) * 2005-03-22 2006-10-05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ハイブリッド車両
KR100778902B1 (ko) 2007-02-01 2007-11-22 조시기 하이브리드 전동 스쿠터와 그 제어방법
JP2009196545A (ja) * 2008-02-22 2009-09-03 Tetsuo Sugioka ハイブリッド駆動方式の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886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3865B1 (en) Driving force transfer system in a hybrid vehicle
JPH06225403A (ja) ハイブリッド型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KR10236541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WO2015008581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
US8151919B2 (en) Vehicle-used composite braking/accelerating system
KR102162214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
KR102162222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KR102162227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KR102162226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KR102162230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KR102162225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KR102162224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KR102162218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
KR102162220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
KR102162215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
KR102162216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
KR102162221B1 (ko) 하이브리드 오토바이의 구동제어방법
JPH11148387A (ja) ハイブリッド車用制御装置
KR20130025239A (ko) 전기자동차
JP6953077B2 (ja) 制動装置
US6864652B2 (en) Drive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of front-and-rear wheel drive type
JP2606023Y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
TWI757391B (zh) 控制混合動力車輛的系統及其方法
US20080283312A1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Electric Energy Source and a Method for Operation Said Vehicle
JP2006050877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