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978B1 - 그루브 조인트 - Google Patents

그루브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978B1
KR102161978B1 KR1020200062176A KR20200062176A KR102161978B1 KR 102161978 B1 KR102161978 B1 KR 102161978B1 KR 1020200062176 A KR1020200062176 A KR 1020200062176A KR 20200062176 A KR20200062176 A KR 20200062176A KR 102161978 B1 KR102161978 B1 KR 102161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groove
locking frame
pip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숙
Original Assignee
이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숙 filed Critical 이진숙
Priority to KR102020006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루브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에 고무링밸런스홈(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링(20); 제1·2 커플링커버(10a, 10b)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그루브 조인트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그루브 조인트 {GROOVE JOINT}
본 발명은 그루브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그루브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에 수직·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는 연결 조인트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조인트의 대표적인 것이 그루브 조인트이다.
이러한 그루브 조인트는 그 기능이 우수하여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그루브 조인트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는 두 개의 파이프(P1, P2) 사이에 설치된다. 그루브 조인트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커플링커버(1, 2); 한 쌍의 커플링커버(1, 2) 사이에 설치되며, 두 개의 파이프(P1, P2) 외주면에 밀착되는‘C’형 단면의 고무링(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두 개의 파이프(P1, P2)는 외부하중의 발생 시 서로 어긋나거나 휨으로 인해 생기는 누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약 2㎜ 정도의 유격(G)을 두고 배치된다.
고무링(3)은 두 개의 파이프(P1, P2) 연결부에 밀착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의 그루브 조인트는 고무링(3)이 두 개의 파이프(P1, P2)에 연결 설치됨으로 인해, 두 개의 파이프(P1, P2) 간의 유격(G)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강한 압력에 영향을 받아 그 끝단이 변형 또는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무링(3)의 변형 또는 손상으로 인한 누수위험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고무링(3)의 교체주기가 짧아져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결국, 그루브 조인트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고무링 끝단의 변형 또는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그루브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조인트는, 제1·2 커플링커버; 상기 제1·2 커플링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제1·2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C’형 단면의 고무링; 상기 제1·2 커플링커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커플링커버의 내주면 각각에는 상기 제1·2 파이프 간의 유격을 통하여 상기 고무링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무링이 변형·삽입되는 고무링밸런스홈이 형성되어 있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조인트는 제1·2 커플링커버에 고무링밸런스홈이 구비됨으로 인해, 고무링 내부에서의 강한 압력발생 시 고무링밸런스홈으로 고무링의 일부가 삽입됨에 따라 그 끝단이 가운데로 모여 고무링 끝단의 변형 또는 손상을 최소화시켜 기밀유지 효율을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고무링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무링의 내부공간이 커짐에 따라 유속이 줄어들어 고무링의 변형 또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그로 인해, 그루브 조인트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그루브 조인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조인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조인트의 사용상태도,
도 7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조인트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조인트는 일정의 유격(G)을 가지고 일렬로 배치되는 제1 파이프(P1) 및 제2 파이프(P2)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의 걸림테지지홈(H1, H2)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그루브 조인트는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사이에 설치되는 고무링(20); 제1·2 커플링커버(10a, 10b)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 커플링커버(10a, 10b)는 제1·2 파이프(P1, P2)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고무링(20)을 제1·2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압착시켜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및 제1·2 파이프(P1, P2)는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제1·2 파이프(P1, P2)는 자성체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커플링커버(10a)는 고무링(2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 고무링밸런스홈(12a)와 걸림테(12b) 및 압착돌기(12c)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몸체부(12); 몸체부(12)의 양단에 구비되며, 타원형의 볼트홀(14a)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커플링커버(10b)는 고무링(2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 고무링밸런스홈(12a)와 걸림테(12b) 및 압착돌기(12c)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몸체부(12); 몸체부(12)의 양단에 구비되며, 원형의 볼트홀(14b)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4)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2)의 고무링밸런스홈(12a)은 제1·2 파이프(P1, P2) 간의 유격(G)을 통하여 고무링(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강한 압력에 의해 고무링(20)이 변형·삽입되도록 한다. 즉, 고무링(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강한 압력이 발생될 경우, 고무링밸런스홈(12a)과 대응되는 고무링(20)의 부위가 고무링밸런스홈(12a)으로 파고 들어감에 따라 고무링(20)의 형태가 안으로 휘면서 그 끝단이 가운데로 모여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유체의 강한 압력에 의한 고무링(20) 끝단의 변형 또는 손상을 최소화시켜 기밀유지 효율을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고무링(20)의 교체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무링(20)의 내부공간이 커짐에 따라 유속이 줄어들어 고무링(20)의 변형 또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무링밸런스홈(12a)은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각각의 중앙 내주면을 따라 슬릿 형태로 연속 형성되어, 고무링(20) 전체가 골고루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테(12b)는 몸체부(12)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어 제1 파이프(P1)의 걸림테지지홈(H1)에 걸림 지지되며, 제1·2 파이프(P1, P2)와 접촉되는 걸림테(12b)의 접촉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코팅층(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걸림테(12b)의 끝단에는 자성이 형성되어,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1·2 파이프(P1, P2)의 걸림테지지홈(H1, H2)에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여 제1·2 커플링커버(10a, 10b)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걸림테지지홈(H1, H2)의 폭이 걸림테(12b)의 폭보다 클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제1·2 파이프(P1, P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착돌기(12c)는 몸체부(12)의 내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고무링(20)의 외면을 압착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외부충격 또는 외부환경 등에 의한 고무링(20)의 변형이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1·2 파이프(P1, P2)에의 고무링(20)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기밀유지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부(12)의 내면 상단 및 하단에는 복수의 파이프지지돌기(12d)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파이프지지돌기(12d)를 통해 제1·2 파이프(P1, P2)의 외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제1·2 커플링커버(10a, 10b)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2)의 양측 끝단에는 그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걸림돌기(12e) 및 걸림턱(12f)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걸림돌기(12e) 및 걸림턱(12f) 사이에는 고무링(20)의 손상 시 기밀유지를 위한 방수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부(14)는 체결부재(30)의 체결을 위하여 몸체부(12)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고무링(20)은 제1·2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밀착 설치되며,‘C’형 단면을 가진다.
이와 같은 고무링(20)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제1·2 파이프(P1, P2) 내부의 압력이 고무링(20)의 안쪽으로 고르게 미치게 되므로 압력이 높아질수록 기밀효과 또는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고무링(20)은 물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고무(EDPM)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는 제1·2 파이프(P1, P2)에의 설치상태를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마찰코팅층(미도시)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0)는 볼트(32) 및 너트(34)로 이루어지며, 볼트(32)는 제1·2 커플링커버(10a, 10b)의 볼트홀(14a, 14b)을 관통하여 너트(34)와 체결된다. 그리고 너트(34)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쐐기(34a)가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쐐기(34a)는 너트(34)와 맞대어지는 플랜지부(14)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고정쐐기(미도시)에 맞물림 결합되어 너트(34)가 임의적으로 풀림동작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그루브 조인트의 고무링 변형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2 커플링커버(10a, 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링(20)은 제1·2 파이프(P1, P2) 간의 유격(G)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고무링(20)이 가압 변형되면서 고무링밸런스홈(12a)의 내부로 파고들고, 이와 연동하여 고무링(20)이 안으로 휘면서 그 끝단 부분이 가운데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고무링(20) 끝단의 변형에 의해 유체의 압력에 따른 변형 또는 손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기밀유지 효율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고무링(20)이 고무링밸런스홈(12a)으로 파고듦에 따라 내부공간이 상대적으로 커져 유속을 줄일 수 있다.
도 7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루브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이는 걸림테지지홈(H1, H2)의 폭이 걸림테(12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루브 조인트는 제1·2 커플링커버(10a, 10b)에 형성되는 걸림테(12b)의 측면 및 제1·2 파이프(P1, P2)에 형성되는 걸림테지지홈(H1, H2)의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밀착 개재되는 유격유지부재(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유격유지부재(40)는 제1·2 파이프(P1, P1) 간의 유격(G)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외부하중에 의해 제1·2 파이프(P1, P2)가 서로 어긋나거나 휘어져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격유지부재(40)는 걸림테(12b)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그 손상시 교체 가능하도록 걸림테(12b)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격유지부재(40)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걸림테지지홈(H1, H2)의 폭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신축길이를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도 7의 (b)에서와 같이 걸림테(12b)의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대(42) 및 지지대(42)와 연결되는 스프링(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유격부재(40)를 제외한 다른 기술적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그루브 조인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a : 제1 커플링커버 10b : 제2 커플링커버
12 : 몸체부 12a : 고무링밸런스홈
12b : 걸림테 14 : 플랜지부
14a, 14b : 볼트홀 20 : 고무링
30 : 체결부재 40 : 유격유지부재
P1 : 제1 파이프 P2 : 제2 파이프
G : 유격

Claims (6)

  1. 일정의 유격(G)을 가지고 일렬로 배치되는 제1·2 파이프(P1, P2)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테지지홈(H1, H2)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는 그루브 조인트에 있어서,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상기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C’형 단면의 고무링(20); 상기 제1·2 커플링커버(10a, 10b)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커플링커버(10a, 10b)의 내주면 각각에는 상기 유격(G)을 통하여 상기 고무링(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무링(20)이 변형·삽입되는 고무링밸런스홈(1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커플링커버(10a)는 상기 고무링(2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고무링밸런스홈(1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에는 상기 걸림테지지홈(H1)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테(1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몸체부(12); 상기 몸체부(12)의 양단에 구비되며, 볼트홀(14a)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플링커버(10b)는 상기 고무링(2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고무링밸런스홈(1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에는 상기 걸림테지지홈(H2)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테(1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반원형의 몸체부(12); 상기 몸체부(12)의 양단에 구비되며, 볼트홀(14b)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4)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테지지홈(H1, H2)의 폭이 상기 걸림테(12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테(12b)의 측면 및 상기 걸림테지지홈(H1, H2)의 벽면 사이에 밀착 개재되어, 상기 유격(G)을 유지하는 유격유지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 조인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밸런스홈(12a)은 상기 제1·2 커플링커버(10a, 10b) 각각의 중앙 내주면을 따라 슬릿 형태로 연속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 조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파이프(P1, P2)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테(12b)에 일정의 자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 조인트.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격유지부재(40)는 상기 걸림테(12b)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브 조인트.
KR1020200062176A 2020-05-25 2020-05-25 그루브 조인트 KR102161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76A KR102161978B1 (ko) 2020-05-25 2020-05-25 그루브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76A KR102161978B1 (ko) 2020-05-25 2020-05-25 그루브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978B1 true KR102161978B1 (ko) 2020-10-06

Family

ID=7282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176A KR102161978B1 (ko) 2020-05-25 2020-05-25 그루브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9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77B1 (ko) 2021-03-23 2021-12-07 (주)앤디스코리아 그루브 조인트
KR102366375B1 (ko) * 2021-08-11 2022-02-23 이광희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KR102551523B1 (ko) * 2022-11-30 2023-07-05 (주)뉴아세아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5U (ja) * 1993-06-16 1995-01-13 日本タイラン株式会社 管継手
KR101244771B1 (ko) * 2004-05-14 2013-03-18 빅톨릭 컴패니 변형 가능한 기계적 파이프 커플링
KR101555584B1 (ko) * 2015-05-07 2015-09-24 (주) 케이 앤 지 스틸 리버스 배관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5U (ja) * 1993-06-16 1995-01-13 日本タイラン株式会社 管継手
KR101244771B1 (ko) * 2004-05-14 2013-03-18 빅톨릭 컴패니 변형 가능한 기계적 파이프 커플링
KR101555584B1 (ko) * 2015-05-07 2015-09-24 (주) 케이 앤 지 스틸 리버스 배관 연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77B1 (ko) 2021-03-23 2021-12-07 (주)앤디스코리아 그루브 조인트
KR102366375B1 (ko) * 2021-08-11 2022-02-23 이광희 광케이블용 통신관 커플러
KR102551523B1 (ko) * 2022-11-30 2023-07-05 (주)뉴아세아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978B1 (ko) 그루브 조인트
US7624991B2 (en) Seal ring and method
KR960011809B1 (ko) 분할식 파이프 커플링과 그 대칭 탄성 중합체 가스킷 세그먼트
US20190301608A1 (en) Connected part seal structure, and seal member
KR101615146B1 (ko) 이중 지수 구조가 구비된 상수도용 피복강관
US6626438B2 (en) Seal assembly for telescopic hydraulic cylinder
US20220163147A1 (en) Coupling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IL196511A (en) Gasket profile for balanced - counterbalanced elastomeric tubing for bell connectors for tubing
KR102353971B1 (ko) 그루브 조인트
KR20180122922A (ko) 개스킷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개스킷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CN210800403U (zh) 免维护高压补偿器
JP6962729B2 (ja) 漏洩防止装置
KR102173234B1 (ko) 그루브 조인트용 파이프
KR102245635B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KR20110001076U (ko) 도금관 평면 플랜지용 링 개스킷
CN105782445A (zh) 一种高压缩高回弹径向密封组件
KR200209203Y1 (ko) 팽창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켓
KR20090001795U (ko)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CN209743574U (zh) 一种波齿复合垫片
CN215335133U (zh) 波纹伸缩节
KR102144410B1 (ko) 가스켓
KR102564321B1 (ko) 가스켓
CN215335126U (zh) 一种直管压力平衡型波纹补偿器
KR200234099Y1 (ko) 이음관용 실링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