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498B1 -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498B1
KR102161498B1 KR1020180143939A KR20180143939A KR102161498B1 KR 102161498 B1 KR102161498 B1 KR 102161498B1 KR 1020180143939 A KR1020180143939 A KR 1020180143939A KR 20180143939 A KR20180143939 A KR 20180143939A KR 102161498 B1 KR102161498 B1 KR 10216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cartridge
cassette
reel
supply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075A (ko
Inventor
이선균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18014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498B1/ko
Priority to PCT/KR2019/015582 priority patent/WO2020105961A1/ko
Publication of KR2020005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형성된 리본 프레임과 카세트가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는 공급릴과 권취릴이 이격상태로 장착되도록 공급릴 장착부와 권취릴 장착부가 형성되는 리본프레임; 기록매체가 수납되는 카세트; 상기 리본프레임의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카세트의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CARTRIDGE FOR THERMAL SUBLIMATION PRINTER}
본 발명은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형성된 리본 프레임과 카세트가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이벤트 또는 일상 생활의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 들어 휴대용 스마트폰과 유/무선 통신하며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즉석에서 고품질로 인쇄할 수 있는 휴대용 승화 프린터가 점차 개발 보급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염료 승화형 프린터는 염료가 도포된 열전사 리본에 열을 가하여 리본 상의 염료가 기록매체에 전사되어 정착되도록 하는 방식의 프린터를 말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구조를 설명한다.
종래 염료승화형 프린터(200)는 카트리지(100)가 측면에서 삽입되도록 카트리지 삽입홀(211)이 형성된다.
상기 프린터(200)는 측면에 카트리지 삽입홀(211)이 형성된 프린터 몸체부(210)와, 측면 덮개(220)와, 가압 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린터 몸체부(210)는 기록매체가 인출되는 배출구(212)와, 카트리지(100)와 결합하는 제 1 부싱(213), 제 2부싱(214) 및 카트리지 고정돌기(215)가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 고정돌기(215)는 프린터 몸체부(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쐐기 형상의 부재로서, 카트리지 삽입홀(211)로 삽입된 카트리지(100)의 카트리지 고정홀(116)과 끼움 결합하여 상기 카트리지(100)가 프린터(200)의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카트리지(100)가 프린터(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측면 덮개(220)는 프린터 몸체부(21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트리지 삽입홀(211)이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한다.
상기 가압 스프링(230)은 프린터 몸체부(210)의 상부 하우징(210a) 저면에 설치된 판 스프링으로서, 상기 프린터 몸체부(210)로 수납된 카트리지(100)의 기록매체 수납부(111) 상면과 밀착되어 상기 기록매체 수납부(111)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4 및 도 5는 종래 카트리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100)는 기록매체 수납부(111)와, 잉크 리본을 권취한 공급릴(120)과, 인쇄된 잉크 리본을 권취하는 권취릴(130)을 일렬로 배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카트리지 몸체부(110)와, 카트리지 덮개부(140)와, 가압 스프링 홀(1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고정돌기(215)와 끼움 결합하는 카트리지 고정홈(116)이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100)가 프린터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프린터(200)에 삽입된 카트리지(100)가 프린터(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00)를 파지하는 손잡이(117)를 설치하여 프린터(200)에 삽입된 카트리지(100)를 분리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프린터(200)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트리지는 기록매체 수납부(111)가 리본이 장착된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기록매체 수납부(111)나 리본을 장착하기 위한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있는 경우, 카트리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급릴에서 공급된 리본이 권취릴에 권취될 때 이송 경로 중에 리본이 꼬이거나 구김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프린터의 생산과정에서 일정한 검사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00)를 프린터(200)에 장착한 후 이미지를 인화하여 프린터(200)의 작동이나 화질을 테스트한다. 그러나 종래의 프린터(200)는 카트리지(100)를 프린터에 장착할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고정홈(116)에 프린터의 하우징(210A)에 형성된 고정돌기(215)와 끼움결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프린터 몸체부(210)에 하우징(210a)까지 완벽하게 조립한 상태에서만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완벽하게 조립한 제품을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10-2015-0088402 등록특허 10-1507064 공개특허 10-2015-0088402 등록특허 10-148632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본 프레임과 카세트가 분리형성된 분리형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본 프레임과 카세트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분리형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릴에서 공급된 리본이 권취릴에 권취될 때 리본의 구김이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는 공급릴과 권취릴이 이격상태로 장착되도록 공급릴 장착부와 권취릴 장착부가 형성되는 리본프레임; 기록매체가 수납되는 카세트; 상기 리본프레임의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카세트의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 또는 안착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세트와 가이드바 사이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카세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본프레임은, 상기 권취릴의 전측 하방에 구비되는 아이들 롤러; 및 상기 아이들롤러를 통과한 리본의 이송경로를 상향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의 중심에는 상기 리본의 폭방향 중심을 양측 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서 상기 권취릴 방향으로 하향하는 절곡부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본이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상기 절곡부의 후단에만 접하면서 이송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상단은 상기 절곡부의 전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양측 단부의 상부에는 리본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들뜸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릴 장착부에는 상기 공급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하는 리본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이들 롤러는 상기 리본프레임에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본 프레임과 카세트를 분리형성하고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리본 프레임과 카세트 중 어느 하나의 불량이 있는 경우, 불량이 있는 부품만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 및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리본 프레임과 카세트를 분리형성하더라도 결합시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급릴에서 공급된 리본이 권취릴에 권취될 때 리본에 텐션을 부여함으로써 리본의 구김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카트리지가 프린터의 케이스가 아닌 프린터 엔진에 장착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테스트가 용이하고, 인쇄품질이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염료 승화형 프린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종래 염료 승화형 프린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의 리본프레임과 카세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에서 리본의 이송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의 리본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의 구조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는 리본프레임(10)과 카세트(20)가 분리되어 구성되고, 결합시켜 사용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리본프레임(10)과 카세트(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리본프레임(10)은 리본(도 10의 'R'참조)의 공급릴(R1)이 장착될 수 있도록 공급릴 장착부(12a)이 형성되고, 권취릴(R2)이 장착될 수 있도록 권취릴 장착부(1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세트(20)는 인화용지 등의 기록매체(미도시)가 상하방향으로 복수장 적층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상기 리본프레임(10)의 양측벽에는 횡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이 형성되고, 카세트(20)의 양측벽에는 횡방향으로 가이드바(21)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에는 상기 가이드바(21)가 진입할 수 있도록 레일홈(1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바(21)가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진입함으로써 상기 카세트(20)와 리본프레임(1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카세트(20)와 리본프레임(10)을 보다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바(21)에는 외측으로 장착돌기(21b)가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21b)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에도 2개의 안착홀(1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장착돌기(21b)가 안착홀(11b)에 안착될 때 클릭감이 전달되기 때문에 카세트(10)를 밀어 리본프레임(10)에 장착하는 것으로 장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21b)가 안착홀(11b)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홀(11b)은 평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1)는 전단은 상기 카세트(20)에 연결되어 일체형성되지만, 장착돌기(21b)가 형성된 후단과 카세트(20) 사이에는 절개부(21a)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카세트(20)를 합성수지재나 금속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가이드바(21)가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진입할 때 상기 장착돌기(21b)가 가이드레일(11)을 만나게 되면 상기 절개부(21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적으로 장착돌기(21b)가 카세트(20) 방향으로 후퇴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바(21)가 가이드레일(11)의 안쪽으로 좀 더 진입하게 되면 탄성변형되었던 가이드바(21)가 다시 원복하면서 장착돌기(21b)가 안착홀(11b)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절개부(21a)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장착돌기(21b)가 진입할 때 한 쌍의 가이드레일(11)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진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가이드레일(11)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때문에 절개부(21a)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카세트(20)의 일측벽에는 록킹부재(22)가 구비되는데, 상기 록킹부재(22)는 카세트(20)와 리본프레임(10)이 결합된 카트리지(1)를 프린터 본체(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록킹부재(22)는 상기 카세트(20)의 일측벽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후크(22a)가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한 쌍의 그리퍼(22b)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장착돌기(21b)와 2개의 안착홀(11b)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돌기(21b)와 안착홀(11b)의 형성갯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1)에는 안착홀(11b) 대신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리본프레임(10)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릴 장착부와 권취릴 장착부에는 각각 공급릴(R1)과 권취릴(R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급릴 장착부에 장착된 공급릴(R1)의 일측으로는 리본커버(13)가 구비된다. 공급릴(R1)과 권취릴(R2) 사이에는 열을 인가하는 헤드(Thermal Printing Head)가 위치되어 기록매체에 리본(R)의 염료를 승화시켜 화상을 형성하는데, 헤드(미도시)에서 인가되는 열이 공급릴(R1)에 권취되어 있는 리본(R)에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시 말해, 리본커버(13)는 공급릴(R1)에 권취되어 있는 리본(R)을 열이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고, 리본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공급릴(R1)의 원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리본커버(13)가 권취릴(R1)에 대향하는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리본의 오염은 주로 헤드에 근접한 부분에서 이루어지고, 카트리지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리본커버(13)는 전체적으로 공급릴(R1)에 밀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되, 하단(13a)은 권취릴(R1)에서 공급된 리본(R)이 헤드의 하방으로 공급되도록 절곡되어 있고, 특히, 절곡된 부분은 마찰없이 리본을 이송하기 위하여 'R'가공되어 있다.
상기 리본커버(13)의 하단(13a)을 통과한 리본(R)은 헤드를 지나면서 염료가 기록매체로 승화되면서 사용되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염료가 승화된 리본(기재)은 헤드의 하방에서 아이들롤러(14)와 브라켓(15)을 거쳐 권취릴(R1)로 권취된다.
상기 아이들 롤러(14)는 상기 권취릴(R1)의 전측 하방에 구비되어 리본커버(13)의 하부를 통해 이송되는 리본(R)을 수평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아이들 롤러(13)를 통과한 리본(R)은 다시 브라켓(15)에 의해 권취릴(R1)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로 이송된다. 즉, 상기 브라켓(15)의 상단(15b)는 상기 권취릴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브라켓(15)은 상기 권취릴(R1)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단(15b)에서 상기 아이들 롤러(14)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상단(15b)에서 상기 권취릴 방향으로 하향하는 절곡부(15c)가 연장형성된다.
한편, 리본(R)은 두께가 얇은 필름형태이기 때문에 이송 중에 구김이나 꼬임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염료가 승화된 상태가 더욱 구김이나 꼬임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와 같이 리본(R)에 구김이나 꼬임이 발생하면 권취릴(R2)에 일정하게 권취되지 못하고, 이에 그치지 않고 헤드의 하방에서 기록매체와 평행하게 이송되지 못하고 뒤틀어진 상태로 이송되어 화상의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리본의 구김이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라켓(15)에 상기 리본(R)의 중심을 양측 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돌출부(15a)가 형성된다. 도 11은 돌출부(15a)가 형성된 위치에서 리본(R)의 형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R)은 돌출부(15a)에 의해 폭방향의 중심(R0)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양측 단부로 갈수록 후측으로 커브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본의 중심(R0)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리본(R)을 폭방향으로 인위적인 텐션을 부여함으로써 리본이 이송중에 구김이나 꼬임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5a)는 상기 브라켓(15)에만 형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절곡부(15c)의 상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리본(R)은 폭방향으로 중심이 상방으로 돌출되고 양측 단부는 하향하는 커브가 형성되어 마찬가지 이유로 구김이나 꼬임이 방지되면서 권취릴에 권취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또한 상기 절곡부(15c)의 양측 단부의 상부에는 리본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권취릴(R2)로 평행하게 권취되는 것을 안내하는 들뜸방지판(도 12의 '16'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리본의 양측 단부가 들뜨게 되면 구김이나 꼬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15c)는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5)의 상단은 상기 절곡부(15c)의 전단보다 돌출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리본(R)이 브라켓의 상단과 절곡부의 후단(끝단,15d)에만 접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리본은 이송중에 절곡부(15c)를 접하지 않는다. 상기 브라켓의 상단(15b)도 리본 이송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R'가공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들 롤러(14)는 상기 리본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 롤러(14)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공급릴과 권취릴을 장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본이 감겨진 공급릴을 공급릴 장착부에 장착하고, 리본의 선단을 리본커버의 하단을 통과하고, 브라켓의 상단을 지나 권취릴에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아이들 롤러(14)의 축을 축홀(14b)에 장착하기 때문에 리본의 장착이 매우 용이해진다. 만약, 아이들 롤러가 리본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면, 리본의 선단을 아이들 롤러의 하방에 있는 미세한 틈으로 삽입하여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1: 실시예 10: 리본프레임
11: 가이드레일 12a: 공급릴 장착부
12b: 권취릴 장착부 13: 리본커버
14: 아이들 롤러 15: 브라켓
16: 들뜸방지판 20: 카세트
21: 가이드바 22: 록킹부재

Claims (9)

  1. 공급릴과 권취릴이 이격상태로 장착되도록 공급릴 장착부와 권취릴 장착부가 형성되는 리본프레임;
    기록매체가 수납되는 카세트;
    상기 리본프레임의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카세트의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 또는 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카세트와 가이드바 사이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카세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돌기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카세트에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프레임은,
    상기 권취릴의 전측 하방에 구비되는 아이들 롤러; 및
    상기 아이들롤러를 통과한 리본의 이송경로를 상향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서 상기 권취릴 방향으로 하향하는 절곡부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리본이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만 접하면서 이송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상단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양측 단부의 상부에는 리본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들뜸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릴 장착부에는 상기 공급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하는 리본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20180143939A 2018-11-20 2018-11-20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KR10216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39A KR102161498B1 (ko) 2018-11-20 2018-11-20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PCT/KR2019/015582 WO2020105961A1 (ko) 2018-11-20 2019-11-14 염료 승화형 프린터용 카트리지, 이를 이용한 염료 승화형 프린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939A KR102161498B1 (ko) 2018-11-20 2018-11-20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75A KR20200059075A (ko) 2020-05-28
KR102161498B1 true KR102161498B1 (ko) 2020-10-05

Family

ID=7092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939A KR102161498B1 (ko) 2018-11-20 2018-11-20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214A (ja) * 2003-03-31 2004-10-2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2012139979A (ja) * 2011-01-06 2012-07-26 Canon Inc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853U (ja) * 1992-05-18 1993-12-1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プリンタ
KR100419349B1 (ko) * 2002-05-03 2004-02-21 코리아프린팅시스템 주식회사 미니 프린터용 페이퍼 가이드장치
KR101486327B1 (ko) 2013-11-14 2015-02-06 프리닉스(주) 휴대용 승화 프린터의 캠 장치
KR101581527B1 (ko) 2014-01-24 2015-12-30 프리닉스(주)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프린터
KR101507064B1 (ko) 2014-01-24 2015-04-07 프리닉스(주) 승화형 포토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KR101935889B1 (ko) * 2016-02-25 2019-01-08 (주)씨앗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214A (ja) * 2003-03-31 2004-10-2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2012139979A (ja) * 2011-01-06 2012-07-26 Canon Inc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75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484B2 (en) Integrated cartridge and portable printer using same
JP4407631B2 (ja) ロール紙給紙機構、ロール紙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8985730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with enhanced media and ribbon loading and unloading features
JP2006306511A (ja) ロール紙頭出し機構、給紙カセット、及びプリンタ
KR102161508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JP6685627B1 (ja) プリンタ
JP2007160801A (ja) ロール紙給紙機構、ロール紙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6285845B1 (en) Card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EP0301075A1 (en) Compliant head loading mechanism for thermal printer
US6380964B1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KR102161498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KR102161503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US8092105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KR102161509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 제조방법
JP2002120446A (ja) 熱転写プリンタ
JP2009190799A (ja) ロール紙給紙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199687B1 (ko)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JP2006315362A (ja) 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
JP5780343B2 (ja) プリンター
US7726892B2 (en) Donor cartridge for thermal printer
KR20150088763A (ko)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프린터
KR20220068492A (ko) 잉크 리본 카트리지
KR200182775Y1 (ko) 열전사리본 풀림 방지장치
JP3779607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2927008B2 (ja) リボン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