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312B1 -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 - Google Patents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312B1
KR102161312B1 KR1020180173634A KR20180173634A KR102161312B1 KR 102161312 B1 KR102161312 B1 KR 102161312B1 KR 1020180173634 A KR1020180173634 A KR 1020180173634A KR 20180173634 A KR20180173634 A KR 20180173634A KR 102161312 B1 KR102161312 B1 KR 102161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
pants
shoe
elastic strap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747A (ko
Inventor
황은연
Original Assignee
황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은연 filed Critical 황은연
Priority to KR1020180173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3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A41F17/04Straps on the lower end of legs of 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A41F17/02Clips or the like for trousers or skirts, e.g. for cyclis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바지의 밑단에 재봉 등으로 결합된 밑단 구조물에 있어서, 탄성끈의 양단부를 묶어 상기 밑단 구조물에 연결하고, 탄성끈을 신발 둘레에 둘러 신발 하부측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바지 밑단이 신발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등산 등의 레저활동시 바지 밑단과 신발 사이로 돌,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레저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HEM OF PANTS STRUCTURE FOR INDUCE CONTACT WITH SHOES}
본 발명은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바지의 밑단에 재봉 등으로 결합된 밑단 구조물에 있어서, 탄성끈의 양단부를 묶어 상기 밑단 구조물에 연결하고, 탄성끈을 신발 둘레에 둘러 신발 하부측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바지 밑단이 신발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등산 등의 레저활동시 바지 밑단과 신발 사이로 돌,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레저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등산이나 낚시 등과 같은 야외활동 인구가 증가하면서 야외활동용으로 기능성 의류, 즉 아웃도어 의류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아웃도어 의류는 야외 활동 시 바람이나 추위 등을 막기 위해 또는 비나 눈으로부터 보호하거나 투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성 소재가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기와 같은 방풍, 방한, 방수 등의 기능은 대부분 자켓에 적용되고 있고, 셔츠나 바지 분야의 의류에는 일부분의 기능을 가진 소재가 이용되고 있는데, 셔츠의 경우 자켓에 의해 상기와 같은 모든 기능이 대부분 커버될 수 있지만, 바지의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을 가진 별도의 덧바지를 착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의 덧바지의 경우에는 속바지 상에 입어야 하므로, 통이 아주 크지 않으면 속바지 상에 입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통이 크다보니 옷 맵시가 좋지 못하고, 또한 덧바지 자체만을 속바지로 입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보니, 통상의 아웃도어용 바지를 착용하고 신발을 신으면, 바지와 신발 사이에 공간이 생겨, 활동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이 바지 또는 신발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먼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983호에는 야외화동용 바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야외활동용 바지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가 연장 형성되며, 양 측부 각각에 주머니 입구가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발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는 상기 발목부를 수용하며, 착용자의 신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 커버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벨트부 중 상기 한 쌍의 주머니 측 각각에 인접하여 암벨트 및 수벨트의 일단이 결합되고, 착용 시 둔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허리 고무밴드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다리부 각각의 전방과, 벨트부 전방 및 커버부 전방에 일자로 지퍼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착용 시 양측의 지퍼를 내려 하체에 둘러싼 후 지퍼를 다시 올리게 되면 다리부에 다리를 넣을 필요없이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고, 속바지를 입은 상태에서 다리를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바지의 통도 크게 형성될 필요가 없어 착용했을 경우 옷 맵시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비나 눈이 오는 날에도 커버부가 신발 위를 덮고 있으므로 비나 눈에 의해 신발이 젖을 염려가 없고, 눈이 쌓인 곳에서 활동하더라도 신발 사이로 눈이 들어갈 염려가 없어 발이 습해지거나 동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바지의 길이방향 전체에 대하여 신발에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착용감이 상당히 불편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레저 등을 위한 야외활동시 착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368호에는 바지 끝단 끌림 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바지의 끝단 내측과 신발의 뒤축부분에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결합부를 각각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필요에 따라 바지를 길게 입어야 하는 경우 바지끝단이 신발의 뒤축 하단부에 결합되게 하여 보행시 바지끝단이 땅바닥에 끌려 해어지는 것을 막아 바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지와 신발에 대한 독특한 패션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바지 밑단 끌림 방지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바지가 지면 끌리지 않도록 바지의 뒤쪽 밑단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신발의 뒤축상에 바지 뒤쪽 밑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근본적인 목적은 상이하지만, 바지의 밑단을 신발에 부착한다는 점에서 목적상 유사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기술의 경우,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는 목적은 달성되지만, 그 구조가 본 출원인이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 상이하고 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983호(2011.06.09.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368호(2006.12.1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바지의 밑단에 재봉 등으로 결합된 밑단 구조물에 있어서, 탄성끈의 양단부를 묶어 상기 밑단 구조물에 연결하고, 탄성끈을 신발 둘레에 둘러 신발 하부측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바지 밑단이 신발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등산 등의 레저활동시 바지 밑단과 신발 사이로 돌,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레저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는,
바지(1)의 밑단(hem) 일측에 재봉으로 박음질되어 결합되는 밑단 구조물(10)과,
상기 밑단 구조물(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탄성끈(20)을 포함하되,
상기 밑단 구조물(10)은 바지(1)의 다리가 삽입되는 2개의 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탄성끈(20)은 2개의 밑단 구조물(10) 각각에 양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밑단 구조물(10)은 일측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홀(11)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끈(20)의 단부가 통과 후, 매듭지어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끈(20)은,
신발(2)을 둘러싸면서 신발(2)의 하부측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바지(1)의 밑단이 신발(2)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고,
신발(2)의 발목 내지 다리가 노출되는 영역을 완전히 감싸줌으로써, 활동시 튀는 이물질이 신발(2) 내부 또는 바지(1) 밑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에 의하면,
탄성끈의 양단부를 묶어 상기 밑단 구조물에 연결하고, 탄성끈을 신발 둘레에 둘러 신발 하부측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바지 밑단이 신발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등산 등의 레저활동시 바지 밑단과 신발 사이로 돌,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레저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의 사용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바지의 밑단에 재봉 등으로 결합된 밑단 구조물에 있어서, 탄성끈의 양단부를 묶어 상기 밑단 구조물에 연결하고, 탄성끈을 신발 둘레에 둘러 신발 하부측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바지 밑단이 신발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등산 등의 레저활동시 바지 밑단과 신발 사이로 돌, 흙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레저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설명에 앞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도 1a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a에 따르면, 밑단 구조물(10)은 바지(1)의 밑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정간격은 2cm일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바지(1)의 밑단(hem)에 재봉으로 박음질되어 결합되는 밑단 구조물(10)과,
상기 밑단 구조물(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탄성끈(20)을 포함하되,
상기 밑단 구조물(10)은 바지(1)의 다리가 삽입되는 2개의 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탄성끈(20)은 2개의 밑단 구조물(10) 각각에 양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밑단 구조물(10)은 일측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홀(11)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끈(20)의 단부가 통과 후, 매듭지어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구조를 통해 착용된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의 사용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바지(1)의 밑단에 결합된 밑단 구조물(10)의 홀(11)을 통해 결합된 탄성끈(20)이 신발(2)을 둘러싸면서 신발(2)의 하부측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탄성끈(20)의 탄성력에 의해, 신발(2)로의 안착이 용이하고, 활동시 충분한 신축성을 통해 착용감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바지(1)의 밑단이 신발(2)로 완전히 밀착되면서, 신발(2)의 발목 내지 다리가 노출되는 영역을 완전히 감싸줌으로써, 활동시 튀는 돌, 모래 또는 흙 등의 이물질이 신발(2) 내부 또는 바지(1) 밑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탄성끈(20)에 탄성을 부여하더라도, 상기 탄성끈(20)이 바지(1)의 밑단에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착용시 바지(1) 밑단의 일측이 당겨짐을 느껴 불편함을 갖을 수 있으므로,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밑단 구조물(10)의 일측에 상부 지지부재(12) 및 하부 지지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되 도면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르면, 바지(1)의 밑단을 향하는 밑단 구조물(10)의 일면, 즉 후면으로는 홀(11)을 기준으로 상측에 상부 지지부재(12)가 구비되고, 하측에 하부 지지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12)는 단단한 재질(철, 금속 등)의 판으로 구성되어 밑단 구조물(10)의 후면에 부착, 덮개 등을 통해 고정된다.
다만, 상기 하부 지지부재(13)의 경우, 부착보다는 덮개를 씌우고 재봉질함으로써 밑단 구조물(10)의 후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 지지부재(13)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 지지부재(12)와 동일하게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2개의 몸체(131)와,
상기 2개의 몸체(131)가 이격될 때, 그 사이를 연결하는 플렉시블(flexibe, 실리콘 등)한 재질로 이루어진 2개의 플렉시블 몸체(132)와,
각 몸체(131)에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로 삽입되되 각 단부가 2개의 플렉시블 몸체(132)의 일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몸체(132)가 몸체(131)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봉(133)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 하 방향으로 2개로 구성되되, 2개의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플렉시블 몸체(132)와 고정봉(133)은 일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실리콘인 경우 열화접착 등을 통해 후천적인 일체화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몸체(132)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그 폭이 몸체(131)에 비해 좁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플렉시블 몸체(132)로는 탄성끈(20)이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34)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일 수도 있고, 판스프링일 수도 있다. 이는 탄성력을 확보하면서 연결하는 기능을 하면 충분하다.
상술된 구조에 의하면, 밑단 구조물(10)은 홀(11)을 기준으로 상측이 탄성끈(20)의 당김에 의해 접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홀(11)을 기준으로 하측 역시 몸체(131)로 인해 탄성끈(20)의 당김에 따른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끈(20)이 신발(2)에 착용된 뒤, 바지(1)의 밑단 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플렉시블 몸체(132)에 의해, 탄성끈(20)이 안착되더라도 몸체(131)에 주는 영향이 없게 되어 바지(1)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고, 또한 플렉시블 몸체(132)에 의해 탄성끈(20)의 유동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134)로 인해 2개의 지지부재가 상, 하 방향으로 유동됨에 따라, 탄성끈(20)에 의한 외력(外力)을 잡아줄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밑단 구조물(10)의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바지
2 : 신발
10 : 밑단 구조물
11 : 홀
12 : 상부 지지부재
13 : 하부 지지부재
131 : 몸체
132 : 플렉시블 몸체
133 : 고정봉
134 : 탄성부재
20 : 탄성끈

Claims (2)

  1. 바지(1)의 밑단(hem) 일측에 재봉으로 박음질되어 결합되는 밑단 구조물(10)과,
    상기 밑단 구조물(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탄성끈(20)을 포함하되,
    상기 밑단 구조물(10)은 바지(1)의 다리가 삽입되는 2개의 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탄성끈(20)은 2개의 밑단 구조물(10) 각각에 양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밑단 구조물(10)은 일측에 폭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홀(11)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끈(20)의 단부가 통과 후, 매듭지어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에 있어서,
    - 상기 탄성끈(20)은,
    신발(2)을 둘러싸면서 신발(2)의 하부측에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바지(1)의 밑단이 신발(2)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고,
    신발(2)의 발목 내지 다리가 노출되는 영역을 완전히 감싸줌으로써, 활동시 튀는 이물질이 신발(2) 내부 또는 바지(1) 밑단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 상기 밑단 구조물(10)은,
    상기 탄성끈(20)이 바지(1)의 밑단에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착용시 바지(1) 밑단의 일측이 당겨짐을 느껴 불편함을 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1)의 밑단을 향하는 밑단 구조물(10)의 후면으로는 홀(11)을 기준으로 상측에 상부 지지부재(12)가 구비되고, 하측에 하부 지지부재(13)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 지지부재(12)는 단단한 재질의 판으로 구성되어 밑단 구조물(10)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재(13)는 덮개를 통해 재봉질되어 밑단 구조물(10)의 후면에 고정되며,
    성가 하부 지지부재(13)는,
    상기 상부 지지부재(12)와 동일하게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2개의 몸체(131)와, 상기 2개의 몸체(131)가 이격될 때, 그 사이를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2개의 플렉시블 몸체(132)와, 각 몸체(131)에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로 삽입되되 각 단부가 2개의 플렉시블 몸체(132)의 일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렉시블 몸체(132)가 몸체(131)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봉(133)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 하 방향으로 2개로 구성되되, 2개의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밑단 구조물(10)은 홀(11)을 기준으로 상측이 탄성끈(20)의 당김에 의해 접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홀(11)을 기준으로 하측은 몸체(131)로 인해 탄성끈(20)의 당김에 따른 접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끈(20)이 신발(2)에 착용된 뒤, 바지(1)의 밑단 외관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
  2. 삭제
KR1020180173634A 2018-12-31 2018-12-31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 KR10216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34A KR102161312B1 (ko) 2018-12-31 2018-12-31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34A KR102161312B1 (ko) 2018-12-31 2018-12-31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47A KR20200082747A (ko) 2020-07-08
KR102161312B1 true KR102161312B1 (ko) 2020-09-29

Family

ID=7160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34A KR102161312B1 (ko) 2018-12-31 2018-12-31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3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48Y1 (ko) * 2012-01-06 2013-07-12 김보현 바지단 고정용 밴드
KR101893352B1 (ko) * 2017-07-28 2018-08-31 안성용 발목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368Y1 (ko) 2006-09-28 2006-12-11 장은호 바지 끝단 끌림 방지장치
KR200453983Y1 (ko) 2011-03-02 2011-06-09 정재수 야외활동용 바지
KR20120006381U (ko) * 2011-03-07 2012-09-17 최용석 바지 밑단 고정 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48Y1 (ko) * 2012-01-06 2013-07-12 김보현 바지단 고정용 밴드
KR101893352B1 (ko) * 2017-07-28 2018-08-31 안성용 발목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47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06090A (en) Protecting shield
US2483136A (en) Rain chap
US20090255027A1 (en) Rain leggings
JP5459733B2 (ja) バッグ兼用レッグウォーマー
ES2730475T3 (es) Prenda de vestir autoportante
KR102161312B1 (ko) 신발로의 밀착을 유도하는 바지 밑단 구조물
KR200453983Y1 (ko) 야외활동용 바지
JP3064897U (ja) スポ―ツ用脚部保護具
KR200479242Y1 (ko) 스패츠
KR200365431Y1 (ko) 하체용 우의
KR101589032B1 (ko) 탈의와 착의가 간편한 런닝셔츠
KR200461471Y1 (ko) 치마형 우의
KR102619373B1 (ko)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KR20130039841A (ko) 방수용 신발 스패츠
KR200361372Y1 (ko) 스패츠기능을 갖춘 양말
US20140082813A1 (en) Pants guard
US2185456A (en) Leg guard
KR200434368Y1 (ko)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엣지가드
JP4141404B2 (ja) 和服用雨除けモンペ
KR200213809Y1 (ko) 물 튀김 방지용 차단패드가 구비된 구두
KR200317249Y1 (ko) 바지형침낭
KR100480861B1 (ko) 방수바지
KR200418863Y1 (ko) 사계절용 바지
KR200213810Y1 (ko) 물 튀김 방지용 차단패드가 구비된 구두
TWM590875U (zh) 連身雨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