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135B1 -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 Google Patents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135B1
KR102161135B1 KR1020180073431A KR20180073431A KR102161135B1 KR 102161135 B1 KR102161135 B1 KR 102161135B1 KR 1020180073431 A KR1020180073431 A KR 1020180073431A KR 20180073431 A KR20180073431 A KR 20180073431A KR 102161135 B1 KR102161135 B1 KR 10216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feces
sheet
sheet body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024A (ko
Inventor
황일규
김민상
Original Assignee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양미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1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the alarm be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내부에 소변 및 대변을 구별할 수 있는 시약 및 보조성분을 묻혀 대소변감지부를 통해 외부에서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에 관한 것으로, 기저귀의 외부를 감싸면서 착용되는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대변 및 소변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약 및 보조성분이 묻혀진 거름 종이와,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구비되어 시약 및 보조성분의 감별에 따라 대변 및 소변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SENSING SHEET FOR DISTINCTION OF URINE AND FECES}
본 발명은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내부에 소변 및 대변을 구별할 수 있는 시약 및 보조성분을 묻혀 대소변감지부를 통해 외부에서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뇨의 처리를 스스로 처리할 수 없거나 신체 기능의 이상으로 배뇨 상태를 감지할 수 없는 사람은 보호자의 도움으로 대소변을 처리하고 있다.
최근에 환자 등이 대소변을 했을 경우에 대소변 상태를 감지하고 보호자에게 신호를 송출하여 기저귀의 교환시기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57941호에서와 같은 대변과 소변을 구분 감지하여 알려주고 재사용 가능한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는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가 부착되는 기저귀와 상기 지지체에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상에 부착된 센서는 대변을 검지할 수 있는 제1센서와 소변을 검지할 수 있는 제2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신호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포켓 벨, 컴퓨터 등의 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는 제1센서와 제2센서의 구성이 복잡하고, 신호선이 3가닥이 필요하며, 스마트폰과 같이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이동통신 기기는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의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스마트폰에 구현하는 것도 비용면에서 어려운 일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7806호에 개시된 소변감지센서(71)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박막의 실리콘 재질의 시트(72)와, 상기 시트(7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띠 형태로 코팅되어 소변과의 접촉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알람장치(80)에 소변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제1 내지 제4전극필름(74a~74d)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3전극필름(74a)(74c)의 끝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알람장치(80)와 연결되는 제1단자부(75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제4전극필름(74b)(74d)의 끝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알람장치(80)와 연결되는 제2단자부(7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대소변감지 알람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고 저가에 보급할 수 있는 기저귀에 부착되는 소변감지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환자 등의 피부와 접촉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전류의 흐름을 야기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하는 보호자에게 환자 등의 대소변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수단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9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780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트 내부에 대변과 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시약 및 보조성분을 구비하여 시약 및 보조성분에 의해 대소변이 구별되면서 감지부에 표시될 수 있어 보호자에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는 기저귀의 외부를 감싸면서 착용되는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대변 및 소변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약 및 보조성분이 묻혀진 거름 종이와,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구비되어 시약 및 보조성분의 감별에 따라 대변 및 소변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본체는 피부에 시약 및 보조성분이 묻지 않고 대소변이 새지 않도록 비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약 및 보조성분은 소변을 구별할 수 있도록 BTB(bromothymol blue) 용액이 사용되며, 대변을 구별할 수 있도록 코박 시약과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기저귀의 대변 공간부터 허벅지까지 구비되어 대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변 감지부와, 기저귀의 소변 공간부터 허벅지까지 구비되어 소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는 시약 및 보조성분의 감별에 의해 감지부에서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컬러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의 외부에 허벅지를 감싸면서 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밴드의 안쪽에는 컬러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기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통신모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에 의하면, 기저귀를 감싸면서 시트를 착용하며 대소변을 구별할 수 있는 시약 및 보조성분을 주입하고 대소변을 감지하여 외부에 알려줄 수 있는 감지부 및 통신모듈부를 구비함으로써 대소변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구별하고 바로 알려줄 수 있어 보호자 및 착용자에게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는 시트본체(100)와, 거름종이(200)와, 감지부(300)와, 밴드(400)와, 통신모듈부(5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시트본체(100)는 유아나 환자가 착용하는 기저귀(10)의 외부를 감싸면서 착용되어지게 된다.
상기 시트본체(100)는 피부에 시약이나 기타 물질이 묻지 않으면서 대소변이 밖으로 새지 않도록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본체(100)에는 인체에 시트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시트본체(100)를 접착시키는 접착테이프(110)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거름종이(200)는 시트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대소변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거름종이(200)를 사용함에 따라 기저귀(10)에 흡수된 대소변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름종이(200)에는 대변이나 소변에 따라 대소변을 구별할 수 있도록 시약 및 보조성분(210)이 묻혀지게 된다.
즉, 상기 거름종이(200)에 시약 및 보조성분(210)을 묻혀놓게 됨에 따라 용변이 시약 및 보조성분(210)에 흡수되면서 상기 시약 및 보조성분(210)이 대변인지 소변인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약 및 보조성분(210)은 소변인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BTB(bromothymol blue) 용액이 사용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약 및 보조성분(210)은 대변인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코박 시약과 알코올이 사용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소변이라 함은 신장에서 수뇨관(輸尿管), 방광을 거쳐 요도에서 배출되는 액체를 말하며, 신장은 혈액에 있는 여러 가지 불필요한 물질을 물과 함께 오줌으로 배출하고, 이것에 의해 생체 내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오줌으로 배출되는 것에는 혈액 중에 있는 것으로 과잉하게 된 것(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신체에 이제는 이용되지 않는 것(요소, 산, 크레아티닌), 혈액의 삼투압을 조절하는 데 필요한 수분 및 전해질, 혈액의 pH를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산성 또는 알칼리성 물질 및 유독 물질이 해독된 것(예를 들면, 히푸르산) 등이다.
이에 소변을 구별하기 위한 BTB(bromothymol blue) 용액은 산염기지시약의 일종으로 산성에서 노란색(pH 6.0 이하), 중성에서 초록색, 염기성(pH 7.6 이상)에서 푸른색을 띄며, 중화적정이나 광합성반응을 확인할 때 주로 쓰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대변이라 함은 사람의 항문으로부터의 배설물이며, 음식물이 소화 흡수되지 않은 것이나 장내 미생물 등이 포함되고, 대변의 냄새는 인돌ㆍ스카톨ㆍ황화수소에 의한 것이다.
즉, 상기 거름종이(200)에 소변이 흡수되면 BTB 용액에 의해 소변임을 감지할 수 있고 대변이 흡수되면 코박 시약과 알코올에 의해 대변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부(300)는 시트본체(100)의 외부로 구비되어 용변에 의한 시약 및 보조성분(210)을 통해 대소변을 감지하여 외부로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300)는 기저귀(10)의 대변 공간에서부터 허벅지까지 구비되어 코박 시약과 알코올이 사용되는 시약 및 보조성분(210)에서 구별된 대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변 감지부(310)와, 상기 기저귀(10)의 소변 공간에서부터 허벅지까지 구비되어 BTB 용액이 사용되는 시약 및 보조성분(210)에서 구별된 소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감지부(320)를 포함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대변 감지부(310)에서 대변이 감지되면 대변 감지부(310)가 적색으로 변환되며, 상기 소변 감지부(320)에서 소변이 감지되면 소변 감지부(320)가 청색으로 변환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 감지부(320)는 유아의 특정 건강 이상 시 소변의 pH 변화로 적색에 근접한 색이 검출되어 유아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부(300)에는 시약 및 보조성분(210)의 감별에 의해 감지부(300)에서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컬러감지센서(330)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컬러감지센서(330)는 대소변을 감지하기 위해 대변 감지부(310) 및 소변 감지부(320)에 각각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시약 및 보조성분(210)에 의해 감별된 대소변이 감지부(300)에서 감지될 때 상기 컬러감지센서(330)의 감지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밴드(400)는 감지부(300)의 외부에 구비되고 허벅지를 감싸면서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밴드(400)는 착용자의 허벅지 굵기 등의 신체에 맞게 불편 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통신모듈부(500)는 밴드(400)의 안쪽에 구비되며 감지부(300)와 컬러감지센서(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300) 및 컬러감지센서(330)의 감지에 따라 보호자가 가지고 있는 수신기(600)에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부(500)는 센서신호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신기(600)는 통신모듈부(500)의 송신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별도로 제작한 통신기기 등 다양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유아나 환자의 착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기저귀(10)를 감싸면서 시트본체(100)가 착용되어 기저귀(10)에 용변을 보면 대소변의 냄새 및 화학 반응에 의해 상기 거름종이(200)에 구비된 시약 및 보조성분(210)이 대소변을 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약 및 보조성분(210)에 의해 대소변이 감별되면 상기 시트본체(100)의 외부로 연결되는 감지부(300)에서 대소변을 감지하여 외부로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부(300)의 대변 감지부(310) 및 소변 감지부(320)에서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어 보호자가 용변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대변 감지부(310) 및 소변 감지부(320)에서 대소변을 감지시 상기 컬러감지센서(330)에 의해 대소변의 감별이 용이하게 되어 그에 맞는 대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300)와 컬러감지센서(330)에 통신모듈부(5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감지부(300)와 컬러감지센서(330)에서 감지된 대소변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부(500)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수신기(600)로 송신하여 보호자가 먼 거리에서도 용변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어 유아나 환자의 위생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보호자에게 신뢰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기저귀
100 : 시트본체
110 : 접착테이프
200 : 거름종이
210 : 시약 및 보조성분
300 : 감지부
310 : 대변 감지부
320 : 소변 감지부
330 : 컬러감지센서
400 : 밴드
500 : 통신모듈부
600 : 수신기

Claims (6)

  1. 기저귀의 외부를 감싸면서 착용되는 시트본체;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대변 및 소변을 구별하며, 기저귀에 흡수된 대소변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시약 및 보조성분이 묻혀진 거름 종이; 및
    상기 시트본체의 외부로 구비되어 시약 및 보조성분의 감별에 따라 대변 및 소변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본체에는 인체에 시트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시트본체를 접착시키는 접착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본체는 피부에 시약 및 보조성분이 묻지 않고 대소변이 새지 않도록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약 및 보조성분은 소변을 구별할 수 있도록 BTB(bromothymol blue) 용액이 사용되며, 대변을 구별할 수 있도록 코박 시약과 알코올이 사용되고,
    상기 감지부는 기저귀의 대변 공간부터 허벅지까지 구비되어 대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대변 감지부와, 기저귀의 소변 공간부터 허벅지까지 구비되어 소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는 시약 및 보조성분의 감별에 의해 감지부에서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도록 컬러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의 외부에 허벅지를 감싸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불편 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안쪽에는 컬러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기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통신모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KR1020180073431A 2018-06-26 2018-06-26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KR102161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431A KR102161135B1 (ko) 2018-06-26 2018-06-26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431A KR102161135B1 (ko) 2018-06-26 2018-06-26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24A KR20200001024A (ko) 2020-01-06
KR102161135B1 true KR102161135B1 (ko) 2020-09-29

Family

ID=6915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431A KR102161135B1 (ko) 2018-06-26 2018-06-26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1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2368A (ja) 2003-01-04 2004-07-29 Aoki Ryutsu Kk 検体採取用具
JP2007508105A (ja) * 2003-10-16 2007-04-05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臭気吸収モニタリング用視覚指示デバイスを含む臭気コントロール物品
JP2013516203A (ja) 2010-01-04 2013-05-13 コミサリア ア レネルジー アトミック エ オ ゼネルジー アルテルナティブ 体液中の分析物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そのような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創傷被覆材
JP2014042763A (ja) * 2012-08-28 2014-03-13 Kao Corp 吸収性構造体及び吸収材
KR101653737B1 (ko) 2016-02-12 2016-09-05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훈련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06U (ko) * 1998-09-08 2000-04-06 구자명 문자알람 1회용 기저귀
KR200257941Y1 (ko) 2001-09-03 2002-01-18 (주)에스와이하이테크 기저귀용 분뇨 자동 감지기
KR100688903B1 (ko) 2004-03-08 2007-03-08 장동욱 기저귀용 소변감지센서
KR20070057455A (ko) * 2005-12-02 2007-06-07 박경호 기저귀
US8274393B2 (en) * 2008-12-31 2012-09-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mote detection systems for absorbent articles
KR20120001668U (ko) * 2010-08-30 2012-03-08 곽대훈 화학반응을 이용한 배변 확인 기저귀
KR101292186B1 (ko) * 2011-10-21 2013-08-01 박창열 배설물 감지용 기저귀 및 이를 이용한 기저귀 상태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2368A (ja) 2003-01-04 2004-07-29 Aoki Ryutsu Kk 検体採取用具
JP2007508105A (ja) * 2003-10-16 2007-04-05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臭気吸収モニタリング用視覚指示デバイスを含む臭気コントロール物品
JP2013516203A (ja) 2010-01-04 2013-05-13 コミサリア ア レネルジー アトミック エ オ ゼネルジー アルテルナティブ 体液中の分析物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そのような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創傷被覆材
JP2014042763A (ja) * 2012-08-28 2014-03-13 Kao Corp 吸収性構造体及び吸収材
KR101653737B1 (ko) 2016-02-12 2016-09-05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훈련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24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5326B2 (en) Smart nursing consumable and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using the same
JP6158804B2 (ja) 濡れセンサ、濡れ監視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1498112B1 (ko) 전도성 섬유형의 도선을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감지장치
US8409158B2 (en) Ostomy appliance with a leakage indicator
RU261458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и контроля выделений из те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ыделяющего газ веществ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приучения к туалету
US8440877B2 (en) Alignment aids for a sensing article
KR101681514B1 (ko) 기저귀 알람 및 아기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US20120161960A1 (en) Body fluid absorption object wetting alarm method and apparatus
JP2004500181A (ja) 吸収性物品の状態を示す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10319845A1 (en) Diaper structure with urine sensor
WO2007007845A1 (ja) 尿レシーバ
WO2012126507A1 (en) System for monitoring faecal incontinence
WO2006047815A1 (en)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 and diaper
JP2009022785A (ja) 尿レシーバ
EP3143975B1 (en) Smart nursing consumable, rollable sensor modul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54393B1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KR101557692B1 (ko) 기저귀 알람 시스템
KR102161135B1 (ko) 대소변 구별 감지시트
KR101125370B1 (ko) 대소변 배출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기저귀
CN203609583U (zh) 一种智能报警纸尿裤
TW200916066A (en) Absorptive article
CN105796245A (zh) 一种环保婴儿尿湿警报装置
KR101289747B1 (ko) 대소변 감지기능 갖는 기능성 기저귀
US11231384B2 (en) Humidity sensor
CN215131718U (zh) 一种新型病人用纸尿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