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556B1 -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556B1
KR102160556B1 KR1020200029988A KR20200029988A KR102160556B1 KR 102160556 B1 KR102160556 B1 KR 102160556B1 KR 1020200029988 A KR1020200029988 A KR 1020200029988A KR 20200029988 A KR20200029988 A KR 20200029988A KR 102160556 B1 KR102160556 B1 KR 10216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image data
information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권
Original Assignee
이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권 filed Critical 이대권
Priority to KR102020002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2Healthy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bjects of a marketing surve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8Comparison to target or threshold, previous performance or not real time comparison to other individu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부 시설들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 내부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키오스크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되고,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체중계를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키오스크와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보조 입력 단말을 통해서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수신하는 인적 정보 수신부, 상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 상에 올라가면, 상기 체중계에 측정되는 무게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현재 데이터 출력부, 상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키오스크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거 데이터 출력부, 및 상기 키오스크에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변화값을 추출하여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변화값 추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BODY INFORMATION}
본 발명은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트니스 센터 내에 설치되어 있는 키오스크를 활용하고,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 하에 사용자의 과거 신체 이미지 데이터 및 현재의 신체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한 데이터를 통해서 운동이 부족한 신체 부위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관리 및 유지와 건강 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관리를 위하여 피트니스 센터 등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체력 진단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운동을 제공함과 아울러 제공된 맞춤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통합 운동 관리 시스템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운동관리 시스템은 운동 순서에 입각한 체계적인 운동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운동처방이 내려지면 운동 처방된 운동기구들을 순서에 무관하게 무작위로 선택하여 운동을 하였다. 이러한 운동 순서에 무관한 무작위의 운동은 때로는 사용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운동을 통한 피로에 의해 건강 증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사용자 별로 보완이 필요한 신체 부위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피트니스 센터의 운동 기구들의 활용법 및 순서를 달리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효과를 극대화 시키도록 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등록특허 10-1945623
본 발명은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트니스 센터 내에 설치되어 있는 키오스크를 활용하고,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 하에 사용자의 과거 신체 이미지 데이터 및 현재의 신체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한 데이터를 통해서 운동이 부족한 신체 부위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부 시설들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 내부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키오스크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되고,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체중계를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키오스크와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보조 입력 단말을 통해서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수신하는 인적 정보 수신부, 상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 상에 올라가면, 상기 체중계에 측정되는 무게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현재 데이터 출력부, 및 상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키오스크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거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되고, 상기 인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신체 조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피트니스 센터가 운영하는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센터의 일별 이용 시간을 수신하는 이용 시간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트니스 센터 내의 운동기구의 일별 사용 시간을 수신하는 사용 시간 수신부, 상기 일별 이용 시간 및 상기 운동기구의 사용 시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인 기준 과거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와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 간의 상기 사용자의 평균 일별 이용 시간 및 운동기구의 평균 사용 시간을 추출하는 평균 시간 추출부, 상기 기준 과거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부위별 변화값을 추출하는 변화값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평균 사용 시간 및 평균 운동 시간 대비 추출된 상기 부위별 변화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로부터 설정 기간 후에 예상되는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인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예상 데이터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예상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키오스크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보조 입력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입력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체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체형 정보를 수신하는 체형 정보 수신부, 및 체형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체형 정보에 포함된 체형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체형을 이미지 데이터로 추출한 가상 체형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 표시부에 출력하는 체형 데이터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형 정보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체형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체형 데이터 출력부는 체형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근거로 한 표준 체형을 이미지 데이터로 추출한 표준 체형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촬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해당 촬영에서 카메라 각도 및 조명 강도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포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2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를 해당 이미지 데이터, 해당 날짜,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포즈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포즈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를 추출하고, 의류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제1 데이터와 동일하게 카메라 각도 및 조명 강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상기 신체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제2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제2 데이터가 다른 경우, 상기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 조절하고, 상기 사용자의 포즈를 취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문자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요청 문자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강도는 상기 키오스크 주변의 조명 또는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의 조명의 강도이고, 상기 과거 데이터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상기 신체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제3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의 제3 데이터 간에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및 상기 키오스크에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변화값을 추출하여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변화값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거 데이터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설정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값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신체 부위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과거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서 동일하게 인식된 신체 부위를 비교 및 분석하여, 신체 부위 별로 선명도와 크기 항목에 따른 변화값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피트니스 센터가 보유한 운동 기구 및 해당 운동 기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센터 정보를 상기 피트니스 센터가 운영하는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센터 정보 수신부, 경과된 기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변화값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변화값이 설정 변화값 미만인 경우 해당 신체 부위의 경과된 기간에 따른 변화값 및 상기 센터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 요청 정보를 상기 피트니스 센터와 제휴되어 있는 피트니스 전문가가 사용하는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보완 요청 정보 전송부, 상기 보완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보완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신체 부위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센터 정보를 근거로 한 상기 피트니스 센터에 있는 운동 기구들의 활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 정보를 수신하는 보완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보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보완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완 정보는 설정 기간 동안 동선을 고려한 상기 피트니스 센터에 있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순서 및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보완 정보를 제공한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제휴 포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 제공부 및 상기 보완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보완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신체 부위에 대해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변화값이 상기 설정 변화값 이상인 경우, 보완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보완 성공 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완 성공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포인트 제공부는 추가 제휴 포인트를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휴 포인트는 상기 신체 정보 제공 장치와 연계되어 있는 쇼핑몰에서 현금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보완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신체 부위 각각의 선명도 및 크기에 따른 보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보완 데이터 추출부 및 경과된 기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변화값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변화값이 설정 변화값 미만인 경우, 상기 보완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서 추출된 보완 데이터 중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보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보완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센터 내부 시설들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 내부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키오스크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되고,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체중계를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신체 정보 제공 방법은 인적 정보 수신부가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키오스크와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보조 입력 단말을 통해서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데이터 출력부가 상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 상에 올라가면, 상기 체중계에 측정되는 무게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 과거 데이터 출력부가 상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키오스크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변화값 추출부가 상기 키오스크에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변화값을 추출하여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데이터 저장부가 상기 사용자 신체의 촬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해당 촬영에서 카메라 각도 및 조명 강도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포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2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를 해당 이미지 데이터, 해당 날짜,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내지 제3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포즈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포즈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를 추출하고, 의류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신체 정보 제공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피트니스 센터 내 설치되어 있는 키오스크를 통해서 신체가 촬영하는 경우, 이전과 동일한 조건으로 카메라 각도,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 및 조명 강도를 조절하고, 포즈를 수정하여 신체 촬영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촬영된 영상과 동일한 조건에서 자신의 신체를 비교할 수 있으므로, 몸의 변화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라 운동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변화값 추출부에서 과거 및 현재의 신체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서 추출된 신체 부위별 변화값을 통해서, 사용자는 보완 운동이 필요한 신체 부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을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여 전문가로부터 보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운동을 더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데이터 수신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 키오스크(300), 전문가 단말(500), 및 이들과 네트워크(400)로 연계되어 있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신체 정보는 제공 받는 자로서, 키오스크(300)가 설치되어 있는 피트니스 클럽에서 운동을 하는 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 네비게이션,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일반적이거나 특수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네트워킹 컴포넌트(유선 또는 무선)를 가질 수 있다.
전문가 단말(500)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 방법 등을 전달해주는 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전문가 단말(500)은 피트니스 전문가 또는 헬스 트레이너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전문가 단말(500)은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문가 단말(500)은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 네비게이션,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일반적이거나 특수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및/또는 네트워킹 컴포넌트(유선 또는 무선)를 가질 수 있다.
키오스크(3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피트니스 센터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일 수 있다. 키오스크(300)는 데이터가 송출되는 표시부 및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고, 카메라를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될 수 있다. 키오스크(300)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는 체중계가 배치될 수 있으며, 체중계는 키오스크(30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키오스크(300), 사용자 단말(100), 전문가 단말(5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키오스크(300), 사용자 단말(100), 및 전문가 단말(500)에 제공할 수 있다.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는 서버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 및 전문가 단말(500)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6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네트워크(400)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40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망, 유선 온라인, 무선 온라인,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0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온라인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데이터 수신부(201)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부(202)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부(203)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는 데이터 수신부(201), 데이터 전송부(202), 데이터 출력부(203), 변화값 추출부(204), 데이터 저장부(205), 제어 신호 생성부(206), 유사도 산출부(207), 포인트 제공부(208), 및 보완 데이터 추출부(209)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01)는 인적 정보 수신부(211) 및 체형 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203)는 현재 데이터 출력부(231), 과거 데이터 출력부(232), 체형 데이터 출력부, 및 요청 문자 출력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적 정보 수신부(211)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키오스크(300)와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보조 입력 단말(미도시)을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 예를 들어, 인적 정보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와 성명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적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인적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체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데이터 출력부(231)는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체중계 상에 올라가면, 체중계에 측정되는 무게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S12) 체중계는 키오스크(300)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키오스크(3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시인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만큼 키오스크(3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시간이 20초인 경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20초 이내에 사용자가 체중계 상에 올라가게 되면, 체중계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는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체중계는 체중 외에도 근육량과 체지방 등의 체성분 수치를 측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고, 체중 외의 수치들 역시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키오스크(300)의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가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체형 정보 수신부(212)는 보조 입력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가 원하는 체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체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체형 정보는 근육을 크기 및 선명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될 수 있고, 사용자는 구분된 단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체형 데이터 출력부(232)는 체형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체형 정보에 포함된 체형 및 사용자의 인적 정보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사용자의 가상의 체형을 이미지 데이터로 추출한 가상 체형 데이터를 키오스크(300)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체형 데이터 출력부(232)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키) 및 사용자의 나이 및 성별을 고려한 가상 체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키오스크(300)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체형 정보 수신부(212)를 통해서 수신되는 체형 정보가 없는 경우, 체형 데이터 출력부(232)는 체형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근거로 한 표준 체형을 이미지 데이터로 추출한 표준 체형 데이터를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체형 또는 자신의 인적 정보에 따른 표준 체형과 현재 자신의 체형을 비교하여, 적절한 운동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과거 데이터 출력부(232)는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이전에 촬영한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키오스크(300)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S13) 추가적으로 과거 데이터 출력부(232)는 사용자가 이전에 촬영한 과거 이미지 데이터 이외에도 해당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했던 당시의 몸무게 및 체성분 정보를 키오스크(300)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고, 데이터 저장부(205)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데이터 저장부(205)는 사용자 신체의 촬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해당 촬영에서 카메라 각도 및 조명 강도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사용자와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 및 사용자의 포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2 데이터,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1 데이터, 제2 데이터, 및 제3 데이터를 해당 이미지 데이터, 해당 날짜, 시간 및 사용자의 인적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15)
제1 데이터와 관련하여 카메라 각도는 사용자를 촬영할 때의 카메라 각도이고, 조명 강도는 키오스크(300) 주변의 조명 또는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의 조명(밝기)의 강도일 수 있다.
제2 데이터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포즈는 포즈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도출된 포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의 관리자는 사람의 다양한 포즈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의 서버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부(205)는 저장된 포즈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머신 러닝을 통해서, 사용자의 포즈가 어떤 포즈인지 추출하고 이를 제2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즈의 예시로는 정면 포즈, 측면 포즈, 만세하고 있는 포즈일 수 있다. 다만 포즈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추출된 포즈 역시 이후에 머신 러닝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2 데이터의 정확성은 시간에 따라 높아질 수 있다.
제3 데이터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는 의류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도출된 의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의 관리자는 의류의 종류, 색상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의 서버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부(205)는 저장된 의류에 대한 데이터에 대한 머신 러닝을 통해서, 사용자가 어떤 종류의 의류를 착용하였는지 추출하고 이를 제3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추출된 사용자의 의류 역시 이후에 머신 러닝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3 데이터의 정확성은 시간에 따라 높아질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206)는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데이터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제1 데이터와 동일하게 카메라 각도 및 조명 강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명 강도와 관련하여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는 피트니스 센터 내부의 조명 시설과 네트워크로 연계될 수 있고,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키오스크(300) 주변의 조명의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요청 문자 출력부(234)는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신체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제2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제2 데이터가 다른 경우,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와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 조절하고, 사용자의 포즈를 취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문자를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205)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중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고,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오스크(300)를 통해서 신체가 촬영되는 경우,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카메라 각도 및 조명 강도가 조절되고, 요청 문자를 확인한 사용자는 요청 문자에 따라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를 조절하고, 포즈를 수정하여 이전 촬영 시의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신체 촬영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에 촬영된 영상과 동일한 조건에서 자신의 신체를 비교할 수 있으므로, 몸의 변화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라 운동 계획을 세울 수 있고, 이러한 효과는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의 기능들과 결합되어 더 강화될 수 있다.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최초로 촬영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복수개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가 선택될 수도 있다.(물론 사용자가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에 관련된 조건이 동일한 경우, 과거와 현재의 신체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의상을 다르게 입고 촬영한 경우에 의상의 종류, 색상 등의 요소에 의해서 신체의 변화가 정확하게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동일한 종류 또는 동일한 색상의 의상을 입고 촬영한 날을 기준으로 신체 변화를 촬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고, 이하 해당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유사도 산출부(207)는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신체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제3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의 제3 데이터 간에 유사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데이터 간에 유사도를 산출하는 데에 있어서 비교되는 항목은 의상의 종류 및 의상의 색상일 수 있으며,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해당 항목 각각에 대해서 가중치가 부여되어 유사도가 산출될 수 있다. 다만 항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과거 데이터 출력부(232)에서 출력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설정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과거 데이터 출력부(232)에서 출력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변화값 추출부(204)는 키오스크(300)에 출력되는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변화값을 추출하여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S14)
변화값 추출부(204)는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신체 부위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과거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서 동일하게 인식된 신체 부위를 비교 및 분석하여, 신체 부위 별로 선명도와 크기 항목에 따른 변화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화값 추출부(204)는 어깨, 이두, 허벅지 근육에 대해서 과거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각각 선명도와 크기 항목에 대한 변화값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값을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화값을 확인하고, 운동 기간 동안 자신의 신체 부위 중 어떠한 신체 부위가 운동 효과가 좋았고, 어떠한 신체 부위가 운동 효과가 좋지 않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운동 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01)는 센터 정보 수신부(213) 및 보완 정보 수신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202)는 보완 요청 정보 전송부(221), 보완 정보 전송부(222), 보완 성공 신호 전송부(223), 및 보완 데이터 전송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정보 수신부(213)는 피트니스 센터가 보유한 운동 기구 및 해당 운동 기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센터 정보를 피트니스 센터가 운영하는 센터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보완 요청 정보 전송부(221)는 경과된 기간을 근거로 하여 변화값 추출부(204)로부터 추출된 변화값이 설정 변화값 미만인 경우 해당 신체 부위의 경과된 기간에 따른 변화값 및 센터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 요청 정보를 피트니스 센터와 제휴되어 있는 피트니스 전문가가 사용하는 전문가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경과된 기간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으며, 신체 부위 역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사용자가 보완을 원하는 신체 부위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변화값은 관리자에 의해서 설정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트니스 센터의 회원들의 변화값을 학습 데이터로 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기간에 따른 설정 변화값을 추출할 수 있다. 설정 변화값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회원들의 운동 경력, 하루 운동 시간, 센터 이용일, 이용하는 기구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들의 운동 경력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 혹은 보조 단말을 통해서 인적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기입될 수 있으며, 하루 운동 시간 및 센터 이용일은 회원들이 피트니스 센터에 전자 출입하는 현황 정보를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기구들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네트워크 모듈(예를 들어, NFC 태그)에 회원이 자신의 단말을 태깅함으로서 회원이 어떠한 기구를 얼마나 이용하였는지를 산출할 수 있고, 해당 정보 역시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본 발명의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와 네트워크로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보완 정보 수신부(214)는 보완 요청 정보를 수신한 전문가 단말(500)로부터 보완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신체 부위를 보완하기 위해서 센터 정보를 근거로 한 피트니스 센터에 있는 운동 기구들의 활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완 정보는 설정 기간 동안 동선을 고려한 피트니스 센터에 있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순서 및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트니스 전문가는 보완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피트니스 센터 내의 기구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보완이 필요한 신체 부위를 운동하는 동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 정보를 전문가 단말(500)에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보완 정보 수신부(214)가 수신할 수 있다.
보완 정보 전송부(222)는 보완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보완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정보에 따라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포인트 제공부(208)는 보완 정보를 제공한 전문가 단말(500)로 제휴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휴 포인트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와 연계되어 있는 쇼핑몰에서 현금으로 이용될 수 있고, 이는 전문가는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보완 정보를 제공하게 하는 동기를 부여하게 할 수 있다.
보완 성공 신호 전송부(223)는 보완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보완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신체 부위에 대해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변화값이 설정 변화값 이상인 경우, 보완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전문가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전에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해서 변화값이 설정 변화값 미만이었지만,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에서는 설정 변화값 이상이 된 경우, 사용자는 보완 정보에 따라 운동을 적절히 수행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피트니스 전문가는 적절한 보완 정보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고, 이 경우, 포인트 제공부(208)는 추가 제휴 포인트를 전문가 단말(5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완 데이터 추출부(209)는 보완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신체 부위 각각의 선명도 및 크기에 따른 보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보완 데이터 전송부(224)는 경과된 기간을 근거로 하여 변화값 추출부(204)로부터 추출된 변화값이 설정 변화값 미만인 경우, 보완 데이터 추출부(209)에 의해서 추출된 보완 데이터 중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보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문가로부터 보완 정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 보완 데이터를 통해서 신속하게 자신의 운동 상황에 대해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는 과거의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미래의 변화될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해당 내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신체 정보 제공 장치(200)는 평균 시간 추출부(210)를 더 포함하고, 데이터 수신부(201)는 이용 시간 수신부(215) 및 사용 시간 수신부(21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출력부(203)는 예상 데이터 출력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 시간 수신부(215)는 센터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피트니스 센터의 일별 이용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 시간 수신부(216)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센터 서버로부터 피트니스 센터 내의 운동기구의 일별 사용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일별 이용 시간의 수신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원들이 피트니스 센터에 전자 출입하는 현황 정보를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일별 사용 시간의 수신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구들에 부착되어 있는 근거리 네트워크 모듈(예를 들어, NFC 태그)에 회원이 자신의 단말을 태깅함으로서 회원이 어떠한 기구를 얼마나 이용하였는지를 산출할 수 있고, 해당 정보가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수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사용 시간을 직접 입력하고, 이를 사용 시간 수신부(216)가 수신함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평균 시간 추출부(210)는 일별 이용 시간 및 운동기구의 사용 시간을 근거로 하여,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인 기준 과거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와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 간의 사용자의 평균 일별 이용 시간 및 운동기구의 평균 사용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기준 과거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운동을 꾸준하게 하였던 기간에서의 시작일자일 수 있다.
변화값 추출부(204)는 기준 과거 데이터와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부위별 변화값을 추출할 수 있다. 부위별 변화값을 추출하는 내용에 대해서 앞서 설명을 하였는 바 생략하도록 한다.
예상 데이터 출력부(234)는 추출된 평균 사용 시간 및 평균 운동 시간 대비 추출된 부위별 변화값을 근거로 하여,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로부터 설정 기간 후에 예상되는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인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상 데이터 출력부(234)는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조건을 가지는 회원들 중 사용자와 설정 범위 이내의 유사한 평균 이용 시간 및 평균 사용 시간을 가지고, 해당 시간 대비 설정 범위 이내의 유사한 부위별 변화값을 가졌던 회원들의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설정 기간 후(예를 들어, 현재로부터 3개월 후)에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예상 이미지 데이터는 키오스크(300)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고, 나아가 평균 이용 시간, 평균 사용 시간, 및 부위별 변화값 역시 수치화 되어 키오스크(300)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현재 진행하고 있는 운동이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보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설정 기간 후에 예상 이미지 데이터보다 더 나은 몸이 되기 위해서 운동 계획을 수정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2: 데이터 전송부
200: 신체 정보 제공 장치 300: 키오스크
201: 데이터 수신부 500: 전문가 단말

Claims (9)

  1. 피트니스 센터 내부 시설들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 내부에 설치되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키오스크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동되고,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체중계를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키오스크와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보조 입력 단말을 통해서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수신하는 인적 정보 수신부;
    상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설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 상에 올라가면, 상기 체중계에 측정되는 무게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현재 데이터 출력부;
    상기 인적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거 데이터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 신체의 촬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해당 촬영에서 카메라 각도 및 조명 강도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포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2 데이터,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를 해당 이미지 데이터, 해당 날짜,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되고,
    상기 인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신체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포즈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의 포즈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를 추출하고, 의류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이고,
    상기 신체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제1 데이터와 동일하게 카메라 각도 및 조명 강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상기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상기 신체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제2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어 있는 제2 데이터가 다른 경우, 상기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카메라와의 촬영 거리 조절하고, 상기 사용자의 포즈를 취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문자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요청 문자 출력부;
    상기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상기 신체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제3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의 제3 데이터 간에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상기 키오스크에 출력되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변화값을 추출하여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변화값 추출부;
    상기 피트니스 센터가 보유한 운동 기구 및 해당 운동 기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센터 정보를 상기 피트니스 센터가 운영하는 센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센터 정보 수신부;
    경과된 기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변화값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변화값이 설정 변화값 미만인 경우 해당 신체 부위의 경과된 기간에 따른 변화값 및 상기 센터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 요청 정보를 상기 피트니스 센터와 제휴되어 있는 피트니스 전문가가 사용하는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보완 요청 정보 전송부;
    상기 보완 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보완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신체 부위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센터 정보를 근거로 한 상기 피트니스 센터에 있는 운동 기구들의 활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 정보를 수신하는 보완 정보 수신부;
    상기 보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보완 정보 전송부; 및
    상기 보완 정보를 제공한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제휴 포인트를 제공하는 포인트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강도는 상기 키오스크 주변의 조명 또는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의 조명의 강도이고, 상기 과거 데이터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적 정보에 대응되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설정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서 처음으로 저장된 과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값 추출부는 상기 사용자 신체가 촬영되는 동안 신체 부위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과거 이미지 데이터 각각에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과거 이미지 데이터에서 동일하게 인식된 신체 부위를 비교 및 분석하여, 신체 부위 별로 선명도와 크기 항목에 따른 변화값을 추출하고,
    상기 보완 정보는 설정 기간 동안 동선을 고려한 상기 피트니스 센터에 있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순서 및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휴 포인트는 상기 신체 정보 제공 장치와 연계되어 있는 쇼핑몰에서 현금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센터가 운영하는 센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피트니스 센터의 일별 이용 시간을 수신하는 이용 시간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트니스 센터 내의 운동기구의 일별 사용 시간을 수신하는 사용 시간 수신부;
    상기 일별 이용 시간 및 상기 운동기구의 사용 시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인 기준 과거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와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 간의 상기 사용자의 평균 일별 이용 시간 및 운동기구의 평균 사용 시간을 추출하는 평균 시간 추출부;
    상기 기준 과거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근거로 부위별 변화값을 추출하는 변화값 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평균 사용 시간 및 평균 운동 시간 대비 추출된 상기 부위별 변화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매칭되는 일자로부터 설정 기간 후에 예상되는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인 예상 이미지 데이터를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예상 데이터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예상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키오스크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력 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입력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체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체형 정보를 수신하는 체형 정보 수신부; 및
    체형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체형 정보에 포함된 체형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체형을 이미지 데이터로 추출한 가상 체형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 표시부에 출력하는 체형 데이터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형 정보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체형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체형 데이터 출력부는 체형에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근거로 한 표준 체형을 이미지 데이터로 추출한 표준 체형 데이터를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과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키오스크의 표시부에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보완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신체 부위에 대해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변화값이 상기 설정 변화값 이상인 경우, 보완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전송하는 보완 성공 신호 전송부;
    상기 보완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신체 부위 각각의 선명도 및 크기에 따른 보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보완 데이터 추출부; 및
    경과된 기간을 근거로 하여 상기 변화값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변화값이 설정 변화값 미만인 경우, 상기 보완 데이터 추출부에 의해서 추출된 보완 데이터 중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보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보완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완 성공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포인트 제공부는 추가 제휴 포인트를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보 제공 장치.



  9. 삭제
KR1020200029988A 2020-03-11 2020-03-11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6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88A KR102160556B1 (ko) 2020-03-11 2020-03-11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88A KR102160556B1 (ko) 2020-03-11 2020-03-11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556B1 true KR102160556B1 (ko) 2020-09-28

Family

ID=7280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988A KR102160556B1 (ko) 2020-03-11 2020-03-11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5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779A (ko) * 2009-09-16 2011-03-23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피트니스 장치, 피트니스 시스템 및 피트니스 방법
KR20110076095A (ko) * 2009-12-29 2011-07-06 전자부품연구원 무선체중계 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70004743A (ko) * 2015-07-03 2017-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세 체형 관리 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단말기
KR20180057734A (ko) * 2014-12-05 2018-05-30 마이피지크 리미티드 신체 이미징
KR102033063B1 (ko) * 2018-05-30 2019-10-16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개인 히스토리 데이터 기반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779A (ko) * 2009-09-16 2011-03-23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피트니스 장치, 피트니스 시스템 및 피트니스 방법
KR20110076095A (ko) * 2009-12-29 2011-07-06 전자부품연구원 무선체중계 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80057734A (ko) * 2014-12-05 2018-05-30 마이피지크 리미티드 신체 이미징
KR20170004743A (ko) * 2015-07-03 2017-0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세 체형 관리 기기 및 그것을 이용한 단말기
KR102033063B1 (ko) * 2018-05-30 2019-10-16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개인 히스토리 데이터 기반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0646B2 (en) System and method to capture and process body measurements
KR102099316B1 (ko) 헬스케어를 위한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CA3146658A1 (en) Interactive personal training system
US10922997B2 (en) Customizing content for musculoskeletal exercise feedback
US11183079B2 (en) Augmented reality guided musculoskeletal exercises
US10423220B2 (en) Virtual try-on apparatus, virtual try-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984485B2 (en) Virtual try-on apparatus, virtual try-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60021118A (ko) 신체 치수 및 형상 정보의 사용자-구동 결정의 활성화 및 네트워크 환경에 걸친 그 정보의 이용을 위한 디바이스, 프레임워크 및 방법론
US20160042443A1 (en) Virtual try-on apparatus, virtual try-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90295436A1 (en) Exercise feedback system for musculoskeletal exercises
US20160042565A1 (en) Virtual try-on apparatus, virtual try-on system, virtual try-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200144991A (ko) 운동 보조 장치 및 운동 보조 방법
WO2022034771A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102160556B1 (ko) 신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6884306B1 (ja) システム、方法、情報処理装置
JP2014147566A (ja) 体型変化予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242714A (zh) 产品推荐方法及装置
KR101916864B1 (ko) 드레스 코드 평가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97158A (ko) 생체 기반 운동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방법
JP2022187952A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102323667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체 관리 시술 시뮬레이션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21137539A (ja) 測定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2021137543A (ja) 測定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2021040794A (ja) 運動教育システム、サーバ装置、運動教育支援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162159A1 (ja) 動作生成装置、動作生成システム、動作生成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